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4161A - 가족용 납골묘 및 그 구축방법 - Google Patents

가족용 납골묘 및 그 구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4161A
KR19990084161A KR1019990040449A KR19990040449A KR19990084161A KR 19990084161 A KR19990084161 A KR 19990084161A KR 1019990040449 A KR1019990040449 A KR 1019990040449A KR 19990040449 A KR19990040449 A KR 19990040449A KR 19990084161 A KR19990084161 A KR 19990084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installation
horizontal
panels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0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만
Original Assignee
조성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만 filed Critical 조성만
Priority to KR20199900202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570Y1/ko
Priority to KR1019990040449A priority patent/KR19990084161A/ko
Publication of KR19990084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416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3Funeral monuments, grave sites curbing or markers not making part of vaults

Abstract

본 발명은 기초석상에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과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을 결합하여 하부설치용 직방체의 프레임을 설치고정하고,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시킨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의 양단부에 중간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을 결합하여 상기 하부용 직방체의 프레임상에 다수층을 설치고정한 다음,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설된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의 양단부에 상부 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의 양단부를 각각 결합해서 상부설치용 직방체를 형성하여 중간설치용 직방체의 프레임상에 설치고정하여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납골묘를 지층에 매설한 구조이다
따라서, 묘지를 공원화하여 휴식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구조 및 시공이 간편하여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고, 또한 후손 대대로 영구히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묘 때마나 생존하는 가족들이 만나게 되어 죽어서도 가족사랑 및 가족 공동체의 유대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묘지의 증가로 인해 국토가 묘지화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국토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족용 납골묘 및 그 구축방법{A FAMILY BURIAL GROUN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망자의 유해를 화장하고 남은 납골을 매립함과 동시에, 묘지를 공원화 하여 휴식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족용 납골묘 및 그 구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 부터 알려져 있는 가족용 납골묘로서는 1998년 3월 10일자로 출원공개된 공개 한국 특허공보 제2740호의 공개번호 제98-2557호(출원번호 제97-51625호 ; 출원일 ; 1997년 10월 8일)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가족 납골묘는 지층(1)에 형성한 소정 크기의 공간부(2)와, 상기 공간부(2)에 형성되는 외벽(10)과, 상기 외벽(10)의 내측 안치실(10a)에 복수 개의 단위 안치부(101)을 갖도록 다단으로 설치되는 안치대(100)와, 상기 외벽(10)의 출입구(10b) 상단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단 상돌(200)과, 상기 안치실(10a) 내부의 출입구(10b) 하측에 설치되는 계단(2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지층(1)의 공간부(2)에 보호벽(11)이 형성되고, 그 내측에 안치대(100)가 설치되며, 상기 지층(1)의 공간부(2) 상측부에는 안치대(10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판(12)이 설치되고, 상기 보호판(12)의 상측에는 봉분(30)이 설치되며, 상기 봉분(30)의 하측부 둘레에는 복수개의 봉분석(31)이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가족 납골묘는 여러대에 걸친 친족단일 가족 납골묘에 함께 모실 수 있고, 매우 간편 용이하게 유지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장묘문화의 의식을 전환하도록 하여, 묘지로 인한 국토의 황폐화를 방지하고, 산림훼손 등을 방지하여 자연환경을 보호할 수 있고, 국토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매우 경제적이고, 가족들이 만날 기회가 많아지므로 보다 화목하게 생활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지층의 공간부에 보호벽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외벽을 설치한 후, 외벽의 내측 안치실에 아크릴재 가로 및 세로판재를 조립하여 안치대를 설치한 것이므로 내구성이 매우 우수한 이점이 있고, 조립 시공성이 우수하고, 친족의 수에 따라 가감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적용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출입구 상단부에 결합되는 침수방지요소가 제단 상돌의 요입부 주면에 밀착되고, 제단 상돌의 하면 주연부에 침수 방지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빗물 등의 침수가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출입구에 제단 상돌이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단 상돌을 성묘 등의 행사시 제단으로 이용함과 아울러 출입구의 문으로 겸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문에 형성된 사진 삽입부에 모시는 분의 사진을 삽입하여 보관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가족 납골묘는 출입시에 제단 상돌(200)을 제거한 후, 출입구(10b)를 통해 계단(20)을 집고 내려가야 하므로, 상기 제단 상돌(200)을 출입구(10b)로부터 제거하고, 또 출입구(10b)로부터 제거된 제단 상돌(200)을 다시 원위치시켜야 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아무나 들어가서 안치실(10a)을 훼손하거나 또는 지저분하게 할 수 있다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가족 납골묘는 지층(1)를 파고 외벽(10)을 구축하여 안치실(10a)을 형성하므로, 안치대(100)에 저장 내지는 보관되어 있는 납골이 부폐되면서 악취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벌레 등이 발생하여 환경오염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장시간 동안 제단 상돌(200)을 개방하지 않았다가 개방하고 들어 가면, 상기 안치실(10a)내에 인체에 유해한 가스가 고여 있게 되어 출입자를 질식시킬 수도 있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종래의 가족 납골묘는 안치대(100)에 다수의 구획된 단위안치부(101)를 구성하고 있어 설비 코스트를 상승시킨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묘지를 공원화하여 휴식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는 가족용 납골묘 및 그 구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는 가족용 납골묘 및 그 구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손 대대로 영구히 사용할 수 있는 가족용 납골묘 및 그 구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죽어서도 가족사랑 및 가족 공동체의 유대를 가질 수 잇는 가족용 납골묘 및 그 구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묘지의 증가로 인해 국토가 묘지화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국토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가족용 납골묘 및 그 구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족용 납골묘는 지하의 특정 깊이에 설치되는 기초석과, 상기 기초석상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수평으로 설치되며 양측 단부에 오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부에 오목홈이 형성된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과, 상기 기초석상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가로판넬에 각각 형성된 오목홈에 감입되도록 양측단부에 사이드 돌기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부에 오목홈이 형성된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과,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상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의 상부에 형성된 오목홈에 감입되는 돌기부가 하부에 형성되고, 양측단부 및 상부에 오목홈이 각각 형성된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과,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에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의 상부에 형성된 오목홈에 감입되는 돌기부가 하부에 형성되고, 양측단부에 상기 중간 설치용 가로판넬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오목홈에 각각 감입되는 사이드 사이드 돌기부가 각각 형성된 중간 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과, 상기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상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의 상부에 형성된 오목홈에 감입되는 돌기부가 하부에 형성되고, 양측단부에 오목홈이 각각 형성된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과, 상기 중간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상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중간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의 상부에 형성된 오목홈에 감입되는 돌기부가 하부에 형성되고, 양측단부에 상기 상부 설치용 가로판넬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오목홈에 각각 감입되는 돌기부가 각각 형성된 상부 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과, 견고하게 묘지공간을 유지하도록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ㆍ세로판넬,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ㆍ판넬 및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ㆍ세로판넬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스텐레스봉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족용 납골묘의 구축방법은 일정한 크기의 직방체로 지층을 파는 터파기 스텝과, 상기 터파기 스텝에서 직방체로 지층을 판 공간의 하부에 기초석을 배설하는 기초석 설치스텝과, 상기 기초석 설치스텝에서 설치된 기초석상에 체결수단을 수직으로 고정하는 체결수단 고정스텝과,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 오목홈내에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의 양단부에 형성된 각각의 돌기부를 감임결합하여 네모형상의 하부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코너부에 형성된 관통공은 상기 체결수단 고정스텝에서 고정된 볼트에 감입결합하는 하부프레임 설치스텝과, 상기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의 양단부에 형성된 오목홈내에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의 양단부에 돌출된 돌기부를 감입결합해서 네모형상의 중간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중간프레임의 코너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내에 볼트를 각각 삽입하는 중간프레임 설치스텝과, 상기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오목홈내에 상기 상부 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의 양단부에 돌출형성된 돌기부를 감입결합하여 상부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코너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내에 볼트를 각각 삽입하는 상부프레임 설치스텝과, 상기 볼트와 너트체결해서 체결수단을 체결하는 스텝과, 상기 프레임들에 의해 형성된 공간 및 상기 프레임들의 외측공간을 흙으로 메우는 스텝과,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부 상부에 표시석을 설치하는 표시석 설치스텝과, 상기 표시석의 외곽 또는 상기 표시석 내부에 비석을 설치하는 비석설치스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가족납골묘의 부분 절결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부분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족용 납골묘가 설치된 외부 전경도,
도 4는 도3에서 지층에 매설된 가족용 납골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가족용 납골묘의 조립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가족용 납골묘의 구축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기초석 20: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
22:오목홈 24:오목홈
32:돌기부 30: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
34:오목홈 40: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
42:돌기부 44,46:오목홈
52:돌기부 54:돌기부
56:오목홈 50:중간 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
60: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 62:돌기부
64:오목홈 72:돌기부
74:돌기부 70:상부 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
80:체결수단 80a:볼트
80b:너트 95:경계석
98:잔디 100:비석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족용 납골묘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족용 납골묘가 설치된 외부 전경도이고, 도 4는 도3에서 지층에 매설된 가족용 납골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 가족용 납골묘의 조립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족용 납골묘는 지하의 특정 깊이에 기초석(1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기초석(10)상에는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수평으로 설치되며 양측 단부에 오목홈(22)이 각각 형성되고, 상부에 오목홈(24)이 형성된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20)과, 상기 기초석(10)상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가로판넬(20)에 각각 형성된 오목홈(22)에 감입되도록 양측단부에 돌기부(32)가 각각 형성되고, 상부에 오목홈(34)이 형성된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3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20)의 상부에는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20)의 상부에 형성된 오목홈(24)에 감입되는 돌기부(42)가 하부에 형성되고, 양측단부 및 상부에 오목홈(44,46)이 각각 형성된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30)의 상부에는 오목홈(56)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30)의 상부에 형성된 오목홈(34)에 감입되는 돌기부(54)가 하부에 형성되고, 양측단부에 상기 중간 설치용 가로판넬(40)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오목홈(44)에 각각 감입되는 돌기부(52)가 각각 형성된 중간 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5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 및 세로판넬(40,50)상에는 다시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 및 세로판넬(40,50)을 다수층 적층하고 나서, 상기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상에는 상기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의 상부에 형성된 오목홈(46)에 감입되는 돌기부(62)가 하부에 형성되고, 양측단부에 오목홈(64)이 각각 형성된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6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중간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50)상에는 상기 중간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50)의 상부에 형성된 오목홈(56)에 감입되는 돌기부(74)가 하부에 형성되고, 양측단부에 상기 상부 설치용 가로판넬(60)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오목홈(64)에 각각 감입되는 사이드 돌기부(72)가 각각 형성된 상부 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7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견고하게 묘지공간을 유지하도록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ㆍ세로판넬(20,30),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ㆍ판넬(40,50) 및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ㆍ세로판넬(60,70)의 양측단부에 각각 형성된 관통공(부호 표시 생략)에는 스텐레스으로 된 볼트(80a)와 너트(80b)로 이루어진 체결수단(80)을 구비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초석(10)은 중앙부가 관통되어 있는 구조물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각 코너부에 4개의 초석을 수평으로 설치해도 되며, 콘크리트 등을 사용해서 기초석(10)을 설치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20),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 및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60)의 각각의 단부 근처에는 스테인레스제로 이루어진 체결수단(80)을 삽입하기 위한 관통공(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30), 중간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50) 및 상부 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70)의 각각의 단부 근처에는 체결수단(80)을 삽입하기 위한 관통공(도시하지 않음)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직방체의 프레임이 되게 결합해서 화장된 납골을 묻는 묘지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기초석(10),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ㆍ세로판넬(20,30),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ㆍ세로판넬(40,50) 및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ㆍ세로판넬(60,70)의 각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체결수단(80)을 삽입하여 각각의 코너부를 견고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각각의 판넬이 기초석(10)의 상부에 각각의 가로 및 세로판넬이 적층되어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20),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 및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60)의 양측단부에는 각각 오목홈(22,44,64)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20) 및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의 상부에는 오목홈(24,46)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30), 중간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50) 및 상부 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70)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20),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 및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60)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각각의 오목홈(22,44,64)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돌기부(32,52,72)를 형성한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20),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 및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60)의 양측단부에는 각각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20) 및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의 상부에는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30), 중간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50) 및 상부 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70)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20),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 및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60)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각각의 돌기가 삽입 결합되도록 오목홈을 형성해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1 및 도 4에 있어서, 미설명 부호 98은 잔디이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족용 납골묘의 구축방법을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은 가족용 납골묘의 구축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챠트이다. 도 6에서 S는 스텝(Step)을 표시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족용 납골묘를 구축하는 방법은 먼저, 스텝S1에서 일정한 크기의 직방체로 지층을 파고, 스텝S2로 나아가서 직방체로 지층을 판 공간의 하부에 기초석(10)을 배설하거나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고 나서, 스텝S3로 나아가서 체결수단(80)을 상기 기초석(10)상에 수직으로 고정하고, 스텝S4로 나아가서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20)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 오목홈(22)내에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30)의 양단부에 형성된 각각의 돌기부(32)를 감입결합하여 네모형상의 하부프레임을 형성하여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 및 세로판넬(20,30)의 양단부 근처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관통공내에 스테인레스제의 길다란 볼트(80a)를 각각 삽입한다.
다음에, 스텝S5에서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을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시킨 다음, 상기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의 양단부에 형성된 오목홈(44)내에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30)의 양단부에 돌출된 돌기부(52)를 감입결합해서 네모형상의 중간프레임을 형성하여 상기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 및 세로판넬(40,50)의 양단부 근처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관통공내에 스테인레스제의 길다란 볼트(80a)를 각각 삽입한다.
이와 같이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 및 세로 판넬(40,50)을 다수층 적층한다음, 스텝S6으로 나아가서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60)을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설하고 나서 상기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6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오목홈(64)내에 상기 상부 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70)의 양단부에 돌출형성된 돌기부(72)를 감입결합하여 상기 상부설치용 한쌍의 가로 및 세로판넬(60,70)의 양단부 근처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관통공내에 스테인레스제의 길다란 볼트(80a)를 각각 삽입하여 상기 프레임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화장된 납골 또는 납골을 묻는 공간으로 형성한다.
다음에, 스텝S7로 나아가서 상기 볼트(80a)와 너트(80b)를 체결한 후, 스텝S8로 나아가서 상기 판넬들에 의해 형성된 공간 및 상기 판넬들의 외측공간을 흙으로 메우고, 스텝S9로 나아가서 상기 판넬들의 모서리부의 상부, 즉 체결수단(80)의 상부에 표시석(95)을 설치하며, 스텝S10으로 나아가서 상기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 즉 납골묘의 앞쪽 또는 상부에 비석(100)을 설치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20),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 및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60)의 양측단부에는 각각 오목홈(22,44,64)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20) 및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의 상부에는 오목홈(24,46)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30), 중간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50) 및 상부 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70)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20),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 및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60)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각각의 오목홈(22,44,64)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돌기부(32,52,72)를 형성한 것을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20),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 및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60)의 양측단부에는 각각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20) 및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의 상부에는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30), 중간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50) 및 상부 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70)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20),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 및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60)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각각의 돌기가 삽입 결합되도록 오목홈을 형성해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20),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의 상부에는 오목홈(24,46)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 및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60)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20),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의 상부에 형성된 오목홈(24,46)내에 결합되도록 돌기부(42,62)를 형성하고, 또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30) 및 중간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50)의 상부에는 오목홈(34,56)을 형성하고, 중간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50) 및 상부 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70)의 하부에는 이들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30) 및 중간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50)의 상부에 각각 형성된 오목홈(34,56)에 결합되도록 돌기부를 각각 형성한 구조로 해도 본 고안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텐레스제의 체결수단(80)을 사용하여 상기 가로판넬 및 세로판넬들을 기초석(10)상에서 상하부가 개방된 직방체형상으로 형성하여 가족용 납골묘를 구성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스텐레스제의 체결수단(80)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물론이며, 이와 같이 스텐레스제의 체결수단(8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 및 세로판넬을 조립한 후, 이들 한쌍의 가로판넬 및 세로판넬의 내ㆍ외측에 흙으로 다시 채우면서 상부의 판넬을 조립해가면 조립이 매우 용이하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족용 납골묘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정한 크기의 직방체로 지층을 판 다음, 상기 직방체의 하무에 기초석(10)을 배설하거나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고 상기 하부가 개방된 기초석(10)상에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20)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 오목홈(22)내에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30)의 양단부에 형성된 각각의 돌기부(32)를 감입결합하여 네모형상의 하부프레임을 형성한 다음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 및 세로판넬(20,30)의 양단부 근처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관통공내에 스테인레스제의 길다란 볼트(80a)를 각각 삽입하여 하부직방체를 형성하도록 고정한다.
다음에, 상기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을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시킨 다음, 상기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의 양단부에 형성된 오목홈(44)내에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30)의 양단부에 돌출된 돌기부(52)를 감입결합해서 네모형상의 중간프레임을 형성하여 상기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 및 세로판넬(40,50)의 양단부 근처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관통공내에 스테인레스제의 길다란 볼트(80a)를 각각 삽입하여 중간직방체를 상기 하부직방체상에 다수개 적층해서 고정한다.
이와 같이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 및 세로 판넬(40,50)을 하부 직방체상에 다수층 적층한 다음,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60)을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설하고 나서, 상기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60)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오목홈(64)내에 상기 상부 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70)의 양단부에 돌출형성된 돌기부(72)를 감입결합하여 상기 상부설치용 한쌍의 가로 및 세로판넬(60,70)의 양단부 근처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관통공내에 스테인레스제의 길다란 볼트(80a)를 각각 삽입하여 상기 중간직방체상에 설치하여 이들 중간직방체(프레임)들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화장된 납골 또는 납골을 묻는 공간으로 형성한다.
다음에, 체결수단(80)을 구성하는 상기 볼트(80a)와 너트(80b)를 체결한 후, 상기 판넬들에 의해 형성된 공간 및 상기 판넬들의 외측공간을 흙으로 메우고, 상기 판넬들의 모서리부의 상부, 즉 체결수단(80)의 상부에 표시석(95)을 설치하며, 상기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 즉 납골묘의 앞쪽 또는 상부에 망자의 간략한 족보 등을 뒷면에 새기는 비석(100)을 설치한다.
상기 비석(100)의 전면에는 예를 들면, "홍길동의 가족묘"라고 새기고, 상기 비석(100)의 배면에는 예를 들면, 망자의 간략한 족보 및 사망일 또는 망자의 생전에 성취하였던 성과, 사회적 직위 등을 새겨서 후손들이 자신의 선대 어른께서 생전에 성취한 성과등을 알게해서 조상을 보람있게 섬길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가족용 납골묘는 지상에 노출되는 것이 비석(100)과 경계석 밖에 없으므로, 넓은 장소에 다수 가족용 납골묘를 유치하거나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가족용 납골묘 전체가 잔디공원 또는 조각공원(비석을 자연석 또는 조각물로 세웠을 경우) 등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묘지라는 혐오감을 없앨 수 있다.
또한, 가족중 어떤 구성원이 사망하였을 경우 시신을 화장하고 남은 뼈를 상기 경계석(95)내의 땅을 파고 매립함으로써,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식되어 흙으로 변하므로, 종래의 납골당과 같이 화장후 남은 뼈가 부식될 때 발생하는 악취 또는 벌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하에 공간을 형성한 납골당내에 가스가 발생되어 출입자가 가스에 질식되는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고, 또 뼈가루를 자연에 뿌림으로써 발생되는 공해문제도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가족 대대로 묘지로써 계속 사용할 수 있으므로, 국토가 묘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묘지의 증가로 인해 구토가 황폐화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20),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 및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60)의 양측단부에는 각각 오목홈(22,44,64)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오목홈(24,46)내에 결합되도록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30), 중간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50) 및 상부 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70)의 양측단부에는 돌기부(32,52,72)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20),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30), 중간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50)의 상부에는 오목부(24,34,56)를 형성하고, 이들 오목부(24,34,56)에 감입되도록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 및 세로판넬(40,50)의 하부에 돌기부(42,54) 및 상부설치용 가로 및 세로판넬(50,70)의 하부에 돌기부(62,74)가 형성되어서 이들이 결합되므로, 나무 뿌리등이 본 발명의 납골묘내로 뻗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20),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 및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60)의 양측단부에는 각각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20) 및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의 상부에는 오목부(24,46)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30), 중간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50) 및 상부 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70)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20),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 및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60)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각각의 돌기가 삽입 결합되도록 오목홈을 형성해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20),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의 상부에는 오목홈(24,46)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 및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60)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20),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40)의 상부에 형성된 오목홈(24,46)내에 결합되도록 돌기부(42,62)를 형성하고, 또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30) 및 중간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50)의 상부에는 오목홈(34,56)을 형성하고, 중간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50) 및 상부 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70)의 하부에는 이들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30) 및 중간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50)의 상부에 각각 형성된 오목홈(34,56)에 결합되도록 돌기부를 각각 형성한 구조로 해도 본 고안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에 대해 특정 실시예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 가지형태로 변형 또는 변경실시해도 본 발명의 개념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족용 납골묘에 의하면, 기초석상에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과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을 결합하여 하부설치용 직방체의 프레임을 설치고정하고,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시킨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의 양단부에 중간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을 결합하여 상기 하부용 직방체의 프레임상에 다수층을 설치고정한 다음,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설된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의 양단부에 상부 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의 양단부를 각각 결합해서 상부설치용 직방체를 형성하여 중간설치용 직방체의 프레임상에 설치고정하여 상부 및 하부가 개방된 납골묘를 지층에 매설한 구조이므로, 묘지를 공원화하여 휴식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구조 및 시공이 간편하여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고, 또한 후손 대대로 영구히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성묘 때마나 생존하는 가족들이 만나게 되어 죽어서도 가족사랑 및 가족 공동체의 유대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묘지의 증가로 인해 국토가 묘지화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국토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지하의 특정 깊이에 설치되는 기초석과,
    상기 기초석상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수평으로 설치되며 양측 단부에 오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부에 오목홈이 형성된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과,
    상기 기초석상에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수평으로 설치되며 상기 가로판넬에 각각 형성된 오목홈에 감입되도록 양측단부에 사이드 돌기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부에 오목홈이 형성된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과,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상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의 상부에 형성된 오목홈에 감입되는 돌기부가 하부에 형성되고, 양측단부 및 상부에 오목홈이 각각 형성된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과,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부에 오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의 상부에 형성된 오목홈에 감입되는 돌기부가 하부에 형성되고, 양측단부에 상기 중간 설치용 가로판넬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오목홈에 각각 감입되는 돌기부가 각각 형성된 중간 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과,
    상기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상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의 상부에 형성된 오목홈에 감입되는 돌기부가 하부에 형성되고, 양측단부에 오목홈이 각각 형성된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과,
    상기 중간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상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중간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의 상부에 형성된 오목홈에 감입되는 돌기부가 하부에 형성되고, 양측단부에 상기 상부 설치용 가로판넬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오목홈에 각각 감입되는 돌기부가 각각 형성된 상부 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과, 견고하게 묘지공간을 유지하도록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ㆍ세로판넬,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ㆍ판넬 및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ㆍ세로판넬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스텐레스봉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용 납골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석,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ㆍ세로판넬,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ㆍ판넬 및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ㆍ세로판넬의 각 단부를 직방체가 되게 결합해서 화장된 납골을 묻는 묘지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용 납골묘.
  3. 일정한 크기의 직방체로 지층을 파는 터파기 스텝과,
    상기 터파기 스텝에서 직방체로 지층을 판 공간의 하부에 기초석을 배설하는 기초석 설치스텝과,
    상기 기초석설치스텝에서 설치된 기초석상에 체결수단을 수직으로 고정하는 체결수단 고정스텝과,
    하부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의 양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 오목홈내에 상기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의 양단부에 형성된 각각의 돌기부를 감입결합하여 네모형상의 하부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코너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상기 체결수단 고정스텝에서 고정된 볼트에 감입결합하는 하부프레임 설치스텝과,
    상기 중간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의 양단부에 형성된 오목홈내에 하부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의 양단부에 돌출된 돌기부를 감입결합해서 네모형상의 중간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중간프레임의 코너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내에 볼트를 각각 삽입하는 중간프레임 설치스텝과,
    상기 상부 설치용 한쌍의 가로판넬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된 오목홈내에 상기 상부 설치용 한쌍의 세로판넬의 양단부에 돌출형성된 돌기부를 감입결합하여 상부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코너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내에 볼트를 각각 삽입하는 상부프레임 설치스텝과,
    상기 볼트와 너트체결해서 체결수단을 체결하는 스텝과,
    상기 프레임들에 의해 형성된 공간 및 상기 프레임들의 외측공간을 흙으로 메우는 스텝과,
    상기 프레임의 모서리부 상부에 표시석을 설치하는 표시석 설치스텝과,
    상기 표시석의 외곽 또는 상기 표시석 내에 비석을 설치하는 비석 설치스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족용 납골묘.
KR1019990040449A 1999-09-20 1999-09-20 가족용 납골묘 및 그 구축방법 KR1999008416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0290U KR200172570Y1 (ko) 1999-09-20 1999-09-20 가족용 납골묘
KR1019990040449A KR19990084161A (ko) 1999-09-20 1999-09-20 가족용 납골묘 및 그 구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449A KR19990084161A (ko) 1999-09-20 1999-09-20 가족용 납골묘 및 그 구축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290U Division KR200172570Y1 (ko) 1999-09-20 1999-09-20 가족용 납골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161A true KR19990084161A (ko) 1999-12-06

Family

ID=196122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290U KR200172570Y1 (ko) 1999-09-20 1999-09-20 가족용 납골묘
KR1019990040449A KR19990084161A (ko) 1999-09-20 1999-09-20 가족용 납골묘 및 그 구축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0290U KR200172570Y1 (ko) 1999-09-20 1999-09-20 가족용 납골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725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5908B1 (ko) * 2003-04-29 2006-03-03 민경찬 수목장묘
KR200455892Y1 (ko) * 2008-12-29 2011-09-29 이진우 가계용 지하 수직 다층 봉안시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192B1 (ko) 2014-09-05 2015-02-23 김찬수 자연장지용 분골안치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분골매장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5908B1 (ko) * 2003-04-29 2006-03-03 민경찬 수목장묘
KR200455892Y1 (ko) * 2008-12-29 2011-09-29 이진우 가계용 지하 수직 다층 봉안시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2570Y1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1591A (en) Multi-tier burial system
WO2006015405A1 (en) Monument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200172570Y1 (ko) 가족용 납골묘
JP3184381U (ja) 古墳型墓地及び地下階式墓地
KR100272315B1 (ko)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JP3008650U (ja) ユニット化された墓
KR200350416Y1 (ko) 환경친화적 납골묘
JP7397515B2 (ja) 骨壷納骨型墓地構造
KR102381751B1 (ko) 납골탑
JPH0442441Y2 (ko)
JP3055381U (ja) 墓における二層納骨室構造
KR200352910Y1 (ko) 가족 납골탑
JP2000129959A (ja)
JP4195475B2 (ja) 立体墓地
KR200193196Y1 (ko) 가족(납골)묘원
KR200243313Y1 (ko) 납골묘
JP3057172U (ja) 家族墓における納骨室構造
JP2023079248A (ja) 永代供養墓及び永代供養墓建立方法
JPH10252313A (ja) 墓所,墓所造成用ブロックおよび墓所の造成工法
KR100379364B1 (ko) 가족 납골묘
KR200238472Y1 (ko) 납골묘
IL108493A (en) Multi-tier burial system
JP3002292U (ja) 納骨室
JPH03144081A (ja) 組立式の墓構造
KR200278391Y1 (ko) 납골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