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503A - 정원 내에 휴식공간을 가지는 가족묘 - Google Patents

정원 내에 휴식공간을 가지는 가족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503A
KR20160118503A KR1020150046717A KR20150046717A KR20160118503A KR 20160118503 A KR20160118503 A KR 20160118503A KR 1020150046717 A KR1020150046717 A KR 1020150046717A KR 20150046717 A KR20150046717 A KR 20150046717A KR 20160118503 A KR20160118503 A KR 20160118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n
white clay
clay
garden
as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철
Original Assignee
박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철 filed Critical 박용철
Priority to KR1020150046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8503A/ko
Publication of KR20160118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5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1Accessories for grave sites, e.g. liners, covers, vault low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족정원 내에 휴식공간을 가지는 묘역 조성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장묘지역의 내부에 유골함을 봉안하기 위한 봉안실을 마련하고, 이 봉안실에 외부로부터 물이나 기타 벌레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보호대를 설치하고, 이 방수보호대 안쪽에는 상부가 개구된 백토봉안함을 안치하며. 이 백토봉안함 내에 유골함을 넣고, 그 주위에 일정한 굵기를 가지는 백토알갱이를 채워넣음으로서, 내외부에서 발생하는 습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백토봉인함 상에 고인의 이름 또는 싯귀 등이 새겨진 평석을 덮도록 하여 납골함이 아닌 공원과 같은 분위기를 나타낼 수 있어서, 가족들이 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가족의 휴식공간 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한 가족정원 내에 휴식공간을 가지는 묘로, 장묘지역의 내부에 유골함을 봉안하기 위해 마련되는 봉안실(10)과, 상기 봉안실(10) 내에 외부로부터 물이나 기타 벌레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방수보호대(20)와, 상기 방수보호대(20) 안쪽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구된 백토봉안함(30)과, 상기 안치된 백토봉안함(30) 내에는 안치되는 유골함(40)과, 상기 유골함(40) 주위에 일정한 굵기를 가지는 백토알갱이(50)가 채워지며, 상기 백토봉인함(30) 상부에는 고인의 이름 또는 싯귀 등이 새겨진 평석(60)을 덮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정원 내에 휴식공간을 가지는 가족묘{Temple has a seating area in the family garden}
본 발명은 가족정원 내에 휴식공간을 가지는 묘역 조성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장묘지역의 내부에 유골함을 봉안하기 위한 봉안실을 마련하고, 이 봉안실에 외부로부터 물이나 기타 벌레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보호대를 설치하고, 이 방수보호대 안쪽에는 상부가 개구된 백토봉안함을 안치하며. 이 백토봉안함 내에 유골함을 넣고, 그 주위에 일정한 굵기를 가지는 백토알갱이를 채워넣음으로서, 내외부에서 발생하는 습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상기 백토봉인함 상에 고인의 이름 또는 싯귀 등이 새겨진 평석을 덮도록 하여 납골함이 아닌 공원과 같은 분위기를 나타낼 수 있어서, 가족들이 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가족의 휴식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한 가족정원 내에 휴식공간을 가지는 묘에 관한 것이다.
현대는 산아제한으로 후손이 적거나 후손이 끊어지는 집안이 많을 뿐만 아니라, 인구의 도시집중화로 대개 지방 소도시의 본적지에 산재하여 있는 조상의 묘역을 후손이 일일이 관리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기성세대들은 자신이 사망하기 전에 자손이 조상의 묘역을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산재한 묘역을 한 곳에 유치하거나, 가급적 자손이 사는 동네 인근에 장지를 조성하고 싶어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그렇다 하더라도 동네 인근에 장지를 조성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도 하지만, 특히 젊은 세대는 대체적으로 묘역참배를 꺼려왔던 관계로 자연히 조상묘역관리 및 참배의식이 희박해져, 이로 인해 현재는 묘지를 조성하기 보다는 화장문화를 선호하는 풍조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화장으로 인해 묘지를 조성하지 못하는 아쉬움을 달래기 위해 화장한 유골을 유골함에 넣어 납골당에 안치하고 있으며, 이렇게 유골을 안치하고 있는 종래 납골 안치단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통의 건물로 구성된 납골당(20) 내에 일체형으로 된 직사각형의 커다란 틀을 가로와 세로로 일정하게 칸막이로 구획하여 양쪽에서 유골함을 보관하는 동일한 크기의 안치단 함(21)을 앞뒤 상하좌우로 칸칸이 설치하여 조립하고, 이렇게 조립된 납골 안치단을 벽면에 붙이거나 공간 내에서 일렬로 일정하게 배열하는 형태로 배치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식의 납골 안치단의 배치구조는 납골당에 1구씩의 납골을 안치하고 관리하기 때문에 조상의 납골과 이 조상의 후손인 생자가 사후에 안거할 납골이 한 가족 단위로 한 곳에서 관리되기 어려우며, 더욱이 묘지로써 조성된 가족공동묘역이나 공동납골묘역 및 공동납골당 등의 종래 납골당은 녹지 보전의 기여도가 적을 뿐 아니라, 유골의 영구보존 관리가 어렵고, 특히 종래 납골당 같은 경우에는 혐오시설군으로 분류되어 생활권 인근지역의 유치가 거의 불가능한 실정에 있다.
또, 납골당 내에서 납골 안치단을 단순하게 일렬로 배치하는 경우, 입구에서 먼 곳의 납골 안치단은 입구쪽의 납골 안치단에 가려 있어 아무래도 음침하고 스산한 분위기를 내기 때문에, 비록 고인이라 할지라도 편안하게 안치되지 못한 것 같다는 인상을 주고, 납골당을 방문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도 그다지 기분 좋게 방문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어떤 납골당은 여러 개의 탑을 세워 유골이 안치된 납골 안치단을 상기 탑 내부에 설치하기도 하나, 이러한 방법은 납골당의 면적이 불가피하게 커질 뿐 아니라, 납골당의 면적에 비해 많은 수의 유골을 안치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참배객들이 탑에 가려 서로 보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납골당은 납골관리와 참배장소가 분리되어 있어서, 참배를 할 때마다 납골을 옮기는 불편함이 있고, 옮기는 중에 납골을 회손할 우려가 있으며, 여러 가족이 동시에 몰리면 납골이 바뀔 수도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참배절차가 번거로울 수가 있어 혼자서나 수시 참배가 어려울 뿐 아니라, 납골보관에만 역점을 두어 바닥면에서 천정까지 설치된 납골 안치단에 서로 다른 조상의 납골이 뒤섞여 있으므로 납골을 모시는 개념이 희박해 진다.
또한, 납골당은 협오 지역이라는 관념이 일반인들에게 고착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회적 통념을 깨고 묘지를 더 이상 사장공간이 아니라, 가족들이 편하게 휴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친근하고 가까운 공간을 조성하기에 이르렀다.
국내 특허공보 제10-0339758호 (2002년05월24일)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999-011438호 (1999년02월18일) 국내 특허공보 제10-0242459호 (1999년11월10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백토봉인함 상에 고인의 이름 또는 싯귀 등이 새겨진 평석을 덮도록 하여 납골함이 아닌 공원과 같은 분위기를 나타낼 수 있어서, 가족들이 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가족의 휴식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장묘지역의 내부에 유골함을 봉안하기 위해 마련되는 봉안실(10)과,
상기 봉안실(10) 내에 외부로부터 물이나 기타 벌레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방수보호대(20)와,
상기 방수보호대(20) 안쪽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구된 백토봉안함(30)과,
상기 안치된 백토봉안함(30) 내에는 안치되는 유골함(40)과,
상기 유골함(40) 주위에 일정한 굵기를 가지는 백토알갱이(50)가 채워지며,
상기 백토봉인함(30) 상부에는 고인의 이름 또는 싯귀 등이 새겨진 평석(60)을 덮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백토봉안함(30)은 지면보다 높게 설치되며, 이 백토봉안함(30)과 평석(60) 사이에는 외부로 통하는 공기통로(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수보호대(20)는 비닐 또는 합성수지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백토봉인함 상에 고인의 이름 또는 싯귀 등이 새겨진 평석을 덮도록 하여 납골함이 아닌 공원과 같은 분위기를 나타낼 수 있어서, 가족들이 관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가족의 휴식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를 적용한 증폭 자가발전기가 설치된 상태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 가족정원 내에 휴식공간을 가지는 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묘지역의 내부에 유골함을 봉안하기 위해 마련되는 봉안실(10)과, 상기 봉안실(10) 내에 외부로부터 물이나 기타 벌레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방수보호대(20)와, 상기 방수보호대(20) 안쪽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구된 백토봉안함(30)과, 상기 안치된 백토봉안함(30) 내에는 안치되는 유골함(40)과, 상기 유골함(40) 주위에 일정한 굵기를 가지는 백토알갱이(50)가 채워지며, 상기 백토봉인함(30) 상부에는 고인의 이름 또는 싯귀 등이 새겨진 평석(60)을 덮도록 하여 가족정원 내에 휴식공간을 가지는 묘를 완성한다.
이하, 가족정원 내에 휴식공간을 가지는 묘는 다음과 같은 수순으로 완성된다.
장묘지역의 내부에 유골함(40)을 봉안하기 위해 지면으로부터 대략 깊이 90-100㎝ 넓이 60X60㎝ 정도로 봉안실(10)을 파낸다.
다음 봉안실(10) 내에 외부로부터 물이나 기타 벌레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보호대(20)를 설치한다.
이때, 방수보호대(20)는 상부가 개구된 비닐 또는 합성수지로 사출한다.
다음 상기 방수보호대(20) 안쪽에는 상부가 개구된 백토봉안함(30)을 설치한다.
상기 백토봉안함(30)은 습도조절이 가능한 백토판을 함으로 만들거나 개별의 판으로 설치하여 바닥판을 깔고 측판을 세워서 함체를 만들 수도 있다.
다음 상기와 같이 안치된 백토봉안함(30) 내에는 고인의 유골함(40)을 넣는다.
다음 상기 유골함(40) 주위에 일정한 굵기를 가지는 백토알갱이(50)를 채워서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습기를 흡수 또는 발수 가능하도록 하였다.
다음 상기 백토봉인함(30) 상부에는 고인의 이름 또는 싯귀 등이 새겨진 평석(60)을 덮도록 하여 가족묘를 완성한다.
이때, 상기 백토봉안함(30)은 지면보다 높게 설치되며, 이 백토봉안함(30)과 평석(60) 사이에는 외부로 통하는 공기통로(31)가 형성하여 항상 쾌적하게 만든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첨부된 도면 및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대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전술한 실시 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들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경, 대안, 균등물들이 전술한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어 있음은 자명하다.
10 : 봉안실 20 : 방수보호대
30 : 백토봉안함 40 : 유골함
50 : 백토알갱이 60 : 평석

Claims (5)

  1. 기존의 봉분이나 비석 또는 납골탑 등을 없애고, 정원 내에 유골함을 봉안하기 위해 마련되는 봉안실과,
    상기 봉안실 내에 외부로부터 물이나 기타 벌레 등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방수보호대와,
    상기 방수보호대 안쪽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구된 백토봉안함과,
    상기 안치된 백토봉안함 내에는 안치되는 유골함과,
    상기 유골함 주위에 일정한 굵기를 가지는 백토알갱이가 채워지며,
    상기 백토봉인함 상부에는 고인의 이름 또는 싯귀 등이 새겨진 평석을 덮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정원 내에 휴식공간을 가지는 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백토봉안함은 지면보다 높게 설치되며, 이 백토봉안함과 평석 사이에는 외부로 통하는 공기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정원 내에 휴식공간을 가지는 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보호대는 비닐 또는 합성수지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정원 내에 휴식공간을 가지는 묘.
  4. 기존의 봉분과 비석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원 내에 휴식공간을 가지는 가족묘.
  5. 원적외선과 음이온이 대량방출하여 유골에서 나오는 냄새를 흡수 및 탈취하고, 습도조절이 우수하여 유골이 썩지않도록 하는 자연석으로 가공한 유골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원 내에 휴식공간을 가지는 가족묘.
KR1020150046717A 2015-04-02 2015-04-02 정원 내에 휴식공간을 가지는 가족묘 KR201601185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717A KR20160118503A (ko) 2015-04-02 2015-04-02 정원 내에 휴식공간을 가지는 가족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717A KR20160118503A (ko) 2015-04-02 2015-04-02 정원 내에 휴식공간을 가지는 가족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503A true KR20160118503A (ko) 2016-10-12

Family

ID=57173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717A KR20160118503A (ko) 2015-04-02 2015-04-02 정원 내에 휴식공간을 가지는 가족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850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110B1 (ko) 2019-07-26 2020-10-07 주식회사 미성 가족묘 기록물 표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2459B1 (ko) 1996-11-27 2000-02-01 한경철 가족 공원묘지의 조성방법
KR20000065312A (ko) 1999-04-01 2000-11-15 안응수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척킹장치
KR100339758B1 (ko) 1999-11-12 2002-06-05 민한식 납골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2459B1 (ko) 1996-11-27 2000-02-01 한경철 가족 공원묘지의 조성방법
KR20000065312A (ko) 1999-04-01 2000-11-15 안응수 디스크플레이어의 디스크 척킹장치
KR100339758B1 (ko) 1999-11-12 2002-06-05 민한식 납골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110B1 (ko) 2019-07-26 2020-10-07 주식회사 미성 가족묘 기록물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40648A1 (en) Burial complex
KR20160118503A (ko) 정원 내에 휴식공간을 가지는 가족묘
JP2009235697A (ja) 合祀墓
KR100761485B1 (ko) 결로 방지구조를 갖는 평장형 봉안묘
KR200433174Y1 (ko) 장식물이 배치된 납골함 안치단의 구조
JP4871998B2 (ja) 通気性を有する二重蓋納骨箱
JP2006254826A (ja) ホタルの飼育キット。
KR200172615Y1 (ko) 매립형 납골묘
KR100643734B1 (ko) 납골함
KR200250729Y1 (ko) 결로방지기능을 갖는 납골시설
KR100337374B1 (ko) 터널식 납골묘
KR100337370B1 (ko) 봉분식 납골묘
KR200173781Y1 (ko) 유골함
KR101798973B1 (ko) 황토판을 이용한 토관의 제조방법 및 그 토관
KR20120103061A (ko) 유골함
KR200392056Y1 (ko) 납골묘
KR200455892Y1 (ko) 가계용 지하 수직 다층 봉안시설
KR20170026111A (ko) 반딧불이 공동 사육 시스템
CN101919376A (zh) 光诱除蚊装置
KR200329524Y1 (ko) 납골묘
KR20120138867A (ko) 친환경 평토 자연장지의 유골함 봉안실
KR20100006453U (ko) 납골묘
KR100837761B1 (ko) 부패방지를 위한 유골함
KR200278391Y1 (ko) 납골묘
KR100306307B1 (ko) 납골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