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419B1 - 진공 납골함 - Google Patents

진공 납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419B1
KR101049419B1 KR1020110017517A KR20110017517A KR101049419B1 KR 101049419 B1 KR101049419 B1 KR 101049419B1 KR 1020110017517 A KR1020110017517 A KR 1020110017517A KR 20110017517 A KR20110017517 A KR 20110017517A KR 101049419 B1 KR101049419 B1 KR 101049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cuum
opening
spac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겸
Original Assignee
(주)한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울 filed Critical (주)한울
Priority to KR1020110017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4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망인의 시신을 화장처리하여 얻은 유골을 납골함에 보관할 경우, 납골함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여 유골의 부패방지는 물론 부패로 인한 악취를 방지하면서 유골을 영구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 납골함{A funeral urn}
본 발명은,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망인의 시신을 화장처리하여 얻은 유골을 납골함에 보관할 경우, 납골함 내부를 진공으로 유지하여 유골의 부패방지는 물론 부패로 인한 악취를 방지하면서 유골을 영구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장례문화는 유교사상에 의해 매장문화가 발전해왔으며, 이러한 매장문화에 따라 조상의 시신을 풍수지리에 의해 명당이라 불리는 자리에 모심으로써, 그 자손이 번창한다고 믿어져 왔기 때문에 현재 우리나라 국토의 상당부분이 분묘로 사용되고 있으나, 근래에는 분묘로 인한 국토손실이 많아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국토손실방지의 필요성에 의한 것뿐만 아니라 현재 많은 국토가 이미 분묘로 사용되고 있고 분묘자체가 혐오시설로 인식되면서 화장문화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시신을 화장한 후, 망인의 유골을 곱게 빻아 그 납골함에 담아 보관하는 납골장이 점차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납골함은, 통상적으로 돌, 옥이나 도자기 재질로 함본체와 뚜껑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납골함에 모셔진 유골은, 건조한 분말 상태로 습기를 쉽게 흡수하는 성질을 가지며, 유골에 포함된 인산 및 다량의 탄산칼슘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습기에 의한 산화작용으로 쉽게 부패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심하게는 해충 및 우해균이 침입하여 서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납골함 내.외부의 온도편차에 의해 내부 표면에 결로현상이 발생되며, 이 결로현상에 의해 발생된 물방울이 유골에 흡수됨으로써, 결국 유골의 부패나 변질이 가속화되고, 이에 따라 장기간 보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납골함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여 유골의 부패 및 부패로 인한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 납골함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납골함 내부로의 해충이나 우해균의 침입 방지 및 방습기능이 부여되어 유골을 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 납골함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납골함 내부의 공기를 빼낸 후, 진공상태를 유지시키는 구조의 간소화로 생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공 납골함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진공 납골함은,
내부에 안치공간이 형성되면서 상부 가장자리 내측으로 환형의 걸림돌기를 구비한 함체와;
상기 함체의 걸림돌기를 감싸 결합되는 실링부재와;
상기 함체의 걸림돌기 외측에 안착되어 폐쇄하는 뚜껑과;
상기 실링부재에 안착되어 안치공간을 폐쇄시키는 진공덮개와;
상기 진공덮개의 바닥면에 관통되는 유입공이 구비되고, 상기 유입공의 상단부에 상광하협의 원추형으로 형성되면서 하단부가 만곡된 개폐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개폐공간의 상단부에 고정부재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고정턱이 구비된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의 개폐공간에서 승하강하여 유입공을 개폐시키는 개폐밸브와;
상기 설치부의 고정턱에 장착되어 개폐밸브의 상승동작을 정지시키면서 안치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납골함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여 유골의 부패 및 부패로 인한 악취발생을 방지하면서 납골함 내부로의 해충이나 우해균의 침입 방지 및 방습기능이 부여되어 유골을 영구적으로 온전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납골함 내부의 공기를 빼낸 후, 진공상태를 유지하는 개폐밸브의 구조 간소화로 생산성증대 및 제조원가의 절감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폐밸브에 의해 납골함 내부의 진공을 견고하게 유지하면서 밀폐성을 향상시켜 납골함의 진공유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4는 도 3의 확대단면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 진공 납골함(100)은, 내부에 안치공간(112)이 형성되면서 상부 가장자리 내측으로 환형의 걸림돌기(111)를 구비한 함체(110)가 구성되고, 상기 함체(110)의 걸림돌기(111)를 감싸 결합되는 실링부재(120)가 구성되며, 상기 함체(110)의 걸림돌기(111) 외측에 안착되어 폐쇄하는 뚜껑(130)이 구성되고, 상기 실링부재(120)에 안착되어 안치공간(112)을 폐쇄시키는 진공덮개(140)가 구성되며, 상기 진공덮개(140)의 바닥면에 관통되는 유입공(151)이 구비되고, 상기 유입공(151)의 상단부에 상광하협의 원추형으로 형성되면서 하단부가 만곡된 개폐공간(152)이 구비되며, 상기 개폐공간(152)의 상단부에 고정부재(170)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고정턱(153)이 구비된 설치부(150)가 구성되고, 상기 설치부(150)의 개폐공간(152)에서 승하강하여 유입공(151)을 개폐시키는 개폐밸브(160)가 구성되며, 상기 설치부(150)의 고정턱(153)에 장착되어 개폐밸브(160)의 상승동작을 정지시키면서 안치공간(112)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고정부재(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개폐밸브(160)는, 상기 설치부(150)의 개폐공간(152)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개폐공간(152)의 내주면과 외주면이 면접촉되는 밸브몸체(161)가 구비되고, 상기 밸브몸체(161)의 하부는 유입공(151)보다 작은 직경으로 절단되어 유입공(151)을 폐쇄시키는 폐쇄단면(162)이 구비되며, 상기 밸브몸체(161)의 상면에 요입되어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공기안내홈(163)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개폐밸브(160)는,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170)는, 상기 설치부(150)의 고정턱(153)에 안착되면서 공기의 배출을 안내하도록 배출공(171')이 관통된 고정몸체(17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몸체(171) 하부로 돌출되어 개폐밸브(160)의 상승 동작을 정지시키며,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공기안내홈(172')이 형성되는 정지돌기(17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정지돌기(172)는,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사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진공덮개(140) 내부에 유입공(151), 개폐공간(152) 및 고정턱(153)이 구비된 설치부(150)가 형성되는데, 상기 설치부(150)는 진공덮개(140) 내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치부(150)의 개폐공간(152)에 개폐밸브(160)를 안착시키면, 상기 개폐밸브(160)의 밸브몸체(161) 외주면이 개폐공간(152)의 내주면과 면접촉되면서 밸브몸체(161) 하단부가 유입공(151)을 폐쇄시키며, 이 상태에서 상기 설치부(150)의 고정턱(153)에 고정부재(170)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고정턱(153)에 고정부재(170)의 고정몸체(171)가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고정몸체(171)의 외주면과 고정턱(153)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체결 방식으로도 체결하여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몸체(171)가 고정턱(153)에 고정되면, 상기 고정몸체(171) 하부로 돌출된 정지돌기(172)와 개폐밸브(160)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된다.
상기의 과정으로 진공덮개(140)의 설치부(150)에 개폐밸브(160) 및 고정부재(170)에 설치되고, 함체(110)의 걸림돌기(111)에 실링부재(120)가 감싸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망인의 시신을 화장처리하여 얻은 유골을 한지에 감싼 후, 함체(110)의 안치공간(112)에 안치시킨다.
상기 함체(110)의 안치공간(112)에 유골을 안치시킨 상태에서 진공덮개(140)를 함체(110)에 안착시키는데, 상기 진공덮개(140)의 하단부 가장자리에 돌출된 결합편(141)이 걸림돌기(111)에 결합된 실링부재(120) 내면을 따라 결합됨과 동시에 진공덮개(140) 하단부가 실링부재(120) 상면에 밀착되도록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편(141)이 실링부재(120) 내면을 따라 결합되므로 진공덮개(140)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실링부재(120)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실링부재(120)에 진공덮개(140)가 안착되면서 함체(110) 내부는 밀폐되는 것이며, 상기 진공덮개(140)가 실링부재(120)에 안착되면, 함체(1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하는 별도의 공기흡입장치(A)가 설치부(150)를 수용하도록 진공덮개(140) 상면에 안착시킨다.
상기 공기흡입장치(A)의 작동으로 흡입력이 발생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력에 의해 개폐밸브(160)의 밸브몸체(161)가 개폐공간(152)의 상부로 이동하여 유입공(151)이 개방되면서 상기 개폐공간(152)의 내주면과 개폐밸브(160)의 외주면 사이에 간격이 형성된 후, 개폐밸브(160)의 상면이 고정부재(170)의 정지돌기(172)에 밀착되면서 개폐밸브(160)의 상부 이동이 정지하게 된다.
상기 개폐밸브(160)의 상부 이동에 따라 개방된 유입공(151)과 상기 개폐공간(152)의 내주면과 개폐밸브(16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경유하고, 상기 개폐밸브(160)의 공기안내홈(163)과 고정부재(170)의 공기안내홈(172') 및 고정몸체(171)의 배출공(171')을 통해 함체(110)의 안치공간(112)에 위치한 공기가 공기흡입장치(A)의 흡입력에 의해 함체(110)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공기흡입장치(A)의 흡입력으로 함체(1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함체(110) 내부를 진공화할 수 있으며, 상기 함체(110) 내부가 진공화되면, 공기흡입장치(A)의 작동을 정지시키는데, 상기 공기흡입장치(A)의 작동이 정지됨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10) 내부의 압력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흡입력이 개폐밸브(160)를 빨아당기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밸브(160)의 밸브몸체(161)가 개폐공간(152)의 하부로 이동하면서 밸브몸체(161)의 외주면이 개폐공간(152)의 내주면에 밀착되는데, 상기 밸브몸체(161) 상면에 공기안내홈(163)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밸브몸체(161)의 외측 단면을 최소화하여 접촉부위를 확대하여 개폐공간(152) 내주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밸브몸체(161)의 폐쇄단면(162)이 유입공(151) 내부로 돌출되어 폐쇄시킨다.
여기서 상기 폐쇄단면(162)이 유입공(151)으로 돌출되는 개폐공간(152)의 하단부는 만곡되게 형성되어 밸브몸체(161)의 폐쇄단면(162)이 유입공(151)으로 잘 빨려들어갈 수 있는 것이며, 상기 폐쇄단면(162)이 유입공(151)을 폐쇄시키면서 함체(110) 내부로의 공기유입을 차단하면서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개폐밸브(160)의 밸브몸체(161)가 설치부(150)의 개폐공간(152) 및 유입공(151)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함체(110)의 상면에 뚜껑(130)을 안착시켜 납골함(100)을 형성하는데 상기 납골함(100) 함체(110)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한 결로현상을 억제하여 유골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해충이나 우해균의 침입을 방지하여 유골을 온전한 상태로 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납골함 110: 함체
120: 실링부재 130: 뚜껑
140: 진공덮개 150: 설치부
160: 개폐밸브 170: 고정부재

Claims (5)

  1. 내부에 안치공간(112)이 형성되면서 상부 가장자리 내측으로 환형의 걸림돌기(111)를 구비한 함체(110)와;
    상기 함체(110)의 걸림돌기(111)를 감싸 결합되는 실링부재(120)와;
    상기 함체(110)의 걸림돌기(111) 외측에 안착되어 폐쇄하는 뚜껑(130)과;
    상기 실링부재(120)에 안착되어 안치공간(112)을 폐쇄시키는 진공덮개(140)와;
    상기 진공덮개(140)의 바닥면에 관통되는 유입공(151)이 구비되고, 상기 유입공(151)의 상단부에 상광하협의 원추형으로 형성되면서 하단부가 만곡된 개폐공간(152)이 구비되며, 상기 개폐공간(152)의 상단부에 고정부재(170)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고정턱(153)이 구비된 설치부(150)와;
    상기 설치부(150)의 개폐공간(152)에서 승하강하여 유입공(151)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설치부(150)의 개폐공간(152)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개폐공간(152)의 내주면과 외주면이 면접촉되는 밸브몸체(161)가 구비되고, 상기 밸브몸체(161)의 하부는 유입공(151)보다 작은 직경으로 절단되어 유입공(151)을 폐쇄시키는 폐쇄단면(162)이 구비되며, 상기 밸브몸체(161)의 상면에 요입되어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공기안내홈(163)을 포함하여 구비된 개폐밸브(160)와;
    상기 설치부(150)의 고정턱(153)에 장착되어 개폐밸브(160)의 상승동작을 정지시키면서 안치공간(112)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고정부재(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납골함.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160)는, 탄성을 가지는 실리콘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납골함.
  4.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부재(170)는,
    상기 설치부(150)의 고정턱(153)에 안착되면서 공기의 배출을 안내하도록 배출공(171')이 관통된 고정몸체(17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몸체(171) 하부로 돌출되어 개폐밸브(160)의 상승 동작을 정지시키며,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공기안내홈(172')이 형성되는 정지돌기(172)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납골함.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정지돌기(172)는,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납골함.
KR1020110017517A 2011-02-28 2011-02-28 진공 납골함 KR101049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517A KR101049419B1 (ko) 2011-02-28 2011-02-28 진공 납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7517A KR101049419B1 (ko) 2011-02-28 2011-02-28 진공 납골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9419B1 true KR101049419B1 (ko) 2011-07-14

Family

ID=44923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517A KR101049419B1 (ko) 2011-02-28 2011-02-28 진공 납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41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577B1 (ko) * 2014-11-28 2015-03-12 류선영 이중진공 유골함
KR101821155B1 (ko) * 2017-05-26 2018-01-23 재단법인 송파공원 진공 유골함
KR20200049214A (ko) 2018-10-31 2020-05-08 홍성민 유골함의 진공 시스템
KR20210029748A (ko) 2021-03-04 2021-03-16 홍성민 유골함의 진공 시스템
KR20210125622A (ko) * 2020-04-08 2021-10-19 정대헌 내부 뚜껑이 구비된 유골함
KR20220049951A (ko) * 2020-10-15 2022-04-22 심광선 진공펌프를 구비한 유골함
KR20230028052A (ko) 2021-08-20 2023-02-28 홍성민 유골함
KR102584389B1 (ko) 2023-02-07 2023-10-05 정진일 진공 납골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397Y1 (ko) * 2004-04-06 2004-06-23 (주)케스코리아 유골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4397Y1 (ko) * 2004-04-06 2004-06-23 (주)케스코리아 유골함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577B1 (ko) * 2014-11-28 2015-03-12 류선영 이중진공 유골함
KR101821155B1 (ko) * 2017-05-26 2018-01-23 재단법인 송파공원 진공 유골함
KR20200049214A (ko) 2018-10-31 2020-05-08 홍성민 유골함의 진공 시스템
KR102226294B1 (ko) * 2018-10-31 2021-03-09 홍성민 유골함의 진공 시스템
KR20210125622A (ko) * 2020-04-08 2021-10-19 정대헌 내부 뚜껑이 구비된 유골함
KR102384995B1 (ko) * 2020-04-08 2022-04-08 정대헌 내부 뚜껑이 구비된 유골함
KR20220049951A (ko) * 2020-10-15 2022-04-22 심광선 진공펌프를 구비한 유골함
KR102470013B1 (ko) * 2020-10-15 2022-11-22 심광선 진공펌프를 구비한 유골함
KR20210029748A (ko) 2021-03-04 2021-03-16 홍성민 유골함의 진공 시스템
KR102247707B1 (ko) 2021-03-04 2021-04-30 홍성민 유골함의 진공 시스템
KR20230028052A (ko) 2021-08-20 2023-02-28 홍성민 유골함
KR102584389B1 (ko) 2023-02-07 2023-10-05 정진일 진공 납골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419B1 (ko) 진공 납골함
KR101184583B1 (ko) 반도체 웨이퍼 수납용기
KR100774248B1 (ko) 진공밸브 작동식의 밀폐용기
WO2011090249A1 (ko)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KR20140076772A (ko) 진공 유골함
KR20150068658A (ko) 병 진공밀폐장치
KR20130025932A (ko) 내부압력 자동배출 기능을 갖춘 식품용기용 밀폐뚜껑
KR101215544B1 (ko) 봉안함
KR101501577B1 (ko) 이중진공 유골함
KR100459634B1 (ko) 진공 납골함
KR100636341B1 (ko) 이중 납골함의 내함 진공밀봉구조
KR200466582Y1 (ko) 밀폐형 음식물 보관 용기용 누름판의 쏠림 방지구조
KR200385898Y1 (ko) 밀폐형 유골함 외함
KR101233087B1 (ko) 진공 납골함
KR101063241B1 (ko)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KR20080074814A (ko) 진공 유골함
CN107031991B (zh) 能高质量保存药材的气调箱
KR200492279Y1 (ko) 개량형 유골함
KR200458465Y1 (ko) 진공 유골함
KR102418196B1 (ko) 유골함
KR20220049951A (ko) 진공펌프를 구비한 유골함
KR200473992Y1 (ko) 공기제어형진공뚜껑
KR200403946Y1 (ko) 납골함
KR20060071602A (ko) 밀폐 용기 뚜껑
KR102584389B1 (ko) 진공 납골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