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577B1 - 이중진공 유골함 - Google Patents

이중진공 유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577B1
KR101501577B1 KR20140168402A KR20140168402A KR101501577B1 KR 101501577 B1 KR101501577 B1 KR 101501577B1 KR 20140168402 A KR20140168402 A KR 20140168402A KR 20140168402 A KR20140168402 A KR 20140168402A KR 101501577 B1 KR101501577 B1 KR 101501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lid
cover
container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68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선영
Original Assignee
류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선영 filed Critical 류선영
Priority to KR20140168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5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2Coffin closures; Pack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골 또는 골분을 담아두는 공간의 진공 상태를 외부의 충격과 시간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진공 상태가 유지될 확률이 높아질 수 있도록 이중으로 진공 공간을 만들고, 진공 상태를 만들기 위한 장치를 복잡하지 않고 간단한 마개 형태로 만들어서 비용을 줄이고 손상 가능성을 줄였으며, 내부 유골용기의 재질도 흡습성이 뛰어난 초벌구이 황토를 안쪽 재질로 삼고 진공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외부 재질은 ABS수지로 만든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진공 유골함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유골함의 틈새를 통해 외부의 습기가 유입되는 것이 이중으로 차단되고, 내부 유골용기의 바깥쪽 층은 ABS 수지이고 안쪽 층은 초벌구이한 황토 재질이기 때문에 덮개를 통하지 않고는 습기가 들어올 수 없고, 설사 소량의 습기가 들어왔다고 해도 초벌구이한 황토층에 의해 흡수되어 유골 또는 골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변질이 방지된다.
둘째,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신뢰성 있는 덮개용 진공 마개를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 및 습기의 유입을 방지하며 내부의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복잡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아 적은 비용으로 이중 진공 상태를 만들고 유지할 수 있다.
셋째, 유골합의 내부 유골용기에 공기 및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유골함 독자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유골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에 장치되는 항온 항습기 및 냉난방 공조기 등의 막대한 시설의 설치비용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해당 시설의 운영비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진공 유골함{A CINERARY URN WITH DOUBLE VACUUM LID}
본 발명은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골을 담아두는 공간의 진공 상태를 외부의 충격과 시간의 흐름에도 불구하고 진공 상태가 유지될 확률이 높아질 수 있도록 이중으로 진공 공간을 만들고, 진공 상태를 만들기 위한 장치를 복잡하지 않고 간단한 마개 형태로 만들어서 비용을 줄이고 손상 가능성을 줄였으며, 내부 유골용기의 재질도 흡습성이 뛰어난 초벌구이 황토를 안쪽 재질로 삼고 진공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외부 재질은 ABS수지로 만든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의 장묘문화는 유교의 영향으로 화장을 기피하고 매장을 선호하는 매장 위주의 장묘관행이 뿌리깊게 박혀 있어 묘지조성을 위한 국토의 잠식과 자연환경의 훼손이 매우 심각한 실정이다. 최근의 정부의 지속적인 홍보와 교육 등에 힙입어 전통 매장식 보다는 화장을 한 후 망인의 유골을 유골함에 담아 보관하는 납골장이 점차적으로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현재 대다수의 유골함은 대부분 와관이나 사용상의 편의성 개선 위주로 발전하여 왔고 유골의 보존을 위한 성능 향상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다.
유골은 탄산칼슘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내부로 습기가 침투하게 되면 유골의 산화작용이 일어나서 부패하기 쉽고 세균이 증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종래의 유골함은, 옥, 돌, 목재, 철재 등의 소재로 만들어지며 단순히 유골 수용함으로 된 본체 상부에 뚜껑을 덮은 구조의 항아리 형상으로 된 유골함을 별도 외부 함의 구비 없이 외기와 쉽게 접할 수 있는 상태로 납골당에 보존하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수분과 미생물에 의하여 유골 손상이 손쉽게 진행되곤 하였다. 그 이유는, 보관용기와 마개부재가 나사로 결합되어 있으나, 보관용기와 마개부재가 완전 밀착되어 있지 않아 그 틈새를 통해 외기(外氣)가 유입되어 유골이나 골분이 부패되고 곰팡이 등의 유해균이 서식할 수 있으므로, 변질, 변색되어 온전한 상태로 장기보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유골 또는 골분의 변질 문제 때문에, 다시 새로운 유골함으로 이관해야 하는 불편함과 어려움이 자주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골함 내에 침투하는 외기를 차단시켜 유골 또는 골분의 부패 요소를 없애고 장기 보존을 가능케 하는 냉장 보관하는 기술, 질소충전 기술 또는 진공 상태를 만들기 위한 각종 구조물 장착을 위한 시도가 있었다.
냉장기술은 유골의 보관에 별도의 수단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고가의 장치가 있어야 하고 장치를 유지관리하기 위해 동력원이 필요하다는 문제와 이에 따른 장소 및 사용상의 한계가 있다. 또한 냉장기술로도 보관 대상물과 공기와의 접촉에 의한 산화 및 부패를 피할 수 없어 장기간 보관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질소를 충전하거나 진공상태를 만드는 방법이 더 선호된다.
일반적으로 유골 또는 골분을 저장하기 위해 진공장치를 갖는 유골함의 경우, 보통 도자기류로 제조되며, 상기 도자기류 함에 유골 또는 골분을 인입시킨 후 뚜껑을 닫은 다음 바로 납골묘당에 넣거나, 또는 상기 진공장치를 갖는 유골함을 납골함에 넣은 후 상기 납골묘당에 넣어 보관하게 되는데, 상기한 도자기류 진공장치를 갖는 유골함은 장시간 경과 시 진공이 유지되지 못하고 유골함 내로 공기의 유입 및 습기가 발생하게 되어 유골함 내에 저장된 유골 또는 골분이 부패되거나, 벌레가 생겨 다시 새로운 진공장치를 갖는 유골함에 옮겨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곤 하였다. 이러한 문제점 외에도 종래의 진공장치를 갖는 유골함 보관용기의 진공장치는 부품의 수가 많아 진공장치를 갖는 유골함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구조 및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제작 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비용이 적게 소요되고 진공 유지를 더욱 철저히 장기간 할 수 있는 진공장치를 갖는 유골함이 요구되고 있다.
진공 보관에 사용되는 진공 용기에 관한 종래 기술의 예로서 특허공개공보 제10-2008-0014536호(발명의 명칭: 다용도 진공용기 뚜껑)와 제10-2010-0078576호(발명의 명칭: 진공용기 뚜껑과 이를 위한 체크밸브 및 패킹)가 있다.
이 두 기술이 개시한 진공용기에 따르면, 용기 본체의 입구 부분에 패킹을 개재하여 용기 뚜껑으로 덮을 때 가해지는 압력(외력)에 의해 그 용기의 내부 공간의 공기가 용기 뚜껑에 마련된 체크밸브를 통해 바깥으로 빠져나가게 되고, 그런 상태에서 그 외력이 해제되면서 패킹의 탄성으로 용기 내부 공간의 부피가 커지지만 체크밸브가 외기의 용기 내부로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용기 내부 공간이 외기에 비해 저압의 진공 상태가 만들어지게 한다. 이러한 진공 구조에 의하면, 용기 내부와 외부 간의 압력 차이가 용기 뚜껑을 용기 본체의 입구부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준다. 조성된 압력 차이가 커서 체크밸브를 강제로 열지 않는 한 사람이 강제로 용기 뚜껑을 용기 본체로부터 떼어 내기가 매우 힘든 구조이기 때문이다. 한편 구조의 복잡화를 피하기 위해 별도의 잠금 수단을 갖추지는 않은 기술이다.
하지만 실제 사용을 하게 되면, 패킹이나 체크밸브는 우수한 밀폐 기능을 갖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을 사용하여 만들지만 완벽한 밀폐를 제공하지는 못하기 때문에, 시간이 흐름에 따라 용기 외부와 내부 간의 압력차는 점점 작아지고 그에 따라 용기 뚜껑의 용기 본체에 대한 잠금력이 약화되어 용기 본체와 쉽게 떨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되면 진공 상태는 깨지게 되는 한계점이 있다.
진공 보관에 사용되는 진공 용기에 관한 또 다른 기술의 예로서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447042호(명칭: 진공 유골함)가 있다. 이 기술이 개시한 진공 유골함에 따르면, 용기 덮개가 보관 용기의 주입구를 덮을 경우, 용기 덮개 하부의 원둘레 면에 부착된 패킹부가 용기 덮개와 보관 용기 간을 봉합하고 진공 마개 삽입 구멍이 용기 덮개 상부 중 지정된 일부 영역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관통된 구멍에 삽입되고 난 후, 진공 흡착 시 보관 용기 안의 대기가 진공 마개의 틈새로 외부 배출됨에 의해 진공상태로 변경되면 진공 마개가 틈새를 막아 보관 용기를 밀폐시켜 유골 또는 골분을 보관함으로써 용기 내부 공간이 진공 상태로 유지된다.
하지만 매우 간단한 구조이고 신뢰성 있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유골함 용기가 도자기인 경우 도자기의 특성상 미세 기공이 존재하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초기의 진공상태가 유실되고 용기 외부와 내부 간의 압력차는 점점 작아지고 그에 따라 진공 마개의 잠금력이 약화되어 용기 덮개에서 쉽게 떨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되면 역시 진공 상태는 오래가지 못하고 깨지게 되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존 진공 유골함의 단점을 최대한 극복하기 위해 이중으로 진공 상태를 형성하고 이러한 진공 상태의 유지는 간단하면서도 신뢰성 있는 구조를 채택하며, 도자기의 단점인 미세 기공으로 인한 진공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는 현상을 ABS 수지를 사용하여 극복하고, 환경 친화적이고 흡습성이 있는 황토 토기를 같이 사용하여 기존 유골함의 장점도 함께 수용하였다. 또한 중간 덮개와 내부 덮개에는 유골함 용기와 밀착하는 실리콘 재질의 기밀유지용 링을 사용하여 진공상태에서 압착 탄성 결착 하도록 하였고, 내부 유골용기와 중간 덮개가 밀접하게 결합되어 밀폐용 홈을 통해 최종적으로 중간 덮개를 결합하면 내부의 진공 상태가 오래 유지될 수 있도록 구조를 만들어 발명을 완성하였다.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447042호 :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8-0014536호 :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0-007857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의 진공 공간을 보유하여 진공 상태가 깨뜨려질 가능성이 적으며 이로 인해 유골 주위의 진공상태를 종래의 유골함보다 더 오래 유지하여 유골 또는 골분을 오래 손상 없이 보관할 수 있는 유골함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골 또는 골분을 보관하는 내부 유골용기(400)와; 상기 내부 유골용기(400)를 개폐하는 내부 덮개(300)와; 상기 내부 덮개의 상부에서 내부 유골용기(400)를 한 번 더 개폐하는 중간 덮개(200)를 구비하는 유골함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덮개(300)는 내부 덮개(300)의 상부 어느 일부 영역 상에 지정되며, 상기 지정된 일부 영역의 상부로부터 상기 지정된 일부 영역의 하부까지 관통된 구멍 형태로 존재하는 진공마개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 유골용기(400) 안의 대기를 진공상태로 형성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내부 유골용기(400) 안의 대기가 외부로 배출되게끔 틈새를 마련해 주고, 상기 내부 유골용기(400) 안의 대기가 진공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틈새를 막아 상기 내부 유골용기(400)를 밀폐시키는 내부 덮개용 진공 마개(310); 상기 내부 덮개용 진공 마개(3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 덮개용 진공 마개(310)을 고정시키는 내부 덮개용 진공마개 고정용 부재(320); 상기 내부 덮개(300)의 둘레에 부착되어 상기 내부 덮개(300)와 내부 유골용기(400) 사이의 기밀성을 형성시켜 진공을 유지시키는 내부덮개 기밀유지용 링(340); 및 상기 내부 덮개(300)와 내부 유골용기(400) 사이를 기밀성이 잘 유지될 수 있는 형상을 만드는 내부덮개 기밀유지용 돌기(330)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덮개(200)는 중간 덮개(200)의 상부 어느 일부 영역 상에 지정되며, 상기 지정된 일부 영역의 상부로부터 상기 지정된 일부 영역의 하부까지 관통된 구멍 형태로 존재하는 진공마개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중간 덮개(200)와 내부 덮개(300) 사이 영역을 진공상태로 형성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중간 덮개(200)와 내부 덮개(300) 사이 영역의 대기가 외부로 배출되게끔 틈새를 마련해 주고, 상기 중간 덮개(200)와 내부 덮개(300) 사이 영역의 대기가 진공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틈새를 막아 상기 중간 덮개(200)와 내부 덮개(300) 사이 영역을 밀폐시키는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210); 상기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2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210)을 고정시키는 중간 덮개용 진공마개 고정용 부재(230); 및 중간 덮개(200)의 안쪽에 위치하여 내부 유골용기(400)와는 밀폐용 홈(410)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중간 덮개 안쪽 밀폐용 나사산(240)을 포함하는, 이중 진공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외부 덮개(100)와 외부 용기(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진공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상기 내부 유골용기(400)는 내부와 외부의 2개 층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의 층은 초벌구이한 황토 재질이며, 외부의 층은 ABS 수지 재질이어서 진공 상태를 깨트릴 수 있는 통기 구멍이 없다.
상기 내부덮개용 진공마개(310)는 탄성 재질로 제조되며, 진공 공간 형성 후 작용 시 충격력 또는 압력을 제공받는 헤더부(311); 상기 헤더부(311)의 하부와 연결되며, 상기 헤더부(311)에 가해진 충격력 또는 압력으로 인해 진공마개 삽입 구멍에 결탁되는 결탁부(312); 및 상기 헤더부(311)에 가해진 충격력 또는 압력을 전달받아 진공마개 삽입 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결탁부(312)가 진공마개 삽입 구멍과 결탁됨에 따라, 지정된 일부 영역의 하부 밖으로 돌출되는 소켓부(313)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부(313)는, 상기 결탁부(312)의 하부와 연결된 원뿔 모양으로 제작되며, 상기 원뿔의 꼭지점중앙을 둘로 분리시킴에 따라 생성된 제 1, 2 꼭지 부분이 진공마개 삽입 구멍에 삽입될 경우, 상기 원뿔의 바닥면이 상기 지정된 일부 영역의 하부와 맞닿는다.
상기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210)는 탄성 재질로 제조되며, 진공 공간 형성 후 작용 시 충격력 또는 압력을 제공받는 헤더부(211); 상기 헤더부(211)의 하부와 연결되며, 상기 헤더부(211)에 가해진 충격력 또는 압력으로 인해 진공마개 삽입 구멍에 결탁되는 결탁부(212); 및 상기 헤더부(211)에 가해진 충격력 또는 압력을 전달받아 진공마개 삽입 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결탁부(212)가 진공마개 삽입 구멍과 결탁됨에 따라, 지정된 일부 영역의 하부 밖으로 돌출되는 소켓부(213)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부(213)는, 상기 결탁부(212)의 하부와 연결된 원뿔 모양으로 제작되며, 상기 원뿔의 꼭지점중앙을 둘로 분리시킴에 따라 생성된 제 1, 2 꼭지 부분이 진공마개 삽입 구멍에 삽입될 경우, 상기 원뿔의 바닥면이 상기 지정된 일부 영역의 하부와 맞닿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진공 유골함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유골함의 틈새를 통해 외부의 습기가 유입되는 것이 이중으로 차단되고, 내부 유골용기의 바깥쪽 층은 ABS 수지이고 안쪽 층은 초벌구이한 황토 재질이기 때문에 덮개를 통하지 않고는 습기가 들어올 수 없고, 설사 소량의 습기가 들어왔다고 해도 초벌구이한 황토층에 의해 흡수되어 유골 또는 골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여 변질이 방지된다.
둘째,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신뢰성 있는 덮개용 진공 마개를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 및 습기의 유입을 방지하며 내부의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복잡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아 적은 비용으로 이중 진공 상태를 만들고 유지할 수 있다.
셋째, 유골합의 내부 유골용기에 공기 및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유골함 독자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유골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에 장치되는 항온 항습기 및 냉난방 공조기 등의 막대한 시설의 설치비용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해당 시설의 운영비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진공 유골함의 겉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진공 유골함 전체의 구성품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진공 유골함 전체가 조립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면이다. 점선으로 이루어진 원 안의 모습은 내부 덮개용 진공 마개와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의 상대적 모습 및 이중 덮개가 닫힌 모습의 단면을 보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진공 유골함의 중간 덮개를 닫고 내부를 진공상태로 변경한 경우,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가 삽입 구멍을 차단하여 내부의 진공상태를 안정된 구조로 유지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진공 유골함의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 고정용 링 및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 고정용 부재가 분해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진공 유골함의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가 펌프 동작에 의해 상하 운동을 실시하며 내부를 진공상태로 변경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진공 유골함의 내부 덮개를 닫고 내부를 진공상태로 변경한 경우, 내부 덮개용 진공 마개가 삽입 구멍을 차단하여 내부의 진공상태를 유지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를 확대시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덮개용 진공 마개를 확대시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관점에서 본 발명은, 유골 또는 골분을 보관하는 내부 유골용기(400)와; 상기 내부 유골용기(400)를 개폐하는 내부 덮개(300)와; 상기 내부 덮개의 상부에서 내부 유골용기(400)를 한 번 더 개폐하는 중간 덮개(200)를 구비하는 유골함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덮개(300)는 내부 덮개(300)의 상부 어느 일부 영역 상에 지정되며, 상기 지정된 일부 영역의 상부로부터 상기 지정된 일부 영역의 하부까지 관통된 구멍 형태로 존재하는 진공마개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 유골용기(400) 안의 대기를 진공상태로 형성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내부 유골용기(400) 안의 대기가 외부로 배출되게끔 틈새를 마련해 주고, 상기 내부 유골용기(400) 안의 대기가 진공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틈새를 막아 상기 내부 유골용기(400)를 밀폐시키는 내부 덮개용 진공 마개(310); 상기 내부 덮개용 진공 마개(3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 덮개용 진공 마개(310)을 고정시키는 내부 덮개용 진공마개 고정용 부재(320); 상기 내부 덮개(300)의 둘레에 부착되어 상기 내부 덮개(300)와 내부 유골용기(400) 사이의 기밀성을 형성시켜 진공을 유지시키는 내부덮개 기밀유지용 링(340); 및 상기 내부 덮개(300)와 내부 유골용기(400) 사이를 기밀성이 잘 유지될 수 있는 형상을 만드는 내부덮개 기밀유지용 돌기(330)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덮개(200)는 중간 덮개(200)의 상부 어느 일부 영역 상에 지정되며, 상기 지정된 일부 영역의 상부로부터 상기 지정된 일부 영역의 하부까지 관통된 구멍 형태로 존재하는 진공마개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중간 덮개(200)와 내부 덮개(300) 사이 영역을 진공상태로 형성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중간 덮개(200)와 내부 덮개(300) 사이 영역의 대기가 외부로 배출되게끔 틈새를 마련해 주고, 상기 중간 덮개(200)와 내부 덮개(300) 사이 영역의 대기가 진공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틈새를 막아 상기 중간 덮개(200)와 내부 덮개(300) 사이 영역을 밀폐시키는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210); 상기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2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210)을 고정시키는 중간 덮개용 진공마개 고정용 부재(230); 및 중간 덮개(200)의 안쪽에 위치하여 내부 유골용기(400)와는 밀폐용 홈(410)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중간 덮개 안쪽 밀폐용 나사산(240)을 포함하는, 이중 진공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덮개(100)와 외부 용기(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진공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유골함을 제공한다. 외부 덮개(100)와 외부 용기(500)은 도자기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자기 외에도 나무, 플라스틱, 석재 등 다양한 재료가 외부 덮개(100)와 외부 용기(500)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유골용기(400)는 내부와 외부의 2개 층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의 층은 초벌구이한 황토 재질이며, 외부의 층은 ABS 수지 재질이어서 진공 상태를 깨뜨리는 미세한 통기 구멍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초벌구이한 황토 재질은 자기 또는 석재 등을 유골함으로 사용할 때의 문제점인 통기성이 해소되고 흡습성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내부 덮개용 진공마개(310)와 상기 중간 덮개용 진공마개(210)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편의성을 위해 크기와 재질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내부덮개용 진공마개(310)는 탄성 재질로 제조되며, 진공 공간 형성 후 작용 시 충격력 또는 압력을 제공받는 헤더부(311); 상기 헤더부(311)의 하부와 연결되며, 상기 헤더부(311)에 가해진 충격력 또는 압력으로 인해 진공마개 삽입 구멍에 결탁되는 결탁부(312); 및 상기 헤더부(311)에 가해진 충격력 또는 압력을 전달받아 진공마개 삽입 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결탁부(312)가 진공마개 삽입 구멍과 결탁됨에 따라, 지정된 일부 영역의 하부 밖으로 돌출되는 소켓부(313)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부(313)는, 상기 결탁부(312)의 하부와 연결된 원뿔 모양으로 제작되며, 상기 원뿔의 꼭지점중앙을 둘로 분리시킴에 따라 생성된 제 1, 2 꼭지 부분이 진공마개 삽입 구멍에 삽입될 경우, 상기 원뿔의 바닥면이 상기 지정된 일부 영역의 하부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210)는 탄성 재질로 제조되며, 진공 공간 형성 후 작용 시 충격력 또는 압력을 제공받는 헤더부(211); 상기 헤더부(211)의 하부와 연결되며, 상기 헤더부(211)에 가해진 충격력 또는 압력으로 인해 진공마개 삽입 구멍에 결탁되는 결탁부(212); 및 상기 헤더부(211)에 가해진 충격력 또는 압력을 전달받아 진공마개 삽입 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결탁부(212)가 진공마개 삽입 구멍과 결탁됨에 따라, 지정된 일부 영역의 하부 밖으로 돌출되는 소켓부(213)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부(213)는, 상기 결탁부(212)의 하부와 연결된 원뿔 모양으로 제작되며, 상기 원뿔의 꼭지점중앙을 둘로 분리시킴에 따라 생성된 제 1, 2 꼭지 부분이 진공마개 삽입 구멍에 삽입될 경우, 상기 원뿔의 바닥면이 상기 지정된 일부 영역의 하부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진공 유골함의 겉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본 발명의 이중진공 유골함(1)은 외부에서 볼 때 둥근 형태의 도자기 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진공 유골함 전체의 구성품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면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바깥에서 안쪽으로 나아가면서 분해하면, 외부 덮개(100), 중간 덮개(200), 내부 덮개(300), 내부 유골용기(400) 및 외부 용기(500)로 크게 구분된다.
중간 덮개(200) 부분에는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210)가 있고, 중간 덮개(200)의 어느 부분에 있어도 상관이 없지만 일반적으로 중간 덮개(200)의 상부로 볼록하게 솟아서 가운데 움푹 파인 부분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210)의 상부에는 중간덮개용 진공 마개 고정용 부재(230)가 있어서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210)를 나사산을 이용하여 고정하며, 고정용 부재(230)와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210) 사이에는 중간덮개 기밀유지용 링(220)이 밀폐성을 유지하도록 돕는다. 마지막으로 중간 덮개(200)의 안쪽 밀폐용 나사산(240)과 내부 유골용기(400)의 밀폐용 홈(410) 나사산이 맞물려 폐쇄되며 그 사이에 중간 덮개 기밀유지용 링(250)이 존재하여 밀폐성을 높인다. 중간 덮개 기밀유지용 링(250)은 고무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덮개(300)에는 내부 덮개용 진공 마개(310)가 있고, 내부 덮개(300)의 어느 부분에 있어도 상관이 없지만 일반적으로 내부 덮개(300)의 가운데에 위치한다. 내부 덮개용 진공 마개(310)를 통해 안쪽 공간에 진공이 형성된 후, 진공 마개(310) 상부에는 내부덮개용 진공 마개 고정용 부재(320)가 있어서 진공 마개(310)를 고정시킨다. 내부 덮개(300)의 둘레에는 진공 상태를 만든 후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내부 덮개 기밀유지 링(340)이 있으며 기밀유지 링(340)과 맞물리며 기밀성이 잘 유지될 수 있는 형상을 만드는 내부덮개 기밀유지용 돌기(330)가 있다. 기밀유지 링(340)은 고무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밀유지 링(340)은 8mm 내지 12mm의 두께를 갖는 고무패킹 및 양면 테이프 중 선택된 하나로 내부 덮개(300) 하부의 원둘레 면에 부착 또는 접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밀유지 링(340)과 내부덮개 기밀유지용 돌기(330)가 맞물려 기밀성을 유지하는 모습은 도 3의 단면도 확대 부분을 통해 확인된다.
내부 유골용기(400)의 상부에는 밀폐용 홈(410)이 있고 홈의 나사산이 중간 덮개(200)의 안쪽 밀폐용 나사산(240)과 맞물려 내부 유골용기(400)를 폐쇄하게 된다. 내부 유골용기는 내부와 외부의 2개 층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의 층은 초벌구이한 황토 재질이며, 외부의 층은 ABS 수지 재질이다. 초벌구이한 황토 재질의 내부 층은 미세한 구멍을 가지고 있어서 통기성과 흡습성이 있고, 환경친화적인 소재이다. ABS 수지 재질의 외부 층은 외부와의 미세한 통기 구멍이 없어서 진공 상태를 유지시켜 준다. ABS 수지 외에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최외곽에는 외부 용기(500)가 모든 구성 요소들을 수용한다. 외부 용기(500)는 외부 덮개(100)과 마찬가지로 도자기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도자기 외에도 나무, 플라스틱, 석재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진공 유골함 전체가 조립되었을 때의 단면도 도면이며, 외부 덮개(100), 중간 덮개(200), 내부 덮개(300), 내부 유골용기(400) 및 외부 용기(500) 상호간의 결합관계와 위치관계를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점선으로 이루어진 원 안의 확대한 부분 모습을 보면, 중간 덮개(200)의 안쪽 밀폐용 나사산(240)이 내부 유골용기(400)의 기밀용 홈(410)의 나사산과 결합되고, 내부 덮개(300)는 내부덮개 기밀유지용 링(340)과 내부덮개 기밀유지용 돌기(330)의 결합에 의해 내부의 공간이 진공 상태가 형성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른 점선으로 이루어진 원 안의 확대한 모습을 보면, 이중 진공 상태가 완성되었을 때, 내부 덮개용 진공 마개(210)와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310)의 상호 위치 관계 및 이를 고정시키는 중간 덮개용 진공마개 고정용 링(220), 중간 덮개용 진공마개 고정용 부재(230) 및 내부 덮개용 진공마개 고정용 부재(320)와의 상호 결합 관계를 볼 수 있다. 한편 외부 용기(500)는 외부 덮개(100)와 진공상태를 형성하지 않고 결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진공 유골함의 중간 덮개(200)를 닫고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내부를 진공상태로 변경한 경우,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210)가 삽입 구멍을 차단하여 내부의 진공상태를 안정된 구조로 유지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중간 덮개(200)와 내부 덮개(300) 사이의 영역이 진공 펌프의 반복적인 펌프 동작의 영향으로 인해 절대기압 0.3 bar 이하의 진공상태로 변경될 경우,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210)는 외부 대기와 내부 대기 간의 기압차에 의해 자동 생성된 흡착력으로 인해 진공마개 삽입 구멍을 차단하고 기존에 있던 틈새를 막음으로써 밀폐시키게 된다. 또한,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210)의 상부에는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 고정용 부재(230)가 위치하여 진공 마개(210)를 고정시키게 된다. 중간 덮개(200)와 고정용 부재(230) 사이에는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고무 재질의 고정용 링(220)이 위치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들의 분해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 5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진공 유골함의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210)가 외부의 진공 펌프 동작에 의해 상하 운동을 실시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210)의 헤더부(211)에 맞대고 진공 펌프를 동작시키면 진공 펌프의 펌프 동작으로 말미암아 기존의 틈새를 이용하여 중간 덮개(200) 안쪽에 존재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 중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210)의 상하 운동이 일어나며, 이는 중간 덮개(200) 안쪽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나가게끔 배출 공간을 마련해 주기 위한 동작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진공 유골함의 내부 덮개(300)를 닫고 내부를 진공상태로 변경한 경우, 내부 덮개용 진공 마개(310)가 삽입 구멍을 차단하여 내부의 진공상태를 유지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내부 덮개(300) 안쪽의 대기가 진공 펌프 동작의 영향으로 인해 절대기압 0.2 bar 이하의 진공상태로 변경될 경우, 내부 덮개용 진공 마개(310)는 외부 대기와 내부 대기 간의 기압차에 의해 자동 생성된 흡착력으로 인해 진공마개 삽입 구멍을 차단하고 기존에 있던 틈새를 막음으로써 밀폐시킨다. 그 후에 다시 한번 중간 덮개(200)로 진공 상태를 만들게 되므로, 내부 덮개용 진공 마개(310)가 안쪽 영역을 밀폐시킨 후에는 내부 덮개용 진공 마개 고정용 부재(320)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며 진공 상태도 내부 덮개(300) 안쪽은 절대기압 0.2 bar 이하가 되게 하고, 내부 덮개(300)와 중간 덮개(200) 사이는 절대기압 0.3 bar 이하가 되게 하여 차이를 둔다. 가장 안쪽의 영역을 가장 낮은 절대기압의 진공 상태가 되게 하고, 중간 덮개(200)과 내부 덮개(300) 사이의 영역은 그보다 높은 절대기압의 진공 상태로 만들어야 음압 때문에 흡착력이 유지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210)를 확대시켜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덮개용 진공 마개(310)를 확대시켜 보여주는 도면인데, 필요한 경우 크기에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같이 설명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210)와 내부 덮개용 진공 마개(310)는 탄성 재질로 제조된 외부와 차단하는 수단인 것으로 세부 구성에 있어 헤더부(211, 311), 결탁부(212, 312) 및 소켓부(213, 313)를 포함한다. 헤더부(211, 311)는 진공마개 삽입 구멍에 삽입시, 인위적으로 주입시키는 충격력 또는 압력을 제공받는데, 헤더부(211, 311)는 상광하협형(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형태) 원통모양으로 제작되며, 하협에 해당하는 하부 원통 상의 지름이 진공마개 삽입 구멍의 지름보다 크다. 헤더부(211, 311)에 기존 형성된 하부 원통의 지름이 진공마개 삽입 구멍의 지름보다 큰 이유는 진공 펌프의 펌프 동작이 실시되더라도 중간 덮개(200) 또는 내부 덮개(300)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대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헤더부(211, 311)는 상광하협형 원통 둘레를 고무재질 또는 탄성물질의 밀폐고리(214, 314)로 둘러쌈으로써, 진공 펌프의 펌프 동작으로 인해 마개의 안쪽이 진공 상태로 변경될 경우 진공 상태를 그대로 유지케 하여 밀폐성을 높인다.
결탁부(212, 312)는 헤더부(211, 311)의 하부와 연결되며, 헤더부(211, 311)에 가해진 충격력 또는 압력으로 인해 진공마개 삽입 구멍과 결탁된다. 결탁부(212, 312)는 진공마개 삽입 구멍과 결탁하는 수단이며, 외부의 진공 펌프의 펌프 동작시 원통 길이 범위 내에서 상하 운동을 반복적으로 실시하는 수단으로써, 진공 펌프의 펌프 동작에 의해 마개 내부의 대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끔 틈새를 마련해 주는 역할을 한다.
소켓부(213, 313)는 헤더부(211, 311)에 가해진 충격력 또는 압력을 전달받아 진공마개 삽입 구멍에 삽입되는 입구부로, 결탁부(212, 312)가 진공마개 삽입 구멍과 결탁될 경우 진공마개 삽입 구멍이 형성된 덮개의 지정된 일부 영역 하부, 즉, 진공마개 삽입 구멍으로부터 돌출된다. 소켓부(213, 313)는 결탁부(212, 312)의 하부와 연결된 원뿔 모양으로 제작되며, 원뿔의 꼭지점 중앙을 둘로 분리시켜 제 1꼭지부(215, 315) 및 제2꼭지부(216, 316)가 각각 형성되도록 제조된다.
소켓부(213, 313)의 원뿔 꼭지점이 제 1꼭지부(215, 315) 및 제2꼭지부(216, 316)로 분리된 이유는 진공마개 삽입 구멍에 삽입될 경우, 제 1꼭지부(215, 315) 및 제2꼭지부(216, 316)가 탄력적으로 수축되도록 하여 진공마개 삽입 구멍에서의 삽입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라 하겠다. 소켓부(213, 313)는 제 1꼭지부(215, 315) 및 제2꼭지부(216, 316)가 진공마개 삽입 구멍으로 들어가는 그 순간 측면이 서로 접촉하면서 삽입되며, 소켓부(213, 313) 자신의 원뿔 바닥면이 지정된 일부 영역의 하부 즉, 중간 덮개(200) 또는 내부 덮개(300)의 하부면과 맞닿게 될 때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210)와 내부 덮개용 진공 마개(310)가 비로소 중간 덮개(200) 또는 내부 덮개(300)와 결탁되게 된다.
여기서, 제 1꼭지부(215, 315) 및 제2꼭지부(216, 316) 사이에 존재하는 꼭지부 내부 공간(217, 317)은 제 1꼭지부(215, 315) 및 제2꼭지부(216, 316)가 진공 마개 삽입 구멍에 삽입되게끔 탄력적으로 이완 수축시키는 조정 영역으로, 제 1꼭지부(215, 315) 및 제2꼭지부(216, 316)가 진공마개 삽입 구멍 삽입 시 꼭지부 내부 공간(217, 317) 만큼 탄력적으로 수축되기 때문에 소켓부(213, 313)의 원뿔 지름이 비교적 크더라도 진공마개 삽입 구멍에 자연스럽게 삽입될 수 있다. 제 1꼭지부(215, 315) 및 제2꼭지부(216, 316)가 진공마개 삽입 구멍에 삽입 완료되면, 꼭지부 내부 공간(217, 317)은 수축된 상태에서 탄력적으로 이완된 자신의 원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 : 유골함
100 : 외부 덮개
200 : 중간 덮개
210 :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
211 : 중간 덮개용 진공마개 헤더부
212 : 중간 덮개용 진공마개 결탁부
213 : 중간 덮개용 진공마개 소켓부
214 : 중간 덮개용 진공마개 밀폐고리
215 : 중간 덮개용 진공마개 제1꼭지부
216 : 중간 덮개용 진공마개 제2꼭지부
217 : 중간 덮개용 진공마개 꼭지부 내부 공간
220 : 중간 덮개용 진공마개 고정용 링
230 : 중간 덮개용 진공마개 고정용 부재
240 : 중간 덮개 안쪽 밀폐용 나사산
250 : 중간 덮개 기밀유지용 링
300 : 내부 덮개
310 : 내부 덮개용 진공 마개
311 : 내부 덮개용 진공마개 헤더부
312 : 내부 덮개용 진공마개 결탁부
313 : 내부 덮개용 진공마개 소켓부
314 : 내부 덮개용 진공마개 밀폐고리
315 : 내부 덮개용 진공마개 제1꼭지부
316 : 내부 덮개용 진공마개 제2꼭지부
317 : 내부 덮개용 진공마개 꼭지부 내부 공간
320 : 내부 덮개용 진공마개 고정용 부재
330 : 내부 덮개 기밀유지용 돌기
340 : 내부 덮개 기밀유지용 링
400 : 내부 유골용기
410 : 밀폐용 홈
500 : 외부 용기

Claims (5)

  1. 유골 또는 골분을 보관하는 내부 유골용기(400)와; 상기 내부 유골용기(400)를 개폐하는 내부 덮개(300)와; 상기 내부 덮개의 상부에서 내부 유골용기(400)를 한 번 더 개폐하는 중간 덮개(200)와; 외부 덮개(100)와; 외부 용기(500)를 구비하는 유골함에 있어서,
    상기 내부 유골용기(400)는 내부와 외부의 2개 층으로 이루어지고, 내부의 층은 초벌구이한 흡습성의 황토 재질이며, 외부의 층은 ABS 수지 재질이어서 진공 상태를 깨트릴 수 있는 통기 구멍이 없고,
    상기 내부 덮개(300)는
    내부 덮개(300)의 상부 어느 일부 영역 상에 지정되며, 상기 지정된 일부 영역의 상부로부터 상기 지정된 일부 영역의 하부까지 관통된 구멍 형태로 존재하는 진공마개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내부 유골용기(400) 안의 대기를 진공상태로 형성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내부 유골용기(400) 안의 대기가 외부로 배출되게끔 틈새를 마련해 주고, 상기 내부 유골용기(400) 안의 대기가 0.2 bar 이하의 진공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틈새를 막아 상기 내부 유골용기(400)를 밀폐시키는 내부 덮개용 진공 마개(310);
    상기 내부 덮개용 진공 마개(3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내부 덮개용 진공 마개(310)을 고정시키는 내부 덮개용 진공마개 고정용 부재(320);
    상기 내부 덮개(300)의 둘레에 부착되어 상기 내부 덮개(300)와 내부 유골용기(400) 사이의 기밀성을 형성시켜 진공을 유지시키는 내부덮개 기밀유지용 링(340); 및
    상기 내부 덮개(300)와 내부 유골용기(400) 사이를 기밀성이 잘 유지될 수 있는 형상을 만드는 내부덮개 기밀유지용 돌기(330)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덮개(200)는
    중간 덮개(200)의 상부 어느 일부 영역 상에 지정되며, 상기 지정된 일부 영역의 상부로부터 상기 지정된 일부 영역의 하부까지 관통된 구멍 형태로 존재하는 진공마개 삽입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중간 덮개(200)와 내부 덮개(300) 사이 영역을 진공상태로 형성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중간 덮개(200)와 내부 덮개(300) 사이 영역의 대기가 외부로 배출되게끔 틈새를 마련해 주고, 상기 중간 덮개(200)와 내부 덮개(300) 사이 영역의 대기가 0.3 bar 이하의 진공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틈새를 막아 상기 중간 덮개(200)와 내부 덮개(300) 사이 영역을 밀폐시키는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210);
    상기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2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210)을 고정시키는 중간 덮개용 진공마개 고정용 부재(230); 및
    중간 덮개(200)의 안쪽에 위치하여 내부 유골용기(400)와는 밀폐용 홈(410)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중간 덮개 안쪽 밀폐용 나사산(240)을 포함하는, 이중 진공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유골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덮개용 진공마개(310)는 탄성 재질로 제조되며, 진공 공간 형성 후 작용 시 충격력 또는 압력을 제공받는 헤더부(311); 상기 헤더부(311)의 하부와 연결되며, 상기 헤더부(311)에 가해진 충격력 또는 압력으로 인해 진공마개 삽입 구멍에 결탁되는 결탁부(312); 및 상기 헤더부(311)에 가해진 충격력 또는 압력을 전달받아 진공마개 삽입 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결탁부(312)가 진공마개 삽입 구멍과 결탁됨에 따라, 지정된 일부 영역의 하부 밖으로 돌출되는 소켓부(313)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부(313)는, 상기 결탁부(312)의 하부와 연결된 원뿔 모양으로 제작되며, 상기 원뿔의 꼭지점중앙을 둘로 분리시킴에 따라 생성된 제 1, 2 꼭지 부분이 진공마개 삽입 홀에 삽입될 경우, 상기 원뿔의 바닥면이 상기 지정된 일부 영역의 하부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진공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유골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덮개용 진공 마개(210)는 탄성 재질로 제조되며, 진공 공간 형성 후 작용 시 충격력 또는 압력을 제공받는 헤더부(211); 상기 헤더부(211)의 하부와 연결되며, 상기 헤더부(211)에 가해진 충격력 또는 압력으로 인해 진공마개 삽입 구멍에 결탁되는 결탁부(212); 및 상기 헤더부(211)에 가해진 충격력 또는 압력을 전달받아 진공마개 삽입 구멍에 삽입되며, 상기 결탁부(212)가 진공마개 삽입 구멍과 결탁됨에 따라, 지정된 일부 영역의 하부 밖으로 돌출되는 소켓부(213)를 포함하며,
    상기 소켓부(213)는, 상기 결탁부(212)의 하부와 연결된 원뿔 모양으로 제작되며, 상기 원뿔의 꼭지점중앙을 둘로 분리시킴에 따라 생성된 제 1, 2 꼭지 부분이 진공마개 삽입 홀에 삽입될 경우, 상기 원뿔의 바닥면이 상기 지정된 일부 영역의 하부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진공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유골함.
KR20140168402A 2014-11-28 2014-11-28 이중진공 유골함 KR101501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8402A KR101501577B1 (ko) 2014-11-28 2014-11-28 이중진공 유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8402A KR101501577B1 (ko) 2014-11-28 2014-11-28 이중진공 유골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577B1 true KR101501577B1 (ko) 2015-03-12

Family

ID=53027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68402A KR101501577B1 (ko) 2014-11-28 2014-11-28 이중진공 유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5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227B1 (ko) * 2016-03-02 2016-10-14 정보영 나노실버 페이스트가 코팅된 유골함
KR20190002643U (ko) * 2018-04-13 2019-10-23 주창만 개량형 유골함
KR20210129883A (ko) * 2020-04-21 2021-10-29 주식회사 더클레이 유골함
KR102584389B1 (ko) * 2023-02-07 2023-10-05 정진일 진공 납골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042Y1 (ko) * 2009-06-01 2009-12-21 유선열 진공 유골함
KR101049419B1 (ko) * 2011-02-28 2011-07-14 (주)한울 진공 납골함
KR101215544B1 (ko) * 2010-11-12 2012-12-26 이현승 봉안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042Y1 (ko) * 2009-06-01 2009-12-21 유선열 진공 유골함
KR101215544B1 (ko) * 2010-11-12 2012-12-26 이현승 봉안함
KR101049419B1 (ko) * 2011-02-28 2011-07-14 (주)한울 진공 납골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227B1 (ko) * 2016-03-02 2016-10-14 정보영 나노실버 페이스트가 코팅된 유골함
KR20190002643U (ko) * 2018-04-13 2019-10-23 주창만 개량형 유골함
KR200492279Y1 (ko) * 2018-04-13 2020-09-09 주창만 개량형 유골함
KR20210129883A (ko) * 2020-04-21 2021-10-29 주식회사 더클레이 유골함
KR102418196B1 (ko) * 2020-04-21 2022-07-08 이왕일 유골함
KR102584389B1 (ko) * 2023-02-07 2023-10-05 정진일 진공 납골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577B1 (ko) 이중진공 유골함
KR101184583B1 (ko) 반도체 웨이퍼 수납용기
KR20140076772A (ko) 진공 유골함
EP1883933A4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HIGH-RADIOACTIVE WASTE
KR101049419B1 (ko) 진공 납골함
KR20170056947A (ko) 2중 유골함
US3620409A (en) Storage chest for silverware or the like
KR200447042Y1 (ko) 진공 유골함
US11286098B2 (en) Resealable container cap
CN205758927U (zh) 水晶树脂真空骨灰盒
KR101215544B1 (ko) 봉안함
US20200339316A1 (en) Multi-use child protective packaging container with purge and humidity control
KR102418196B1 (ko) 유골함
KR101116624B1 (ko) 병 마개
KR101233087B1 (ko) 진공 납골함
KR101162921B1 (ko)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KR101950583B1 (ko) 진공납골함
KR101690986B1 (ko) 리드를 꽂아 사용하는 향수병 탄성마개
KR101502108B1 (ko) 보존성이 향상된 밀폐 방식의 진공 유골함
JP2009286417A (ja) 通気性容器
KR101909641B1 (ko) 진공을 유지시켜 주는 덮개
CN207684079U (zh) 一种具有双重密封结构的化学试剂瓶
KR200403946Y1 (ko) 납골함
US20200383862A1 (en) Cinerary urn set
KR20080001728U (ko) 유골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