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90968A - 진공 납골함 - Google Patents

진공 납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90968A
KR20020090968A KR1020020065555A KR20020065555A KR20020090968A KR 20020090968 A KR20020090968 A KR 20020090968A KR 1020020065555 A KR1020020065555 A KR 1020020065555A KR 20020065555 A KR20020065555 A KR 20020065555A KR 20020090968 A KR20020090968 A KR 20020090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ashes
cap
cinerary urn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5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방운
Original Assignee
양방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방운 filed Critical 양방운
Priority to KR1020020065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90968A/ko
Publication of KR20020090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096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납골함에 관한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망자의 시신을 화장처리하여 얻어진 유골의 부패를 방지하고, 해충 및 유해균의 침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방습기능이 구비되어 유골의 영구보존이 가능하게 되는 진공 납골함을 제공하는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진공 납골함{ASHS BOX}
본 발명은 진공 납골함에 관한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망자의 시신을 화장처리하여 얻어진 유골의 부패를 방지하고, 해충 및 유해균의 침입을 방지하여 유골의 영구보존이 가능하게 되는 진공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의 장묘문화는 화장을 기피하고 매장을 선호하는 매장 위주의 장묘관행이 뿌리깊게 박혀 있어 묘지 조성을 위한 국토의 잠식과 자연환경의 훼손이 매우 심각한 실정이다.
이러한 매장 위주의 장묘문화를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화장과 납골당의 안치를 장려하고 있어 납골당의 설치가 활기를 띠고 있으나, 이와 같은 납골당의 이용이 활성화 되기 위해서는 묘지의 기능을 단순히 시신 혹은 유골의 매장공간으로 제한 하는것이 아니라 후손들이 고인을 기억하고 이를 기릴수 있으면서 유골의 본존 상태를 양호히 유지시키는 기능으로 확대 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다.
종래에도 이러한 납골당 또는 납골탑 및 납골함에 대한 여러 기술들이 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납골함은 단순히 도자기 또는 석재로된 용기와 그 용기를 밀폐시키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유골을 장기적으로 보관하는데 있어 습기와 기온변화로 인하여 유골이 쉽게 변질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예를 들자면 용기에 단순히 뚜껑을 재치하는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습기를 포함한 외부 공기가 그 틈사이로 들어가 내부에 보관되고 있는 유골에 닿아 변색을 유발시키거나, 또한 내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자연 발생되는 결로현상에 의해 변색 및 부패등 변질요인을 제공하고, 그로인해 곰팡이등 유해균의 서식이 가능하게 될 뿐아니라 그 틈사이로 벌레의 침입이 가능하여 부패 및 변질, 변색되는것으로 인해 이를 온전한 상태로 장기간 보존 하는것은 불가능한 일로 여겨져 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유골함이 갖는 구조적 결함에 의해 발생되는 여러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연구 창출 된 것으로, 이를 제공하는 목적은 유골의 부패를 방지하고, 해충 및 유해균의 침입을 방지하여 유골의 영구보존이 가능하게 되는 진공 납골함을 제공 하려는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사용 상태를 예시한 요부 발췌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2 : 뚜껑체
8 : 연질캡9 : 공기 배출장치
11, 21 : 돌턱22 : 씰링
23 : 관통공91 : 니들핀
92 : 고정체93, 95 : 체크밸브
94 : 손잡이96 : 자바라형 튜브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재질로 이를 구성하되, 외부공기를 차단함과 아울러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내부 공기의 기압을 낮춤으로서 결국 진공효과를 얻을수 있게 함으로서 가능하였는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 해 질것이다.
즉,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가 개구된 용기 형태의 몸체(1)와 뚜껑체(2)로 된 납골함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2)의 상부 중앙부에 관통공(23)을 형성하여 실리콘 또는 라텍스 또는 고무등의 연질캡(8)을 고정부착하고 그 연질캡(8)의 상부 외측에 공기 배출장치(9)를 설치하되,
상기 공기 배출장치(9)는 상기 연질캡(8)을 통해 내부로 관통하는 니들핀(91)이 하부에 결합된 고정체(92)의 내부에 상기 니들핀(91)의 통공을 개폐하는 체크밸브(93)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상부에 손잡이(94)와 일측에 체크밸브(95)가 외부로 설치된 자바라형 튜브(96)가 상기 고정체(92)의 내면에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몸체(1)의 상단 외주에는 밀폐를 위한 돌턱(11)이 등간격을 이루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뚜껑체(2)의 하단 외주에는 상기 몸체(1)에 형성된 돌턱(11)과 대응되는 돌턱(21)이 내부로 절곡된 형태를 이루어 균등 형성되며,
상기 뚜껑체(2)에 형성된 돌턱(21)의 상면에는 밀폐를 위한 씰링(22)이 끼워져 이루어 진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몸체(1)와 뚜껑체(2)를 구성하는 재질은 도자기재이거나 석재 또는 여타의 금속재로 구성할수 있어, 본 발명을 이루는 몸체(1) 또는 뚜껑체(2)의 재질은 구애 받지 않고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내 외부 온도차로 인해 용기의 내부에 자연 발생될수 있는 결로현상을 최소화 할수 있게 하는 재질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주석을 채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함을 알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주석으로 만들어지는 납골함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겠다.
상기와 같이 몸체(1)와 뚜껑체(2)를 제조완성하여 연질캡(8)에 별도 완성한 공기배출장치(9)를 끼워 출시한후, 사용시 내부에 유골을 투입하고 몸체(1)와 뚜껑체(2)를 결합 한 다음, 상부에 위치한 작동손잡이(94)를 상하로 수회왕복 작동시켜 유골함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케 함으로서 공기압을 낮춰 결국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의 작동손잡이(94)는 초기에 하부로 내려가 있는상태를 유지하고 있는데, 작업자가 작동손잡이(94)를 잡고 약간의 힘을 가해 상부로 잡아당기게 되면 자바라형 튜브(96)가 신장되면서 그 공기의 이동압력에 의해 니들핀(91)을 폐쇄하고 있던 체크밸브(93)가 상부로 열려 유골함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게 되고,
이와는 반대로 상기 작동 손잡이(94)를 하부로 눌러주면 자바라형 튜브(96)가 수축되면서 그 공기압이 작용하여 개방되어 있던 니들핀(91) 상단의 체크밸브(93)를 폐쇄함과 동시에 공기압이 자바라형 튜브(96)의 상부외측에 설치된 체크밸브(95)를 외측으로 밀어 개방시킴으로서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같은 자바라형 튜브(96)의 상하 신축작용을 수회 반복하고 나면 유골함의 내부는 공기의 밀도가 낮아져 결국, 진공상태와 같은 상태를 유지함으로서 유골의 부패를 방지하고, 해충 및 유해균의 침입을 방지하여 유골의 영구보존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의 공기 배출장치(9)는 연질캡(8)으로부터 분리 이탈시켜 별도 보관하거나, 또는 니들핀(91)을 유골함의 내부로 깊이 주입하고 자바라형 튜브(96)를 최소한으로 축소시켜 그 상부에 별도의 캡(97)을 씌워 두는것이 차후 사용시의 편리함을 얻을수 있겠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몸체(1)의 전방 및 후방측에 망자의 영정이나 위패를 부착할수 있는데, 이는 망자의 생전 모습을 후손이 오래도록 기억하고 이를 기릴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때의 영정 및 위패는 통상의 사진 또는 위패를 끼워 부착할수도 있겠으나, 바람직 하기로는 영정의 경우 음각 및 돌출기법이나 사진을 부착하여 약품처리등 표면처리를 행한후 돌출 또는 함몰 부착시키거나조립가능하게 하여 사용케 하는것이 영정 또는 위패의 부식방지 및 마손방지와 사용수명의 연장을 위해 바람직 하다.
특히, 유골함의 내부는 씰링(22)에 의해 밀폐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특히 외부와 기압이 낮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 배출장치(4)를 역작동시켜 기압을 맞춰주지 않는 이상 그 폐쇄 상태를 해제 할수가 없어 해충 및 유해세균의 침입이 방지되게 됨으로서 내부의 유골이 온전한 상태로 장기 보존될수 있고, 필요에따라 흡습제등을 별도 투입하여 미소하게 발생 할 수 있는 습기를 완전히 제거하여 유골의 변질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몸체(1) 외면에 부착 또는 조립되는 영정이나 위패부착공간은 그 크기를 규격화하여 유골함 주문시 후손이 제공하는 사진 또는 위패를 표면처리 하여 규격화하고 이를 간단히 부착 시키는 것 만으로 그 식별 또는 표식행위가 가능해져 그 사용이 보다 간단 용이하고 외관의 미려함 및 망자에 대한 친근감을 함께 얻을수 있는 부수적 잇점도 함께 제공한다.
이와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재질을 선택하여 제조함으로서 유골함의 내외부 온도차를 최소화 하여주고 그로인해 유골함 내부에 발생될수 있는 결로현상을 억제하여 수분에 의해 발생될수 있는 유골의 변색 및 변질등의 부패를 방지하고, 우수한 밀폐성과 유골함 내부의 진공상태 유지로 인해 해충 및 유해균의 침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잔여 습기는 방습제가 흡습하여 유골을 온전한 상태로 영구 보존이 가능하게 되었을 뿐아니라 용기 외면에 망자의 영정 및 위패등을 부착하여 후손들이 망자의 생전 모습을 기억하고 이를 장구히 기릴수 있는등의 여러 유용한 효과를 동시에 거둘수 있는 매우 유익한 발명임이 명백하다.

Claims (1)

  1. 상부가 개구된 용기 형태의 몸체(1)와 뚜껑체(2)로 된 납골함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2)의 상부 중앙부에 관통공(23)을 형성하여 실리콘 또는 라텍스 또는 고무등의 연질캡(8)을 고정부착하고 그 연질캡(8)의 상부 외측에 공기 배출장치(9)를 설치하되,
    상기 공기 배출장치(9)는 상기 연질캡(8)을 통해 내부로 관통하는 니들핀(91)이 하부에 결합된 고정체(92)의 내부에 상기 니들핀(91)의 통공을 개폐하는 체크밸브(93)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는 상부에 손잡이(94)와 일측에 체크밸브(95)가 외부로 설치된 자바라형 튜브(96)가 상기 고정체(92)의 내면에 결합되어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유골함.
KR1020020065555A 2002-10-25 2002-10-25 진공 납골함 KR200200909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555A KR20020090968A (ko) 2002-10-25 2002-10-25 진공 납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5555A KR20020090968A (ko) 2002-10-25 2002-10-25 진공 납골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4514A Division KR100407830B1 (ko) 2000-12-08 2000-12-08 진공 납골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0968A true KR20020090968A (ko) 2002-12-05

Family

ID=27728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5555A KR20020090968A (ko) 2002-10-25 2002-10-25 진공 납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9096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1733B2 (en) * 2003-08-22 2007-02-06 Arumdaun Dong San Co., Ltd. Chest of cinerary urns
KR101014687B1 (ko) * 2010-09-29 2011-02-14 김해진 열풍기의 방열기 구조
KR101943794B1 (ko) * 2018-06-11 2019-01-29 김학경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가 구비된 오염수 정화장치의 공기 배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1733B2 (en) * 2003-08-22 2007-02-06 Arumdaun Dong San Co., Ltd. Chest of cinerary urns
KR101014687B1 (ko) * 2010-09-29 2011-02-14 김해진 열풍기의 방열기 구조
KR101943794B1 (ko) * 2018-06-11 2019-01-29 김학경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가 구비된 오염수 정화장치의 공기 배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9634B1 (ko) 진공 납골함
KR20020090968A (ko) 진공 납골함
KR200385898Y1 (ko) 밀폐형 유골함 외함
KR100407830B1 (ko) 진공 납골함
KR200237083Y1 (ko) 진공 납골함
KR101162921B1 (ko)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KR200421061Y1 (ko) 납골함
KR101950583B1 (ko) 진공납골함
KR200191041Y1 (ko) 납골함의 밀폐장치
KR200221677Y1 (ko) 납골단지
KR200325790Y1 (ko) 납골함
KR200403946Y1 (ko) 납골함
KR100761485B1 (ko) 결로 방지구조를 갖는 평장형 봉안묘
KR200256677Y1 (ko) 납골함 패킹구조
KR101844115B1 (ko) 유골함
KR101909641B1 (ko) 진공을 유지시켜 주는 덮개
KR200346840Y1 (ko) 유골함
KR200259635Y1 (ko) 진공 납골함
KR200231795Y1 (ko) 진공 납골함
KR102376374B1 (ko) 밀폐강화 유골함
KR102319742B1 (ko) 진공납골함
KR100800265B1 (ko) 납골함
KR100661500B1 (ko) 멸균진공 납골함
KR102300572B1 (ko) 기능성 진공 납골함
KR200240508Y1 (ko) 황토 유골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