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1677Y1 - 납골단지 - Google Patents

납골단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1677Y1
KR200221677Y1 KR2020000033609U KR20000033609U KR200221677Y1 KR 200221677 Y1 KR200221677 Y1 KR 200221677Y1 KR 2020000033609 U KR2020000033609 U KR 2020000033609U KR 20000033609 U KR20000033609 U KR 20000033609U KR 200221677 Y1 KR200221677 Y1 KR 2002216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ossuary
ashes
complex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6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효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효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효신
Priority to KR20200000336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16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16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1677Y1/ko

Link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납골단지에 관한 것으로, 납골분묘에 안치되는 원통형의 납골단지가 구비되되, 상기 납골단지는 유골을 넣어 보관하게 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단지 본체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저면의 소정부에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신축성이 양호한 재질로 이루어진 실리콘 등으로 밀폐시켜 통공부를 형성하고, 상기 단지 본체의 상부 쪽에 형성된 플랜지의 외측면에 기밀용 링이 끼워지도록 홈테를 형성한 단지 본체와, 이 단지 본체의 상부를 덮어주는 덮개가 구성됨으로써, 납골단지에 담겨지는 유골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면서 덮개를 기밀용 링에 의해 긴밀하게 밀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분이나 먼지 및 해충 등과 같은 이 물질이 접근하는 것을 완벽하게 막아주게 되어 유골을 양호한 상태로 장기간 보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시에 보다 견고한 상태로 유지시켜 유골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납골단지{A charnel pot}
본 고안은 유골을 보관할 수 있도록 된 납골단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지 본체의 저면에 형성한 구멍을 신축성이 양호한 실리콘 등으로 밀폐시키고 주사기를 삽입하여 납골단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납골단지의 단지 본체와 덮개를 기밀용 링에 의해 결합시키도록 함으로써 덮개와 본체간에 밀폐력이 보장되게 하고 유골의 변질, 부패를 막아줄 수 있도록 한 납골단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사망하게 되는 경우에는 매장하거나 화장을 하게 되는 바, 우리나라의 경우 전통적으로 매장을 통한 분묘를 만드는 것이 아직까지는 보편적으로 인식되어 오고 있으나, 묘지에 의해 국토가 잠식되는 제반 여건에 의해 점차 화장에 의한 장묘의례가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전통적인 매장문화가 변화해감에 따라 앞으로는 화장을 하여 유골을 모셔두는 납골분묘(납골당)의 필요성이 증대될 것이고, 이에 따라 유골을 담아 납골분묘에 안치되는 납골단지 및 그 부속품이 많이 필요하게 될 것이 예측되어, 상기 납골단지의 개발이 여러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납골단지의 종래 구조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골을 넣어 보관하게 되는 원통형의 단지 본체(101)와 이 단지 본체(101)의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102)로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납골단지(103)에 고인의 유골을 담아서 납골당에 안치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납골단지(103)는 단지 본체(101)의 개구된 상부를 큰 직경의 덮개(102)로 복개시킴으로서 외부 공기와 이 물질이 뚜껑의 틈새로 쉽게 유입되어 분말 상태인 유골에 수분과 이 물질이 침투되고, 이와 같이 분말 상태로 보관된 유골에 수분과 이 물질이 침투되면 유골이 변질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납골단지(103)에는 별도의 결합장치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이동시 납골단지(103)의 단지 본체(101)로부터 덮개(102)가 분리되어 납골단지(103)가 파손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도 1b에 도시한 것과 같은 납골단지가 제안되었는 바,
이는 납골단지(204)의 덮개(202)와 단지 본체(201)가 나사(203)결합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유골이 담겨진 납골단지(204)를 좀더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다수의 단점을 보완해서 개량된 상기의 납골단지(204)를 사용함에 따라 덮개(202)와 단지 본체(201)가 분리 분리되는 폐단은 막을 수 있었으나, 납골단지(204)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시간이 흐름에 따라 유골이 점차 부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골이 담긴 본체를 견고하게 밀폐시켜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납골단지를 매장하지 않고 유족이 볼 수 있는 외부에 장기간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납골단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단지본체의 저면에 형성한 구멍을 신축성이 양호한 실리콘 등으로 밀폐시켜 주사기를 삽입시키면서 납골단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거나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단지 본체와 덮개를 기밀용 링에 의해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시키는 중에는 덮개를 열거나 닫는 것이 가능하지만 공기의 흐름이 없는 상태에서는 전혀 열리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납골단지를 나타낸 단면도,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납골단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단지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납골단지의 분리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단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납골단지 2 - 단지 본체 3 - 통공부
4 - 플랜지 5 - 홈테 6 - 기밀용 링
20 - 덮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단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납골단지의 분리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납골단지의 사용 상태도이다.
상기와 같이 고안된 납골단지의 구성은, 납골분묘에 안치되는 원통형의 납골단지(1)를 구비하되,
상기 납골단지(1)는 유골(50)을 넣어 보관하게 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단지 본체(2)의 바닥면 소정부위에 형성한 구멍을 신축성이 양호한 재질로 이루어진 실리콘 등으로 밀폐시켜 통공부(3)를 형성하여 통해 공기의 유입이나 배출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단지 본체(2)의 상부쪽에는 플랜지(4)를 형성하여 이 플랜지(4)의 외측면에 기밀용 링(6)이 끼워지도록 홈테(5)를 형성하고,
상기 단지 본체(2)의 상부를 덮어줌과 더불어 그 내측면에 기밀용 링(6)이 긴밀하게 접하여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납골단지(1)를 사용할 때에는 먼저 기밀용 링(6)이 홈테(5)에 끼워진 단지 본체(2)의 상단 중앙에 개구된 입구를 통해 유골(50)를 부어 담는다. 이렇게 단지 본체(2)의 내부에 유골(50)가 담겨지면 단지 본체(2)의 저면에 형성된 통공부(3)에 주사기(10)를 삽입한다.
그 후 덮개(20)를 단지 본체(2)의 상부에 형성된 플랜지(4)부분에 삽입하여 기밀용 링(6)과 덮개(20)의 내측과 접촉하므로써 밀폐가 긴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은 유골(50)를 담은 후 덮개(20)를 단지 본체(2)에 형성된 플랜지(4)부분에 삽입될 때 단지 본체(2)의 내부에 내재되어있는 공기가 상기 단지 본체(2)의 저면에 형성된 통공부(3)에 삽입된 주사기(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덮개(20)의 삽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덮개(20)의 삽입 후 통공부(3)에 삽입된 주사기(10)를 빼내어 납골단지(1)의 내부가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결합된 납골단지(1)는 그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면서 유골(50)을 담아 상기 덮개(20)를 기밀용 링(6)에 의해 긴밀하게 밀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분이나 먼지 및 해충 등과 같은 이 물질이 접근하는 것을 완벽하게 막아주게 되어 장기간 유골(50)의 보존을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납골단지(1)의 이동시에 일어날 수 있는 덮개(20)의 열림 등을 철저하게 막아 줄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골 보관용 납골단지에 의하면, 납골단지에 담겨있는 유골을 진공 상태에서 기밀용 링과 단지 본체의 저면에 형성된 통공부에 의해 완벽하게 밀폐시켜 외부로부터 공기를 비롯한 이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유골이 담긴 납골단지를 유족이 볼 수 있는 외부에 보다 양호한 상태로 장기간 안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단지 본체(2) 저면의 구멍을 실리콘으로 밀폐시켜 통공부(3)를 형성하여 주사기(10)를 삽입하도록 하고,
    상기 단지 본체(2)의 상단에 형성한 플랜지(4)의 외측면에 홈테(5)를 형성하여 기밀용 링(6)이 끼워 덮개(20)가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단지.
KR2020000033609U 2000-11-30 2000-11-30 납골단지 KR2002216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609U KR200221677Y1 (ko) 2000-11-30 2000-11-30 납골단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609U KR200221677Y1 (ko) 2000-11-30 2000-11-30 납골단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1677Y1 true KR200221677Y1 (ko) 2001-04-16

Family

ID=73092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609U KR200221677Y1 (ko) 2000-11-30 2000-11-30 납골단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16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343A (ko) * 2001-03-09 2002-09-14 조인현 진공 납골함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343A (ko) * 2001-03-09 2002-09-14 조인현 진공 납골함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84027A1 (en) Urn with novel securing device
KR20140076772A (ko) 진공 유골함
KR101215544B1 (ko) 봉안함
US5590446A (en) Double depth crypt
KR200221677Y1 (ko) 납골단지
KR100636341B1 (ko) 이중 납골함의 내함 진공밀봉구조
KR101233087B1 (ko) 진공 납골함
KR20020095531A (ko) 진공 납골함
KR200231795Y1 (ko) 진공 납골함
KR200403946Y1 (ko) 납골함
KR100761485B1 (ko) 결로 방지구조를 갖는 평장형 봉안묘
CN111565697A (zh) 骨灰盒套具
KR101844115B1 (ko) 유골함
KR200179104Y1 (ko) 납골단지
KR102376374B1 (ko) 밀폐강화 유골함
KR200346840Y1 (ko) 유골함
KR200325790Y1 (ko) 납골함
KR100800265B1 (ko) 납골함
KR200323358Y1 (ko) 이중구조로 된 납골케이스
KR200458465Y1 (ko) 진공 유골함
KR200256395Y1 (ko) 유골함
KR100768910B1 (ko)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
KR200389574Y1 (ko) 납골함의 밀폐구조
KR200420011Y1 (ko) 납골함
KR200172615Y1 (ko) 매립형 납골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