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795Y1 - 진공 납골함 - Google Patents

진공 납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795Y1
KR200231795Y1 KR2020010006321U KR20010006321U KR200231795Y1 KR 200231795 Y1 KR200231795 Y1 KR 200231795Y1 KR 2020010006321 U KR2020010006321 U KR 2020010006321U KR 20010006321 U KR20010006321 U KR 20010006321U KR 200231795 Y1 KR200231795 Y1 KR 2002317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ver
ashes
vacuum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63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현
Original Assignee
조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현 filed Critical 조인현
Priority to KR20200100063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7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7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795Y1/ko

Links

Landscapes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부공기와 차단될 수 있게 유약이나 코팅 등으로 처리된 본체의 덮개에 통공을 형성하고, 이 통공에 세라믹 재질의 마개를 만들어 완전 밀폐시킨 다음, 마개에 흡입바늘을 끼워 본체 내부의 공기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유골의 변질 및 부식을 방지하고 벌레가 생기지 않도록 하여 장기간에 걸쳐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진공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 이 납골함은 내부 공간부(12)에 유골이 수납되는 본체(10)와, 에폭시 등의 접착재(50)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밀봉적으로 결합되며 통공(22)이 구비되어 있는 덮개(20)와, 상기 덮개(20)에 구비된 통공(22)에 삽입되어 외부와의 공기를 차단하고, 유골 보존시에는 흡입바늘 등을 끼워서 본체(10)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마개(30)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진공 납골함{VACUUM CHARNEL CONTAINER}
본 고안은 진공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납골함의 덮개에 통공을 형성하고 세라믹 재질의 마개를 통공에 끼워서 완전 밀폐시킨 다음, 유골의 보관시에는 마개에 흡입바늘을 끼워 납골함 내부의 공기를 완전히 배출시켜 제거함으로써, 유골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와 같이 화장보다는 매장을 선호하는 유교문화권에서는 국토의 면적이 한정되어 있고 묘지의 면적은 날로 증가되므로, 묘지의 절대적인 부족 및 그에 따른 국토 이용면적의 감소가 문제시되고 있다. 특히, 인구밀도가 높고 국토면적이 좁은 나라에서는 묘지 부족현상이 심화되어 큰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가에서는 매장보다 화장을 권고하고 있으며, 거의 절반에 가까운 사람들이 화장을 선호하고 있다. 화장을 하고 난 후에 발생된 납골을 보관하기 위해 현재에는 납골함에 넣어서 여러 가지 형태의 납골묘에 안장하게 된다. 대부분의 납골함은 석재나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만들기 때문에, 습기가 차서 내부의 유골이 부패하게 되며, 그로 인해 부패된 유골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되며, 벌레가 생겨 장기간에 걸친 보관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납골함 내에 습기가 차거나 벌레가 생겨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오라이트로 만들어진 이중 구조로 납골함을 제조함과 동시에, 납골단지가 보관되어 있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의 공간부에 제오라이트 분말을 충진하여 유골의 부식 및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제오라이트 납골함을 개발하여 실용신안등록 출원한 바 있다.
이 제오라이트 납골함은 유골의 변질을 막을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이중용기로 만들어야 하므로 구조가 다소 복잡하고 제조 코스트의 상승을 초래하며 제오라이트가 고가이므로 전체적인 제조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기존의 납골함 본체는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덮개에 간단한 구조의 통공을 형성한 다음, 이 통공에 마개를 끼우고 흡입바늘로 본체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진공상태로 만들어 유골의 부식을 방지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가격이 저렴하고 납골함 내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유골의 영구 보존이 가능한 진공 납골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 납골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 납골함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 납골함의 공기빼기 작업과정을 보인 일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12:공간부
20:덮개 22:통공
30:마개 32:원형 고정부
34:삽입부 40:흡입기
42:흡입바늘 50:접착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진공 납골함은 내부 공간부에 유골이 수납되는 본체와, 에폭시 등의 접착재에 의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밀봉적으로 결합되며 통공이 구비되어 있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구비된 통공에 삽입되어 외부와의 공기를 차단하고, 유골 보존시에는 흡입바늘 등을 끼워서 본체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마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납골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각각, 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 납골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진공 납골함의 공기빼기 작업과정을 보인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납골함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유골의 변질 및 부식을 막아 장기간에 걸쳐서 유골을 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납골함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유골이 안치되는 내부 공간부를 진공상태로만드는 방안을 예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골함의 본체(10)에 덮어 씌워지는 덮개(20)에 소정 크기의 통공(22)을 형성한 다음, 이 통공(22)에는 마개(30)를 밀봉적으로 삽입하여 납골함 내부를 외부공기와 차단되도록 하였다. 사용시에는 납골함 본체(10)의 공간부(12)에 유골을 안치한 상태에서, 본체(10)의 상단 테두리에 에폭시 등의 접착재(50)를 도포한 다음, 본체(10)의 상부에 덮개(20)를 밀봉적으로 덮어서 결합시킨다. 이때, 접착재(50)의 주입 및 경화를 위해서, 본체에는 접착재 삽입홈(10a)을 형성하였다. 본체(10)의 상단에 형성된 접착재 삽입홈(10a)에는 액상의 접착재가 충진되며 조립후에는 경화되면서 완전 밀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에, 덮개(20)의 통공(22)에 끼워져 있는 마개(3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기(40)의 선단에 부착되어 있는 흡입바늘(42)을 삽입한 후에, 흡입기(40)의 손잡이(44)를 잡아당긴다. 이 손잡이(44)를 잡아당기게 되면, 피스톤 로드(46)에 부착된 피스톤이 흡입기 본체(10)의 내벽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면서 납골함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이때, 흡입기(40)의 선단과 피스톤 사이에는 체크밸브(48)가 끼워져 있어, 흡입된 공기가 흡입바늘(42)을 통해서 납골함 본체(10)내부로 역류되는 것을 차단한다. 즉, 체크밸브(48)는 납골함 본체(10)내에 있는 공기의 배출은 가능하게 하지만, 흡입기(40)내에 들어 있는 공기가 납골함 본체(10)내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로 인해, 납골함 본체(10)내의 공간부(12)에 있는 공기는 모두 외부로 배출되어 진공상태가 됨으로써, 유골의 변질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덮개(20)에 구비된 통공(22)은 어느 위치에나 천공이 가능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테두리 근처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중앙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외부 공기와의 차단을 위해서 덮개(20)는 유약이나 코팅재 등을 도포하여 코팅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개(30)는 고무나 세라믹 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개(30)의 원형 고정부(32)표면에는 회사로고나 상표등을 인쇄하여 홍보효과를 높일 수도 있다. 마개(30)의 삽입부(34)는 통공(22)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한 다음, 통공(22)에 압입하여 삽입시킴으로써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납골함의 덮개의 윗면에 통공을 형성하고, 이 통공에 마개를 끼워서 납골함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구조의 진공 납골함에 관하여 예시하였으나, 본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가령, 납골함 덮개의 측면에 통공을 형성할 수 있으며, 흡입바늘 대신에 진공기 등을 이용하여 납골함 내부를 보다 확실하게 진공상태로 만들 수도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납골함의 상부를 덮는 뚜껑에 통공을 형성하고, 이 통공에는 세라믹 재질의 마개를 삽입한다. 사용시에는 납골함 내부에유골을 안치한 후에 에폭시 수지 등으로 만들어진 접착재를 이용하여 납골함의 상부에 덮개를 덮어 밀봉적으로 결합시킨 다음, 마개에 흡입바늘을 끼우고 납골함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진공상태로 만든다. 그로 인해, 유골의 변질을 막고 납골함 내에 습기가 차거나 벌레가 생겨 부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유골을 깨끗한 상태로 장기간에 걸쳐서 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그로 인해 납골묘 주위의 악취발생을 없애 납골묘의 주변환경 및 장묘 문화를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내부 공간부(12)에 유골이 수납되는 것으로, 상단에는 액상의 접착재가 충진되어 조립후에 경화되면서 완전 밀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접착재 삽입홈(10a)이 형성된 본체(10)와,
    에폭시 등의 접착재(50)에 의해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밀봉적으로 결합되며 통공(22)이 구비되어 있는 덮개(20)와,
    상기 덮개(20)에 구비된 통공(22)에 삽입되어 외부와의 공기를 차단하고, 유골 보존시에는 흡입바늘 등을 끼워서 본체(10)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마개(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납골함.
KR2020010006321U 2001-03-09 2001-03-09 진공 납골함 KR2002317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321U KR200231795Y1 (ko) 2001-03-09 2001-03-09 진공 납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6321U KR200231795Y1 (ko) 2001-03-09 2001-03-09 진공 납골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795Y1 true KR200231795Y1 (ko) 2001-07-19

Family

ID=73097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6321U KR200231795Y1 (ko) 2001-03-09 2001-03-09 진공 납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7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343A (ko) * 2001-03-09 2002-09-14 조인현 진공 납골함 및 그 제조방법
KR100800265B1 (ko) 2006-10-23 2008-02-04 홍영운 납골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343A (ko) * 2001-03-09 2002-09-14 조인현 진공 납골함 및 그 제조방법
KR100800265B1 (ko) 2006-10-23 2008-02-04 홍영운 납골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64880A (en) Plastic casket
KR200231795Y1 (ko) 진공 납골함
KR101255949B1 (ko) 유골부패방지용 진공 구조 납골함
KR101215544B1 (ko) 봉안함
KR20020072343A (ko) 진공 납골함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19411A (ko) 밀폐형 납골 보관함이 일체로 된 납골단
KR101233087B1 (ko) 진공 납골함
KR200441057Y1 (ko) 유골함
KR20100117466A (ko)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KR200450308Y1 (ko) 유골함
KR200221677Y1 (ko) 납골단지
KR101189188B1 (ko) 봉안함
KR100800265B1 (ko) 납골함
KR102376374B1 (ko) 밀폐강화 유골함
KR200346840Y1 (ko) 유골함
KR200259635Y1 (ko) 진공 납골함
KR200173781Y1 (ko) 유골함
KR200442396Y1 (ko) 멸균기능을 갖춘 납골함
KR200389574Y1 (ko) 납골함의 밀폐구조
CN111565697A (zh) 骨灰盒套具
KR200256395Y1 (ko) 유골함
KR100647129B1 (ko) 매장형 납골함
KR200259644Y1 (ko) 뚜껑에 탈취구가 형성된 납골단지
KR200325790Y1 (ko) 납골함
KR200385708Y1 (ko) 납골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