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635Y1 - 진공 납골함 - Google Patents

진공 납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635Y1
KR200259635Y1 KR2020010026040U KR20010026040U KR200259635Y1 KR 200259635 Y1 KR200259635 Y1 KR 200259635Y1 KR 2020010026040 U KR2020010026040 U KR 2020010026040U KR 20010026040 U KR20010026040 U KR 20010026040U KR 200259635 Y1 KR200259635 Y1 KR 2002596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vacuum
valve
opening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0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용
Original Assignee
김창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용 filed Critical 김창용
Priority to KR20200100260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6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6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635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뚜껑의 개폐 없이 몸체내부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고 약품이나 방부제의 투입이 가능하며 납골함 내의 지속적인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배출수단을 구비한 진공 납골함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유골을 안치하기 위한 항아리 형태의 몸통(10)과, 상기 몸통의 상부 개구부를 덮어 내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밀폐뚜껑(20) 및 상기 밀폐 뚜껑 중심부에 설치되는 공기배출장치(30)로 이루어지고, 밀폐뚜껑 본체 상에는 내부투시창(40)과 약품투입구(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납골함을 제시한다.
본 고안은 유골을 안치한 상태에서 함내의 공기를 최소로 유지시켜 주고, 유골의 상태에 따라 지속적으로 내부공기를 방출시킬 수 있으며, 뚜껑의 개방 없이 내부의 유골상태를 확인하고, 약품이나 방부제등을 투입하는 조치를 강구할 수 있어 유골안치후 공기접촉에 따른 변질을 예방할 수 있고 지속적인 보존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진공 납골함{ASHES BOX}
본 고안은 진공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뚜껑의 개폐 없이 몸체내부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 가능하고 약품이나 방부재의 투입이 가능하며 납골함 내의 지속적인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배출수단을 구비한 진공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납골함은 화장된 유골을 납골당 시설 내에서 보존 및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유골의 양호한 보존 관리를 위해서 다양한 구조의 납골함이 제시되고 있으며, 이중 납골함에 유골을 넣은 상태에서 함을 밀봉한 후 함내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구조의 진공납골함이 유골의 보존 관리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진공납골함과 관련하여 종래 몸체와 뚜껑체를 실링과 돌턱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하고, 뚜껑체의 중앙내부에 방습제를 탈착가능하게 끼운 공기배출장치를 설치한 구조의 진공납골함이 알려지고 있으며, 이것은 몸체내부에 유골을 넣은 상태에서 몸체와 뚜껑체를 결합하여 내부 유골을 밀봉시킨 후 공기배출장치를 사용하여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된 것으로서 공기 밀도를 감소시켜 공기접촉에 따른 유골의 부폐방지에 효과적인 작용을 수행 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의 진공납골함은 원통형 공기배출장치의 구조에 있어서 몸체 내측으로 돌출된 원통형 고정체안의 공기만 승강축의 작용으로 방출시키는 구조로서 공기방출효과가 미미하고, 내부의 유골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없어 주기적으로 유골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뚜껑을 여는 과정에서 공기에 접촉한 유골의 변질과 부패가 촉진되며, 뚜껑을 열고 주기적으로 약품이나 방부제를 내부에 투입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유골을 안치한 상태에서 함내의 공기를 최소로 유지시켜 주고, 유골의 상태에 따라 지속적으로 내부공기를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한 구성의 공기배출장치를 제시하고, 별도의 투시창을 통하여 내부의 유골상태를 뚜껑을 열지 않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유골안치후 공기접촉에 따른 변질을 예방할 수 있게 하며, 별도의 약품투입구를 형성하여 뚜껑을 열지 않고서도 유골보존을 위한 방부제나 약품을 투입할 수 있도록 하며, 뚜껑과 몸체의 결합부 구조를 개량하여 뚜껑을 닫은 상태에서 지속적인 밀봉효과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납골함을 제시할 목적으로 안출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기본 구성도
도2는 본 고안의 내부 구조도
도3은 공기배출장치의 상세구조도
도4는 공기배출장치의 다른 실시례도
도5는 공기배출장치의 동작 상태도
도6은 밀폐뚜껑과 몸통 결합부의 다른 실시례도
*주요부호의 설명
10.몸통 11.암나사 12.테이퍼면
20.밀폐뚜껑 21.결합턱 22.수나사
23.패킹 24.돌림손잡이 25.홈테
26.연질패킹 30.공기배출장치 31.실린더
31a.바닥면 31b.턱 32.스프링
33.니들밸브 34.누름판 35.패킹마개
36.통공 37.판막 38.연질주름관
40.내부투시창 50.약물투입구 60.덮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한 실시형태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2는 본 고안의 기본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유골을 안치하기 위한 항아리 형태의 몸통(10)과, 상기 몸통의 상부 개구부를 덮어 내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밀폐뚜껑(20) 및 상기 밀폐 뚜껑 중심부에 설치되는 공기배출장치(30)로 이루어지고, 밀폐뚜껑 본체상에는 내부투시창(40)과 약품투입구(50)가 형성된다.
밀폐뚜껑 본체 상에는 형성되는 내부투시창(40)은 본체에 통공을 형성한 후 투명렌즈를 부착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밀폐뚜껑을 결합한 상태에서 내부 투시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골의 상태를 뚜껑 개방 없이 외부에서 간편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약품투입구(50)는 유골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한 약품이나 방부제를 뚜껑 개폐 없이 주입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에 통공을 형성한 후 여기에 연질캡을 부착하여 고정시킨 구조로서 뚜껑개방 없이도 약품이나 방부제를 주사바늘을 사용하여 투입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연질캡은 약품주입을 위한 주사바늘 통과후 곧바로 아물어 짐으로 내부 밀봉을 훼손하지 않는 작용을 한다.
공기배출장치(30)는 밀폐뚜껑을 몸체에 밀봉되게 결합한 상태에서 몸체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밀폐뚜껑의 중심부에 원통형 실린더(31)를 결합하고, 실린더 내부에는 바닥면(31a)으로 부터 스프링(32)의 탄발력을 받도록 니들밸브(33) 및 누름판(34)을 결합하여 실린더 상부의 턱(31b)에 누름판이 걸리도록 결합되며, 실린더 상부에는 연질고무소재의 패킹마개(35)를 결합하고, 누름판,니들밸브 및 실린더 바닥판에는 각기 통공(36)을 형성하고, 니들밸브 및 실린더 바닥판에 형성한 통공에는 판막(37)을 설치하여 누름판을 눌러 스프링을 압축시키면 니들밸브의 판막은 열리고 바닥면의 판막은 닫히며, 스프링이 복원될 때는 그 반대방향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한 공기배출장치의 실린더는 밀폐뚜껑과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별도로 제작하여 밀폐뚜껑과 일체로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공기 배출장치는 밀폐뚜껑을 몸체에 밀봉 결합한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으로 누름판을 눌러 스프링을 압축시키면 니들밸브가 실린더 벽면과 마찰하면서 하강하고 니들밸브에 형성된 판막은 열리고 바닥면(31a)에 형성된 판막은 통공을 막아 실린더내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키고, 손가락을 놓으면 스프링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누름판이 상승하면서 니들밸브의 판막은 닫히고 바닥면의 판막은 열리어 몸체내부의 공기가 실린더 내부로 유입된다.
누름판을 이용한 펌핑을 반복해 가는 과정에서 몸체내부의 공기는 거의 외부로 방출되어 공기밀도가 극히 희박한 진공상태가 된다.
공기 배출장치의 또다른 실시형태로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 대신 연질주름관(38)을 니들밸브와 일체로 구성하여 연질주름관 하단을 실린더 바닥면에 부착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누름판을 눌러 주름관을 압축시키면 니들밸브의 판막은 열리고 바닥면의 판막은 닫히어 주름관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고, 누름판에 손을 떼면 주름관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누름판이 상승하면서 바닥면측 통공은 열리고, 니들밸브측 통공은 각기 판막에 의해 닫히어 몸체내부의 공기가 주름관내부로 유입되며, 반복적인 펌핑에 의해 몸체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몸체와 밀폐뚜껑의 밀봉을 위한 결합구조는 다양한 수단이 강구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은 밀봉효과와 결합의 용이성을 위하여 결합구조의 바람직한 구성을 아울러 제시한다.
도1 및 도2에 제시된 결합구조는 몸체의 내측으로 암나사(11)를 내고, 밀폐뚜껑의 결합턱(21)에 상기한 암나사에 결합되는 숫나사(22)를 내며, 나사결합부에 패킹(23)을 부착한 구성으로 하고, 밀폐뚜껑의 공기배출장치 외측으로 돌림손잡이(24)를 형성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구조는 나사조임 및 몸체 및 밀폐뚜껑사이의 패킹(23)에 의해 확실한 밀봉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결합구조는 도 5와 같이 몸체의 개구부 내측면에 테이퍼 면(12)을 형성하고, 밀폐뚜껑의 결합턱(21) 중간부에 홈테(25)를 형성하고, 상기 홈태상에는 내부에 공간(26a)을 갖는 반원형 연질패킹(26)을 부착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결합구조는 밀폐뚜껑을 몸체의 개구부에 올려놓는 단순한 동작에 의해 몸체와 밀폐뚜껑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밀폐뚜껑의 무게에 의해 몸체와 밀폐뚜껑의 밀착이 이루어지면서 연질패킹 내의 공간이 변형하여 테이퍼면과 강하게 접촉하여 밀봉이 이루어지고, 뚜껑을 개방하고자 할 때도 테이퍼면에 밀착된 연질패킹이 개방이 쉽도록 변형하여 줌으로서 필요시 힘들이지 않고 뚜껑의 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밀폐뚜껑이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몸체의 개구부 외측 테두리에 턱(13)을 형성하고, 상기 턱에 걸려 밀폐뚜껑을 덮을 수 있도록 별도의 덮개(60)를 씌우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밀폐뚜껑이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을 경건하게 꾸밀 수 있고, 납골당 내에서 의식을 거행하거나 고인의 유골을 확인하고자할 때 투시창을 통한 타인의 유골이 드러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은 밀폐뚜껑 및 몸체의 재질로서 석재,도자기,합성수지 또는 녹이 슬지 않는 금속류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가공 또는 성형구조로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소재의 종류에 대하여 제한 받지 아니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몸체내에 유골을 안치시킨 상태에서 밀폐뚜껑을 밀봉되도록 닫은 후 공기배출장치를 수회조작하여 몸체내부의 공기를 최대한 배출시킴으로서 내부 유골의 변질이나 부패를 초래하는 공기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보관중 외부공기가 유입되거나 가스가 발생할 경우 공기배출장치의 패킹마개를 열고 누름판을 눌러줌으로서 공기나 가스를 쉽고 간편하게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유골을 안치한 상태에서 함내의 공기를 최소로 유지시켜 주고, 유골의 상태에 따라 지속적으로 내부공기를 방출시킬 수 있으며, 뚜껑의 개방 없이 내부의 유골상태를 확인하고, 양품이나 방부재등을 투입하는 조치를 강구할 수 있어 유골안치후 공기접촉에 따른 변질을 예방할 수 있고 지속적인 보존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뚜껑과 몸체의 결합구조에 의해 뚜껑과 몸체사이의 밀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별도의 덮개를 형성할 경우 밀폐뚜껑이외부로 드러나지 않고 경건한 외형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유골을 안치하기 위한 항아리 형태의 몸통(10)과, 상기 몸통의 상부 개구부를 덮어 내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밀폐뚜껑(20) 및 상기 밀폐 뚜껑 중심부에 설치되는 공기배출장치(30)로 이루어지고, 밀폐뚜껑 본체상에는 내부투시창(40)과 약품투입구(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납골함.
  2. 제1항에 있어서, 공기배출장치(30)는 밀폐뚜껑의 중심부에 원통형 실린더(31)를 형성하고, 실린더 내부에는 바닥면(31a)으로 부터 스프링(32)의 탄발력을 받도록 니들밸브(33) 및 누름판(34)을 결합하여 실린더 상부의 턱(31b)에 누름판이 걸리도록 결합되며, 실린더 상부에는 연질고무소재의 패킹마개(35)를 결합하고, 누름판,니들밸브 및 실린더 바닥판에는 각기 통공(36)을 형성하고, 각 통공에는 판막(37)을 설치하여 누름판을 눌러 스프링을 압축시키면 니들밸브의 판막은 열리고 바닥면의 판막은 닫히며, 스프링이 복원될 때는 니들밸브의 판막은 닫히고 바닥면의 판막은 열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납골함 .
  3. 제2항에 있어서, 공기배출장치(30)를 구성하는 니들밸브와 일체로 연질주름관(38)을 부착하여 연질주름관 하단을 실린더 바닥판에 부착한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납골함 .
  4. 제1항에 있어서,몸체와 밀폐뚜껑의 결합부는 몸체의 내측으로 암나사(11)를 내고, 밀폐뚜껑의 결합턱(21)에 상기한 암나사에 결합되는 수나사(22)를 내며, 나사결합부에 패킹(23)을 부착한 구성으로 하여 밀폐뚜껑의 공기배출장치 외측으로 형성한 돌림손잡이(24)를 돌려 몸체와 밀폐뚜껑의 밀봉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납골함.
  5. 제1항에 있어서,몸체와 밀폐뚜껑의 결합부는 몸체의 개구부 내측면에 테이퍼 면(12)을 형성하고, 밀폐뚜껑의 결합턱(21) 중간부에 홈테(25)를 형성하며, 상기 홈테(25)상에는 내부에 공간(26a)을 갖는 반원형 연질패킹(26)을 부착한 구조로 하여 몸체의 개구부에 밀폐뚜껑을 올려놓음으로서 밀봉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납골함.
  6. 제1항,제2항,제3항,제4항 또는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몸체의 개구부 외측 테두리에 턱(13)을 형성하고, 상기 턱에 걸려 밀폐뚜껑을 덮을 수 있도록 별도의 덮개(60)를 씌우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납골함.
KR2020010026040U 2001-08-28 2001-08-28 진공 납골함 KR2002596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040U KR200259635Y1 (ko) 2001-08-28 2001-08-28 진공 납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040U KR200259635Y1 (ko) 2001-08-28 2001-08-28 진공 납골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635Y1 true KR200259635Y1 (ko) 2002-01-05

Family

ID=73068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040U KR200259635Y1 (ko) 2001-08-28 2001-08-28 진공 납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63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214A (ko) 2018-10-31 2020-05-08 홍성민 유골함의 진공 시스템
KR20210029748A (ko) 2021-03-04 2021-03-16 홍성민 유골함의 진공 시스템
KR20230028052A (ko) 2021-08-20 2023-02-28 홍성민 유골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214A (ko) 2018-10-31 2020-05-08 홍성민 유골함의 진공 시스템
KR102226294B1 (ko) * 2018-10-31 2021-03-09 홍성민 유골함의 진공 시스템
KR20210029748A (ko) 2021-03-04 2021-03-16 홍성민 유골함의 진공 시스템
KR102247707B1 (ko) 2021-03-04 2021-04-30 홍성민 유골함의 진공 시스템
KR20230028052A (ko) 2021-08-20 2023-02-28 홍성민 유골함
KR102636088B1 (ko) 2021-08-20 2024-02-08 홍성민 유골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20371B1 (en) Vacuum airtight container
US5628404A (en) Portable self-contained vacuum packing device
US4975028A (en) Pump apparatus for evacuating containers
KR200259635Y1 (ko) 진공 납골함
KR101322380B1 (ko) 버튼식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1430721B1 (ko) 식품 보관용 밀폐용기
ATE287838T1 (de) Behälter zur konservierung von produkten unter vakuum
JPH0626875U (ja) 注射剤用密封キャップ
KR100839855B1 (ko) 봉안함 진공포장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진공포장된봉안함이 안치되는 봉안단
KR101233087B1 (ko) 진공 납골함
CN208412629U (zh) 泄空阀、真空容器盖及真空容器
KR100486074B1 (ko) 밀폐형 식품용기
US20200383862A1 (en) Cinerary urn set
KR200402438Y1 (ko) 진공 포장용기
KR200306309Y1 (ko) 납골함
JPH03256848A (ja) 嵩高物減圧収納袋
KR101876324B1 (ko) 진공 데시케이터
KR100837364B1 (ko) 내부를 밀폐시키는 압착판을 갖는 밀폐용기
KR200337450Y1 (ko) 진공 용기의 진공 차단판 구조
KR200332153Y1 (ko) 진공용기
CN208683457U (zh) 真空橡胶阀、真空容器盖及真空容器
KR200383158Y1 (ko) 진공 식품용기와 진공저장고
KR200271740Y1 (ko) 진공 밀폐형 식품용기
KR200231795Y1 (ko) 진공 납골함
KR200394931Y1 (ko) 감압펌프 기능을 가진 병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