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9758B1 - 납골당 - Google Patents
납골당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39758B1 KR100339758B1 KR1019990050114A KR19990050114A KR100339758B1 KR 100339758 B1 KR100339758 B1 KR 100339758B1 KR 1019990050114 A KR1019990050114 A KR 1019990050114A KR 19990050114 A KR19990050114 A KR 19990050114A KR 100339758 B1 KR100339758 B1 KR 1003397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ssuary
- settlement
- wall
- rows
- stabiliza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골당 및 이 납골당에 설치되어 유골을 보관하고 관리하는 납골 안치단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적은 공간에 많은 수의 납골 안치단(8,10)을 배치하기 위해 4층의 탑 형상으로 납골당(2)을 구성하고, 이 납골당의 내부에 참배도구와 함께 이루어진 납골 안치단(8,10)을 1열 또는 2열로 조합하여 배열한 납골 안치단 조립체(9)를 각층의 중심에 축조된 통로부(7)로 향하도록 배치하여 납골 안치와 참배를 동시에 함으로써, 별도의 참배실이 필요없을 뿐 아니라 납골당(2) 내부의 어느 참배위치에 있더라도 중앙의 통로부(7)에 부착된 조형물(5)을 볼 수 있고, 중앙통로와의 거리가 5m를 초과하지 않으므로 종래 납골당에서 느낄 수 있는 음침하고 스산한 분위기를 느낄 수 없게 되어 있는 납골당 및 납골안치단의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납골당 및 이 납골당에 설치되어 유골을 보관하고 관리하는 납골 안치단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적은 공간에 많은 수의 납골 안치단을 배치하기 위해 4층의 탑 형상으로 납골당을 구성하고, 이 납골당의 내부에 납골 안치단을 각층의 중심으로 향하도록 배열한 납골당 및 납골 안치단의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대는 산아제한으로 후손이 적거나 후손이 끊어지는 집안이 많을 뿐만 아니라, 인구의 도시집중화로 대개 지방 소도시의 본적지에 산재하여 있는 조상의 묘역을 후손이 일일이 관리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기성세대들은 자신이 사망하기 전에 자손이 조상의 묘역을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산재한 묘역을 한 곳에 유치하거나, 가급적 자손이 사는 동네 인근에 장지를 조성하고 싶어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그렇다 하더라도 동네 인근에 장지를 조성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도 하지만, 특히 젊은 세대는 대체적으로 묘역참배를 꺼려왔던 관계로 자연히 조상묘역관리 및 참배의식이 희박해져, 이로 인해 현재는 묘지를 조성하기 보다는 화장문화를 선호하는 풍조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화장으로 인해 묘지를 조성하지 못하는 아쉬움을 달래기 위해 화장한 유골을 유골함에 넣어 납골당에 안치하고 있으며, 이렇게 유골을 안치하고 있는 종래 납골 안치단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통의 건물로 구성된 납골당(20) 내에 일체형으로 된 직사각형의 커다란 틀을 가로와 세로로 일정하게 칸막이로 구획하여 양쪽에서 유골함을 보관하는 동일한 크기의 안치단 함(21)을 앞뒤 상하좌우로 칸칸이 설치하여 조립하고, 이렇게 조립된 납골 안치단을 벽면에 붙이거나 공간 내에서 일렬로 일정하게 배열하는 형태로 배치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식의 납골 안치단의 배치구조는 납골당에 1구씩의 납골을 안치하고 관리하기 때문에 조상의 납골과 이 조상의 후손인 생자가 사후에 안거할 납골이 한 가족 단위로 한 곳에서 관리되기 어려우며, 더욱이 묘지로써 조성된 가족공동묘역이나 공동납골묘역 및 공동납골당 등의 종래 납골당은 녹지 보전의 기여도가 적을 뿐 아니라, 유골의 영구보존 관리가 어렵고, 특히 종래 납골당 같은 경우에는 혐오시설군으로 분류되어 생활권 인근지역의 유치가 거의 불가능한 실정에 있다.
또, 납골당 내에서 납골 안치단을 단순하게 일렬로 배치하는 경우, 입구에서 먼 곳의 납골 안치단은 입구쪽의 납골 안치단에 가려 있어 아무래도 음침하고 스산한 분위기를 내기 때문에, 비록 고인이라 할지라도 편안하게 안치되지 못한 것 같다는 인상을 주고, 납골당을 방문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도 그다지 기분 좋게 방문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어떤 납골당은 여러 개의 탑을 세워 유골이안치된 납골 안치단을 상기 탑 내부에 설치하기도 하나, 이러한 방법은 납골당의 면적이 불가피하게 커질 뿐 아니라, 납골당의 면적에 비해 많은 수의 유골을 안치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참배객들이 탑에 가려 서로 보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납골당은 납골관리와 참배장소가 분리되어 있어서, 참배를 할 때마다 납골을 옮기는 불편함이 있고, 옮기는 중에 납골을 회손할 우려가 있으며, 여러 가족이 동시에 몰리면 납골이 바뀔 수도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참배절차가 번거로울 수가 있어 혼자서나 수시 참배가 어려울 뿐 아니라, 납골보관에만 역점을 두어 바닥면에서 천정까지 설치된 납골 안치단에 서로 다른 조상의 납골이 뒤섞여 있으므로 납골을 모시는 개념이 희박해 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납골당 및 납골 안치단 배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적은 면적 내에 많은 수의 유골을 안치할 수 있도록 내부가 다층으로 이루어진 탑 형상의 건물을 다층으로 축조하여 납골당을 구성하고, 이 탑 형상의 건물 내부의 각 층마다 납골 안치단을 안치하되, 납골 안치단이 어느 곳에 있던지 편안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게 방향을 중앙으로 향하도록 상기 납골 안치단을 배치하며, 조상은 물론 4∼6대(代) 후손의 유골도 함께 안치함과 동시에 참배도 할 수 있도록 납골 안치단을 구성하여, 납골보관과 참배를 동시에 하면서 가족 단위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납골당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납골 안치단의 배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당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
도 4는 납골당 내부 통로부의 정면도,
도 5a는 납골당 1층의 평면도,
도 5b는 납골당 2층과 3층의 평면도,
도 5c는 납골당 4층의 평면도,
도 6은 납골 안치단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7은 납골 안치단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면 부호의 설명)
1...정문, 2...납골당,
3...불상, 4...연꽃,
5...조형물, 6,6'...통로,
7...통로부, 8,10...납골 안치단,
9...납골 안치단 조립체, 11,11'...문,
12...안치함, 13...서랍,
14...제상, 15...가족납골 안치단,
16...내부문, 17...공동 안치단,
18...납골용기.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탑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정면에 통로인 정문을 개설한 본 건물(납골당 건물)을 기본으로 하여, 납골당 내부의 중앙에는 상기 납골당의 내벽과 마주보면서 위로 축조되는 통로부를 형성하고, 내부 벽 둘레에 납골 안치단을 배열함과 동시에 이 벽 둘레에서 상기 통로부를 향해 뻗어 있는 형상으로 납골 안치단을 조합하여 구성한 납골 안치단 조립체를 배열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어느 곳에 있는 납골 안치단에서도 밝은 분위기를 유지함과 동시에 적은 면적에 많은 수의 유골을 안치할 수 있도록 납골당을 구성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납골당 및 납골 안치단의 배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납골당의 정면도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쪽에 정문(1)을 개설한 건물 상에 위로 올라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보면 탑 형상으로 이루어진 납골당(2)은, 철 구조물로 축조되어 외장은 유리강화콘크리트(G.R.C:Glass Fiber Concrete), 내장은 석고 유리강화콘크리트(G.G.R.C:Gyps Glass Fiber Concrete)를 덧붙이기 하여, 그 사이에 경량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방한, 방습, 방화는 물론 그 견고성이 뛰어나며, 벽면을 부분 교체할 수 있어 납골을 영구히 보존 관리할 수 있는 건축물이다.
여기서, 납골당 정문 쪽 외벽의 해당부위와 꼭대기에는 인조석으로 불교를 상징하는 불상(3)과 연꽃(4) 등, 종교를 달리하는 경우에는 예수상이나 성모마리아상과 십자가 등의 종교를 상징하는 조형물(5)을 조각하여 부착함으로써 외관을 미려하게 조성할 수 있고, 또 주위 산세와 조경 그리고 도시 건출물과의 조화에 거부감을 없애 납골당 전체가 일반 조형물과 같이 할 수 있게 한다.
도 3은 상기 납골당의 종단면도, 도 4는 납골당 내부의 통로부 정면도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납골당 내부는 4개층으로 구성되어 중심에는 4개의 측벽으로 이루어져 측벽마다 중간에는 부처님상, 또는 종교를 달리하는 경우 예수상이나 성모마리아상 등과 같은 종교적인 문양의 조형물(5')을 조각하여 부착하고, 이 조형물의 양쪽으로 두 곳의 통로(6,6')를 개설하며, 상기 측벽의 내부에는 층을 오르내리는 계단을 설치한 통로부(7)가 있다.
도 5a는 납골 안치단을 배치한 납골당 내부 1층의 평면도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쪽에 정문(1)이 있고 중앙에는 통로부(7)가 축조된 상태에서, 여러 개의 납골 안치단(8)을 1열 또는 2열로 조합하여 배열된 납골 안치단 조립체(9)가 서로 적당한 간격(2m 이상)을 두고 각각의 벽면에서 안쪽으로 향하여 뻗어 있으며, 상기 납골 안치단 조립체 사이의 벽면에도 개별적으로 납골 안치단(10,10')을 배치한다.
여기서, 납골 안치단(8)이 배치된 모든 위치에서 중앙의 통로부(7)의 측벽에 부착한 종교적인 조형물(5')이 잘 보일 수 있도록 납골 안치단 조립체(9)을 적절하게 배열하되, 코너의 양쪽에 각각 2열로 배치한 납골 안치단 조립체(9a,9b)에서 중심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열 중 코너 바깥의 열에만 납골 안치단(8')을 설치함으로써, 코너의 벽면 부근에 배치한 납골 안치단(10')에서 중앙 통로부(7)의 측벽에 부착한 조형물(5')이 보이지 않는 것을 방지한다.
도 5b 및 도 5c는 납골 안치단을 배치한 납골당 내부 2층과 3층 및 4층의 평면도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이 원으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납골 안치단(8)을 조합하여 배열한 납골 안치단 조립체(9)의 배치와 통로부(7)의 구성이 1층과 다를 바 없으나, 원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중심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납골 안치단(8)도 다른 모든 납골 안치단과 같이 2열로 배치하여도 무방하며, 안정성을 위하여 4층은 2층과 3층보다는 조금 적은 원으로 구성한 상태에서 2개의 납골 안치단(8)을 조합하여 배열한 납골 안치단 조립체(9)를 배치한다.
도 6은 납골 안치단의 정면도 및 측면도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 및 하단의 전면에는 열고 닫을 수 있는 문(11,11')을 설치하되, 상단의 안쪽에는 다수개의 납골용기(18)를 안치할 수 있도록 칸칸마다 안치함(12)이 구획되어 있고, 하단의 안쪽에는 개인참배용구를 보관할 수 있도록 2단으로 서랍(13)을 만들며, 상단과 하단 사이에는 수납이 가능한 제상(14)을 설치하여 편리성을 높인 납골 안치단을 1세트로 하여 가족납골 안치단(15)을 구성한다.
도 7은 상기 납골 안치단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써,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인 형상은 가족납골 안치함과 동일하나, 안치함(12) 1칸에 2구씩 안치하고 각 칸마다 내부문(16)을 설치하며, 20구씩 가족납골 안치함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납골 안치단을 1세트로 하여 공동 안치단(17)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단의 안치함(12)에 안치할 납골용기(18)는 육면체 도자기를 사용함으로써 전면에 사진 또는 비문 등을 전사할 수 있으므로 조상의 얼을 기릴 수 있으며, 매 안치함(12)마다 별도의 견고한 시건장치를 하여 납골의 훼손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과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납골당 및 납골 안치단의 배치구조에 의하면,
지상면적 120평에 18,000구를 안치할 수 있어 묘역조성 할 때 소요되는 최소 10만평의 녹지를 보전할 수 있어 국토의 녹지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도시 생활권 내에 납골을 유치함으로써 납골을 기피하는 국민의식을 바꾸는데 보다 좋은 실예를 충분히 낳을 수 있기 때문에, 그 기여도가 매우 큰 납골문화 정착의 모델이 되며, 개인납골 유치를 지양하고 기존 묘역의 조상납골은 물론 4∼6대 이상의 후손도 한 곳에 안치될 수 있도록 가족납골안치단 분양을 원칙으로 하고, 규격화한 납골용기를 사용하면 20구의 납골이 안치되나 용기를 소형화하면 보다 많은 납골을 안치할 수 있다.
또한, 생활권 내에 조상의 납골이 한 곳에 관리됨으로써 노약자는 물론 어린 자녀들도 쉽게 수시 참배가 용이하여 효사상 고취에 기여할 수 있으며, 납골유치 가능 구수는 18,000구 이상이나 가족납골안치단은 900기이기 때문에 900세대가 한꺼번에 움직이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버스정류장과 내부순환로와 접하게 납골당이 조성되면 교통혼잡을 야기하지 않게 된다.
또, 탑이 환풍구가 되어 공기순환이 빠르고 내벽인 석고 유리강화콘크리트(G.G.R.C:Gyps Glass Fiber Concrete)는 습도를 조절하며, 벽 속의 경량 콘크리트는 방한, 방음이 되기 때문에 조경을 곁들이면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납골당 내부에서 어느 참배위치에 있더라도 중앙의 대상물을 볼 수 있고, 중앙통로와의 거리가 5m를 초과하지 않으므로 종래 납골당에서 느낄 수 있는 음침하고 스산한 분위기를 느낄 수 없게 되어 있다.
더욱이, 납골 안치단 앞에서 수명의 가족이 함께 참배할 수 있도록 통로의 폭을 2m 이상으로 하였으며, 납골 안치단에서 참배함을 원칙으로 하였으므로 별도의 참배실이 필요없어 혼자서나 수시로 참배가 가능하다.
Claims (3)
- 화장한 유골을 안치하는 납골당에 있어서,납골당(2)은 철 구조물로 축조하여 한 쪽 건물은 위로 올라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보면 탑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정문(1) 쪽 외벽 및 꼭대기에 인조석으로 종교를 상징하는 조형물(5)을 조각하여 부착 설치하고;여러 층으로 구성된 납골당(2) 내부의 중심에 설치한 통로부(7)는 4개의 측벽으로 이루어져 측벽마다 중간에는 종교적인 문양의 조형물(5')을 조각하여 부착하고, 이 조형물의 양쪽으로 두 곳의 통로(6,6')를 개설하되, 상기 측벽의 내부에는 층을 오르내리는 계단을 설치하며;정문(1)이 있고 중앙에는 통로부(7)가 축조된 상태에서, 1층에는 여러 개의 납골 안치단(8)을 1열 또는 2열로 조합하여 배열된 납골 안치단 조립체(9)가 서로 2m 이상의 간격을 두고 각각의 벽면에서 안쪽으로 향하여 뻗어 있으며, 상기 납골 안치단 조립체 사이의 벽면에도 개별적으로 납골 안치단(10,10')을 배치하되, 코너의 양쪽에 각각 2열로 배치한 납골 안치단 조립체(9a,9b)에서 중심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열 중 코너 바깥의 열에만 납골 안치단(8')을 설치하고;납골당(2) 내부의 상부층은 평면이 원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납골 안치단(8)을 조합하여 배열한 납골 안치단 조립체(9)의 배치와 통로부(7)의 구성을 바닥층과 동일하게 하고, 중심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납골 안치단(8)은 다른 모든 납골안치단과 같이 2열로 배치하며, 맨위층은 아래층보다 조금 적은 원으로구성한 상태에서 2개의 납골 안치단(8)을 조합하여 배열한 납골 안치단 조립체(9)를 배치하며;각각의 납골 안치단(8)은 상단 및 하단의 전면에 열고 닫을 수 있는 문(11,11')을 설치하되, 상단의 안쪽에는 다수개의 납골용기(18)를 안치할 수 있도록 칸칸이 안치함(12)으로 구획되어 있고, 하단의 안쪽에는 개인참배용구를 보관할 수 있도록 2단으로 서랍(13)을 만들며, 상단과 하단 사이에는 수납이 가능한 제상(14)을 설치한 납골 안치단을 1세트로 하여 가족납골 안치단(15)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
- 제 1항에 있어서,납골당(2)의 정문(1) 쪽 외벽의 해당부위와 꼭대기 및 통로부(7)의 외벽에 설치되는 조형물(5,5')은 불교를 상징하는 불상(3)과 연꽃(4), 또는 종교를 달리하는 경우에는 예수상이나 성모마리아상 및 십자가 등의 상징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상기 안치함(12)은 1칸에 2구씩 안치하고, 각 칸마다 내부문(16)을 설치하며, 20구씩 가족납골 안치함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납골 안치단을 1세트로 한 공동 안치단(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당.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50114A KR100339758B1 (ko) | 1999-11-12 | 1999-11-12 | 납골당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50114A KR100339758B1 (ko) | 1999-11-12 | 1999-11-12 | 납골당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46372A KR20010046372A (ko) | 2001-06-15 |
KR100339758B1 true KR100339758B1 (ko) | 2002-06-05 |
Family
ID=19619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50114A KR100339758B1 (ko) | 1999-11-12 | 1999-11-12 | 납골당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3975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18503A (ko) | 2015-04-02 | 2016-10-12 | 박용철 | 정원 내에 휴식공간을 가지는 가족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562148B (zh) * | 2022-03-09 | 2023-04-25 | 江西金辰科技有限公司 | 一种方便取放的骨灰盒存放架 |
-
1999
- 1999-11-12 KR KR1019990050114A patent/KR10033975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118503A (ko) | 2015-04-02 | 2016-10-12 | 박용철 | 정원 내에 휴식공간을 가지는 가족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46372A (ko) | 2001-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4203932A1 (ja) | 多層階構造の霊苑 | |
Hariyono | Vertical cemetery | |
JP2009235697A (ja) | 合祀墓 | |
KR100339758B1 (ko) | 납골당 | |
US4780994A (en) | Honeycomb type of structure for interment of human remains | |
CN205476803U (zh) | 一种绿色生态地下陵园 | |
JP2001173272A (ja) | 簡易墓石 | |
CN206267620U (zh) | 立体式公墓 | |
KR200186936Y1 (ko) | 다층 납골묘 | |
JP2000129959A (ja) | 墓 | |
JP2001152697A (ja) | 永代供養墓兼用永代供養納骨設備 | |
KR200246500Y1 (ko) | 납골묘 | |
JPH0442441Y2 (ko) | ||
JP5382842B2 (ja) | カロートおよびカロートを備えた墓 | |
Kacmar | Ritual Spaces | |
US6272723B1 (en) | Bier system | |
Petersson | A proper place of death? | |
CN210264133U (zh) | 地下公墓 | |
KR100261763B1 (ko) | 납골묘 | |
Nešporová | Burial Sites | |
JPH0318590Y2 (ko) | ||
JPH085254Y2 (ja) | 立体墓地 | |
JPH0372179A (ja) | 地下式霊園 | |
JP3008650U (ja) | ユニット化された墓 | |
JPH1181744A (ja) | 集合墓所構造及び納骨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