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7830B1 - 진공 납골함 - Google Patents

진공 납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830B1
KR100407830B1 KR10-2000-0074514A KR20000074514A KR100407830B1 KR 100407830 B1 KR100407830 B1 KR 100407830B1 KR 20000074514 A KR20000074514 A KR 20000074514A KR 100407830 B1 KR100407830 B1 KR 100407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ashes
bellows
jaw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4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5174A (ko
Inventor
양방운
Original Assignee
양방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방운 filed Critical 양방운
Priority to KR10-2000-0074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830B1/ko
Publication of KR20020045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5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8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6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in a special atmosp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납골함에 관한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망자의 시신을 화장처리하여 얻어진 유골의 부패를 방지하고, 해충 및 유해균의 침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방습기능이 구비되어 유골의 영구보존이 가능하게 되는 진공 납골함을 제공하는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진공 납골함{ASHS BOX}
본 발명은 진공 납골함에 관한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망자의 시신을 화장처리하여 얻어진 유골의 부패를 방지하고, 해충 및 유해균의 침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방습기능이 구비되어 유골의 영구보존이 가능하게 되는 진공 납골함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의 장묘문화는 화장을 기피하고 매장을 선호하는 매장 위주의 장묘관행이 뿌리깊게 박혀 있어 묘지 조성을 위한 국토의 잠식과 자연환경의 훼손이 매우 심각한 실정이다.
이러한 매장 위주의 장묘문화를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화장과 납골당의 안치를 장려하고 있어 납골당의 설치가 활기를 띠고 있으나, 이와 같은 납골당의 이용이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묘지의 기능을 단순히 시신 혹은 유골의 매장공간으로 제한 하는것이 아니라 후손들이 고인을 기억하고 이를 기릴수 있으면서 유골의 본존 상태를 양호히 유지시키는 기능으로 확대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종래에도 이러한 납골당 또는 납골탑 및 납골함에 대한 여러 기술들이 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납골함은 단순히 도자기 또는 석재로된 용기와 그 용기를 밀폐시키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유골을 장기적으로 보관하는데 있어 습기와 기온변화로 인하여 유골이 쉽게 변질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예를 들자면 용기에 단순히 뚜껑을 재치하는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습기를 포함한 외부 공기가 그 틈사이로 들어가 내부에 보관되고 있는 유골에 닿아 변색을 유발시키거나, 또한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자연 발생되는 결로현상에 의해 변색 및 부패등 변질요인을 제공하고, 그로인해 곰팡이등 유해균의 서식이 가능하게 될 뿐아니라 그 틈사이로 벌레의 침입이 가능하여 부패 및 변질, 변색되는것으로 인해 이를 온전한 상태로 장기간 보존 하는것은 불가능한 일로 여겨져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유골함이 갖는 구조적 결함에 의해 발생되는 여러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연구 창출 된 것으로, 이를 제공하는 목적은 유골의 부패를 방지하고, 해충 및 유해균의 침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방습기능이 구비되어 유골의 영구보존이 가능하게 되는 진공 납골함을 제공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골을 온전한 상태로 장기 보존함과 동시에 용기 외면에 망자의 영정 및 위패등을 부착하여 후손들이 망자의 생전 모습을 기억하고 이를 기릴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외관을 보여주는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a 및 도 2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와 작동 상태를 예시한 요부 발췌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몸체와 뚜껑체의 결합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뚜껑체
3 : 방습제 4 : 공기 배출장치
5 : 작동 손잡이 11, 21 : 돌턱
22 : 씰링 23 : 관통공
41 : 승강축 42 : 받침편
43 : 자바라형 튜브 44 : 고정체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재질로 이를 구성하되 외부공기를 차단함과 아울러 방습제를 설치하고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내부 공기의 기압을 낮춤으로서 결국 진공효과를 얻을수 있게 함으로서 가능하였는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 해 질것이다.
즉,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몸체(1)와 뚜껑체(2)로 된 납골함에 있어서,
상기 몸체(1)의 상단 외주에는 밀폐를 위한 돌턱(11)이 등간격을 이루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뚜껑체(2)의 하단 외주에는 상기 몸체(1)에 형성된 돌턱(11)과 대응되는 돌턱(21)이 내부로 절곡된 형태를 이루어 균등 형성되며,
상기 뚜껑체(2)에 형성된 돌턱(21)의 상면에는 밀폐를 위한 씰링(22)이 끼워지고,
상기 뚜껑체(2)의 내부 중앙에는 하부에 방습제(3)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공기 배출장치(4)가 외부의 작동손잡이(5)의 회전에 의해 그와 나사 결합된 승강축(41)이 상승하여 자바라형튜브(43)를 상승, 수축시키면서 그 내부에 갇혀 있던 공기를 뚜껑체(2)에 형성된 미세홀(24)을 통해 외부로 배출 시킬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이때 상기 공기 배출장치(4)를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첨부된 도 2a 및 도 2b 에서 보여주는 바와같이,
뚜껑체(2)의 중앙에 관통공(23)이 형성되어 작동수단인 승강축(41)이 내부에서 부터 끼워져 상부에 위치한 작동 손잡이(5)와 나사 결합되되,
상기 승강축(41)의 하단부에는 받침편(42)과 자바라형 튜브(43)가 순차적으로 끼워져서 상기 자바라형 튜브(43)의 상단이 뚜껑체(2)의 내면에 밀폐 고정되고,
상기 자바라형 튜브(43)의 외면측에는 하부에 통공(44a)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방습제(3)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 결합된 고정체(44)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미설명부호로서 6 은 영정 또는 위패, 7 은 표식용 라벨을 각각 나타낸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몸체(1)와 뚜껑체(2)를 구성하는 재질은 도자기재이거나 석재 또는 여타의 금속재로 구성할수 있어, 본 발명을 이루는 몸체(1) 또는 뚜껑체(2)의 재질은 구애 받지 않고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내 외부 온도차로 인해 용기의 내부에 자연 발생될수 있는 결로현상을 최소화 할수 있게 하는 재질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주석을 채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함을 알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주석으로 만들어지는 납골함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겠다.
몸체(1)와 뚜껑체(2)를 각각의 성형틀에 의해 제조하여 뚜껑체(2)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23)에 자바라형 튜브(43)가 결합되어 있는 승강축(41)을 뚜껑체(2)의 내부에서 부터 끼워 외부로 돌출시키고 작동 손잡이(5)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공에 결합시킨다음, 자바라형 튜브(43)의 상단을 뚜껑체(2)의 내면에 단단히 결합시켜 준다.
이때에는 자바라형 튜브(43)의 상단에 밀폐고정을 위해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된 링을 그 외주에 끼우고 나사고정 하거나, 필요에 따라서는 자바라형 튜브(43)의 상단에 접착제를 미리 도포하고 뚜껑체(2)에 직접 나사결합 하는 방법을 택할수도 있겠다.
다음으로 상기 자바라형 튜브(43)의 외주를 구획 보호함과 동시에 하단부에 방습제(3)를 착탈가능하게 끼우고 그 내부에 위치할 자바라형 튜브(43)의 공간을 하부로 돌출 구획시키는 고정체(44)를 용착 또는 나사고정하는등의 통상의 방법으로 고정하여준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뚜껑체(2)의 내부에는 공기 배출장치(4)가 설치완료 되고 그 외부 상단측에 결합된 작동손잡이(5)의 중앙에 형성된 나사공이 일정 길이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자바라형 튜브(43)의 내부와 승강축(41)이 끼워진 관통공(23)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내외부 공기의 밀도차가 없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뚜껑체(2)의 하단측에 내부로 절곡된 형태를 띠고 있는 돌턱(21)에 씰링(22)을 끼우고 몸체(1)의 상단에 형성된 돌턱(11)에 대응되게 재치하여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납골함으로서의 사용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몸체(1)의 전방 및 후방측에는 망자의 영정이나 위패(6)를 부착할수 있는데, 이는 망자의 생전 모습을 후손이 오래도록 기억하고 이를 기릴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때의 영정 및 위패는 통상의 사진 또는 위패를 끼워 부착할수도 있겠으나, 바람직 하기로는 영정의 경우 음각 및 돌출기법이나 사진을 부착하여 약품처리등 표면처리를 행한후 돌출 또는 함몰 부착시키거나 미도시 하였으나 조립가능하게 하여 사용케 하는것이 영정 또는 위패의 부식방지 및 파손방지와 사용수명으 연장을 위해 바람직 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이를 사용하게 되는경우, 몸체(1)를 고정한 상태에서 뚜껑체(2)에 약간의 힘을 가해 일측으로 회전시켜 몸체(1)와 뚜껑체(2)를 분리시키고, 화장을 행해 발생한 망자의 유골을 몸체(1) 내에 통상의 방법으로 투입한다.
이때에는 집안풍속이나 지방특색에 따라 유골을 한지에 쌓거나 삼베천에 쌓을수도 있겠다.
상기의 방법에 의해 유골의 투입이 완료되고 나면 분리시켜 두었던 뚜껑체(2)을 몸체(1)의 상단에 재치하고 약간의 힘을 가해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뚜껑체(2)의 하단 외주에 형성된 돌턱(21)과 몸체(1)의 상단 외주에 형성된 돌턱(11)이 상호 끼워 맞춰지는 형태로 끼워져 고정 폐쇄되면서 씰링(22)을 압착 함으로 인해유골함의 내부가 밀폐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뚜껑체(2)의 상부 중앙에 위치한 작동 손잡이(5)를 일측으로 다수회 회전시켜 주면 그 중앙부에 형성된 나사공과 승강축(41)의 상단이 나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그 회전에 따라 승강축(41)이 상부로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승강축(41)의 하부가 받침편(42)에 의해 지지되는 자바라형 튜브(43)의 하부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작동손잡이(5)의 회전에 따른 승강축(41)의 상승 작동에 따라 자바라형 튜브(43)가 상부를 향해 수축되어 지면서 상기 자바라형 튜브(43)의 내부에 갇혀 있던 공기가 미세홀(24)을 통하여 상부로 이동시키고, 이동된 공기는 손잡이(5)의 내부에 위치 하였다가 그 손잡이(5)의 하부에 다수개 형성된 통로(51)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결국, 뚜껑체(2)가 몸체(1) 상단에 결합되어 내부를 밀폐시키고 있으면서 자바라형 튜브(43)안에 갇혀져 있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고정체(44)의 하단에 통공(44a)이 연통되어 있기 때문에 유골함 내부의 공기밀도에 변화를 주게 되어 결국, 유골함 내부의 공기압을 낮추게 됨으로서 유골함 내부가 진공상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수 있게 되는것이다.
상기에서의 작동이 완료되고 나면 작동 손잡이(5)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공의 상단을 통상의 캡으로 폐쇄하여 마감하고 적합한 장소에 이동, 안치시켜 목적하는바 대로 사용하면 되는데,
이때 안치된 장소에 따라 내외부의 온도차가 발생될수 있으나, 이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주석을 택하여 제조하였으므로 외부의 온도가 내부에 작용하여 일차적으로 결로현상의 발생을 억제하게 되고, 미소하게 발생될수 있는 수분은 내부에 기 장착되어 있는 방습제(3)가 흡습 작용하여 그 하부에 보존되고 있는 유골에 수분의 침입을 방지하게 되어 변색 및 변질의 요인을 제거 하게된다.
또한 유골함의 내부는 씰링(22)에 의해 밀폐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특히 외부와 기압이 낮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 배출장치(4)를 역작동시켜 기압을 맞춰주지 않는 이상 그 폐쇄 상태를 해제 할수가 없어 해충 및 유해세균의 침입이 방지되게 됨으로서 내부의 유골이 온전한 상태로 장기 보존될수 있다.
또한 몸체(1) 외면에 부착 또는 조립되는 영정이나 위패부착공간은 그 크기를 규격화하여 유골함 주문시 후손이 제공하는 사진 또는 위패를 표면처리 하여 규격화하고 이를 간단히 부착 시키는 것 만으로 그 식별 또는 표식행위가 가능해져 그 사용이 보다 간단 용이하고 외관의 미려함 및 망자에 대한 친근감을 함께 얻을수 있는 부수적 잇점도 함께 제공한다.
또한 도 4 는 몸체(1)의 외주에 걸림턱(10a)을 다수개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10a)에는 힌지(10b) 결합된 작동편(10c)의 걸고리(10d)가 상호 조립되는 상태로 결합 될 수 있게 함으로서 유골함의 내부를 밀폐시킬수 있는 일례를 보여준다.
이러한것은 필요에 따라 뚜껑체(2)에 전술한 공기 배출장치를 부착 결합시켜 내부의 공기압을 변화 시킴으로서 전술한 본 발명과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얻을수 있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재질을 선택하여 제조함으로서 유골함의 내외부 온도차를 최소하여주고 그로인해 유골함 내부에 발생될수 있는 결로현상을 억제하여 수분에 의해 발생될수 있는 유골의 변색 및 변질등의 부패를 방지하고, 우수한 밀폐성과 유골함 내부의 진공상태 유지로 인해 해충 및 유해균의 침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잔여 습기는 방습제가 흡습하여 유골을 온전한 상태로 영구 보존이 가능하게 되었을 뿐아니라 용기 외면에 망자의 영정 및 위패등을 부착하여 후손들이 망자의 생전 모습을 기억하고 이를 장구히 기릴수 있는등의 여러 유용한 효과를 동시에 거둘수 있는 매우 유익한 발명임이 명백하다.
끝으로, 본 발명에서는 특정의 구조를 갖는 몸체 및 뚜껑체를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성형주조가 용이하고 열전도율이 우수한 주석을 그 재질로 구성한다는 설명도 한바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특정의 구조를 갖는 몸체 및 뚜껑체와, 주석을 주 재질로하는 것, 그리고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는 유골함의 구조가 각 지방 또는 집안의 전통에 따라 달라질수 있고, 용이하게 변형가능하다 할 것이며, 또한 본 발명에선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였을뿐 유골함을 이루고 있는 재질이 도자기, 석재, 기타 다른 금속으로 이룰수 있어, 그 변형되는 정도가 몸체와 뚜껑체의 형태, 그 결합부에 대한 간단한 설계변경, 균등물의 치환정도이고, 유골함 내부의 기압을 낮추기 위한 공기배출장치의 간단한 설계변경 및 균등물의 치환 내지 교체장착한 정도라면 이는 후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허 청구범위의 범주로 부터 벗어날수 없음을 미리 밝혀둔다.

Claims (7)

  1. 몸체(1)와 뚜껑체(2)로 된 납골함에 있어서,
    상기 몸체(1)의 상단 외주에는 밀폐를 위한 돌턱(11)이 등간격을 이루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뚜껑체(2)의 하단 외주에는 상기 몸체(1)에 형성된 돌턱(11)과 대응되는 돌턱(21)이 내부로 절곡된 형태를 이루어 균등 형성되며,
    상기 뚜껑체(2)에 형성된 돌턱(21)의 상면에는 밀폐를 위한 씰링(22)이 끼워지고,
    상기 뚜껑체(2)의 내부 중앙에는 하부에 방습제(3)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공기 배출장치(4)가 외부의 작동손잡이(5)의 회전 작동에 의해 그와 나사 결합된 승강축(41)이 상승하여 자바라형 튜브(43)를 수축시키면서 그 내부에 갇혀 있던 공기를 뚜껑체(2)에 형성된 미세홀(24)을 통해 외부로 배출 시킬수 있게 구성되어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하는 진공 유골함.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장치(4)는 뚜껑체(2)의 중앙에 관통공(23)이 형성되어 작동수단인 승강축(41)이 내부에서 부터 끼워져 상부에 위치한 작동 손잡이(5)와 나사 결합되되,
    상기 승강축(41)의 하단부에는 받침편(42)과 자바라형 튜브(43)가 순차적으로 끼워져서 상기 자바라형 튜브(43)의 상단이 뚜껑체(2)의 내면에 밀폐 고정되고,
    상기 자바라형 튜브(43)의 외면측에는 하부에 통공(44a)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방습제(3)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 결합된 고정체(44)가 설치되어 이루어진것을특징으로하는 진공 유골함.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몸체(1)의 외주에는 걸림턱(10a)을 다수개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10a)에는 뚜껑체(2)에 힌지(10b) 결합된 작동편(10c)의 걸고리(10d)가 상호 조립되는 상태로 결합 될 수 있게 구성된것을 특징으로하는 진공 유골함.
KR10-2000-0074514A 2000-12-08 2000-12-08 진공 납골함 KR100407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514A KR100407830B1 (ko) 2000-12-08 2000-12-08 진공 납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4514A KR100407830B1 (ko) 2000-12-08 2000-12-08 진공 납골함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436U Division KR200237083Y1 (ko) 2000-12-08 2000-12-08 진공 납골함
KR1020020065555A Division KR20020090968A (ko) 2002-10-25 2002-10-25 진공 납골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5174A KR20020045174A (ko) 2002-06-19
KR100407830B1 true KR100407830B1 (ko) 2003-12-06

Family

ID=27680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4514A KR100407830B1 (ko) 2000-12-08 2000-12-08 진공 납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78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134B1 (ko) * 2008-05-02 2011-05-19 (주)혁진팩 과일 재배용 봉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5174A (ko) 2002-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7830B1 (ko) 진공 납골함
KR200237083Y1 (ko) 진공 납골함
KR101501577B1 (ko) 이중진공 유골함
KR100459634B1 (ko) 진공 납골함
KR20110091622A (ko) 유골부패방지용 진공 구조 납골함
KR200385898Y1 (ko) 밀폐형 유골함 외함
KR101233087B1 (ko) 진공 납골함
KR20020090968A (ko) 진공 납골함
KR200418291Y1 (ko) 납골함
KR102376374B1 (ko) 밀폐강화 유골함
KR20080001728U (ko) 유골함
KR20100117466A (ko)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KR200221677Y1 (ko) 납골단지
KR20210129883A (ko) 유골함
KR200303004Y1 (ko) 활성탄과 석회석을 삽입한 기능성 납골함
KR200403946Y1 (ko) 납골함
KR200204316Y1 (ko) 유골 보관함
KR200240508Y1 (ko) 황토 유골함
KR200345559Y1 (ko) 납골함
KR200272506Y1 (ko) 밀폐형 음식물 보관 용기의 누름판의 구조
KR200346840Y1 (ko) 유골함
KR20030001050A (ko) 납골함
KR100818319B1 (ko) 진공 납골함
KR200198733Y1 (ko) 유골함
KR101844115B1 (ko) 유골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