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775U - 납골함 - Google Patents

납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775U
KR20080000775U KR2020060028514U KR20060028514U KR20080000775U KR 20080000775 U KR20080000775 U KR 20080000775U KR 2020060028514 U KR2020060028514 U KR 2020060028514U KR 20060028514 U KR20060028514 U KR 20060028514U KR 20080000775 U KR20080000775 U KR 200800007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inner cover
ossuary
deodorizing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5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칠
김태일
최승규
Original Assignee
정해칠
김태일
최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칠, 김태일, 최승규 filed Critical 정해칠
Priority to KR20200600285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0775U/ko
Publication of KR200800007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77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3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ventilat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Check Valv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납골함을 밀폐시킨 후 납골함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진공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납골함 내부의 습기발생이 방지되고 유골의 부패가 방지될 수 있는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은 내부에 유골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수납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가 밀폐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수납부의 내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며 표면에 소정 크기의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는 내부덮개와, 상기 내부덮개의 하단에 부착되며 소정크기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탈취용목재와,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강제로 배출되도록 상기 내부덮개와 상기 탈취용목재의 사이에 장착되는 체크밸브와, 상기 본체의 수납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외부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수납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진공패킹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내부 하단에 안착되되,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소정 곡률로 구부러져 형성되며, 복수의 통기공을 갖는 받침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납골함, 내부덮개, 외부덮개, 체크밸브, 탈취용목재, 진공패킹

Description

납골함{ASHS BOX}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의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의 사용상태에 대한 단면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수납부
14 : 걸림턱
20 : 외부덮개
30 : 내부덮개
32 : 공기배출구
40 : 탈취용목재
42 : 관통공
50 : 체크밸브
52 : 조절핀
60 : 진공패킹
70 : 받침판
72 : 통기공
본 고안은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납골함 내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유골의 부패 및 납골함 내부의 습기발생 등이 방지될 수 있는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로부터 행해지는 장례문화는 망자의 시신을 관에 넣고 봉분을 세우는 매장방식과 망자의 시신을 화장하고 남은 유골을 납골함에 담아 납골당이나 납골묘에 안치하는 화장방식으로 구분된다.
우리나라에서는 화장방식보다는 매장방식이 선호되고 있는데, 이는 고인은 물론 후손들 역시 시신이 훼손되기를 원하지 않고, 조상을 공경하는 유교화 풍수지리에 따른 도교의 영향을 받아 오랜 전통적인 문화로 자리잡아 형성된 것이고, 반면에 화장제도는 한정적인 범위에 머물러 있음이 현실이다.
그러나, 매장식 장묘제도는 국토이용면적의 감소하는 문제점을 일으키고 있어서, 최근에는 국가에서 매장보다 화장을 권고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화장을 선호하는 추세로 변화되고 있다. 화장을 하는 경우에는 화장을 통해 발생되는 유골을 보관하기 위해 납골함에 넣어서 여러 형태의 납골당에 안장하여 보존하게 된다.
현재 납골묘나 납골당에 사용되는 종래의 납골함은 통상적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유골을 담을 수 있는 수납부가 형성된 단지부재와 단지부재의 상부에 결합되어 단지부재를 밀폐시키는 뚜껑부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납골함은 통상 도자기, 석재 또는 목재 등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습기에 의해 내부의 유골이 부패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이는 유골이 건조한 분말상태로서 습기를 쉽게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며, 특히 유골에 포함된 인산이나 칼슘성분은 수분에 대한 친화성이 매우 강한데, 납골함의 내부에 있는 공기 중의 습기가 내부 및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해 납골함의 벽면에 물방울이 발생되고, 이러한 물방울이 유골에 스며들어 쉽게 부패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납골함과 뚜껑사이를 외부에서 실리콘 등으로 밀봉처리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밀봉방식은 납골함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를 차단할 수는 있지만, 밀봉당시 납골함 내부에 존재하던 공기가 밀봉 후에도 그대로 내부에 남아있기 때문에, 이러한 잔여공기와 습기에 의해 유골이 부패될 수 있는 문제점은 해결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납골함을 밀폐시킨 후 납골함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진공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납골함 내부의 습기발생이 방지되고 유골의 부패가 방지될 수 있는 납골함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유골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수납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가 밀폐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수납부의 내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며 표면에 소정 크기의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는 내부덮개와, 상기 내부덮개의 하단에 부착되며 소정크기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탈취용목재와,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강제로 배출되도록 상기 내부덮개와 상기 탈취용목재의 사이에 장착되는 체크밸브와, 상기 본체의 수납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외부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본체의 수납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진공패킹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체크밸브는 내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중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조절핀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본체의 내부 하단에 안착되되,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소정 곡률로 구부러져 형성되며, 복수의 통기공을 갖는 받침판을 더 포함한다.
이하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은 본체(10), 내부덮개(30), 탈취용목재(40), 체크밸브(50), 외부덮개(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0)는 내부에 유골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며 하부는 폐쇄된다. 본체(10) 상부의 수납부(12)는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이는 하기의 내부덮개(30) 및 외부덮개(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체(10)의 형상은 항아리 형상외에도 원기둥이나 육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내부덮개(30)는 본체(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표면에는 소정 크기의 공기배출구(32)가 형성된다. 내부덮개(30)는 본체(10)의 수납부(12)의 내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며, 이로 인해 본체(10)가 밀폐된다. 이 때, 본체(10)의 수납부(12)의 내주연을 따라 걸림턱(14)이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덮개(30)가 본체(10)의 수납부(12)에 끼워질 때 걸림턱(14)에 의해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내부덮개(30)가 본체(10)의 내부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내부덮개(30)의 직경은 본체(10)의 수납부(12)의 직경보다 작거나 동일하여야 하지만, 다만 내부덮개(30)의 직경이 본체(10)의 수납부(12)의 직경과 동일한 경우에는 내부덮개(30)의 개폐시 내부덮개(30) 또는 본체(10)의 수납부(12)의 마모가 발생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내부덮개(30)의 직경을 본체(10)의 수납부(12)의 직경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직경의 차이로 인해 내부덮개(30)가 본체(10)의 수납부(12)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으나, 본체(10)의 수납부(12)에 진공패킹(60)을 끼우면 상기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체(10)의 수납부(12)에 실리콘 등으로 제조되는 진공패킹(60)이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진공패킹(60)에 의해 내부덮개(30)가 본체(10)의 수납부(12)에 끼워질 때 견고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밀폐성이 좋아진다. 여기서, 진공패킹(60)이 본체(10)의 수납부(12)에 끼워질 때 본체(10)의 외부면과 진공패킹(60)의 접촉부분은 실리콘 등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취용목재(40)는 악취제거를 위해 내부덮개(30)의 하부에 접착제로 접착된다. 다만, 하기의 체크밸브(5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관통공(42)이 형성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체크밸브(50)는 본체(10)의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강제로 배출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덮개(30)에 형성되는 공기배출구(32)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장착된다. 체크밸브(50)를 내부덮개(30) 자체에 접착제로 접착시킬수도 있겠으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체크밸브(50)가 양측의 직경이 상 이한 원기둥의 형상을 가지며, 내부덮개(30)의 하단에 접착되는 탈취용목재(40)에 체크밸브(50)의 일측직경보다는 크지만 타측직경보다는 작은 정도의 직경으로 관통공(42)이 형성되며, 탈취용목재(40)의 관통공(42)에 체크밸브(50)가 끼워진 상태에서 내부덮개(30)에 접착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체크밸브(50)는 내부에 걸림턱(56)이 형성되는 중공형의 몸체(54)와 상기 몸체(54)의 내부에 장착되는 조절핀(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밸브(50)의 몸체(54) 내부에 형성되는 걸림턱(56)에 조절핀(52)이 걸릴 수 있도록 조절핀(52)의 양측의 직경이 몸체(54) 내부의 중공부보다 크게 형성되며, 따라서 조절핀(52)이 도면상 상측 또는 하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외부덮개(20)는 본체(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본체(10)의 수납부(12)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본체(10)의 수납부(12)를 덮는다. 이 경우에도 본체(10)의 수납부(12)에 진공패킹(60)이 끼워져 있으면 외부덮개(20)가 견고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밀폐성이 좋아진다. 따라서, 내부덮개(30)와 더불어 외부덮개(20)로 인해 이중의 밀폐효과가 얻어진다.
한편, 본체(10)의 내부 바닥에는 소정곡률로 구부러져 형성되며 복수의 통기공(72)을 갖는 받침판(70)이 안착된다. 여기서, 받침판(70)은 본체(10)의 내부 바닥면과 받침판(70) 사이에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구부러진 부분이 도면상 위로 향하도록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마련되는 공간부에 숯 등의 탈취제를 놓을 수 있게 되고, 받침판(70)에 유골이 놓여지게 된다. 상기 공간부에 놓여지는 숯 등의 탈취제로 인해 탈취효과가 얻어질 수 있으며, 받침판(70) 자체를 목재 등 으로 제조하여 탈취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의 사용상태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바닥면에 숯 등의 탈취제를 놓은 후 받침판(70)을 안착시킨다. 그리고 나서, 유골을 본체(10)의 내부에 넣고 체크밸브(50)와 탈취용목재(40)가 장착되는 내부덮개(30)를 진공패킹(60)이 끼워져 고정되는 본체(10)의 수납부(12)의 내주면에 끼워서 결합시킨다. 내부덮개(30)를 결합시킴으로써 본체(10)가 밀폐되어 더 이상의 공기순환은 없게 되지만, 본체(10) 내부에 잔여공기가 남아 있는 상태가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내부의 잔여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내부덮개(30)의 공기배출구(32) 위에 진공펌프를 올려놓고 진공펌프의 손잡이를 위로 잡아당기면, 압력에 의해 체크밸브(50)의 조절핀(52)이 상측방향으로 들려지게 되고 공기는 외부로 배출된다. 진공펌프로 수차례 공기를 배출시키면 본체(10) 내부의 잔여공기가 완전히 외부로 배출되어 본체(10) 내부는 진공상태가 된다. 진공펌프를 내부덮개(30)에서 이탈시키면 체크밸브(50)의 조절핀(52)은 다시 아래로 내려가 원상태가 되어 체크밸브(50)의 몸체(54)와 조절핀(52)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게 되므로 공기의 유출입이 없다. 따라서, 내부덮개(30)의 공기배출구(32)를 통한 본체(10) 내부로의 공기 유입이 일어나지 않으며, 진공펌프를 이탈시킨 후 외부덮개를 덮으면 납골함의 진공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납골함에 의하면, 내부덮개에 체크밸브가 장착되어 본체가 밀폐된 상태에서도 본체 내부의 공기가 강제로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본체 내부의 진공상태가 유지되어 유골의 부패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진공패킹이 본체의 수납부에 끼워짐으로써 내부덮개 및 외부덮개의 견고한 고정상태가 유지되고 밀폐성이 향상된다.
뿐만 아니라, 본체의 내부에 탈취용목재가 부착되고 숯 등의 탈취제가 놓여짐으로써 이중의 탈취효과를 얻을 수 있어서 악취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Claims (4)

  1. 내부에 유골이 수납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수납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가 밀폐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수납부의 내주면에 끼워져 결합되며, 표면에 소정 크기의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는 내부덮개;
    상기 내부덮개의 하단에 부착되며, 소정크기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탈취용목재;
    상기 본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강제로 배출되도록 상기 내부덮개와 상기 탈취용목재의 사이에 장착되는 체크밸브; 및
    상기 본체의 수납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외부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수납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진공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밸브는 내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는 중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조절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하단에 안착되되,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소정 곡률로 구부러져 형성되며, 복수의 통기공을 갖는 받침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함.
KR2020060028514U 2006-10-26 2006-10-26 납골함 KR200800007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514U KR20080000775U (ko) 2006-10-26 2006-10-26 납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514U KR20080000775U (ko) 2006-10-26 2006-10-26 납골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775U true KR20080000775U (ko) 2008-04-30

Family

ID=41323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514U KR20080000775U (ko) 2006-10-26 2006-10-26 납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0775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566B1 (ko) * 2008-06-25 2011-07-15 정대헌 진공 유골함
KR20180133609A (ko) 2017-06-07 2018-12-17 전정일 진공납골함
WO2019139287A1 (ko) * 2018-01-10 2019-07-18 (주)아름다운동산 납골함 세트
KR20210033122A (ko) 2019-09-18 2021-03-26 전정일 진공납골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566B1 (ko) * 2008-06-25 2011-07-15 정대헌 진공 유골함
KR20180133609A (ko) 2017-06-07 2018-12-17 전정일 진공납골함
WO2019139287A1 (ko) * 2018-01-10 2019-07-18 (주)아름다운동산 납골함 세트
KR20210033122A (ko) 2019-09-18 2021-03-26 전정일 진공납골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0775U (ko) 납골함
US8136176B2 (en) Skimmer vent for pool with pool cover or pool liner
KR101049419B1 (ko) 진공 납골함
US7171733B2 (en) Chest of cinerary urns
KR20140076772A (ko) 진공 유골함
KR101255949B1 (ko) 유골부패방지용 진공 구조 납골함
KR101215544B1 (ko) 봉안함
KR100636341B1 (ko) 이중 납골함의 내함 진공밀봉구조
KR200466582Y1 (ko) 밀폐형 음식물 보관 용기용 누름판의 쏠림 방지구조
KR100459634B1 (ko) 진공 납골함
KR101233087B1 (ko) 진공 납골함
KR200418291Y1 (ko) 납골함
KR20180031192A (ko) 순환식 평장묘
KR200272506Y1 (ko) 밀폐형 음식물 보관 용기의 누름판의 구조
JP2007503361A (ja) 骨壷収納箱
KR100761485B1 (ko) 결로 방지구조를 갖는 평장형 봉안묘
KR200458465Y1 (ko) 진공 유골함
US20200383862A1 (en) Cinerary urn set
KR20100008586U (ko) 유골함
KR200403946Y1 (ko) 납골함
KR200346840Y1 (ko) 유골함
KR20020090968A (ko) 진공 납골함
KR200194606Y1 (ko) 납골함
KR200173781Y1 (ko) 유골함
KR200221677Y1 (ko) 납골단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