KR20170124902A -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 - Google Patents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4902A
KR20170124902A KR1020160054891A KR20160054891A KR20170124902A KR 20170124902 A KR20170124902 A KR 20170124902A KR 1020160054891 A KR1020160054891 A KR 1020160054891A KR 20160054891 A KR20160054891 A KR 20160054891A KR 20170124902 A KR20170124902 A KR 20170124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ashes
ash
blast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김순복
Original Assignee
김영수
김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김순복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1020160054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4902A/ko
Publication of KR20170124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9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gases, e.g. oxygen absorbers or desicc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0Adhesives based on inorganic constit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259Materials used
    • B65D2543/00305O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골을 한지에 수용하고 황토석을 이용하여 이중으로 납골함을 설치하게 되어 습기가 발생되지 않아 유골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 황토석으로 제조되며 유골이 안치될 수 있도록 유골안치부가 형성된 제1용기와, 상기 제1용기의 상부에 안착되어 유골안치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뚜껑과, 상기 제1용기의 외부에 황토석으로 제조되며 제1용기가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부가 형성된 제2용기와, 상기 제2용기의 상부에 안착되어 수납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OCHER STONE CINERARY URN FOE DUAL STRUCTURE}
본 발명은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골을 한지에 수용하고 황토석을 이용하여 이중으로 납골함을 설치하게 되어 습기가 발생되지 않아 유골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상례는 조선시대 이전의 경우 불교적 색채가 강했지만 조선시대 이후 유학의 영향을 받은 주자가례가 기본이 되었다.
그리고 장묘제도는 시대에 따라 그 양식을 달리하여 변화와 발전을 해왔는데, 근대까지 주류를 이루고 있는 매장방식은 조선시대에 들어와 유교사상과 풍수지리설이 결합되면서 관습처럼 되어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한편, 현재 우리나라의 전 국토에 산재되어 있는 묘지는 국토의 1%인 982㎢ 에 이르고 있으며, 이는 서울시의 1.6배에 달하며, 매년 여의도의 3배가 묘지로 변하고 있는 실정이고, 이와 같은 상태로 장묘문화가 매장방식에서 바뀌지 않을 경우에는 전 국토가 묘지로 잠식될 수 있으며, 더욱이 개인묘지가 전체 묘지의 70%나 되고, 매년 20만기가 늘어나고 있지만 국가에서 이를 마음대로 할 수 없다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그러나 다행히도 근간에는 화장에 대한 국민적 인식이 크게 개선되고 장묘에 관련된 법률 또한 전향적으로 개정됨에 따라 오랫동안 지속되어 오던 매장방식 위주의 장묘문화에 많은 변화가 뒤따르고 있다.
통계적으로는 우리나라의 화장률이 지난 1971년에 7%에서 80년에는 13.9%, 93년에는 19.1%, 96년에는 23%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화장에 대한 인식의 개선으로 인하여 본인 사후 화장을 원하는 사람의 비율이 76.7% 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중국의 경우 화장률이 100%이고, 일본의 경우 화장률이 97%인 것에 비하면 아직 부족함이 많은 현실이다.
또한 대한주부클럽연합회가 전국의 성인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장묘문화에 대한 의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화장의 찬성률이 본인일 경우 76.7%, 가족 또는 친지는 60.2%, 타인은 70.7%로 나타났으며, 찬성의 이유로는 무연고 묘의 방치가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어서가 31.3%로 가장 많았고, 묘지관리의 부담을 덜 수 있어서가 37.7%, 묘지확보가 어려워서가 26.6% 등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기피의 이유는 성묘를 통한 가족 유대를 유지하고 싶어서가 36.1%가 높게 나타나면서 성묘가 가족 유대의 방법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한편, 고인이 화장된 후에는 그 유골은 납골함에 봉인되어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납골당이나, 공원묘지의 납골시설에 개인 또는 가족단위로 안치되거나, 개인묘에 설치한 납골묘 또는 납골시설에 안치된다.
상기한 납골함은 함실 내에 유골을 넣어 모신 다음 뚜껑을 덮는 형태로 되어 있는 바 이러한 납골함은 주위의 습기가 유입되어 유골 손상의 염려가 있는 등 습기에 취약성이 있으며, 납골함 내부 및 주위에 악취 등이 발생하여 고인에 대한 경건한 추모 분위기를 해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황토 납골함이 제공되는데, 황토 납골함에 사용되는 황토의 가공방법은 초벌구이 공정을 거쳐서 제작된다.
만약 황토를 가열하지 않고 자연건조할 경우에는 미세한 통공이 형성되나 취약하여 쉽게 부서지게 되며, 황토를 초벌구이 후 재벌구이를 할 경우에는 황토가 자기 상태로 됨으로써 통공이 매우 미세하게 형성되거나 아예 형성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초벌구이 공정을 통해 얻어진 납골함도 높은 강도와 매끄러운 표면을 가질 수 없는 쉽게 깨어지거나 표면의 부스러짐 현상이 발생되며, 표면에 코팅 처리를 하더라도 그 코팅막이 쉽게 떨어져 납골함 내부로 습기가 발생되어 유골에 부패가 발생하는 등 장기간의 보존이 필요하는 납골함에는 적합하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696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납골함을 천연의 황토석을 이용하여 이중 구조로 제조하고 유골을 한지에 수용하여 납골함 내부에 보관하게 됨으로써 유골이 안치되는 납골함 내부로 습기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어 유골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는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으로서, 황토석으로 제조되며 유골이 안치될 수 있도록 유골안치부가 형성된 제1용기와, 상기 제1용기의 상부에 안착되어 유골안치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뚜껑과, 상기 제1용기의 외부에 황토석으로 제조되며 제1용기가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부가 형성된 제2용기와, 상기 제2용기의 상부에 안착되어 수납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용기의 유골안치부에 안치되는 유골은 한지로 덮여져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제1용기의 내벽면 전체에는 습기의 유입을 차단하여 유골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황토석 분말이 천연 기능성 접착제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천연 기능성 접착제는 친환경 소재인 석분과 젤라틴 첨가제 및 천연 안료, 이온수와 유화제를 첨가하여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용기의 상부면에는 제1뚜껑이 안정적으로 안착되고 유골안치부를 견고하게 밀폐시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안착편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뚜껑과 제2뚜껑은 유골안치부와 수납부에 습기가 발생되지 않도록 황토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뚜껑의 내측면에는 습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황토석 분말을 천연 기능성 접착제로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뚜껑의 내측면에는 습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황토석 분말을 천연 기능성 접착제로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에 의하면, 유골이 안치되는 제1용기와 제1용기가 수납되는 제2용기의 이중 구조로 납골함을 구비하고 제1,2용기 및 제1,2용기를 덮게 되는 제1,2뚜껑을 천연의 황토석을 사용하여 제조하게 됨으로써 통풍효율, 습도조절효율, 부패방지효율, 방충효율이 뛰어나 유골이 부패되지 않고 장시간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용기의 유골안치부에 보관되는 유골을 한지로 덮어서 보관하고 유골안치부의 내벽면에 황토석 분말을 천연 기능성 접착제로 접착시키게 됨으로써 유골이 안치되는 유골안치부의 습기를 방지하여 유골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어 납골함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을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의 제1용기와 제1뚜껑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의 제2용기와 제2뚜껑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을 도시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을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의 제1용기와 제1뚜껑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절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의 제2용기와 제2뚜껑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절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은, 제1용기(100)와, 제1뚜껑(200)과, 제2용기(300)와, 제2뚜껑(400)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제1용기(100)는 천연의 황토석으로 제조되어지며, 내부에 유골(R)이 안치될 수 있도록 유골안치부(110)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용기(100)의 상부면에는 유골안치부(110)를 견고하게 밀폐시킬 수 있도록 안착편(120)이 구비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안착편(120)에 제1뚜껑(200)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어 상기 유골안치부(110)를 완전하게 밀폐시켜 공기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용기(100)의 유골안치부(110)에 유골(R)이 안치되되 상기 유골(R)은 한지(130)로 덮어서 보관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유골안치부(110)에 유골(R)이 안치되어질 때 상기 한지(130) 내에 유골(R)을 넣고 한지(130)를 묶어서 유골(R)을 한지(130) 속에 보관한 상태에서 유골안치부(110)에 안치시키게 된다.
이에 상기 제1용기(100)의 유골안치부(110)에 안치되는 유골(R)이 한지(130)에 덮여지게 되어 한지(130)에 의해 유골안치부(110) 내의 통풍과 보온효율을 높일 수 있어 유골(R)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용기(100)의 내부인 유골안치부(110) 내벽면에는 습기의 발생을 방지하여 유골(R)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황토석 분말(10)이 부착되어지게 된다.
상기 황토석 분말(10)은 친환경적인 천연 기능성 접착제(20)로 접착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황토석 분말(10)은 유골안치부(110) 내벽면의 전체에 골고루 접착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황토석 분말(10)은 이미 널리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주요 구성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천연 기능성 접착제(20)는 석분과, 젤라틴 첨가제 및 천연 안료를 포함하는 건식 타입의 접착제와, 이온수와 유화제를 포함하는 습식 타입의 접착제를 첨가하여 혼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에서 천연 기능성 접착제(20)는 석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젤라틴 첨가제 26~34 중량부 및 천연 안료 1~3 중량부가 포함되는 건식 타입의 접착제와, 상기 석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이온수 145~175 중량부 및 유화제 2.5.~5 중량부가 더 혼합된 습식 타입의 접착제를 혼합하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천연 기능성 접착제(20)를 사용하여 황토석 분말(10)을 제1용기(100) 내부의 유골안치부(110)에 접착하게 됨으로써 탈취성, 내곰팡이성, 항균성이 높아 유골(R)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석분은 황토석, 대리석, 맥반석, 화강석, 옥석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분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뚜껑(200)은 제1용기(100)의 상부에 안착되어 유골(R)이 안치되는 유골안치부(110)를 밀폐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1뚜껑(200)이 제1용기(100)의 안착편(120) 상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상기 유골안치부(110)의 내부를 견고하게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뚜껑(200)은 유골안치부(110)에 습기가 발생되지 않도록 습도조절 및 부패방지효율이 뛰어난 황토석으로 제조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뚜껑(200)의 내측면에는 습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황토석 분말(10)이 천연 기능성 접착제(20)로 접착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제1용기(100)에 밀착되는 제1뚜껑(200)의 내측면에 황토석 분말(10)을 부착하게 됨으로써 상기 유골안치부(110) 내의 습기방지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뚜껑(200)의 상부에는 손잡이(210)가 구비되어지게 된다.
상기 제2용기(300)는 황토석으로 제조되어 유골(R)이 안치되는 제1용기(100)를 수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용기(300)의 내부에는 제1용기(100)가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부(310)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용기(100)의 유골안치부(110)에 유골(R)이 안치된 상태에서 제1뚜껑(200)이 제1용기(100)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310)에 제1용기(100)가 수납되어 유골(R)을 제1용기(100)와 제2용기(300)의 이중 구조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뚜껑(400)은 제2용기(300)의 상부에 안착되어 제1용기(100)가 수납되는 수납부(310)를 밀폐시키게 된다.
상기 제2뚜껑(400)은 수납부(310)에 습기가 발생되지 않도록 습도조절 및 부패방지효율이 뛰어난 황토석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뚜껑(400)의 내측면에는 습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황토석 분말(10)이 천연 기능성 접착제(20)로 접착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제2용기(300)에 밀착되는 제2뚜껑(400)의 내측면에 황토석 분말(10)을 부착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1용기(100)가 수납되는 수납부(310) 내의 습기방지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에 따른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제1용기(100)의 유골안치부(110)에 유골(R)을 안치할 때 유골(R)을 한지(130)에 덮고 유골(R)이 덮여진 한지(130)를 상기 유골안치부(110)에 넣어 보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유골안치부(110)에 안치되는 유골(R)이 한지(130)로 덮여지게 되어 통풍과 보온효율이 뛰어나 유골(R)이 오래도록 변형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유골(R)이 안치되는 제1용기(100)와 상기 제1용기(100)가 수납되는 제2용기(300)를 천연의 황토석으로 제조하게 됨으로써 황토석에 의한 통풍능력, 습도조절능력, 부패방지능력, 방충능력이 뛰어나 유골(R)을 부패 없이 효율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용기(100) 내의 유골안치부(110) 내벽면에 황토석 분말(10)을 천연 기능성 접착제(20)로 접착하게 됨으로써 상기 유골안치부(110)의 내부를 탈취 및 항균시킬 수 있으며 곰팡이의 발생을 억제시켜 유골안치부(110)에 안치되는 유골(R)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유골안치부(110)의 내벽면 전체를 석분과 젤라틴 첨가제 및 천연 안료, 이온수와 유화제를 포함한 친환경 성분의 천연 기능성 접착제(20)를 이용하여 황토석 분말(10)로 도포시키게 되어 상기 천연 기능성 접착제(20)는 물론 황토석 분말(10)에 의해 상기 유골안치부(110)의 내부가 항상 습기가 없는 깨끗하게 유지됨에 따라 유골(R)의 부패를 방지하여 제품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유족들에게 신뢰감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용기(100)를 덮게 되는 제1뚜껑(200)과 상기 제1용기(100)가 수납된 상태에서 제2용기(300)를 덮게 되는 제2뚜껑(400)을 황토석으로 제조하고 상기 제1뚜껑(200)과 제2뚜껑(400) 내측면에 천연 기능성 접착제(20)로 황토석 분말(10)을 부착시키게 됨으로써 유골(R)의 부패 방지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황토석 분말
20 : 천연 기능성 접착제
100 : 제1용기
110 : 유골안치부
120 : 안착편
130 : 한지
200 : 제1뚜껑
210 : 손잡이
300 : 제2용기
310 : 수납부
400 : 제2뚜껑

Claims (8)

  1. 황토석으로 제조되며 유골이 안치될 수 있도록 유골안치부가 형성된 제1용기;
    상기 제1용기의 상부에 안착되어 유골안치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뚜껑;
    상기 제1용기의 외부에 황토석으로 제조되며 제1용기가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부가 형성된 제2용기; 및
    상기 제2용기의 상부에 안착되어 수납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뚜껑;
    을 포함하는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의 유골안치부에 안치되는 유골은 한지로 덮여져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의 내벽면 전체에는 습기 발생을 방지하여 유골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황토석 분말이 천연 기능성 접착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기능성 접착제는 친환경 소재인 석분과 젤라틴 첨가제 및 천연 안료, 이온수와 유화제를 첨가하여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용기의 상부면에는 제1뚜껑이 안정적으로 안착되고 유골안치부를 견고하게 밀폐시켜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안착편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뚜껑과 제2뚜껑은 유골안치부와 수납부에 습기가 발생되지 않도록 황토석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뚜껑의 내측면에는 습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황토석 분말이 천연 기능성 접착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
  8.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뚜껑의 내측면에는 습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황토석 분말이 천연 기능성 접착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
KR1020160054891A 2016-05-03 2016-05-03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 KR201701249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891A KR20170124902A (ko) 2016-05-03 2016-05-03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891A KR20170124902A (ko) 2016-05-03 2016-05-03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902A true KR20170124902A (ko) 2017-11-13

Family

ID=60386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891A KR20170124902A (ko) 2016-05-03 2016-05-03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49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986A (ko) * 2018-11-14 2020-05-22 (주)건우 봉안함 안치단 라이너
KR20230075937A (ko) * 2021-11-23 2023-05-31 이성주 2중 유골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986A (ko) * 2018-11-14 2020-05-22 (주)건우 봉안함 안치단 라이너
KR20230075937A (ko) * 2021-11-23 2023-05-31 이성주 2중 유골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5733B2 (en) Urn and planter combination
KR20170111259A (ko) 흉상이 구비된 유골함 구조
KR20170124902A (ko) 이중 구조의 황토석 납골함
KR101255949B1 (ko) 유골부패방지용 진공 구조 납골함
KR101825556B1 (ko) 참숯과 한지를 이용한 봉안함과 그 제조방법
KR20120051289A (ko) 봉안함
CN104761196A (zh) 一种墓穴防护材料
KR101844504B1 (ko) 납골함
KR200404241Y1 (ko) 유골함
KR200418291Y1 (ko) 납골함
KR20180031192A (ko) 순환식 평장묘
CN202236133U (zh) 一种干燥型骨灰盒
KR200337594Y1 (ko) 납골함
KR200240508Y1 (ko) 황토 유골함
KR100800265B1 (ko) 납골함
KR200380182Y1 (ko) 단지형 유골함
KR20060090371A (ko) 기능성 납골단지
KR100946254B1 (ko) 항균, 항습 봉안함
KR20110018973A (ko) 유골함
KR100558831B1 (ko) 광물질 석분을 이용한 납골함
KR20240003452A (ko) 기능성 유골함
KR20100078708A (ko) 항아리형 수족관
KR200413154Y1 (ko) 납골단지
TWM628967U (zh) 防潮骨灰罐
JP3206351U (ja) 墓の花瓶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