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0189A - 밀폐구조를 가지는 유골함 - Google Patents

밀폐구조를 가지는 유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0189A
KR20190050189A KR1020170145482A KR20170145482A KR20190050189A KR 20190050189 A KR20190050189 A KR 20190050189A KR 1020170145482 A KR1020170145482 A KR 1020170145482A KR 20170145482 A KR20170145482 A KR 20170145482A KR 20190050189 A KR20190050189 A KR 20190050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ealing
sealing member
packing
as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은
Original Assignee
이병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은 filed Critical 이병은
Priority to KR1020170145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0189A/ko
Publication of KR20190050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1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in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구조를 가지는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와 덮개로 이루어진 유골함에 발생하는 유격에 의해 공기, 습기 및 해충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관된 유골의 보존상태 향상시키며, 임의로 개방할 수 없도록 이루어져 있는 밀폐구조를 가지는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밀폐구조를 가지는 유골함{EYELET WITH A SEALED STRUCTURE}
본 발명은 밀폐구조를 가지는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와 덮개로 이루어진 유골함에 발생하는 유격에 의해 공기, 습기 및 해충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관된 유골의 보존상태 향상시키며, 임의로 개방할 수 없도록 이루어져 있는 밀폐구조를 가지는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유교사상에 따른 관습으로 장묘문화가 발전해 왔으며, 이러한 장묘문화는 선조의 시신을 온전한 상태로 보관하여 풍수지리에 따른 명당자리를 찾아 분묘와 묘비를 최대한 근사하게 하는 것이 고인이 되신 선조에 대한 예의를 다하는 것이고, 그렇게 함으로써 자손들이 복을 받아 번창한다고 믿어 왔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국토면적에 비례하여 인구밀도가 높아 국토를 효율적으로 활용한다는 면에서 분묘형의 장묘문화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도출시키고 있다.
따라서, 최근의 장묘문화는 분묘형의 장묘문화에서 점차 화장형의 장묘문화로 변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화장형의 장묘문화는 고인의 시신을 화장한 후 그 유골을 분말화하여 유골함에 담아 납골당에 안치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납골당은 수많은 유골함을 보관할 수 있도록 건설되는 건축물로서 주변환경을 공원화하여 도시 근교에 건설되어 있어 적은 비용으로 고인의 유골을 보관할 수 있으며, 고인의 유족들이나 그 주변사람들은 고인의 기일 또는 한식이나 추석 때와 같이 조상에 예를 지내는 시기에 쉽게 찾아가 예를 다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유골함은 내부에 담긴 유골을 장기간 보존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자기개, 옥 등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나, 유골을 담을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덮개가 결합되는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의 선행문헌에 제시된 바와 같이 외부환경이 변환에 의해 유골이 부패것을 방지하도록 밀폐구조가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덮개의 개폐시 내부의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밀폐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덮개를 개폐한 후 별도의 밀봉장치를 조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사용이 불편하며,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장기간 보관된 상태에서 항시 확인을 할 수 없으며, 납골당에 의해 관리가 이루어져, 임의로 덮개를 개폐되거나, 유골의 분실 및 훼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63682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골함의 내부로 공기, 습기 및 유충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관된 유골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밀폐구조를 가지는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밀폐덮개의 결합과 동시에 내부공기를 일정량 배출되는 압력에 의해 이동되어 결합부분에 의해 발생하는 유격을 밀폐할 수 있는 밀폐구조를 가지는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골함의 밀폐와 동시에 임의적으로 개방이 불가능하도록 이루어진 밀폐구조를 가지는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유골이 담기는 수용부가 형성됨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측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돌출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유골함의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부로 이루어진 밀폐덮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밀폐덮개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서서히 좁아지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내부 공기의 유출에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밀폐시키는 밀폐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폐부재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밀폐부재가 상부로 이동시 상기 관통공과 밀착되는 제1패킹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부의 측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2패킹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부의 측면에는 상기 관통공을 지나도록 수직으로 관통된 하나 이상의 수평공과, 상시 수평공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밀폐부재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제2패킹을 압박하여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밀착시키는 압박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공의 상단 내측면의 둘레를 따라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밀폐덮개의 상부에서 삽입되어 상기 밀폐부재를 하부로 이동시킨 후 상기 고정홈에 체결되는 개방부재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구조를 가지는 유골함에 따르면, 유골이 담긴 몸체의 상부에 결합된 밀폐덮개를 통해 내부로 공기, 습기 및 유충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관된 유골를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덮개의 결합시, 제1패킹 및 제2패킹에 의해 결합부분에서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덮개의 결합시 내부 공기의 배출에 의해 밀폐부재가 상승하여 내부 기압을 적정량 유지할 수 있으며, 밀폐부재의 이동에 의해 압박부재에 의해 밀폐덮개가 임의나 억지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골의 훼손 및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 내의 공기의 배출되는 압력에 의해 밀폐부재 및 압박부재가 이동되어 손쉽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구조를 가지는 유골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부재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밀폐구조를 가지는 유골함의 구성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밀폐구조를 가지는 유골함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해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A-A'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부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부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밀폐구조를 가지는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와 덮개로 이루어진 유골함에 발생하는 유격에 의해 공기, 습기 및 해충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관된 유골의 보존상태 향상시키며, 임의로 개방할 수 없도록 이루어져 있는 밀폐구조를 가지는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유골함은 내부를 밀폐시키며 임의로 개방되지 않도록 몸체(10)와 밀폐덮개(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유골이 담기는 수용부(11)가 형성된다.
상기 밀폐덮개(20)는 상기 몸체(10)의 상부측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돌출된 삽입부(21)와, 상기 삽입부(21)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부(2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몸체(10) 및 밀폐덮개(20)의 외부에는 유골함에 따라 다양한 문양 및 형상 등이 구비되며, 내부의 수용부(11)에 유골을 보관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통상적인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몸체(10)에 상기 밀폐덮개(20)가 결합되어 내부에 담긴 유골을 보관할 수 있는 유골함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밀폐덮개(20)의 중앙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서서히 좁아지는 관통공(23) 형성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3)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내부 공기의 유출에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밀폐시키는 밀폐부재(30)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23)은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서서히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부재(30)는 상기 관통공(23)과 동일한 외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폐덮개(2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23)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이 이루어져, 상부로 이동시 상기 관통공(23)에 밀착되어 공기 및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하부로 이동시 이격되어 공기 및 수분이 배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관통공(23)의 하부에는 걸림턱 등의 간편한 구성을 통해 상기 밀폐부재(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폐부재(30)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밀폐부재(30)가 상부로 이동시 상기 관통공(23)과 밀착되는 제1패킹(31)이 설치된다.
즉, 상기 밀폐부재(30)가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관통공(23)에 밀착시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21)의 측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삽입홈(21a)과, 상기 삽입홈(21a)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2패킹(24)이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제2패킹(24)은 상기 몸체(10)의 내측면과 상기 밀폐덮개(20)의 삽입부의 외측면에 위치하여 결합부분 사이에서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밀폐부재(30)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밀폐덮개를 상기 몸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21)의 측면에는 상기 관통공(23)을 지나도록 수직으로 관통된 하나의 상의 수평공(21b)과, 상시 수평공(21b)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밀폐부재(30)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제2패킹(24)를 압착하는 압박부재(40)가 더 포함된다.
즉, 상기 수평공(21b)은 상기 관통공(23)을 지나도록 상기 삽입부(21)의 양측면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23)을 기준으로 양측에 위치한 상기 수평공(21b)에 각각 상기 압박부재(40)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압박부재(40)는 상기 밀폐부재(30)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수평공(21b)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되, 상기 밀폐부재(30)가 하부로 이동시 상기 압박부재(40)는 상기 수평공(21b)의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밀폐부재(30)가 상부로 이동시 상기 밀폐부재(30)에 의해 상기 압박부재(40)가 상기 수평공(21b)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이를 통해 밀폐부재(30)가 상승하여 내부를 밀폐시키면 상기 압박부재(40)가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몸체(10)의 내부면을 강하게 압박시킨 상태로 밀착되어 상기 밀폐덮개(20)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몸체와 상기 밀폐덮개(20)의 결합부분을 밀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폐부재(30)를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개방시킬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관통공(23)의 내측면의 둘레를 따라 고정홈(23a)이 형성되며, 상기 밀폐덮개(20)의 상부에서 삽입되어 상기 밀폐부재(30)를 하부로 이동시킨 후 상기 고정홈(23a)에 체결되는 개방부재(4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홈(23a)은 상기 관통공(23)의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되, 서로 마주보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방부재(40)는 상기 관통공(23)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밀폐부재(30)를 하부로 이동시키며, 상기 고정홈(23a)에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개방부재(40)는 "ㄷ"의 형상으로 일측이 절곡된 형태로 타측이 좁아지거나 넓어질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타측의 끝단에는 상기 관통공(23)에 삽입 고정되는 돌출돌기(51)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을 통해 상기 밀폐부재(30)를 선택적으로 개방시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고정이 가능하며, 상기 압박부재(40)를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덮개의 장착시 상기 밀폐부재 및 압박부재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몸체(10)의 상기 수용부(11)에 유골을 담아 보관한다.
이후 상기 밀폐덮개(20)를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결합한다.
이때, 상기 몸체(10) 내부에 저장된 공기는 상기 밀폐덮개(20)가 결합되면서, 상기 관통공(2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상기 밀폐부재(30)를 상부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밀폐덮개(20)의 삽입부에 결합된 제1패킹(31)과, 상기 밀폐부재(20)에 결합된 제2패킹(24)에 의해 유골함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격부분을 차단하여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몸체(10)의 내부를 밀폐시켜 외부에서 공기, 습기 및 유충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장기간 유골의 보존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밀폐덮개(20)에 결합된 압박부재(40)는 상기 밀폐부재(30)가 상부 이동에 의해 상기 삽입부(21)의 외부로 노출시켜 상기 몸체(10)의 내측면을 강하게 압박하도록 밀착된다.
이를 통해 유골을 보관한 후 결합된 상기 밀폐덮개(20)를 임의로 여는 것을 방지하며, 유골의 도난, 손상 및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보존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재를 이용한 밀폐부재를 개방할 수 있는 조작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개방부재(40)의 돌출돌기(51) 부분을 통해 상기 밀폐부재(30)에 밀착시킨 후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하여 상기 밀폐부재(30)를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관통공(23)을 개방한다.
여기서 상기 개방부재(40)는 상기 고정홈(23a)에 체결하여 상기 밀폐부재(30)가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한다.
이를 통해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밀폐부재(30)가 하부로 이동되어 상기 수평공(21b)에 장착된 상기 압박부재(40)가 상기 수평공(21b)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여 상기 몸체의 내측면과 이격된다.
이를 통해 상기 밀폐덮개(20)를 분리 시 상기 관통공(23)을 통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편리하게 상기 몸체와 상기 밀폐덮개(20)를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몸체 11: 수용부
20: 밀폐덮개 21: 삽입부
21a: 삽입홈 21b: 수평공
22: 안착부 23: 관통공
23a: 고정홈 24: 제2패킹
30: 밀폐부재 31: 제1패킹
40: 압박부재 50: 개방부재
51: 돌출돌기

Claims (5)

  1. 유골이 담기는 수용부(11)가 형성됨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부측에 결합되며, 상기 몸체(1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돌출된 삽입부(21)와, 상기 삽입부(21)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10)의 상단에 안착되는 안착부(22)로 이루어진 밀폐덮개(20)로 이루어지되,
    상기 밀폐덮개(20)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서서히 좁아지는 관통공(23)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23)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며, 내부 공기의 유출에 따라 상부로 이동하여 밀폐시키는 밀폐부재(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를 가지는 유골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30)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밀폐부재(30)가 상부로 이동시 상기 관통공(23)과 밀착되는 제1패킹(31)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를 가지는 유골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1)의 측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삽입홈(21a)과,
    상기 삽입홈(21a)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제2패킹(24)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를 가지는 유골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1)의 측면에는 상기 관통공(23)을 지나도록 수직으로 관통된 하나이상의 수평공(21b)과,
    상시 수평공(21b)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밀폐부재(30)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제2패킹(24)을 압박하여 상기 몸체(10)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압박부재(4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를 가지는 유골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23)의 상단 내측면의 둘레를 따라 고정홈(23a)이 형성되며,
    상기 밀폐덮개(20)의 상부에서 삽입되어 상기 밀폐부재(30)를 하부로 이동시킨 후 상기 고정홈(23a)에 체결되는 개방부재(4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구조를 가지는 유골함.


KR1020170145482A 2017-11-02 2017-11-02 밀폐구조를 가지는 유골함 KR201900501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482A KR20190050189A (ko) 2017-11-02 2017-11-02 밀폐구조를 가지는 유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482A KR20190050189A (ko) 2017-11-02 2017-11-02 밀폐구조를 가지는 유골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189A true KR20190050189A (ko) 2019-05-10

Family

ID=66580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482A KR20190050189A (ko) 2017-11-02 2017-11-02 밀폐구조를 가지는 유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018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0352B1 (ko) * 2021-02-23 2021-05-12 (주)보승무역 골담 및 그 제조방법
KR20220102365A (ko) * 2021-01-13 2022-07-20 최지혜 압력유지 및 해제용 밸브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822B1 (ko) 2016-01-28 2016-07-06 권익중 유골함 밀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골함 밀봉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822B1 (ko) 2016-01-28 2016-07-06 권익중 유골함 밀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골함 밀봉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365A (ko) * 2021-01-13 2022-07-20 최지혜 압력유지 및 해제용 밸브체
KR102250352B1 (ko) * 2021-02-23 2021-05-12 (주)보승무역 골담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79575A1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airtight refill case
KR20190050189A (ko) 밀폐구조를 가지는 유골함
KR200481842Y1 (ko) 화장품 용기
ATE284823T1 (de) Behälter mit schiebedeckel
KR200478012Y1 (ko) 화장품 용기
KR101299727B1 (ko) 밀폐형 화장품 케이스
KR200466582Y1 (ko) 밀폐형 음식물 보관 용기용 누름판의 쏠림 방지구조
KR101370873B1 (ko) 원터치방식 밀폐용기
KR20120051289A (ko) 봉안함
JP5748973B2 (ja) 揮散剤容器
KR200351500Y1 (ko) 음식물 보관용 용기
KR101233087B1 (ko) 진공 납골함
KR101844115B1 (ko) 유골함
JP5320148B2 (ja) 芳香剤容器の容器本体
JP5649339B2 (ja) 機能性付与容器
KR20170067010A (ko) 뚜껑 거치가 용이한 감염성 폐기물용 밀폐용기
KR101671663B1 (ko) 친환경 유골함
KR101733693B1 (ko) 화장품 용기
KR200371206Y1 (ko) 밀폐용기 뚜껑
KR20140003546U (ko)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수직으로 승하강 되는 밀폐용기 속뚜껑
KR200414141Y1 (ko) 의료용 폐기물 수납용기
KR200458465Y1 (ko) 진공 유골함
KR200470671Y1 (ko) 식품용기
JPS6036162Y2 (ja) コンパクト
JP2019080779A (ja) 放散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