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8910B1 -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 - Google Patents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910B1
KR100768910B1 KR1020060060977A KR20060060977A KR100768910B1 KR 100768910 B1 KR100768910 B1 KR 100768910B1 KR 1020060060977 A KR1020060060977 A KR 1020060060977A KR 20060060977 A KR20060060977 A KR 20060060977A KR 100768910 B1 KR100768910 B1 KR 100768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ied
storage
cap
flat
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0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승
Original Assignee
이현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승 filed Critical 이현승
Priority to KR1020060060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89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69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in a special atmosp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골을 담아두는 봉안함을 보관함에 수납한 후 밀폐하고 다시 보관함을 매설함에 수납한 후 밀폐함으로써, 봉안함으로 수분이나 이물질 또는 세균이 침투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는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봉안묘의 일측에 매설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봉안함이 수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입구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매설함 몸체와, 상기 매설함 몸체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매설함 몸체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마개부와 상기 마개부의 하측에 상기 암나사부에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수나사부로 이루어진 매설함 캡 및 상기 매설함 몸체와 상기 매설함 캡 사이에 설치되는 밀폐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봉안묘 몸체에 형성된 수용부를 밀폐하여 내부에 수용된 봉안함으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봉안묘, 보관함, 봉안함, 밀폐링, 나사결합, 가이드부

Description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Capsulated Frame burying without making amound on the grave}
도 1은 종래에 따른 평장형 봉안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장형 봉안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의 부분절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의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의 부분절개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보관함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의 부분절개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의 부분절개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의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봉안함 10 :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
11 : 매설함 몸체 12,22 : 수용부
13,23 : 암나사부 15 : 매설함 캡
16,26 : 마개부 17,30 : 수나사부
18,31 : 밀폐링 19,28 : 고정용 홈
20 : 보관함 21 : 보관함 몸체
24 : 결합홈 25 : 보관함 캡
27 : 결합돌기 29 : 적재용 홈
40,50 : 결착구 53 : 가이드부
본 발명은 봉안함용 밀폐형 보관함을 구비한 봉안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골을 담아두는 봉안함을 보관함에 수납한 후 밀폐하고 다시 보관함을 매설함에 수납한 후 밀폐함으로써, 봉안함으로 수분이나 이물질 또는 세균이 침투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는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장묘문화는 과거에는 고인의 시신을 직접 지하에 매장하고 그 위에 봉분을 세우고 그 주위에 고인의 정보와 주요업적 등을 표시하는 묘비석과 제를 위한 제단석을 설치하여 묘소를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경우에 따라서는 봉 분을 세우지 않고 평장형의 묘소로 형성하기도 한다. 하지만, 현대에 들어서는 화장이 권장되고 추세이다.
화장은 주지된 바와 같이, 고인의 시신을 화장한 후 유골을 가루로 만들어 이를 자연에 뿌리거나, 유골을 봉안함에 담아 봉안묘나 야외용 봉안당 등의 시설에 안치하기도 한다. 이러한, 평장형 묘소(1)는 한 묘소에 다수의 봉안함(5)을 안치 수 있어 가계(家系)에 해당하는 가족묘소로 사용되기도 한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평장형 봉안묘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봉안함(5)을 묘비석(2)과 재단석(3) 등을 설치하여 평장형 묘소(1)를 형성하고, 그 지하에 안치실(4)을 만들어 안치시키기도 하였다. 이때, 안치실(4)은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석재를 조립하거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고 그 상부를 상판 등으로 덮는다.
하지만, 종래의 평장형 묘소의 봉안함을 안치하는 안치실이 지하에 만들어지므로 안치실 내부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봉안함으로 수분 및 각종 세균이 침투할 수 있다.
또한, 폭우로 인한 산사태나 지반의 침하가 발생되었을 경우 안치실이 붕괴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내부에 안치되어 있는 봉안함이 파괴될 수 있고, 때로는 봉안함이 유실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또한, 봉안함이 안치되어 있는 상황에서 다른 봉안함을 안치하기 위해서는 안치실의 상판을 열어야 하기 때문에 묘소를 많이 훼손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골을 담아두는 봉안함을 보관함에 수납한 후 밀폐하고 다시 보관함을 매설함에 수납한 후 밀폐함으로써, 봉안함으로 수분이나 이물질 또는 세균이 침투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는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설함 및 보관함 몸체에 결착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매설함 및 보관함의 몸체에 캡을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관함 몸체에 형성된 결합홈과 보관함 캡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결합됨으로써, 보관함의 적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은 봉안묘의 일측에 매설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봉안함이 수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 매설함 몸체와, 매설함 몸체 외부면 일측에 매설함 몸체의 상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착구와, 매설함 몸체의 상부에 결착구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매설함 캡 및 매설함 몸체와 매설함 캡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패킹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매설함 몸체에 형성된 수용부에 수납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봉안함이 수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수용부의 입구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보관함 몸체와, 보관함 몸체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보관함 몸체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마개부와 마개부의 하측에 암나사부에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수나사부로 이루어진 보관함 캡 및 보관함 몸체와 보관함 캡 사이에 설치되는 밀폐링으로 이루어지는 보관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보관함 몸체는 하부면 중심부에 결합홈이 함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보관함 캡에 형성된 마개부는 상면 중심부에 보관함 몸체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보관함 몸체의 외부면 일측에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매설함 몸체에 형성된 수용부에 수납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봉안함이 수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보관함 몸체와, 보관함 몸체 외부면 일측에 보관함 몸체의 상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착구와, 결착구에 의해 보관함 몸체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관함 캡 및 보관함 몸체와 보관함 캡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패킹부재로 이루어지는 보관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장형 봉안묘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의 부분절개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의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의 부분절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보관함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의 부분절개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의 부분절개 분해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의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10)은 묘비석(2)과 재단석(3) 등이 설치되어 형성된 평장형 봉안묘(1)의 일측 지하에 매설된다. 특히, 묘비석(2)의 하부에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10)은 매설함 몸체(11)와, 매설함 몸체(11)의 상부에 결합되는 매설함 캡(15) 및 매설함 몸체(11)와 매설함 캡(15) 사이에 설치되는 밀폐링(18)으로 이루어진다.
매설함 몸체(11)는 상부 전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봉안함(5)이 수납되는 수용부(12)가 함입 형성된다. 또한, 수용부(12)의 입구에는 암나사부(13)가 형성된다.
이러한, 매설함 몸체(11)는 평장형으로 형성된 묘소(1)의 일측에 상부면이 지면과 동일하도록 매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매설함 몸체(11)의 외형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원형 내지 다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길이는 수용부(12)에 수납되는 봉안함(5)의 개수에 따라 다르게 제작될 수 있다.
매설함 캡(15)은 판형상의 마개부(16)와, 마개부(16)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는 수나사부(17)로 이루어지며, 매설함 몸체(11)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용부(12)로 수분이나 각종 세균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한다.
마개부(16)는 매설함 몸체(11)와 같은 원형 내지 다각형의 외형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매설함 몸체(11)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다. 또한, 마개부(16)의 상면에는 고정용 홈(19)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용 홈(19)은 매설함 캡(15)을 매설함 몸체(11)에 완전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고정용 공구(미도시)를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고정용 홈(19)은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나사부(17)는 매설함 몸체(11)에 형성된 수용부(12)의 입구에 형성된 암나사부(13)에 대응되도록 마개부(16)의 하측 중심부에 돌출 형성된다.
밀폐링(18)은 매설함 몸체(11)와 매설함 캡(15) 사이를 완전히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 매설함 몸체(11)와 매설함 캡(15)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밀폐링(18)을 매설함 캡(15)에 형성된 수나사부(17)의 상측에 결합된 후 암나사부(13)와 나사 결합한다.
상기의 매설함(10)은 매설함 캡(15)의 마개부(16) 하측에 형성된 수나사부(17)가 수용부(12)의 입구에 형성된 암나사부(13)에 나사결합 됨으로써, 매설함 몸체(11)에 형성된 수용부(12)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매설함 몸체(11)와 캡(15) 사이에 밀폐링(18)을 설치하여 완전히 밀폐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10)은 평장형 봉안묘의 일측 지하에 매설함 몸체(11)의 상부면이 지면과 동일하도록 매설되고, 매설함 캡(20)에 의해 밀폐되며, 그 상부에는 묘비석(2)이 설치된다. 이러한,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10)의 수용부(12)에 수납되는 봉안함(5)을 한번 더 밀폐하기 위한 보관함(20)이 포함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20)은 보관함 몸체(21)와, 보관함 몸체(21)의 상부에 결합되는 보관함 캡(25) 및 보관함 몸체(21)와 보관함 캡(25) 사이에 설치되는 밀폐링(31)으로 이루어진다.
보관함 몸체(21)는 상부 전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봉안함(5)을 수용하는 수용부(22)가 함입 형성된다. 또한, 수용부(22)의 입구에는 암나사부(23)가 형성된다. 이때, 보관함 몸체(21)의 하부면 중심부에는 결합홈(24)이 함입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관함 몸체(21)의 외형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원형 내지 다각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관함 캡(25)은 판형상의 마개부(26)와, 마개부(26)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는 수나사부(30)로 이루어지며, 보관함 몸체(21)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용부(22)로 수분이나 각종 세균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한다.
마개부(26)는 보관함 몸체(21)와 같은 원형 내지 다각형의 외형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개부(26)는 보관함 몸체(21)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마개부(26)의 상부에는 보관함 몸체(21)의 하부면에 형성된 결합홈(24)에 대응되는 결합돌기(27)가 형성되며, 이 결합돌기(27)의 상면에는 고정용 홈(2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정용 홈(28)은 매설함 캡(15)을 매설함 몸체(11)에 완전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고정용 공구(미도시)를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고정용 홈(28)은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개부(26)의 하면에는 보관함(20)을 봉안묘(10)의 수용부(12)에 적재하거나 또는 적재되어 있는 보관함(20)을 꺼낼 때 적재용 공구(미도시)를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적재용 홈(29)이 보관함 캡(25)의 테두리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나사부(30)는 수용부(22)의 입구에 형성된 암나사부(23)에 대응되도록 마개부(26)의 하측 중심부에 돌출 형성된다.
밀폐링(31)은 보관함 몸체(21)와 보관함 캡(25) 사이를 완전히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 보관함 몸체(21)와 보관함 캡(25)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밀폐링(31)을 보관함 캡(25)에 형성된 수나사부(30)의 상측에 결합된 후 암나사부(23)와 나사 결합한다.
상기의 보관함(20)은 보관함 몸체(21)와 보관함 캡(25)의 사이에 밀폐링(31)을 내재하여 보관함 몸체(21)의 암나사부(23)에 보관함 캡(25)의 수나사부(30)를 결합시킴으로써, 보관함 몸체(21)에 형성된 수용부(22)를 밀폐하여 수용부(22)에 수용되는 봉안함(5)에 수분이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관함 몸체(21)에 형성된 결합홈(24)과 보관함 캡(25)에 형성된 결합돌기(27)가 결합됨으로써, 보관함(20)의 적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보관함(20)이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10)에 수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보관함(20) 그 자체로도 내부에 봉안함(5)을 수용하여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10)은 매설함 몸체(11)와, 결착구(40), 매설함 캡(15) 및 제 1 패킹부재(45)로 이루어진다.
매설함 몸체(11)는 상부 전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봉안함(5)이 수납되는 수용 부(12)가 함입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매설함 몸체(11)의 외부면에는 결착구(40)가 다수개 형성된다.
결착구(40)는 매설함 몸체(11)의 외부면 일측에 결합되는 결착구 블록(41)과, 결착구 블록(4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착고리(42)로 이루어진다. 이때, 결착구 블록(41)은 매설함 몸체(11)의 외부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착구(40)는 매설함 몸체(11)의 외부면을 따라 2 내지 4 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설함 캡(15)은 판형상의 마개부(16)와, 돌출부(43)로 이루어지며 매설함 몸체(11)와 결착구(40)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마개부(16)는 매설함 몸체(11)와 같은 외형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매설함 몸체(11)와 동일한 외경을 갖는다. 또한, 마개부(16)의 상면에는 고정용 홈(19)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용 홈(19)은 매설함 캡(15)을 매설함 몸체(11)에 완전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고정용 공구(미도시)를 끼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43)는 마개부(16)의 하면 중심부에 돌출 형성되어 매설함 몸체(11)에 형성된 수용부(12)에 삽입된다.
또한, 돌출부(43)의 외경은 수용부(12)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돌출부(43)의 외부면 일측에는 삽입홈(44)이 외부면을 따라 함입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43)에는 제 2 패킹부재(46)가 삽입된다.
제 1 패킹부재(45)는 매설함 몸체(11)와 매설함 캡(15) 사이를 밀폐하기 위 한 것으로 매설함 몸체(11)와 매설함 캡(15)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의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10)은 매설함 몸체(11)의 상부면에 제 1 패킹부재(45)를 위치시키고 마개부(16)의 돌출부(17)에 삽입홈(44)에 제 2 패킹부재(46)를 삽입시킨 다음 돌출부(43)를 수용부(12)에 삽입하여 결합하고, 결착구(40)의 결착고리(42)를 매설함(10)의 상측으로 회전시켜 매설함 몸체(11)에 매설함 캡(15)을 단단히 고정한다. 이때, 매설함 몸체(11)와 매설함 캡(15)는 제 1 패킹부재 및 제 2 패킹부재에 의해 2중으로 밀폐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관함(20)은 보관함 몸체(21)와, 결착구(50), 가이드부(53), 보관함 캡(25) 및 제 1 패킹부재(31)로 이루어진다.
보관함 몸체(21)는 상부 전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봉안함(5)을 수용하는 수용부(22)가 함입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보관함 몸체(21)의 하부면 중심부에는 결합홈(24)이 함입 형성되며, 보관함 몸체(21)의 외부면에는 결착구(50) 및 가이드부(53)가 다수개 형성된다.
결착구(50)는 보관함 몸체(21)의 외부면 일측에 결합되는 결착구 블록(51)과, 결착구 블록(5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착고리(52)로 이루어진다. 이때, 결착구 블록(51)은 보관함 몸체(21)의 외부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착구(50)는 보관함 몸체(21)의 외부면을 따라 2 내지 4 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부(53)는 보관함 몸체(21)의 외부면 일측에 결합되는 가이드 블록(54) 과, 가이드 블록(5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 돌기(55)로 이루어진다. 이때, 가이드 블록(54)은 보관함 몸체(21)의 외부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53)는 보관함 몸체(21)의 외부면을 따라 2 내지 4 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관함 캡(25)은 판형상의 마개부(26)와, 돌출부(26)로 이루어지며, 보관함 몸체(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마개부(26)는 보관함 몸체(21)와 같은 외형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되며, 마개부(26)의 상면에는 보관함 몸체(21)의 하부면에 형성된 결합홈(24)에 대응되는 결합돌기(27)가 형성되며, 이 결합돌기(27)의 상면에는 고정용 홈(2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개부(26)의 상부면에는 보관함 몸체(21)에 형성된 결착구(50)에 대응되는 결착홈(5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56)는 마개부(26)의 하면 중심부에 돌출 형성되어 보관함 몸체(21)에 형성된 수용부(22)에 삽입된다.
또한, 돌출부(56)의 외경은 수용부(22)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돌출부(56)의 외부면 일측에는 삽입홈(57)이 외부면을 따라 함입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57)에는 제 2 패킹부재(60)가 삽입된다.
제 1 패킹부재(45)는 보관함 몸체(21)와 보관함 캡(25) 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 보관함 몸체(21)와 보관함 캡(25)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의 보관함(20)은 보관함 몸체(21)의 상부면에 제 1 패킹부재(59)를 위치시키고 마개부(26)의 돌출부(56)에 삽입홈(57)에 제 2 패킹부재(60)를 삽입시킨 다 음 돌출부(56)를 수용부(22)에 삽입하여 결합하고, 결착구(50)의 결착고리(52)를 보관함(20)의 상측으로 회전시켜 보관함 캡(25)에 형성된 결착홈(58)에 결착함으로써, 보관함 몸체(21)에 보관함 캡(25)을 단단히 고정한다. 이때, 보관함 몸체(21)와 보관함 캡(25)는 제 1 패킹부재(59) 및 제 2 패킹부재(60)에 의해 2중으로 밀폐할 수 있다.
또한, 보관함 몸체(21)에 형성된 가이드부(53)의 가이드블록(54)에서부터 가이드돌기(55)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보관함(20)이 매설함(10)에 형성된 수용부(12)에 수납될 때 보관함(20)에 형성된 결합돌기(27)와 결함홈(24)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수납된 후는 보관함(2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평장형 봉안함용 매설함의 설치순서를 설명한다.
먼저, 평장형 봉안묘(1)의 일측에 소정의 크기 및 깊이로 구덩이를 형성한 후 매설함 몸체(11)의 상부가 지면과 동일한 면이 되도록 매설한다.
그 후, 보관함 몸체(21)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부(22)에 봉안함(5)을 안치하고, 보관함 캡(25)의 하부면에 형성된 수나사부(30)의 상측에 밀폐링(31)을 결합한 후 수용부(22)의 입구에 형성된 암나사부(23)에 수나사부(30)를 나사 결합한다. 이때, 결합돌기(27)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용 홈(28)에 고정용 공구를 끼워 회전함으로서 보관함 몸체(21)와 보관함 캡(25)을 단단히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보관함 몸체(21)의 수용부(22) 내부에 봉안함(5)을 안치시킨 보 관함(20)을 다시 평장형 봉안묘(1)의 일측에 매설되어 있는 매설함 몸체(11)에 형성된 수용부(12)에 안치시킨다. 이때, 보관함(20)이 다수개일 경우 먼저 하나의 보관함을 수용부(12) 저면의 중심부에 안치시킨 다음 다른 보관함을 먼저 안치된 보관함의 결합돌기에 결합홈(24)을 일치시켜 적재한다. 보관함(20)을 적재하거나 꺼낼 때에는 적재용 공구를 적재용 홈(29)에 끼워서 사용한다.
이렇게 보관함(20)의 적재가 완료되면, 매설함 몸체(11)의 상부에 매설함 캡(15)을 결함시켜 봉안묘(10)의 수용부(12)를 밀폐한다.
따라서, 봉안함(5)을 밀폐구조의 보관함(20)에 수납하여 수분이나 이물질을 침투를 한번 방지하고, 보관함(20)을 밀폐구조를 갖는 봉안묘(10)에 수납하여 수분이나 이물질을 침투를 다시 한번 방지하게 되므로, 봉안함(5)으로 수분이나 이물질의 침투를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발명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기술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설계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골을 담아두는 봉안함을 보관함에 수납한 후 밀폐하고 다시 보관함을 매설함에 수납한 후 밀폐함으로써, 봉안함으로 수분이나 이물질 또는 세균이 침투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매설함 및 보관함 몸체에 결착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매설함 및 보관함의 몸체에 캡을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관함 몸체에 형성된 결합홈과 보관함 캡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결합됨으로써, 보관함의 적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0)

  1. 삭제
  2. 봉안묘의 일측에 매설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봉안함이 수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 매설함 몸체;
    상기 매설함 몸체 외부면 일측에 상기 매설함 몸체의 상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착구;
    상기 매설함 몸체의 상부에 상기 결착구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매설함 캡; 및
    상기 매설함 몸체와 상기 매설함 캡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패킹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설함 캡은 상기 매설함 몸체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마개부와 상기 마개부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
  4. 삭제
  5. 봉안묘의 일측에 매설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봉안함이 수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입구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매설함 몸체와, 상기 매설함 몸체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매설함 몸체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마개부와 상기 마개부의 하측에 상기 암나사부에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수나사부로 이루어진 매설함 캡 및 상기 매설함 몸체와 상기 매설함 캡 사이에 설치되는 밀폐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에 있어서,
    상기 매설함 캡의 상면에는 상기 매설함 몸체에 상기 매설함 캡을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용 공구가 삽입되는 고정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설함 몸체에 형성된 수용부에 수납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봉안함이 수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입구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보관함 몸체;
    상기 보관함 몸체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보관함 몸체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마개부와 상기 마개부의 하측에 상기 암나사부에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수나사부로 이루어진 보관함 캡; 및
    상기 보관함 몸체와 상기 보관함 캡 사이에 설치되는 밀폐링으로 이루어지는 보관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 캡의 마개부는 상기 보관함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 캡의 마개부는 하부면에 상기 마개부의 테두리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적재용 공구가 끼워지는 적재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 캡의 마개부 상면에는 상기 보관함 몸체에 상기 보관함 캡을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용 공구가 끼워지는 고정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 몸체는 하부면 중심부에 결합홈이 함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 캡의 마개부는 상면 중심부에 상기 보관함 몸체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 몸체의 외부면 일측에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보관함 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블록과 상기 가이드블록의 결합공에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설함 몸체에 형성된 상기 수용부에 수납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봉안함이 수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보관함 몸체;
    상기 보관함 몸체 외부면 일측에 상기 보관함 몸체의 상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착구;
    상기 결착구에 의해 상기 보관함 몸체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관함 캡; 및
    상기 보관함 몸체와 상기 보관함 캡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패킹부재로 이루어지는 보관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 캡은 상기 결착구에 대응되는 결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 캡은 상기 보관함 몸체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마개부와 상기 마개부의 하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보관함 몸체에 형성된 수용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돌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 몸체는 하부면 중심부에 결합홈이 함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 캡의 마개부는 상면 중심부에 상기 보관함 몸체에 형성된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 몸체의 외부면 일측에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보관함 몸체에 결합되는 가이드블록과 상기 가이드블록의 결합공에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
KR1020060060977A 2006-06-30 2006-06-30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 KR100768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977A KR100768910B1 (ko) 2006-06-30 2006-06-30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977A KR100768910B1 (ko) 2006-06-30 2006-06-30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655U Division KR200428715Y1 (ko) 2006-07-10 2006-07-10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8910B1 true KR100768910B1 (ko) 2007-10-25

Family

ID=38815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0977A KR100768910B1 (ko) 2006-06-30 2006-06-30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8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621B1 (ko) 2016-08-09 2017-03-13 차재진 평장형 봉안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5975U (ja) * 1991-09-10 1993-05-18 佐藤 マリ子 骨壺等の収納構造
KR200153026Y1 (ko) 1996-05-27 1999-08-02 김정길 공동용 납골함 안치구조
KR200341110Y1 (ko) 2003-10-27 2004-02-11 김동학 납골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5975U (ja) * 1991-09-10 1993-05-18 佐藤 マリ子 骨壺等の収納構造
KR200153026Y1 (ko) 1996-05-27 1999-08-02 김정길 공동용 납골함 안치구조
KR200341110Y1 (ko) 2003-10-27 2004-02-11 김동학 납골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1621B1 (ko) 2016-08-09 2017-03-13 차재진 평장형 봉안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3185B2 (en) Combined headstone and columbarium
WO2007030339A3 (en) Vertically installed burial container and burial method
US20140215933A1 (en) Cremated remains remembrance and burial system
US20070130736A1 (en) Combined headstone and columbarium
US7937814B2 (en) Apparatus and means for the internment of the deceased
US3940894A (en) Burial means and the like
KR100768910B1 (ko)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
KR200428715Y1 (ko) 캡슐형 평장용 매설함
US20190390474A1 (en) Inter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0761485B1 (ko) 결로 방지구조를 갖는 평장형 봉안묘
KR102287075B1 (ko) 질소충전 진공 납골함
KR200384790Y1 (ko) 유골함 보관장치
US8479362B2 (en) Body security in non-horizontal burials
JPH05193Y2 (ko)
JP7397515B2 (ja) 骨壷納骨型墓地構造
KR200221677Y1 (ko) 납골단지
KR100647129B1 (ko) 매장형 납골함
EP0619728B1 (en) Receptacle for ashes of deceased
KR200310014Y1 (ko) 밀폐봉안이 가능한 납골묘
KR100223664B1 (ko) 봉분형 납골묘지용 안치장
JP3167842U (ja) 納骨墓
JP7416494B1 (ja) 供花装具
KR200190224Y1 (ko) 유해 보관용 납골단지
KR100898402B1 (ko) 가족형 산골 및 자연장용 매설함
KR200392056Y1 (ko) 납골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