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1130Y1 -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 - Google Patents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1130Y1
KR200231130Y1 KR2020010000032U KR20010000032U KR200231130Y1 KR 200231130 Y1 KR200231130 Y1 KR 200231130Y1 KR 2020010000032 U KR2020010000032 U KR 2020010000032U KR 20010000032 U KR20010000032 U KR 20010000032U KR 200231130 Y1 KR200231130 Y1 KR 2002311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metery
interior
stone
wall
gas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두우균
Original Assignee
두우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우균 filed Critical 두우균
Priority to KR2020010000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1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1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130Y1/ko

Links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성묘(省墓) 등을 통하여 가족간의 유대(紐帶) 관계(關係)를 돈독(敦篤)히 해주는 매장(埋葬)의 장점과, 경제적이고 간편하며 친환경적인 화장(火葬)의 장점을 살려서,
묘지의 조성으로 발생되는 자연의 홰손과 국토의 잠식 및 침출액으로 인한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가족간의 유대 관계를 돈독히 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장례문화(葬禮文化)를 구현하고자 안출된 복합기능(複合機能)을 갖는 분묘(墳墓)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석묘(石墓)와, 시신 안치용 관(棺)과, 비석(碑石) 겸용의 납골석(納骨石)과, 공기 소통(疏通)장치와, 가스 배출장치와, 상석(床石) 등으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상기 본 고안의 구성 및 기능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석묘(石墓, 도 1)는, 묘지(墓地, 1) 위에 벽돌 또는 콘크리트 등으로 구축된 기단(基壇, 2)과; 기단 위에 구축되는 묘실의 벽체가 뒤틀리거나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벽체 보강용 프레임(13)과; 벽체 보강용 프레임에 의지해서 기단 위에 벽돌 또는 자연석이나 인조석 등으로 구축되는 묘실 벽체(3)와; 묘실 벽면에 도포되는 방수제(6)와; 묘실 벽체로 둘러싸서 묘실 보온용 내장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구축된 한 칸 이상의 묘실(墓室, 40)과; 겨울철의 추위와 여름철의 더위에도 묘실 안에 안치된 시신이 동결(凍結)되거나 급속히 부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묘실 안에 설치되는 발포(發泡) 스티렌(Styrene) 또는 발포 우레탄(Urethan)제(製)의 묘실 보온용 내장재(5)와; 덮개석으로 묘실을 덮어서 만들어진 봉분(4)과; 묘실을 개폐 시켜주는 출입문(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신 안치용 관(棺, 도12)은, 시신을 안치시킬 수 있도록 요입부가 있는 관의 몸체(24)와; 시신이 부패되면서 발생시키는 악취 등이 요입부 밖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요입부를 덮어주면서 요입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지퍼가 부착된 공기 차단막(26)과; 몸체의 상단에 얹혀져서 공기 차단막 위를 덮어씌우는 뚜껑(25)과; 몸체의 요입부 안에 설치되는 숯매트(27)와; 숯매트를 씌워서 그 위에 시신을 안치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부직포(28)와; 안치된 시신이 부패되면서 발생시키는 침출액이 고일 수 있도록 요입부의 바닥에 조성되어 있는 보조 요입부(45)와; 시신 안치용 관을 여러 사람이 들어서 옮길 수 있도록 되어있는 손잡이(23)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신 안치용 관의 구성에 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신 안치용 관의 몸체(24)와 뚜껑(25)을 안팎으로 싸서 시신(30)이 부패되면서 발생시키는 침출액이 시신 안치용 관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방수기능이 우수한 합성 섬유(7)와; 합성 섬유의 내부에 설치되어서 시신 안치용 관 몸체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33)과; 시신 안치용 관의 몸체와 뚜껑을 구성하기 위해서 프레임과 합성 섬유의 사이에 주입되는 발포(發泡) 스티렌(styrene) 또는 발포 우레탄(Urethan)(31)과; 시신이 부패되면서 발생시키는 침출액이 고일 수 있도록 요입부의 바닥에 조성되어 있는 보조 요입부(45)와; 보조 요입부를 덮도록 되어 있으면서 안치되는 시신을 침대와 같이 밑에서 받쳐주도록 된 숯매트(27)와; 숯매트 위를 씌워주므로써 시신을 안치시키는데 정성을 드리고 향후 화장할 때에 유골의 수습을 용이하게 해주는 부직포(28)와; 몸체의 상단 테두리에 부착된 상태로 요입부를 덮어 씌우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시신이 부패되면서 발생시키는 가스와 악취가 시신 안치용 관의 외부로 확산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부착된 지퍼(32)를 열고 닫아서 몸체의 요입부에 숯매트와 부직포 및 시신을 넣고 꺼낼 수 있도록 된 공기 차단막(26)과; 공기 차단막에 부착된 상태로 석묘의 외부에 매설되는 가스 배출장치와 연결되므로, 시신 안치용 관의 요입부에서 발생되는 시신의 부패 가스와 악취가 묘실 안에 확산되지 않고서 묘실 밖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가스 배출용 호스(22)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신이 입관된 상태로 묘실 안에 설치 된 묘실 보온용 내장재 안에 안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비석(碑石) 겸용의 납골석(納骨石, 도6,7)은, 비문(29)이 새겨진 몸체(15)와; 몸체에 홈을 파서 조성된 납골실(納骨室, 12)과; 납골실을 개폐시겨주는 뚜껑(18)과; 몸체(15)와 뚜껑(18)의 틈새부분에 주입해서 납골실에 빗물 등이 스며들 수 없도록 하는 실리콘(8)과; 방수용 합성 섬유(7)의 안에 발포 스티렌 또는 발포 우레탄(31)을 주입하여 화장(火葬)된 유골(遣骨)을 담아 둘수 있도록 만들어진 유골 용기(容器, 16)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시신이 묘실(40) 안에 안치되어 있는 동안에는 안치된 시신의 비석(15)으로 사용되고, 나중에는 안치되었던 시신을 수습 화장하여 몸체에 조성되어 있는 납골실(12)에 유골(17)을 넣고 석묘의 주변으로 옮겨 놓아서, 유골을 영구적으로 보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공기 소통(硫通)장치(도8)는, 묘실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소통될 수 있도록 묘실 벽체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몸체(21)와; 몸체의 양쪽에 조성되어 있는 통풍구(20)와; 통풍구와 통풍구 사이에 조성되어 있는 몸체의 내부 공간(43)과; 통풍구를 통해서 소통되는 공기는 통과시키고 공기중의 습기는 흡착하면서 곤충 등의 침입을 차단시키도록 몸체의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숯가루(1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기온의 변화에 따라서 묘실 내부의 공기가 수축되거나 팽창돼서 묘실 내부와 외부의 기압의 차이가 생길 수 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스 배출장치(도9)는, 묘실 안에 안치된 시신 안치용 관(24)과 연결된 가스 배출용 호스(22)와; 가스 배출용 호스의 끝에 부착되면서 석묘와 멀리 떨어진 곳에 매설되는 유입물 차단장치(38)와; 유입물 차단장치에 부착되어 있는 유입물 배출구(37)와; 유입물 차단장치에 부착된 상태로 지상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가스 배출구(34)로 구성 되어 있으므로서,
시신 안치용 관에 안치된 시신이 부패되면서 발생시키는 가스와 악취를 석묘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공원묘지와 같이 분묘가 집단으로 조성되어 있는 곳에서는, 각각의 분묘와 연결된 가스 배출용 호스를 지선으로 하고 각각의 지선을 모아서 하나의 굵은 간선의 호스에 체결시켜서, 유입물 차단 장치와 가스 배출구를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석(14)과 향로석(35) 및 훈유석(36)은, 기존의 상석과 향로석 및 휸유석과 기능 및 구조가 같거나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기능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묘실 내부에 설치된 보온용 내장재(5) 안에 시신이 입관된 시신 안치용 관(24)을 안치시키고, 묘실 보온용 내장재의 뚜껑(11)과 묘실의 출입구(9)를 닫아서 보온용 내장재와 묘실을 밀폐시킨 후에, 몸체에 납골실이 구비된 비석 겸용의 납골석(15)을 안치된 시신의 비석으로 설치한다.
시신이 안치된 후에 새로운 시신이 발생되면, 비석 겸용의 납골석을 석묘의 측면으로 옮겨 놓고, 묘실에 안치되어 있던 시신을 수습 화장하여, 석묘의 측면으로 옮겨진 비석 겸용의 납골석(15)의 납골실 안에 유골을 넣어서 영구적으로 안치시키며, 시신이 입관되었던 시신 안치용 관과 숯매트 및 시신 안치용 관의 보조 요입부에 고여 있는 침출액 등은 소각시켜서 처리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시신 안치용 관에 부착되어있는 가스 배출용 호스(22)가 가스 배출장치의 가스 배출용 호스와 연결되기 때문에, 시신 안치용 관에서 발생된 가스와 증발된 수분 등이 묘실 내부에 확산 되지 않고, 가스 배출장치를 통해서 석묘의 외부로 배출되었으며,
시신 안치용 관의 몸체(24)도 완전 방수가 가능하므로, 시신이 부패되면서 발생시킨 침출액과 악취 등이 시신 안치용 관에서 묘실 내부로 유출되지 않았고,
방수제가 도포된 묘실 벽체도 방수기능이 우수하여 빗물 등의 습기가 묘실 외부에서 내부로 스며들지 않았으며,
※ 공기 소통장치(21)에는 방충 및 제습 기능이 우수한 숯가루(19)가 들어있어서, 묘실 내부에 공기 소통장치(43)를 통한 습기의 유입이 없었으며, 묘실 출입구와 출입구 뚜껑 및 보온용 내장재의 출입구와 출입구 뚜껑의 틈새에 실리콘 충전제를 주입했기 때문에,
시신 안치용 관이 꺼내진 묘실의 벽체와 묘실 안에 설치된 보온용 내장재 텅빈 내부는, 결로 현상 등이 없이 설치 당시와 비슷하게 건조하고 께끗한 상태가 유지되어 있으므로,
선대의 시신이 장기간 안치되었던 묘실 내부의 보온용 내장재(5) 안에 아무 거부감 없이, 새로운 시신이 입관된 새로운 시신 안치용 관(24)을 안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새로운 시신 안치용 관이 묘실 내부의 보온용 내장재 안에 안치되면, 보온용 내장재의 뚜껑과 석묘의 출입구을 차례로 닫고 보온용 내장재의 뚜껑과 출입문의 틈새에 실리콘을 주입 밀봉하여, 새로 안치된 시신에 관한 새로운 비석 겸용의 납골석을 비석으로 설치하므로써,
선대의 시신이 장기간 안치되었던 석묘를 정화 또는 보수할 필요 없이 재활용 후대의 시신을 안치시켜서, 선대와 후대가 한곳에 영면할 수 있게 하므로 성묘 등 묘지의 관리가 용이해진다.
그리고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는 지상에 설치되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시신이부패되면서 발생시킨 침출액 등으로 묘지가 오염되어 있는 기존의 묘지에도 묘지를 재개발하여 아무 거부감 없이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를 이용하면, 묘지의 조성으로 발생되는 자연의 홰손과 국토의 잠식 및 환경오염을 막을 수 있으면서,
성묘 등을 통하여 가족간의 유대관계를 돈독히 할 수 있는 우리 전통의 미풍양속인 매장의 장점을 살리는 새로운 개념의 장례을 경제적이고 간편하게 치룰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 { grave with complex function}
본 고안은 장례 분야에서 특히 지하수 및 토양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도, 한번의 설치로 선대와 후대가 반복하여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된, 매장 겸용의 납골묘인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도 1)에 관한 겄이다.
일반적인 우리의 장례문화는 예로부터 매장을 원칙으로 하여 왔고, 매장시에는 시신을 관에 안치하여 관과 함께 매장을 함이 보편적인데,
근래에 들어서는 분묘에서 발생되는 침출액으로 인한 지하수 및 토양의 오염을 방지하고, 묘지조성으로 야기되는 국토의 잠식과 자연홰손을 막으면서, 묘지난과 경제적인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시신을 매장하지 않고 화장을 하여 납골시설에 안치하는 경우가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유교적인 관습을 중시하는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돌아가신 부모의 유언이 없을 경우에 자식으로서 쉽게 부모의 시신을 바로 화장하여 납골시설에 안치하기란 생각보다 그리 쉽지 않다.
그리고 개인의 종교관에 따라서는 교리를 지키기 위하여 매장을 원하는 경우가 많으며,
노, 장년층이나 그중에서도 묘지의 구입이 용이한 농어촌으로 갈수록 대부분 화장보다는 매장을 선호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에 부응하여 납골 겸용의 분묘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으나, 이러한 납골 겸용 분묘의 매장방식은 시신에서 발생되는 침출액이 묘실 바닥을 적시면서 바닥에 조성되어 있는 구멍을 통해서 묘실 밑의 흙속에 스며들도록 되어 있거나 침출액의 구체적인 처리방법이 없기 때문에,
오랜 세월이 지나서 유골을 수습 화장하여 납골시설에 안치시키고 묘실을 재사용 하려 하여도, 묘지와 묘실 내부가 시신에서 발생된 침출액과 스며든 지하수 등으로 심하게 오염되어 있어서,
우리의 정서로는 오염된 묘지와 묘실에 새로운 시신을 안치시킬 수 없어서 사실상 묘지와 묘실의 재사용이 어렵도록 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시신이 부패되면서 발생시키는 침출액과 악취 및 가스의 적당한 처리 장치가 없는 경우도 있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납골 겸용 분묘와 전통방식의 매장 분묘의 문제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신이 부패되면서 발생시킨 침출액으로 토양과 지하수를 심하게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시신에서 발생된 침출액으로부터 묘지와 묘실이 심하게 오염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한번 사용된 묘실과 묘지는 재사용이 거의 불가능 하므로, 새로운 묘지를 조성하기 위해서 자연을 홰손시키고 국토를 잠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국토가 좁은 국내의 상황에서 지속적인 묘지의 조성은 묘지난이 초래 됨과 동시에 묘지가격의 상승 요인이 되므로, 장례비용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장례비용의 상승과 묘지 조성으로 발생되는 국토의 잠식과 환경홰손 및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은 환경보호와 경제성 및 편리성이 우선하는 화장문화를 확산시키는 명분이 되었으며, 성묘 등을 통한 가족간의 유대관계를 돈독히 하는 전통의 미풍양속인 매장문화의 장점을 간과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장기간 사용해도 부식되지 않고 견고하여 봉분의 무게와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지하수와 나무뿌리 또는 들짐승의 침입을 막아서 묘실의 오염 및 홰손을 방지할 수 있고,
선대의 시신이 장기간 안치되었던 석묘와 묘지를 정화시키거나 또는 보수할 필요 없이 후대의 시신을 즉시 안치시켜서, 묘지와 석묘를 간편하게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으며,
분묘가 조성되어 있는 기존의 묘지도 재개발하여 새로운 묘지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묘지의 조성으로 발생되는 국토의 잠식과 환경홰손을 줄일 수 있고,
경제적이며 간편하고 친환경적인 화장의 장점과, 성묘 등을 통하여 가족간의 유대관계를 돈독히 할 수 있는 전통의 미풍양속인 매장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의 사용상태를 실시예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석묘의 종단면도.
도 3은 석묘의 힝단면도.
도 4는 묘실 보온용 내장재를 나타낸 사시단면도.
도 5는 시신 안치용 관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비석 겸용의 납골석을 나타낸 분해단면도.
도 7은 비석 겸용의 납골석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공기 소통장치를 나타낸 사시단면도.
도 9는 가스 배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숯매트를 나타낸 사시단면도.
도 11은 시신 안치용 관의 공기 차단막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시신 안치용 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묘지 2. 석묘의 기단
3. 묘실의 벽체 4. 봉분용 덮개석
5. 묘실 보온용 내장재 6. 방수제
7. 합성 섬유 8. 실리콘 충전물
9. 묘실의 출입구 10. 묘실의 출입문 손잡이
11. 보온용 내장재의 뚜껑 12. 납골실
13. 묘실 벽체의 보강용 프레임 14. 상석
15. 비석 겸용의 납골석의 몸체 16. 유골 안치용 용기
17. 유골 18. 납골실의 뚜껑
19. 숯가루 20. 공기 소통장치의 통풍구
21. 공기 소통장치의 몸체 22. 가스 배출용 호스
23. 시신 안치용 관의 손잡이 24. 시신 안치용 관의 몸체
25. 시신 안치용 관의 뚜껑 26. 시신 안치용 관의 공기 차단막
27. 숯매트의 몸체 28. 부직포
29. 비문 30. 시신
31. 발포 우레탄 또는 발포 스티렌 32. 공기 차단막 개폐용 지퍼
33. 시신 안치용 관의 프레임 34. 가스 배출구
35. 향로석 36. 훈유석
37. 유입물 배출구 38. 유입물 차단장치
39. 유골이 안치된 비석 겸용의 납골석 40. 묘실
41. 유골 안치용 용기의 뚜껑 42. 출입구 보강용 프레임
43. 공기 소통장치의 내부공간 44. 묘실 보온용 내장재의 내부
45. 침출액이 고이는 시신 안치용 관의 보조 요입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시신을 안치시키기 위하여 묘지의 지상에 설치되는 석묘(도 2, 3)와; 시신이 입관된 상태로 석묘의 묘실에 안치되는시신안치용 관(도 5, 12)과; 시신이 안치된 때에는 비석으로 사용되다가 시신을 수습하여 화장한 다음에는 화장된 유골을 안치시킬 수 있도록된 비석 겸용의 납골석(도 6, 7)과; 시신이 부패되면서 발생시키는 가스와 악취를 석묘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배출시켜서 석묘 주변에 악취가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가스 배출장치(도9)와; 묘실 내부에 묘실 외부의 공기가 소통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소통장치(도 8)와; 상석(14)과 향로석(35) 및 훈유석(36)으로 구성되어 있는, 매장과 납골 겸용의 분묘인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의 구조에 관한것으로서, 본 고안의 구성과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구성을 위하여 우선적으로 묘지를 굳게다지는 작업이 선행되며, 다져진 묘지에 석묘의 기초를 이루는 기단(2)을 구축하게 되는 데,
석묘의 기초를 이루는 기단의 구축은, 묘지에 매설된 상태로 석묘의 외부에 설치되는 가스 배출장치의 가스 배출용 호스(22)의 끝 부분이, 구축되는 기단의 상단 표면에 돌출될 수 있도록 가스 배출용 호스를 다져진 묘지에 세우고, 세워진 가스 배출용 호스를 감싸 안은 상태로 철근 콘크리트 또는 벽돌이나 자연석 또는 인조석을 쌓아서 기단(2)을 구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축된 기단의 상단에 가스 배출용 호스가 돌출되도록 하면서 상단의 표면에 대리석 등의 판재를 깔고, 그 판재를 묘실의 바닥으로 하여, 묘실 바닥 주위에 벽체 보강용 프레임(13)을 설치하며, 설치된 프레임을 의지하여 철근 콘크리트나 자연석 또는 인조석이나 벽돌 등으로 묘실의 벽체(3)를 쌓고, 그 벽체의 표면에 방수제(6)를 도포하여 벽면을 통해서 빗물 등의 습기가 묘실에 스며들수 없는 벽체를 구축하며,
벽체의 일측에는 묘실의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소통될 수 있도록 된 공기 소통장치(21)를 벽체에 삽입하는 형태로 설치해서 묘실의 벽체를 완성시킨다.
위와 같이 묘실 벽체가 완성되면, 방수용 합성 섬유(7)의 내부에 발포 스티렌 또는 발포 우레탄(31)을 주입하여 만들어 졌으며, 출입구와 출입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된 뚜껑(11)과 출입구를 보강시켜주는 프레임(42)이 부착되어 있는 묘실 보온용 내장재(도 4)를 묘실 내부에 설치하고,
벽체(3)와 묘실(40) 위에 봉분용 덮개석(4)을 덮어서 지지하므로서 봉분(4)이 구성되며, 벽체의 일측에는 묘실을 개폐시킬 수 있는 출입문(9)이 설치되고, 그 출입문은 묘실 보온용 내장재의 출입구(9)와 연결되므로,
묘실 출입문과 묘실 보온용 내장재의 출입구를 통해서 시신이 입관돤 시신 안치용 관을 묘실안에 설치된 묘실 보온용 내장재의 내부(44)에 쉽게 넣고 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시신이 입관된 상태로 묘실 내부에 설치된 묘실 보온용 내장재에 안치되는 시신 안치용 관은, 묘실 보온용 내장재와 같은 방수용 합성 섬유(7)의 내부에 시신 안치용 관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33)을 설치하고, 방수용 합성섬유와 프레임의 사이에 발포 스티렌 또는 발포 우레탄(31)을 주입하여, 방수기능이 우수하고 견고한 몸체(24)와 뚜껑(25)을 만들었으며,
몸체에 조성되어 있는 요입부에는 안치된 시신을 밑에서 받쳐주면서 부패되면서 발생시키는 침출액과 악취를 흡착하는 숯매트(27)와, 숯매트에 흡착되고도 남은 침출액이 밑으로 흘러서 고일 수 있도록 된 보조 요입부(45)와 숯매트를 씌워주는 부직포(28)가 있고,
시신이 부패되면서 발생시키는 침출액과 악취가 시신 안치용 관의 밖으로 증발되거나 확산되지 않도록 시신 안치용 관의 요입부를 밀폐시켜주는 공기 차단막(26)과, 공기 차단막을 열고 닫아서 시신 안치용 관의 요입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공기 차단막에 부착되어 있는 지퍼(32)와, 시신 안치용 관을 여러사람이 들어서 옮길 수 있도록 된 복수개의 손잡이(23)와, 가스 배출용 호스(22)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신 안치용 관에 시신이 입관된 상태로 묘실에 안치되면, 시신 안치용 관에 부착되어 있는 가스 배출용 호스를 묘실 바닥에 돌출되어 있는 가스 배출장치의 가스 배출용 호스(22)에 체결시켜서,
시신 안치용 관에서 시신이 부패되면서 발생시키는 가스와 악취를, 시신 안치용 관에 부착된 가스 배출용 호스와 묘실 바닥에 돌출되어 있는 가스 배출용 호스 및 석묘의 외부에 매설되어 있는 가스 배출장치를 통해서, 석묘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시신 안치용 관이 묘실 보온용 내장재의 내부에 안치되면 묘실 보온용 내장재의 출입구 뚜껑과 묘실 출입문을 차례로 닫고, 보온용 내장재의 출입구와 뚜껑의 틈새 및 묘실의 출입구와 출입문의 틈새에 실리콘(8)을 주입하여 보온용 내장재와 묘실에 빗물과 같은 습기가 유입될 수 없도록 밀폐시킨다.
위와 같이 시신 안치용 관이 묘실 내부에 안치되면 가스 배출장치(도 9)와상석(14)과 향로석(35)과 휸유석(36) 및 비석 겸용의 납골석(도 6, 7)을 설치하므로써,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의 설치 및 석묘의 묘실을 처음으로 사용하는 장례를 종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비석 겸용의 납골석은 묘실에 시신이 안치되어 있을 때에는 안치된 시신의 비문(29)이 새겨진 비석으로써 기능을 하고, 세월이 흘러서 시신이 화장된 후에는 석묘의 주변으로 옮겨 세우고 몸체(39)에 조성되어 있는 납골실에 유골을 넣어서 비문이 새겨진 납골석으로 활용하여 유골을 영구적으로 안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석(14)과 향로석(35) 및 휸유석(36)은 기존의 상석과 향로석 및 휸유석과 구조 및 기능이 같거나 유사하게 되어 있으며,
가스 배출장치는 가스 배출용 호스(22)와 유입물 차단장치(38)와 가스 배출구(34)로 구성되어 있는데,
가스 배출용 호스(22)는, 상기 석묘의 기단을 구축할 때에 호스의 한쪽 끝 부분이 기단의 상단에 돌출되도록 설치 되었고, 일부분은 기단의 내부에 묻힌 상태며, 나머지 부분은 기단 밑의 땅속에서부터 멀리 떨어진 유입물 차단장치(38)까지 묘지에 매설된다.
유입물 차단장치(38)는, 매설된 가스 배출용 호스의 끝에 체결된 상태로 땅속에 묻혀서 설치되며, 가스 배출구(34)를 통해서 유입된 빗물과 같은 유입물을 유입물 차단장치보다 낮은 곳으로 흘려보낼 수 있도록 된 유입물 배출구(37)가 있고,지상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가스 배출구(34)가 부착되어 있다.
가스 배출구(34)는, 땅속에 매설된 유입물 차단장치에 부착된 상태로 지상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빗물과 같은 유입물이 유입물 차단장치(38)의 안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면서, 시신이 부패되면서 발생시키는 가스와 악취 등을 공기중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연통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조와 기능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의 사용상태를 실시예로 나타낸 사시도며,
도 2는 석묘의 종단면도며,
도 3은 석묘의 힝단면도며,
도 4는 묘실 보온용 내장재를 나타낸 사시단면도며,
도 5는 시신 안치용 관을 나타낸 종단면도며,
도 6은 비석 겸용의 납골석을 나타낸 분해단면도며,
도 7은 비석 겸용의 납골석을 나타낸 단면도며,
도 8은 공기 소통장치를 나타낸 사시단면도며,
도 9는 가스 배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며,
도 10은 숯매트를 나타낸 사시단면도며,
도 11은 시신 안치용 관의 공기 차단막을 나타낸 사시도며,
도 12는 시신 안치용 관을 나타낸 사시도로써,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의 설치를 위하여 묘지의 조성작업을 우선적으로 하게되며, 묘지의 조성이 끝나면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를 설치할 수 있도록 분묘의 규모에 맞는 묘지의 일정한 넓이를 굳게 다져서 기반을 조성하게 되는 데,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의 규모는 묘실의 칸수와 비례하며, 묘실을 한칸 또는 여러칸으로도 만들 수 있으므로, 이때에 조성되는 기반의 넓이는 묘실을 몇 칸으로 할 것인가에 따라서 그 넓이를 결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묘실의 칸수에 따라서 적당한 넓이 만큼 기반이 조성되면, 가스 배출장치의 가스 배출용 호스의 끝 부분을 굳게 다져지는 묘지에 세워서 설치하고, 가스 배출용 호스(22)의 일부분은 굳게 다져지는 묘지에서부터 유입물차단장치 까지 묘지에 매설한다.
이때에 설치되는 가스 배출용 호스는 각각의 묘실에 한 개씩 연결되도록 묘실의 숫자에 맞추어서 설치되나 땅속에 매설되는 부분에서는 각각의 묘실과 연결된 가스 배출용 호스가 하나의 가스 배출용 호스로 통합되어서 유입물 차단장치 까지 매설되므로 묘실의 숫자와 관계 없이 유입물 차단장치는 한 개가 설치 된다.
그러므로 공원묘지와 같이 여러 기의 분묘가 설치될 때에도 각각의 분묘와 연결된 가스 배출용 호스를 지선으로 하고, 여러 개의 지선이 하나의 굵은 간선의 가스 배출용 호스에 연결되어서 매설되므로, 유입물 차단장치와 유입물 배출구 및 가스 배출구도 한 개로 통합하여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기반 조성과 가스 배출용 호스의 매설이 끝나면, 가스 배출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가스 배출용 호스를 다져진 기반의 중심에 세우고, 그 호스를 감싸는 상태로 콘크리트 또는 벽돌 등을 쌓아서, 기단 밑의 땅속에서부터 기단의 상단면 까지 가스 배출용 호스가 관통된 상태로 석묘의 기초가 되는 기단(2)을 구축한다.
상기와 같이 구축된 기단의 상단 표면에는 그 위에 구축되는 묘실의 바닥이 되도록 대리석과 같은 판재를 깐다. 이때에 주의할 것은 기단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있는 가스 배출용 호스가 판재에 깔리지 않고 판재의 표면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그 위에 안치되는 시신 안치용 관의 가스 배출용 호스와 체결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기단 위에 판재가 깔리면 판재의 테두리를 감싸는 형태로 기단의 상단 표면에 묘실 벽체 보강용 프레임(13)을 설치해서, 프레임에 의지하여 구축되는 묘실 벽체(3)가 견고해지도록 하며, 프레임의 설치가 끝나면 프레임에 의지해서 대리석 또는 벽돌 등으로 전면에 출입문(9)이 있는 묘실의 벽체를 세운다.
이와 같이 구축된 묘실 벽체의 일측에는 묘실 내부와 묘실 밖의 공기가 소통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소통장치(21)가 설치된다.
그리고 기단과 묘실 벽체의 구축에 사용되는 재료는 철근 콘크리트와 자연석과 인조석과 벽돌 등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묘실 벽체에 설치되는 공기 소통장치는, 묘실 벽체를 구축하면서 벽체의 일측에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된 몸체(21)가 있는데, 몸체는 유리(琉璃) 또는 부식되지 않는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몸체의 내부에는 상당량의 숯가루(19)를 담아 둘 수 있는 공간(43)과, 몸체에 담겨있는 숯가루를 통과시켜서 묘실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소통될 수 있도록 된통풍구(20)가 조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 소통장치(21)를 벽체에 삽입하여 설치하면 한쪽의 통풍구는 묘실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게 되고, 숯가루가 담겨있는 몸체는 묘실 벽체(3)에 삽입된 상태며, 또 하나의 통풍구는 묘실의 내부에 돌출된 상태로 묘실 보온용 내장재(5)에 조성되어 있는 구멍을 통과해서 묘실 보온용 내장재의 내부까지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 소통장치는, 묘실과 묘실 외부의 기압 차이에 따라서 묘실 내부의 공기와 석묘 외부의 공기가 몸체의 내부에 담겨있는 숯가루를 통과하여 소통되게 되므로써,
습기와 곤충 또는 묘실을 오염시킬 물질이 통풍구를 통해서 묘실에 유입될 때는 공기 소통장치(21)의 내부에 있는 숯가루(19)에서 흡착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묘실 내부에 묘실 외부의 공기가 소통되도록 되어 있어도, 습기와 곤충 등이 유입될 수 없으므로 묘실 내부에 습기가 유입되어 발생될 수 있는 결로현상 등이 최대한 억제된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묘실의 벽체가 구축되고 공기 소통장치가 설치되면, 벽면에는 방수제(6)를 도포하여 빗물과 같은 습기가 벽면을 통해서 묘실 안으로 스며들 수 없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묘실을 이루는 벽체가 구축되면 묘실의 내부에 묘실 보온용 내장재(5)를 설치하게 되는데,
묘실 보온용 내장재는, 방수용 합성 섬유(7)의 내부에 발포 스티렌 또는 발포 우레탄(31)을 주입하여 상자 형태로 성형되었으며, 출입구와 출입구를 개폐시켜주는 뚜껑(11)이 있고, 출입구를 견고하게 보강시켜 주기 위해서 출입구의 테두리에 체결되는 프레임(42)이 있으며, 뚜껑의 테두리에도 프레임을 체결시켜서 뚜껑이 쉽게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일측에는 상기 공기 소통장치가 끼워질 수 있도록 된 구멍이 조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상기와 칼이 묘실 보온용 내장재의 설치가 끝나면 묘실 벽체와 묘실 보온용 내장재가 설치된 묘실 위에 봉분의 기능을 하는 덮개석(4)을 덮고 봉분과 벽체의 연결부분의 틈새에 실리콘(8)을 주입하여, 연결부분의 틈새를 통해서 빗물 등이 묘실 내부에 스며들지 못하도록 하므로써,묘실 벽면(3)에 결로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된 석묘의 설치가 완료 된다.
위와 같이 석묘와 공기 소통장치 등의 설치가 완료 되면 묘실의 내부에 시신 안치용 관(24)이 안치되며, 그 시신 안치용 관에 부착된 가스 배출용 호스를 기단을 관통하여 기단의 상단 표면에 해당되는 묘실 바닥에 돌출되어 있는 가스 배출장치(도 9)의 가스 배출용 호스(22)에 연결시켜서,
기단(2)의 내부와 기단 밑의 땅속에 매설된 가스 배출용 호스(22)와 석묘에서 멀리 떨어진 곳의 땅속에 매설된 유입물 차단장치(38)와, 여기에 부착되어 지상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가스 배출구(34)를 통해서 시신이 부패되면서 발생시키는 가스와 악취를 배출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가스 배출장치(도 9)에는 묘실의 바닥에 돌출되어 있는 가스 배출용 호스에서부터 석묘의 기단 내부를 관통해서 유입물 차단장치까지땅속에 매설되는 가스 배출용 호스(22)와, 가스 배출용 호스의 안에 빗물과 먼지 등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지하에 매설되는 유입물 차단장치(38)와, 유입물 차단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면서 지상으로 돌출되어 설치되는 가스 배출구(34)와, 유입물 차단장치의 하부에 연결되면서 유입물 차단장치에 유입될 수 있는 빗물 등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된 유입물 배출구(3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묘실 내부의 보온용 내장재(5) 안에 시신이 입관된 상태로 안치되는 시신 안치용 관(24)은, 관의 요입부를 덮어 씌우도록 된 공기 차단막(26)이 몸체(24)에 부착되어 있고, 공기 차단막에는 공기 차단막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여 요입부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된 지퍼(32)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공기 차단막의 지퍼를 열고서 요입부에 숯매트(27)와 부직포(28)를 차례로 깔고, 그 부직포 위에 시신을 안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숯매트 밑에는 숯매트를 통과한 침출액과 수분이 고일 수 있도록 된 보조 요입부(45)가 조성 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신 안치용 관에 시신(30)이 안치되면 그 위에 공기 차단막(26)을 씌우고 공기 차단막을 개폐시키는 지퍼(32)를 닫아서,
시신이 부패되면서 발생시키는 악취와 가스 및 수분 등이 시신 안치용 관의 외부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고, 그 위에 시신 안치용 관의 뚜껑(25)을 덮어서 묘실내부의 보온용 내장재(5) 안에 안치시킨다.
위와 같이 시신 안치용 관이 묘실에 안치되면, 시신 안치용 관에 부착되어 있는 가스 배출용 호스를 묘실 바닥에 돌출되어 있는 가스 배출용 호스에 체결시킨다.
상기와 같이 시신 안치용 관이 묘실에 안치되면 묘실 보온용 내장재의 출입구 뚜껑과 묘실의 출입문을 차례로 닫고, 보온용 내장재의 출입구 뚜껑과 묘실 출입문의 틈새에 실리콘(8)를 주입하여 보온용 내장재와 묘실을 밀봉 하므로써, 초목과 들짐승 및 빗물 등이 묘실의 내부에 침투할 수 없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석묘와 공기 소통장치와 가스 배출장치의 설치 및 시신의 안치가 끝나면, 비석 겸용의 납골석(15)과 상석(14)과 휸유석(36)과 향로석(35)을 석묘의 주위에 설치하므로써,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도 1)의 설치 및 그것을 이용한 매장이 완료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설치 및 매장이 끝나고 오랜 세월이 지난 다음에 새로운 시신이 발생되면,
상기 묘실의 출입문과 보온용 내장재의 뚜껑을 밀봉시킨 실리콘(8)을 제거하고 묘실의 출입문(9)과 보온용 내장재의 뚜껑(11)을 열고서, 오래 전에 안치되었던 시신 안치용 관의 손잡이(23)를 잡아 당겨서 묘실 밖으로 꺼내 묘실의 내부를 비우면서, 시신 안치용 관에 부착되어 있는 가스 배출용 호스를 묘실 바닥에 돌출되어 있는 가스 배출용 호스에서 불리 시킨다.
위와 같이 묘실에서 꺼내진 시신 안치용 관의 내부에는 시신에서 발생된 침출액과, 침출액과 수분 및 악취를 흡착한 숯매트(27)와, 육탈이 된 유골이 들어 있으므로,
유골을 수습 화장시설로 옮겨서 화장하고, 화장된 유골은 유골을 담아둘 수 있도록 된 유골용기(16)에 담아서 비석으로 사용되던 비석 겸용의 납골석(15)의 납골실(12)에 안치시키며, 유골(17)이 안치되면 납골실의 뚜껑(18)을 닫고 실리콘(8)으로 뚜껑이 닫쳐진 틈새를 메워서 납골실에 빗물 등의 습기가 스며들지 못하게 하고, 유골이 안치된 비석 겸용의 납골석을 석묘 주변의 적당한 장소에 옮겨놓아서 유골을 영구적으로 보전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유골용기는, 방수용 합성 섬유(7)의 내부에 발포 스티렌 또는 발포 우레탄(31)을 주입하여 만들어졌으며, 완전 방수가 가능하면서 내용물을 담아 둘 수 있는 홈이 조성된 몸통과 흠을 덮어주는 뚜껑(41)이 있는 원통형의 용기(16)이므로,
유골 용기의 내부에 조성되어 있는 홈에 유골(17)을 넣고 유골 용기의 뚜껑(41)을 덮어서 뚜껑과 몸체의 사이에 실리콘을 주입 유골 용기를 밀봉시키면, 유골에 습기가 접촉할 수 없으므로 유골이 부패되지 않고 장기간 보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오랫동안 묘실에 안치되었던 시신 안치용 관의 몸체와 뚜껑과 침출액과 침출액 및 악취를 흡착한 숯매트(27)는 유골을 화장할 때에 소각시켜서 처리한다.
한편, 상기 시신 안치용 관의 표면에는 방수용 합성 섬유(7)가 부착되어 있고, 요입부의 상단에도 요입부를 덮어 씌우도록 된 공기 차단막(26)이 있기 때문에, 시신(30)에서 발생된 침출액과 수분 및 악취가 시신 안치용 관에서 묘실의 내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완전하게 차단되었으며,
석묘가 지상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묘실의 내부에 지하수 등이 스며들 수없었고, 묘실 벽체(3)의 표면에도 방수제가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빗물과 같은 습기가 묘실 내부에 스며들 수 없었으므로, 묘실 내부에 결로현상 또는 곰팡이 등이 발생될 수 없으므로, 시신 안치용 관을 꺼내서 비워진 묘실의 내부는 설치 당시와 같이 건조하고 께끗한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비워진 묘실의 내부는 깨끗한 상태이므로 장기간 시신이 안치되었던 묘실이라 하여도 거부감 없이 새로운 시신이 입관돤 새로운 시신 안치용 관을 묘실에 안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새로운 시신 안치용 관이 안치되면 묘실 보온용 내장재의 뚜껑(11)과 석묘의 출입문(9)을 차례로 닫고, 묘실 보온용 내장재의 뚜껑과 묘실 출입문의 틈새에 실리콘를 주입하여 묘실을 또다시 밀봉시킨다.
그리고 새로운 비석 겸용의 납골석(15)을 이전에 납골석이 세워졌던 자리에 새로 세움으로써, 본 고안의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도 1)를 재활용 한 매장겸 납골방식의 장례을 종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에 시신을 안치시키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신신 안치용 관에 입관된 상태로 묘실에 장기간 안치되었던 유골을 수습 화장하고, 화장된 유골을 비석 겸용의 납골석에 넣어서 석묘(도 1)의 주변에 세워둠으로써, 별도의 납골시설이 필요 없이 비석으로 사용되었던 납골석(39)에 유골을 영구적으로 안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시신에서 발생되는 침출액이 시신 안치용 관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으므로, 침출액 때문에 발생되었던 토양과 지하수 및 묘실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종래의 매장방식은 대부분 묘지에 홈을 파고서 매장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장례절차가 번거롭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은 지상에 설치되어 있고 묘실 출입문(9)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시신이 입관된 시신 안치용 관(24)을 묘실에 쉽게 넣고 꺼낼 수 있고,
별도의 납골시설이 필요 없이 비석 겸용의 납골석(39)에 시신을 화장하여 유골을 영구적으로 안치시킬 수 있으므로,
매장겸 납골방식의 장례를 경제적이면서도 간편하게 치룰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넷째, 매장겸 납골방식의 장례를 경제적으로 간편하게 치룰 수 있으므로, 가족간의 유대관계를 중요시 하는 전통의 미풍양속인 매장방식의 장례문화를 쉽게 보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유골이 안치된 상태로 석묘 주변에 정돈해서 세워진 비석 겸용의 납골석(39)은 세월이 경과될수록 그 개수가 늘어 나게 되며 선대와 후대가 한 곳에 영면하게 되므로써, 성묘와 묘소의 관리 등이 한곳에서 간편하게 이루어 지도록 한 효과가 있다.
여섯째, 종래의 납골 겸용의 분묘보다 설치가 쉽고 설치후에도 하자의 발생이 적은 구조로 되어 있으며 설치비용과 관리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일곱째, 공동묘지와 같이 집단적으로 조성된 묘지에서는 석묘 각각의 가스 배출용 호스를 서로 연결시켜서, 유입물 차단장치와 가스 배출구를 한곳에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좁은 묘지 또는 암반지대의 묘지에도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를 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종래에 분묘가 설치되어 있던 묘지도 재개발 하여 새로운 묘지로 조성해서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를 설치 할 수 있으므로, 묘지의 조성으로 발생되는 국토의 잠식 및 환경홰손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묘지를 굳게 다지고 그 위에 가스 배출용 호스를 설치하면서 철근 콘크리트나 벽돌 또는 자연석이나 인조석을 등을 쌓고 그 위에 판석을 깔아서 구축되는 석묘의 기단(2)과; 기단 위에 설치하여 묘실 벽체를 견고하게 의지시켜주는 철제의 벽체 보강용 프레임(13)과; 벽체 보강용 프레임에 의지하면서 철근 콘크리트나 벽돌 또는 자연석이나 인조석 등을 기단 위에 쌓아서 묘실의 공간을 구축하는 묘실의 벽체(3)와; 빗물과 같은 습기가 벽면을 통해서 묘실 내부로 스며들지 않도록 벽면에 도포되는 방수제(6)와; 시신 안치용 관을 묘실의 내부에 넣고 꺼낼 수 있도록 묘실 벽체에 조성되어 있으면서 묘실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문짝이 있는 묘실 출입구(9)와; 묘실 벽체 위에 얹혀져 지지되며 묘실을 덮어주는 봉분의 기능을 하면서 테두리 부분에 절수부가 조성되어 있는 봉분용 덮개석(4)과; 묘실의 보온을 위해서 묘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묘실 보온용 내장재(도 4)와; 시신이 입관된 상태로 묘실 내부의 묘실 보온용 내장재 안에 안치되는 시신 안치용 관(도 5)과; 묘실 안에 안치된 시신 안치용 관에 한쪽 끝이 연결된 상태로 묘지의 땅속에 묻혀서 시신이 부패되면서 발생시키는 가스를 석묘에서 멀리 떨어진 곳의 가스 배출구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된 가스 배출장치(도 9)와; 묘실 벽체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묘실 내부와 묘실 외부의 공기가 소통되도록 하는 공기 소통장치(도 8)와; 시신이 안치되어 있을 때에는 비석으로 사용 되고 시신을 화장한 다음에는 몸체에 구비된 납골실에 화장된 유골을 안치시킬 수 있도록 된 비석 겸용의 납골석(도 6, 7)과; 상석(14)과 향로석(35) 및 휸유석(36) 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
  2. 청구항 1에 있어서
    기단 위에 설치해서 묘실 벽체를 의지 시키므로써 묘실 벽체의 뒤틀림 또는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묘실 벽체를 더욱 견고하게 해주는 벽체 보강용 프레임(13)이 있는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
  3. 청구항 1에 있어서
    방수용 합성 섬유(7)의 내부에 발포 스티렌 또는 발포 우레탄(31)을 주입하여 묘실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5)와; 시신 안치용 관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 공간(44)과; 내부 공간에 시신 안치용 관을 넣고 꺼낼 수 있도록 된 출입구와 출입구를 개폐시켜주는 뚜껑(11)과; 출입구와 뚜껑의 테두리에 부착되어서 출입구와 뚜껑의 파손 등을 방지하도록된 출입구 보강용 프레임(42)과; 공기 소통장치가 연결될 수 있도록 몸체의 일측에 조성되어 있는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고,
    묘실 내부에 안치되는 시신이 겨울철의 낮은 기온에 동결되거나, 여름철의 높은 기온에 급속히 부패되는 것을 방지해 주면서, 묘실 내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결로현상을 방지 하기 위하여 묘실 내부에 설치되는 묘실 보온용 내장재(도 4)가 있는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
  4. 청구항 1에 있어서
    묘실 내부의 시신 안치용 관에 부착된 가스 배출용 호스와 체결된 상태로, 석묘의 기단(2)을 관통하여 유입물 차단장치(38)까지 묘지의 땅속에 묻혀서 시신이 부패되면서 발생시키는 가스와 악취 등을 석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가스 배출용 호스(22)와; 가스 배출용 호스의 안으로 빗물과 먼지 등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해주는 유입물 차단 장치(38)와; 유입물 차단장치에 부착된 상태로 지상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면서 시신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가스 배출구(34)와; 유입물 차단장치(38)에 부착된 상태로 유입물 차단장치에 유입될 수 있는 빗물 등을 유입물 차단장치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유입물 배출구(37)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시신 안치용 관의 내부에 석묘의 외부 공기가 소통될 수 있도록 하는 가스 배출장치(도 9)가 있는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
  5. 청구항 1에 있어서
    방수용 합성 섬유의 내부에 시신 안치용 관의 골격을 이루도록 설치된 프레임(33)과; 방수용 합성 섬유와 프레임의 사이에 발포 스티렌 또는 발포 우레탄을 주입하여 형성된 뚜껑이 있는 몸체(24)와; 숯매트를 통과한 침출액이 고일 수 있도록 요입부 바닥에 구비되어 있는 보조 요입부(45)와; 숯가루를 부직포로 싸서 만들어 졌으며 시신을 밑에서 받쳐주면서 시신에서 발생되는 악취와 침출액을 흡착할 수 있도록 된 숯매트(도 10)와; 시신 안치용 관의 몸체 상단에 부착된 상태로 요입부를 덮어 씌워서 시신에서 발생되는 악취와 수분 및 침출액이 시신 안치용 관의 외부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면서, 부착된 지퍼를 열고 닫으므로써 요입부를 개패시켜서 요입부의 내부에 숯매트와 부직포를 차례로 깔고 그 위에 시신을 안치시킬 수 있도록 된 지퍼가 부착된 공기 차단막(26)과; 몸체에 부착된 상태로 묘실 바닥에 돌출되어 있는 가스 배출장치의 가스 배출용 호스와 체결되도록 된 가스 배출용 호스(도 11)와; 여러사람이 들어서 옮길 수 있도록 몸체에 부착된 복수개의 손잡이(23)로 구성된 시신 안치용 관(도 5)이 있는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
  6. 청구항 1에 있어서
    몸체에 홈을 파서 조성된 유골 안치용 납골실(12)과; 납골실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된 납골실 뚜껑(18)과; 몸체와 납골실 뚜껑의 틈새에 주입하여 납골실을 밀봉시켜주는 실리콘(8)과; 화장된 유골을 담아 둘 수 있도록 방수용 합성 섬유의 내부에 발포 스티렌 또는 발포 우레탄을 주입하여 형성된 유골 용기(16)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묘실에 시신이 안치되어 있는 기간에는 안치된 시신의 비문이 새겨진 비석으로 사용되고, 안치된 시신을 수습하여 화장한 다음에는 유골을 안치시켜서 납골석으로 사용되도록 된 비석 겸용의 납골석(도 6, 7)이 있는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
  7. 청구항 1에 있어서,
    부식되지 않는 유리와 같은 재료로 구성된 몸체(21)와; 몸체의 양편에는 묘실과 묘실 외부의 공기가 소통될 수 있도록된 통풍구(20)와; 통풍구와 통풍구의 사이에는 흡착용 숯가루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43)과; 통풍구를 통해서 유입될 수 있는 습기와 곤충 등을 차단시키면서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된 흡착용 숯가루(19)가 들어 있는 공기 소통장치(도 8)가 있는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
KR2020010000032U 2001-01-02 2001-01-02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 KR2002311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032U KR200231130Y1 (ko) 2001-01-02 2001-01-02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032U KR200231130Y1 (ko) 2001-01-02 2001-01-02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130Y1 true KR200231130Y1 (ko) 2001-07-19

Family

ID=73094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032U KR200231130Y1 (ko) 2001-01-02 2001-01-02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13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7306B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storing cremains
US20160376810A1 (en) Interment system with underground container
KR200231130Y1 (ko) 복합기능을 갖는 분묘
KR101252901B1 (ko) 지하 복합 장사 시설
KR200384790Y1 (ko) 유골함 보관장치
US10344497B1 (en) Interment apparatus and methods
KR200406931Y1 (ko) 유골이 흙 속에 매장된 상태로 된 납골묘
KR101614269B1 (ko) 다층식 공동묘
KR100223665B1 (ko) 봉분형 납골묘지
JP7397515B2 (ja) 骨壷納骨型墓地構造
CN205531618U (zh) 具有美化环境功能的墓室以及墓冠
KR100207060B1 (ko) 다용도 가족 납골당
JPH05193Y2 (ko)
KR100304492B1 (ko) 혼합형분묘의시공방법
KR200189920Y1 (ko) 한국형 납골당 가족묘 공원
KR100306307B1 (ko) 납골묘
KR200214924Y1 (ko) 납골탑
KR200344292Y1 (ko) 복합 기능을 갖는 납골묘의 구조
KR100360330B1 (ko) 납골묘의 시공방법
KR200243165Y1 (ko) 캡슐을 내장한 납골묘
KR200347866Y1 (ko) 통풍(通風)층이 있는 결로 방지용 납골묘
KR200182781Y1 (ko) 한국형 납골당 가족묘 공원
JPH072892Y2 (ja) 簡素型の墓及びその集合体
KR200264411Y1 (ko) 가족 납골묘
Azarpay Cairns, kurums and dambs: a note on pre-Islamic surface burials in eastern Iran and Central As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