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374B1 - 밀폐강화 유골함 - Google Patents

밀폐강화 유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374B1
KR102376374B1 KR1020210092922A KR20210092922A KR102376374B1 KR 102376374 B1 KR102376374 B1 KR 102376374B1 KR 1020210092922 A KR1020210092922 A KR 1020210092922A KR 20210092922 A KR20210092922 A KR 20210092922A KR 102376374 B1 KR102376374 B1 KR 102376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height
protrusion
box cover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정일
Original Assignee
하얀나래 사회봉사자사회적협동조합
㈜테라토
전정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얀나래 사회봉사자사회적협동조합, ㈜테라토, 전정일 filed Critical 하얀나래 사회봉사자사회적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210092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10Jars, e.g. for preserving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4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강화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골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제1함,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고, 상단에 외측벽을 따라 나사홈이 형성되는 나사홈 돌기가 마련되며, 제1함을 고정하면서 수용하는 제2함,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제2함을 고정하면서 수용하는 제3함, 제1함의 상부를 덮고, 상단에 기초판과 기초판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된 돌출부로 형성되는 원판이 마련되며, 원판의 중앙에 밀폐수단이 마련되고, 하단 외측면에 패킹이 장착되는 제1함덮개, 제2함의 상부를 덮는 제2함덮개 및 제3함의 상부를 덮는 제3함덮개를 포함하고, 제2함덮개는 하단면 일측에 형성되는 삽입홈 형성 가이드, 삽입홈 형성 가이드가 형성하는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밀폐오링, 제1함덮개의 돌출부와 맞닿는 면에 밀폐오링의 돌출높이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기부 및 상단에 제1함덮개의 기초판 직경보다 크고, 원판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밀폐강화 유골함 {REINFORCED ENCLOSURE CREMATION URNS FOR ASHES}
본 발명은 밀폐강화 유골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골함의 밀폐력을 강화시키고, 밀폐된 상태를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는 유골함에 관한 것이다.
장묘문화에는 망자의 시신을 관에 넣고 매장하는 매장방식과 화장하고 남은 유골을 납골함에 넣고 납골당에 안치하는 화장방식이 있다. 최근에는 묘지 조성을 위한 공간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매장방식보다 화장을 통한 납골당에 안치하는 방식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래서 유골을 보관하여 납골당에 안치하기 위한 유골함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초기의 유골함은 단순한 도자기 또는 석재로 된 용기와 그 용기를 밀폐시키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구조였다. 이 경우 유골을 장기간 보관할 경우 습기와 기온의 변화로 인하여 유골이 쉽게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유골의 변질을 막기 위해 밀폐력이 향상된 밀폐강화 유골함에 관한 연구가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459634호
본 발명에 따르면, 3중 구조의 유골함을 사용함으로써, 밀폐된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유골함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돌기부와 돌출부를 마련함으로써, 제1함덮개를 가압하고 고정시켜 제1함덮개의 밀폐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밀폐강화 유골함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함덮개에 관통홀을 마련함으로써, 유골함의 용량을 확보하면서 간섭없이 덮개를 닫을 수 있는 밀폐강화 유골함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밀폐수단을 사용할 수 있는 밀폐강화 유골함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밀폐강화 유골함은, 유골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제1함,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고, 상단에 외측벽을 따라 나사홈이 형성되는 나사홈 돌기가 마련되며, 제1함을 고정하면서 수용하는 제2함,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제2함을 고정하면서 수용하는 제3함, 제1함의 상부를 덮고, 상단에 기초판과 기초판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된 돌출부로 형성되는 원판이 마련되며, 원판의 중앙에 밀폐수단이 마련되고, 하단 외측면에 패킹이 장착되는 제1함덮개, 제2함의 상부를 덮는 제2함덮개 및 제3함의 상부를 덮는 제3함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밀폐강화 유골함의 제2함덮개는, 하단면 일측에 형성되는 삽입홈 형성 가이드, 삽입홈 형성 가이드가 형성하는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밀폐오링, 제1함덮개의 돌출부와 맞닿는 면에 밀폐오링의 돌출높이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기부 및 상단에 제1함덮개의 기초판 직경보다 크고, 원판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밀폐강화 유골함의 돌기부는, 제2함덮개의 하단면 가장자리 부분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원주를 따라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밀폐강화 유골함은, 패킹의 최대 수축 길이인 제1길이, 밀폐오링의 최대 수축 길이인 제2길이, 돌기부의 높이인 제1높이, 밀폐오링의 높이인 제2높이, 제1함덮개의 돌출부 상면에서부터 제1함덮개의 하면까지 높이인 제3높이 및 나사산 돌기의 높이인 제4높이에 대하여, 제1길이는 제1높이와 제2높이의 차에 제2길이를 합한 것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되고, 제3높이와 제4높이는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밀폐강화 유골함의 밀폐수단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돌출된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3중 구조의 유골함을 사용함으로써, 밀폐된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돌기부와 돌출부를 마련함으로써, 제1함덮개를 가압하고 고정시켜 제1함덮개의 밀폐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함덮개에 관통홀을 마련함으로써, 유골함의 용량을 확보하면서 간섭없이 덮개를 닫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밀폐수단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밀폐강화 유골함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제2함덮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제2함덮개의 돌기부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례에 따른 제2함덮개의 돌기부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제1함덮개와 제2함덮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제1함덮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제1함, 제2함, 제1함덮개 및 제2함덮개의 높이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밀폐강화 유골함의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례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례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인 밀폐강화 유골함(100)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밀폐강화 유골함(100)의 분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밀폐강화 유골함(100)은 제1함(110), 제2함(120), 제3함(130), 제1함덮개(140), 제2함덮개(150) 및 제3함덮개(160)를 포함한다.
제1함(110)은 유골(200)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함(110)은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함(120)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고, 상단에 외측벽을 따라 나사홈(121)이 형성되는 나사홈 돌기(122)가 마련되며, 제1함(110)을 고정하면서 수용할 수 있다. 나사홈 돌기(122)를 제외한 제2함(120)의 높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함(120) 안에 제1함(110)이 수용된 상태에서의 제1함(110)의 상면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함(120)은 제1함(110)의 외측면에 밀착 고정된다.
제3함(130)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제2함(120)을 고정하면서 수용할 수 있다. 제3함(130)의 높이는 제3함(130) 안에 제2함(110)이 수용된 상태에서의 제2함(110)의 상면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함(130)은 제2함(120)의 외측면에 밀착 고정된다.
제1함덮개(140)는 상기 제1함(110)의 상부를 덮고, 상단에 기초판(142a)과 상기 기초판(142a)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된 돌출부(142b)로 형성되는 원판(142)이 마련되며, 상기 원판(142)의 중앙에 밀폐수단(143)이 마련되고, 하단 외측면에 패킹(141)이 장착될 수 있다.
제2함덮개(150)는 상기 제2함(120)의 상부를 덮을 수 있고, 제3함덮개(160)는 상기 제3함(13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와 도 5를 참고하여 제2함덮개(15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제2함덮개(150)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제1함덮개(140)와 제2함덮개(15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제2함덮개(150)는 삽입홈 형성 가이드(154), 밀폐오링(151), 돌기부(155) 및 관통홀(152)을 포함한다.
삽입홈 형성 가이드(154)는 제2함덮개(150)의 하단면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밀폐오링(151)은 상기 삽입홈 형성 가이드(154)가 형성하는 삽입공간(156)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밀폐오링(151)은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155)는 제1함덮개(140)의 상기 돌출부(143)와 맞닿는 면에 상기 밀폐오링(151)의 돌출높이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홀(15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함덮개(150)의 상단에, 상기 제1함덮개(140)의 상기 기초판(142a) 직경(H)보다 크고, 상기 원판(142) 직경(G)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H < 관통홀(152)의 직경 < G이다.
관통홀(152)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 후술될 손잡이부(144)와 제2함덮개(150)의 간섭 때문에 제1함(110)의 높이를 낮게 형성하거나, 제2함(120) 또는 제2함덮개(150)의 높이를 높게 형성해야 한다. 제1함(110)의 높이를 낮게 형성하면 유골(200)을 담을 수 있는 용량이 작아지고, 제2함(120) 또는 제2함덮개(150)의 높이를 높게 형성하면 유골함 전체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생긴다. 하지만 관통홀(152)이 마련됨으로써, 후술될 손잡이부(144)가 돌출되어도 유골함의 용량을 확보하면서 덮개 간 간섭 없이 제2함덮개(150)를 덮을 수 있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제2함덮개(150)의 돌기부(155)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돌기부(155)는 제2함덮개(150)의 하단면 가장자리 부분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원주를 따라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고하면, 또 다른 실시례로 돌기부(155)는 다수 개가 아닌 하나의 원 형태로 띠를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원의 직경은 삽입홈 형성 가이드(154)의 직경보다 약간(삽입홈 형성 가이드 직경의 88~92%)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155)는 상기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지 않고, 반구, 원기둥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제1함덮개(14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제1함덮개(1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142), 밀폐수단(143) 및 패킹(141)을 포함할 수 있다.
원판(142)은 상단에 마련된 기초판(142a)과 상기 기초판(142a)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된 돌출부(142b)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42b)가 마련됨으로써, 제2함덮개(150)의 돌기부(155)에서 제1함덮개(140)로 압력이 전해져, 밀폐력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1함덮개(140)의 중앙엔 밀폐수단(143)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밀폐수단(143)은 진공펌프(미도시) 형식을 사용하여 제1함(1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빼낼 수 있다. 상기 밀폐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제1함(110)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유골(200)이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수단(143)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돌출된 손잡이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144)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밀폐수단(143)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제1함(110), 제2함(120), 제1함덮개(140) 및 제2함덮개(150)의 높이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패킹(141)의 최대 수축 길이인 제1길이(A), 밀폐오링(151)의 최대 수축 길이인 제2길이(B), 돌기부(155)의 높이인 제1높이(C), 밀폐오링(151)의 높이인 제2높이(D), 제1함덮개(140)의 돌출부(142b) 상면에서부터 상기 제1함덮개(140)의 하면까지 높이인 제3높이(E) 및 상기 나사산 돌기(122)의 높이인 제4높이(F)에 대하여, 상기 제1길이(A)는 상기 제1높이(C)와 상기 제2높이(D)의 차에 상기 제2길이(B)를 합한 것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3높이(E)와 상기 제4높이(F)는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즉, E=F,
Figure 112021081821917-pat00001
이다.
위의 조건을 만족할 때, 유골함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나사홈 돌기(122)가 밀폐오링(151)을 수축시키고, 돌기부(155)가 돌출부(142b)를 가압하여 패킹(141)이 수축되면서 제1함(110)을 강하게 밀폐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인 밀폐강화 유골함(100)의 사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밀폐강화 유골함(100)의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제3함(130)에 제2함(120)이 밀착 고정되고, 상기 제2함(120)에 제1함(110)이 밀착 고정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함(110)의 내부에 유골(200)을 넣고 상기 제1함(110)의 상부를 제1함덮개(140)로 덮는다. 그리고 손잡이부(144)를 잡고 위아래로 움직여 제1함(1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빼낸다.
다음으로, 제2함덮개(150)를 덮고, 나사산(153)과 나사홈(121)을 따라 회전시킨다. 제2함덮개(150)를 회전시킴에 따라 돌출된 손잡이부(144)는 관통홀(152)을 통과하고, 돌기부(155)가 돌출부(142b)를 가압하면서 제1함(110)과 제1함덮개(140)의 밀폐력을 강화시킨다. 이때, 나사홈 돌기(122)가 밀폐오링(151)을 가압하여 밀폐오링(151)을 수축시키고, 패킹(141)이 제1함(110)과 제1함덮개(140) 사이에서 압착, 수축된다.
끝으로, 제3함덮개(160)를 덮는다. 제3함(130)과 제3함덮개(160)에는 고인의 정보나 원하는 문양, 장식, 문구 등을 프린트하거나 새길 수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르면, 3중 구조의 유골함을 사용함으로써, 밀폐된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돌기부(155)와 돌출부(142b)를 마련함으로써, 제1함덮개(140)를 가압하고 고정시켜 제1함덮개(140)의 밀폐력을 강화시킬 수 있고, 제2함덮개(150)에 관통홀(152)을 마련함으로써, 유골함의 용량을 확보하면서 간섭 없이 덮개를 닫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부(144)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쉽게 밀폐수단(143)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비록 한정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상기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례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밀폐강화 유골함
110: 제1함
120: 제2함
121: 나사홈
122: 나사홈 돌기
130: 제3함
140: 제1함덮개
141: 패킹
142: 원판
142a: 기초판
142b: 돌출부
143: 밀폐수단
144: 손잡이부
150: 제2함덮개
151: 밀폐오링
152: 관통홀
153: 나사산
154: 삽입홈 형성 가이드
155: 돌기부
156: 삽입공간
160: 제3함덮개
200: 유골
A: 제1길이
B: 제2길이
C: 제1높이
D: 제2높이
E: 제3높이
F: 제4높이
G: 원판의 직경
H: 기초판의 직경

Claims (4)

  1. 유골(200)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제1함(110);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마련되고, 상단에 외측벽을 따라 나사홈(121)이 형성되는 나사홈 돌기(122)가 마련되며, 제1함(110)을 고정하면서 수용하는 제2함(120);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제2함(120)을 고정하면서 수용하는 제3함(130);
    상기 제1함(110)의 상부를 덮고, 상단에 기초판(142a)과 상기 기초판(142a)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된 돌출부(142b)로 형성되는 원판(142)이 마련되며, 상기 원판(142)의 중앙에 밀폐수단(143)이 마련되고, 하단 외측면에 패킹(141)이 장착되는 제1함덮개(140);
    상기 제2함(120)의 상부를 덮는 제2함덮개(150); 및
    상기 제3함(130)의 상부를 덮는 제3함덮개(160)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함덮개(150)는,
    하단면 일측에 형성되는 삽입홈 형성 가이드(154);
    상기 삽입홈 형성 가이드(154)가 형성하는 삽입공간(156)에 삽입되는 밀폐오링(151);
    상기 제1함덮개(140)의 상기 돌출부(142b)와 맞닿는 면에 상기 밀폐오링(151)의 돌출높이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돌기부(155); 및
    상단에 상기 제1함덮개(140)의 상기 기초판(142a) 직경보다 크고, 상기 원판(142)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관통홀(152);을 포함하고,
    상기 밀폐수단(143)은,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돌출된 손잡이부(1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강화 유골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55)는,
    상기 제2함덮개(150)의 하단면 가장자리 부분에 기설정된 간격으로 원주를 따라 다수 개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강화 유골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141)의 최대 수축 길이인 제1길이(A), 상기 밀폐오링(151)의 최대 수축 길이인 제2길이(B), 상기 돌기부(155)의 높이인 제1높이(C), 상기 밀폐오링(151)의 높이인 제2높이(D), 상기 제1함덮개(140)의 상기 돌출부(142b) 상면에서부터 상기 제1함덮개(140)의 하면까지 높이인 제3높이(E) 및 상기 나사홈 돌기(122)의 높이인 제4높이(F)에 대하여,
    상기 제1길이(A)는 상기 제1높이(C)와 상기 제2높이(D)의 차에 상기 제2길이(B)를 합한 것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3높이(E)와 상기 제4높이(F)는 같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강화 유골함
  4. 삭제
KR1020210092922A 2021-07-15 2021-07-15 밀폐강화 유골함 KR102376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922A KR102376374B1 (ko) 2021-07-15 2021-07-15 밀폐강화 유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922A KR102376374B1 (ko) 2021-07-15 2021-07-15 밀폐강화 유골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6374B1 true KR102376374B1 (ko) 2022-03-18

Family

ID=80936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922A KR102376374B1 (ko) 2021-07-15 2021-07-15 밀폐강화 유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37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634B1 (ko) 2001-06-14 2004-12-03 양방운 진공 납골함
JP3157763U (ja) * 2009-10-23 2010-03-04 正憲 大山 ガラス製真空骨つぼ
KR20100117466A (ko) * 2009-04-24 2010-11-03 정형근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KR20120014402A (ko) * 2010-08-09 2012-02-17 이현승 봉안함
KR20130081371A (ko) * 2012-01-09 2013-07-17 신길현 납골용기 및 이를 안치하는 납골실
KR101380622B1 (ko) * 2012-10-18 2014-04-04 이현승 내함의 이탈을 방지하는 3중구조 납골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634B1 (ko) 2001-06-14 2004-12-03 양방운 진공 납골함
KR20100117466A (ko) * 2009-04-24 2010-11-03 정형근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JP3157763U (ja) * 2009-10-23 2010-03-04 正憲 大山 ガラス製真空骨つぼ
KR20120014402A (ko) * 2010-08-09 2012-02-17 이현승 봉안함
KR20130081371A (ko) * 2012-01-09 2013-07-17 신길현 납골용기 및 이를 안치하는 납골실
KR101380622B1 (ko) * 2012-10-18 2014-04-04 이현승 내함의 이탈을 방지하는 3중구조 납골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76772A (ko) 진공 유골함
KR102376374B1 (ko) 밀폐강화 유골함
KR101215544B1 (ko) 봉안함
KR20110091622A (ko) 유골부패방지용 진공 구조 납골함
KR101162921B1 (ko)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KR100636341B1 (ko) 이중 납골함의 내함 진공밀봉구조
KR102470013B1 (ko) 진공펌프를 구비한 유골함
KR101189188B1 (ko) 봉안함
JP3212067U (ja) 埋葬イメージの水晶骨壺構造
KR200492279Y1 (ko) 개량형 유골함
KR200237083Y1 (ko) 진공 납골함
US20200383862A1 (en) Cinerary urn set
KR100407830B1 (ko) 진공 납골함
KR200403946Y1 (ko) 납골함
KR100800265B1 (ko) 납골함
KR101380622B1 (ko) 내함의 이탈을 방지하는 3중구조 납골함
KR101950583B1 (ko) 진공납골함
KR200231795Y1 (ko) 진공 납골함
KR200306341Y1 (ko) 유골함
KR200346840Y1 (ko) 유골함
KR100778556B1 (ko) 봉안함 및 그를 이용한 납골방법
KR101909641B1 (ko) 진공을 유지시켜 주는 덮개
KR200191041Y1 (ko) 납골함의 밀폐장치
KR101844115B1 (ko) 유골함
KR200256677Y1 (ko) 납골함 패킹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