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1751B1 - 납골탑 - Google Patents

납골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1751B1
KR102381751B1 KR1020210075356A KR20210075356A KR102381751B1 KR 102381751 B1 KR102381751 B1 KR 102381751B1 KR 1020210075356 A KR1020210075356 A KR 1020210075356A KR 20210075356 A KR20210075356 A KR 20210075356A KR 102381751 B1 KR102381751 B1 KR 102381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er
forming means
stacked
interlayer forming
ossu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5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승만
권다움
Original Assignee
권승만
권다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승만, 권다움 filed Critical 권승만
Priority to KR1020210075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1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1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1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7Strips o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골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리의 문화유산중의 하나인 다보탑이나 석가탑과 같은 각종석탑, 또는 목탑 등의 모양으로 구성하여 공원이나 가족묘로 사용되는 선산 등에 설치 가능하게 하고, 탑의 각 층 내부에는 가족 또는 단체의 납골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납골함을 넣어 보관할 수 있게 함에 따라 관리가 손쉽게 이루어지게 하며, 탑 내부의 습도가 30% 이하로 유지되어 유골의 부패를 방지하고 지진에도 견딜 수 있는 납골탑에 관한 것인 바, 본 발명은 납골탑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매립 설치되는 기초 콘크리트부와; 황토로 이루어진 바디의 내측으로 웨이트부재를 매립 설치하고 상기 바디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한 황토블럭의 통공에 지지부재를 끼워 황토블럭을 적층시켜 형성하여 이루어진 층간형성수단과; 끝단이 절곡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일체로 연결한 연결판재부로 이루어진 기초바닥판재의 상부에 평판 형상의 플레이트가 2층 이상 적층되어 형성된적층판재층으로 이루어진 바닥수단과; 상기 지층에 매립되는 기초 콘크리트부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 내측에 설치되는 층간형성수단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층간형성수단의 상단에는 바닥수단이 설치되고 다시 바닥수단에는 층간형성수단이 적층 설치되어 적층된 형상이 탑 형태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납골탑{TOWER FOR LAYING ASHES}
본 발명은 납골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리의 문화유산중의 하나인 다보탑이나 석가탑과 같은 각종석탑, 또는 목탑 등의 모양으로 구성하여 공원이나 가족묘로 사용되는 선산 등에 설치 가능하게 하고, 탑의 각 층 내부에는 가족 또는 단체의 납골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납골함을 넣어 보관할 수 있게 함에 따라 관리가 손쉽게 이루어지게 하며, 탑 내부의 습도가 30% 이하로 유지되어 유골의 부패를 방지하고 지진에도 견딜 수 있는 납골탑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장례풍습에 있어서는 전통적으로 그 시신을 묘지에 매장하거나 화장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매장을 하게 되면 묘지가 차지하는 점유면적이 크고 점점 확대되고 있어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화장을 하게 되면 특수한 경우에 분골을 안장하기도 하나 대부분 산이나 강에 뿌려주게 되므로 우리나라의 관습상 널리 이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납골당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종래의 납골당은 대부분이 일본에 보급되어 있는 것으로 지하에 납골당을 설치하거나 단층으로 납골당을 설치하였으므로, 가족의 유골이 점점 늘어나게 되면 공간이 좁아짐으로 인해 유골보관 및 관리가 힘들어 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를 개선하여 여러 개의 납골실이 층으로 쌓아 탑의 형상으로 형성된 납골탑이 소개된 적이 있으나, 전기의 납골탑은 모두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납골탑의 납골실 외부의 각 측부에 형성된 개폐문을 열고 납골단지를 꺼내고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사람이 직접 납골탑의 내부에 들어가서 각각의 납골단지를 관리할 수 없으며, 관리하는 사람의 키높이에 맞추어야 하는 높이제한이 있어 납골탑의 크기 및 납골단지의 보관용량에 한계가 있어 가족 납골당과 같이 많은 양의 납골단지 보관을 위해서는 많은 갯수의 납골탑이 필요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85064호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1999-0016008호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으로 웨이트부재를 설치하여 뒤틀림 방지 및 블럭이 무게를 갖도록 하여 위부 충격에도 견딜 수 있도록 강성을 향상시키며, 적층되어 벽면을 형성하는 황토블럭의 통공에 지지체를 관통시켜 황토블럭을 서로 연결하도록 하여 지지력 증대 및 자동으로 중심을 잡아주면서 탈거를 방지하고 내진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블럭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상기한 황토블럭을 이용한 벽체를 탑 형태로 적층시켜 탑의 각 층 내부에는 가족 또는 단체의 납골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납골함을 넣어 보관할 수 있게 함에 따라 관리가 손쉽게 이루어지게 하며, 완전 밀폐조건으로 탑 내부의 습도가 30% 이하로 유지되어 유골의 부패를 방지하고 지진에도 견딜 수 있는 납골탑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황토블럭과 상기 황토블럭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층간형성수단(벽체)이 내진효과가 있어 층간형성수단으로 이루어진 납골탑은 기둥이 미 존재하면서 내진효과 및 수명이 긴 효과 등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황토블럭에 있어서, 황토로 이루어진 바디의 내측으로 웨이트부재를 매립 설치하고 상기 바디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블럭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웨이트부재가 "I" 형상의 금속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블럭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상기 황토블럭을 이용하여 납골탑은 납골탑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매립 설치되는 기초 콘크리트부와; 황토로 이루어진 바디의 내측으로 웨이트부재를 매립 설치하고 상기 바디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한 황토블럭의 통공에 지지부재를 끼워 황토블럭을 적층시켜 형성하여 이루어진 층간형성수단과; 끝단이 절곡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일체로 연결한 연결판재부로 이루어진 기초바닥판재의 상부에 평판 형상의 플레이트가 2층 이상 적층되어 형성된적층판재층으로 이루어진 바닥수단과; 상기 지층에 매립되는 기초 콘크리트부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 내측에 설치되는 층간형성수단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층간형성수단의 상단에는 바닥수단이 설치되고 다시 바닥수단에는 층간형성수단이 적층 설치되어 적층된 형상이 탑 형태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탑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층간형성수단이 적층될 때 하간과 상단의 층간형성수단의 수직중심이 일치되게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탑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납골탑은 탑의 각 층 내부에는 가족 또는 단체의 납골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납골함을 넣어 보관할 수 있게 함에 따라 관리가 손쉽게 이루어지게 하며, 탑 내부의 습도가 30% 이하로 유지되어 유골의 부패를 방지하고 지진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측으로 웨이트부재를 설치하여 뒤틀림 방지 및 블럭이 무게를 갖도록 하여 위부 충격에도 견딜 수 있도록 강성을 향상시키며, 적층되어 벽면을 형성하는 황토블럭의 통공에 지지체를 관통시켜 황토블럭이 자동으로 중심을 잡아주면서 적층되도록 하면서 탈거를 방지하고 내진을 갖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인 황토블럭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인 황토블럭을 이용한 벽체를 만들었을 때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인 황토블럭을 이용한 벽체를 만들었을 때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납골탑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절취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인 납골탑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인 바닥부단의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납골탑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인 납골탑은 황토블럭을 이용하여 황토블럭벽체를 형성시킨다. 상기한 황토블럭은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황토와 짚을 혼합하여 이루어진 바디(11)를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바디(11)의 내측으로 웨이트부재(20)가 매립 설치되어 변형방지 및 황토블럭(10)의 전체 중량이 증가되도록 하여 적층시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한편 상기 바디(11)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통공(12)을 형성한 구조이며, 상기 웨이트부재(20)가 "I" 형상의 금속재 예컨대 철, 알루미늄 등 중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웨이트부재(20)는 다층으로 본 발명인 황토블럭을 적층하여 건축물을 축조시 블럭이 일정한 무게를 갖도록 하면서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통공(12)은 외부로 부터 전달되는 소음을 흡음할 수 있으며 더욱이 불럭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효과를 갖고 또한 통공(12)에 원형의 봉 형상을 갖는 지지부재(30)를 끼워 블럭을 적층하여 층간형성수단(BL) 즉 벽체를 형성시킬 때 자동 정열되도록 하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상기 통공(12)은 공기가 채워져 있기 때문에 외부 온도와 내부 온도에 따른 결로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도 갖는다.
상기 지지부재(30)의 단면 형상은 통공(12)의 형상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재질은 합성수지, 금속, 나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상기 황토블럭(10)의 강도 향상 및 수명이 오래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초벌구이를 실시한다. 상기 초벌구이 방법으로는 도자기와 같이 유약을 표면에 바른 것과 바르지 아니한 것 두 종류 모두 400~600℃로 가열한다.
상기 황토블럭(10)을 이용하여 벽체를 형성시키는 방법으로는 첨부도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황토블럭(10)을 중심으로 인점하는 상·하방향에 적층되는 황토블럭(10)이 접하는 경계면을 중심으로 적어도 1/2 정도씩 안쪽으로 내접하도록 하면서 "
Figure 112021067042635-pat00001
" 형태로 상하 방향으로 연속 반복되게 적층하되 상기 적층되는 황토블럭(10)의 통공(12)에는 지지부재(30)가 끼워져 설치됨으로써 상하, 좌우 방향으로 연결되어 층간형성수단(BL)이 무너지지 않고 튼튼하게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적층 형태로 형성시키는 기둥을 형성시키지 않고서도 지지력 향상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황토블럭(10)을 이용하여 벽체에 해당되는 층간형성수단(BL)으로 축조되는 납골탑을 제조하는 것에 있어서 납골탑 제조방법으로는 첨부도면 도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납골탑의 크기에 따라서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 및 넓이로 텃파기 작업을 실시하여 굴착된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매립 설치되는 기초 콘크리트부(40)를 형성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부(40)가 형성되면 기초 콘크리트부(40)의 내측 공간에 바닥부(50)를 형성시킨다. 상기 바닥부(50)의 구조는 첨부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
Figure 112021067042635-pat00002
" 형상의 판재(51)를 전·후, 좌·우 연속하게 배열한 후 판재(51)의 상부에 다단으로 지지판(52)을 적층시킨다.
상기 지지판(52)의 적층 방법으로는 하단에 설치된 지지판(52)과 지지판(52)이 맞닫는 부위의 상부에 지지판(52)을 적층시키는 방법으로 바람직하게는 3단이상 적층한다.
더불어 상기 바닥부(50)를 형성하는 판재(51)와 지지판(52)은 폐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구조이며 표면에는 우레탄 코팅이 되어 있으며, 상기 "
Figure 112021067042635-pat00003
" 형상의 판재(51)와 지지판(52)을 다층으로 적층시킨 구조는 지면으로 부터 공간을 부상시켜 지진에 의해 전달되는 충격파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함과 흔들림을 흡수할 수 있도록 폐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내진 향상 및 버려지는 지원을 재활용할 수 있는 이점등의 효과가 있다.
상기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부(50)가 형성되면 상기한 바닥부(50) 위에 일정한 간격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점인 황토블럭(10)을 이용한 벽체 즉, 층간형성수단(BL)를 형성시킨다. 상기 층간형성수단(BL)에는 유골을 담아 보관하는 유골함을 안치하는 안치단(T)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황토블럭(10)을 이용하여 축조된 층간형성수단(BL)이 일정한 간격 및 높이로 설치되면 층간형성수단(BL) 상단에 바닥부(50)와 동일하면서 다층 구조물에 있어서 바닥이면서 천청에 해당되는 바닥부(50)를 다시 설치한다.
이때 상기 층간형성수단(BL)과 층간형성수단(BL)를 상하부로 적층시 층간형성수단(BL)과 층간형성수단(BL) 사이에 바닥부(50)가 설치됨에 있어서 하단의 총 면적 보다 상단에 축조되는 건축물의 면적은 좁아지게 되는데 좁아지는 면적은 하단의 층간형성수단(BL)과 층간형성수단(BL) 사이의 간격을 기준으로 하여 좁아지게 된다.
한편 다층 구조물을 형성시 하단 층간형성수단(BL)의 수직 중심선(O)을 가상의 기준선으로 하여 층간형성수단(BL) 위에 층간형성수단(BL)가 적층되도록 한다. 그 이유는 무게(하중)를 지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납골탑은 크기가 소형일 경우 가족 단위의 납골탑으로 이용하며 크기가 대형일 경우 내부에 사람이 출입할 수 있는 도어와 상부층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을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초 콘크리트(40)와 납골탑을 형성시키는 층간형성수단(BL) 사이에는 공간부(8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80)는 지진 발생시 진동의 전달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납골탑은 탑의 각 층 내부에는 가족 또는 단체의 납골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납골함을 넣어 보관할 수 있게 함에 따라 관리가 손쉽게 이루어지게 하며, 탑 내부의 습도가 30% 이하로 유지되어 유골의 부패를 방지하고 지진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측으로 웨이트부재를 설치하여 뒤틀림 방지 및 블럭이 무게를 갖도록 하여 위부 충격에도 견딜 수 있도록 강성을 향상시키며, 적층되어 벽면을 형성하는 황토블럭의 통공에 지지체를 관통시켜 황토블럭이 자동으로 중심을 잡아주면서 적층되도록 하면서 탈거를 방지하고 내진을 갖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10 : 황토블럭 11 : 바디
12 : 통공 20 : 웨이트부재
30 : 지지부재 40 : 기초 콘크리트부
50 : 바닥부 51 : 판재
52 : 지지판 80 : 공간부
BL : 층간형성수단 T : 안치단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납골탑에 있어서,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매립 설치되는 기초 콘크리트부와;
    황토로 이루어진 바디의 내측으로 웨이트부재를 매립 설치하고 상기 바디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한 황토블럭의 통공에 지지부재를 끼워 황토블럭을 적층시켜 형성하여 이루어진 층간형성수단과;
    끝단이 절곡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일체로 연결한 연결판재부로 이루어진 기초바닥판재의 상부에 평판 형상의 플레이트가 2층 이상 적층되어 형성된적층판재층으로 이루어진 바닥수단과;
    지층에 매립되는 기초 콘크리트부와 상기 기초 콘크리트부 내측에 설치되는 층간형성수단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층간형성수단의 상단에는 바닥수단이 설치되고 다시 바닥수단에는 층간형성수단이 적층 설치되어 적층된 형상이 탑 형태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탑.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형성수단이 적층될 때 하단과 상단의 층간형성수단의 수직중심이 일치되게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탑.
KR1020210075356A 2021-06-10 2021-06-10 납골탑 KR102381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356A KR102381751B1 (ko) 2021-06-10 2021-06-10 납골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5356A KR102381751B1 (ko) 2021-06-10 2021-06-10 납골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1751B1 true KR102381751B1 (ko) 2022-04-01

Family

ID=81183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5356A KR102381751B1 (ko) 2021-06-10 2021-06-10 납골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17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008A (ko) 1997-08-12 1999-03-05 윤종용 휴대 단말기의 분실 방지 방법
KR100285064B1 (ko) 1997-10-08 2001-03-15 윤종용 선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멀티플라잉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KR20080048901A (ko) * 2006-11-29 2008-06-03 안승한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슬래브 시공구조
KR20160011963A (ko) * 2014-07-23 2016-02-02 최순애 황토블럭을 이용한 벽체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6008A (ko) 1997-08-12 1999-03-05 윤종용 휴대 단말기의 분실 방지 방법
KR100285064B1 (ko) 1997-10-08 2001-03-15 윤종용 선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멀티플라잉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KR20080048901A (ko) * 2006-11-29 2008-06-03 안승한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슬래브 시공구조
KR20160011963A (ko) * 2014-07-23 2016-02-02 최순애 황토블럭을 이용한 벽체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3405B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storing cremains
US5381591A (en) Multi-tier burial system
US4648219A (en) Lawn crypt
KR102381751B1 (ko) 납골탑
KR100396294B1 (ko) 자연석에 의한 옹벽의 안전시공방법
JP2009235697A (ja) 合祀墓
US4205499A (en) Pool wall and deck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11021889B2 (en) Saturated burial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US8161694B1 (en) Burial crypt for cremains and method of fabrication
JP3184381U (ja) 古墳型墓地及び地下階式墓地
KR19990084161A (ko) 가족용 납골묘 및 그 구축방법
JP3157099U (ja) 納骨堂
KR200386256Y1 (ko) 환경친화적 공동 매장묘
KR200243313Y1 (ko) 납골묘
JP7216369B2 (ja) 木造耐震シェルター及び耐震補強構造
KR100379364B1 (ko) 가족 납골묘
KR200334296Y1 (ko) 옹벽 블록을 이용한 응벽구조
BR112018002454B1 (pt) Fundação acima do solo para construção de superestruturas
KR100223664B1 (ko) 봉분형 납골묘지용 안치장
KR200364574Y1 (ko) 조경용 자연석의 옹벽구조
KR20180041318A (ko) 벽체 시공용 블록 및 중공형 판재 기둥을 이용한 코너 연결구조
JPH0350202Y2 (ko)
JPH10121783A (ja) 墓基礎
KR100293286B1 (ko) 납골묘
JP3930011B2 (ja) 墓石の免震設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