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668B1 - 화분장묘 - Google Patents

화분장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668B1
KR101467668B1 KR1020130026480A KR20130026480A KR101467668B1 KR 101467668 B1 KR101467668 B1 KR 101467668B1 KR 1020130026480 A KR1020130026480 A KR 1020130026480A KR 20130026480 A KR20130026480 A KR 20130026480A KR 101467668 B1 KR101467668 B1 KR 101467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len
flowerpot
tree
planted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2160A (ko
Inventor
김성만
Original Assignee
김성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만 filed Critical 김성만
Priority to KR1020130026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668B1/ko
Publication of KR20140112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3Funeral monuments, grave sites curbing or markers not making part of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소에 구애받음이 없이 자유롭게 자연 친화적으로 장사를 지내고 묘를 쓰는 것이 가능하고, 교통 및 근접의 제한성없이 가까이 모시는 것이 가능하고, 부지의 개발로 인한 묘의 훼손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며, 고인의 대한 경건함이나 존엄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 화분장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상부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부를 갖는 화분몸체의 바닥면에 배수공이 형성되고, 화분몸체의 측면부를 따라 수목의 뿌리가 화분몸체의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게 뿌리 인출공이 형성된 화분과; 상기 화분에 유골분과 함께 흙에 식재되는 수목과; 상기 수목이 식재된 화분의 전방측 흙 위에 세워지는 비석;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화분장묘{Flowerpot funeral and cremation}
본 발명은 화분장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소에 구애받음이 없이 자유롭게 자연 친화적으로 장사를 지내고 묘를 쓰는 것이 가능하고, 교통 및 근접의 제한성없이 가까이 모시는 것이 가능하며, 부지의 개발로 인한 묘의 훼손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며, 고인의 대한 경건함이나 존엄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 화분장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수목장(樹木莊)은 일반적인 매장(埋葬)이나 납골(納骨) 방식과 달리, 화장한 유골의 골분을 숲 속의 나무 주변에 뿌리거나 묻는 자연 친화적 장례 방식으로서, 인구증가에 따라 나타나는 묘지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국토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으나, 유골 외에는 유품을 포함해 어떤 것도 함께 묻을 수 없고, 봉분이나 비석ㆍ납골시설 등 별도의 조형 시설 설치를 금지하며 나무에 고인을 표시하는 작은 인식표만 매다는 형식을 취한다.
한국은 일부 사찰에서만 수목장이 운영되었는데 2009년 6월 광산 김씨 도봉공파의 소(小)문중인 35세조(世祖) 김행두 후손들이 앞으로 문중(門中)의 모든 장례를 수목장으로 치른다는 결정을 내려 화제가 되기도 했다. 한편 우리나라는 수목장 및 자연장 활성화를 위해 자연장의 방법 및 자연장지 조성 등을 내용으로 한 '장사 등에 관한 법률'을 개정, 2008년 5월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장례문화 개선을 위해 심의회를 거쳐 '장사 등에 관한 조례안'을 2008년 11월부터 시행하고 있으며, 같은 해 12월 14일 경기도 파주시 용미리에 1만 6,000위 규모의 자연장지를 조성, 운영하고 있고, 산림청은 수목장림 등 자연장에 관한 규정 신설을 골자로 한 `장사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공포됨에 따라 경기도 양평군 양동면 계정리 일원 국유림 55㏊(약 16만5000평)에 국내 처음으로 수목장림 기반 조성사업을 추진한다고 2007년 5월 28일자로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목장은 상기한 바와 같은 자연 친화적인 장점에도 불구하고 장소가 정해지면 이장 및 개장이 자유롭지 못하므로 교통 및 근접의 제한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가까이 모실 수 없고, 부지의 개발로 인해 훼손될 수 있이며, 인식표만 달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고인에 대한 경건함이나 존엄성이 실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장소에 구애받음이 없이 자유롭게 자연 친화적으로 장사를 지내고 묘를 쓰는 것이 가능하고, 교통 및 근접의 제한성없이 가까이 모시는 것이 가능하며, 부지의 개발로 인한 묘의 훼손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며, 고인의 대한 경건함이나 존엄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 화분장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분장묘의 한 형태는, 상부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부를 갖는 화분몸체의 바닥면에 배수공이 형성되고, 화분몸체의 측면부를 따라 수목의 뿌리가 화분몸체의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게 뿌리 인출공이 형성된 화분과; 상기 화분에 유골분과 함께 흙에 식재되는 수목과; 상기 수목이 식재된 화분의 전방측 흙 위에 세워지는 비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분은 직사각 형태의 화분몸체로 형성되어 상기 화분몸체의 가로방향에 대하여 앞쪽에 인명이 가로방향으로 향하게 비석이 세워지고, 상기 비석의 후방측에 수목이 식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분은 직사각 형태의 화분몸체로 형성되어 상기 화분몸체의 가로방향에 대하여 중앙부에 수목이 식재되고, 상기 수목의 양측에 각각 인명이 세로방향으로 향하는 비석A와 비석B를 세워 부부의 합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분몸체는 하향 경사진 테이퍼와 하부 단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화분은 화분몸체의 바닥면 양측 2개소에 배수공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의 상부측 화분몸체의 각 면을 따라 뿌리 인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분은 가로 1M와 세로 50cm 및 55cm의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은 화분몸체의 저면부로부터 10cm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비석은 상부경사면을 갖는 석재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경사면에 고인의 생년월일 및 사망일과 함께 사진이 전사된 인명타일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분에 고인의 유골분과 함께 수목을 식재하고 고인의 생년월일 및 사망일과 함께 사진이 전사 및 인쇄된 인명타일이 부착된 비석을 세워 화분장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음이 없이 자유롭게 자연 친화적으로 장사를 지내고 묘를 쓰는 것 뿐만 아니라 이장 및 개장이 자유로워 경제적이고, 교통 및 근접의 제한성 없이 가까이 모시는 것이 가능해 항상 고인과 함께 하면서 장사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부지의 개발로 인한 묘의 훼손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묘 관리에 따른 어려움이 없고, 항상 고인의 대한 경건함이나 존엄성을 가질 수 있어 후손에게 조상의 존중사상을 대대로 물려줄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화분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비석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분몸체(11)가 땅속에 매립되는 화분(1)에 유골분과 함께 흙으로 수목(3)을 식재하고, 수목(3)의 앞쪽에 비석(2)을 세워서 된 것이다. 이때 화분(1)은 직사각 형태의 화분몸체(11)로 형성되어 화분몸체(11)의 가로방향에 대하여 앞쪽에 인명이 가로방향으로 향하게 비석(2)이 세워지고, 상기 비석(2)의 후방측에 수목(3)이 식재된 단독장으로 구성한 것으로서, 화분(1)은 상단부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돌출된 상부 단턱부(13)가 형성된다. 상부 단턱부(13)는 화분장묘의 영역을 표시하는 수단이 될 수 있으며, 매립 설치 및 이장할 때 운반 및 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화분(1)은 세라믹 재질의 화분몸체(11)로 형성되고, 비석(2)은 석재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여기서 특징은 부부의 합장이 이루어지는데 있고,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화분(1)을 직사각 형태의 화분몸체(11)로 형성하여 화분몸체(11)의 가로방향에 대하여 중앙부에 수목(3)이 식재되고, 상기 수목(3)의 양측에 각각 인명타일(22)이 세로방향으로 향하는 비석A(2a)와 비석B(2b)를 세워서 된 것이다. 이때 화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화분몸체(11)가 땅속에 매립되고, 상단부 둘레를 따라 상부 단턱부(13)가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화분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분(1)은 직사각 형태의 화분몸체(11)로 형성되고, 상기 화분몸체(11)는 상부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부(12)를 가지며, 바닥면에 배수공(16)이 형성되고, 화분몸체(11)의 측면부를 따라 수목(3)의 뿌리가 화분몸체(11)의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게 뿌리 인출공(17)이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배수공(16)은 화분몸체(11)의 바닥면 양측 2개소에 형성되고, 뿌리 인출공(17)은 화분몸체(11)의 각 면을 따라 형성되며, 화분몸체(11)는 하향 경사진 테이퍼(15)와 하부 단차부(14)를 더 포함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화분(1)을 화분몸체(11)의 상부 단턱부(13) 하단면이 땅에 닿는 깊이로 땅속에 매립하게 된다. 이때 화분몸체(11)에 형성된 테이퍼(15)는 화분몸체(11)를 땅속에 빼낼 때 보다 용이하고, 하부 단차부(14)는 수작업 또는 기계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화분몸체(11)를 들어 올릴 때 보다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땅속에 화분몸체(11)를 매립한 후에는 화분몸체(11)의 수용공간부(12) 내부에 흙을 채우게 되는데, 이때 화분몸체(11)의 바닥면에 흙을 깔고, 그 위에 수목(3)의 뿌리를 올려 놓은 다음 유골분(4)과 함께 흙을 채운 후, 다시 그 위에 흙을 덮어 다짐으로써 유골분(4)이 뿌려진 수목(3)을 화분(1)에 식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혐오감을 없애기 위해 화분몸체(11)의 상부를 잔디로 덮어 마감하고, 수목(3)의 앞쪽에 고인의 생년월일 및 사망일 등이 새겨진 비석(2)을 세움으로써 일련의 화분장묘를 완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화분(1)은 55cm의 전체 깊이를 가지는 것으로서, 유골분(4)은 법으로 정해진 30cm 아래의 깊이에 15cm 깊이의 범위로 식재된 수목(3)의 뿌리 주변에 뿌려지고, 뿌리가 화분(1)의 외부로 빠져 나와 주변의 토양에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15cm 깊이의 범위에 속하도록 화분몸체(11)의 바닥에서 10cm의 높이로 화분몸체(11)의 각 면을 따라 뿌리 인출공(17)을 형성한 것이다. 이렇게 수목(3)의 뿌리가 화분(1)의 뿌리 인출공(17)을 통해 화분(1)의 사방으로 빠져 나와 주변의 토양에 뿌리를 내림으로써 심한 태풍이 바람에도 화분(1)을 흔들림없이 보다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비석(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경사면(21)을 갖는 석재로 이루어지고, 상부경사면(21)에 고인의 사진과 생년월일 및 사망일이 전사된 인명타일(22)이 부착되는 것으로서, 인명타일(22)은 먼저 타일의 표면에 고인의 사진과 생년월일 및 사망일 등이 표기된 인쇄물을 전사한 후 유약을 바른 다음 고온에서 구워 형성된 것이므로 비바람에도 씻겨 나가거나 손상되지 않는다.
이같이 본 발명은 화분에 고인의 유골분과 함께 수목을 식재하고 고인의 생년월일 및 사망일과 함께 사진이 전사 및 인쇄된 인명타일이 부착된 비석을 세워 화분장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장소에 구애받음이 없이 자유롭게 자연 친화적으로 장사를 지내고 묘를 쓰는 것 뿐만 아니라 이장 및 개장이 자유로워 경제적이고, 교통 및 근접의 제한성 없이 가까이 모시는 것이 가능해 항상 고인과 함께 하면서 장사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부지의 개발로 인한 묘의 훼손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묘 관리에 따른 어려움이 없고, 항상 고인의 대한 경건함이나 존엄성을 가질 수 있어 후손에게 조상의 존중사상을 대대로 물려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화분장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화분 2: 비석
2a,2b: 비석A,B 3: 수목
4: 유골분 11: 화분몸체
12: 수용공간부 13: 상부 단턱부
14: 하부 단차부 15: 테이퍼
16: 배수공 17: 뿌리 인출공
21: 상부경사면 22: 인명타일

Claims (7)

  1. 상부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부(12)를 갖는 화분몸체(11)의 바닥면에 배수공(16)이 형성되고, 화분몸체(11)의 측면부를 따라 수목(3)의 뿌리가 화분몸체(11)의 외부로 빠져나올 수 있게 뿌리 인출공(17)이 형성된 화분(1)과; 상기 화분(1)에 유골분(4)과 함께 흙에 식재되는 수목(3)과; 상기 수목(3)이 식재된 화분(1)의 전방측 흙 위에 세워지는 비석(2);으로 구성되고, 상기 화분(1)은 직사각 형태의 화분몸체(11)로 형성되어 상기 화분몸체(11)의 가로방향에 대하여 앞쪽에 인명이 가로방향으로 향하게 비석(2)이 세워지고, 상기 비석(2)의 후방측에 수목(3)이 식재되며, 상기 화분몸체(11)는 하향 경사진 테이퍼(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분(1)은 화분몸체(11)의 바닥면 양측 2개소에 배수공(16)이 형성되며, 상기 배수공(16)의 상부측 화분몸체(11)의 각 면을 따라 뿌리 인출공(17)이 형성되고, 상기 화분(1)은 가로 1M와 세로 50cm 및 55cm의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16)은 화분몸체(11)의 저면부로부터 10cm의 높이로 형성되며, 상기 비석(2)은 상부경사면(21)을 갖는 석재로 형성됨에 있어서,
    상기 화분몸체(11)는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고 화분장묘의 영역을 표시하는 수단과 매립 설치 및 이장시 운반 및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상부 단턱부(13)와 하부 단차부(14)를 더 포함하고, 상기 비석(2)은 고인의 사진과 생년월일 및 사망일이 표기된 인쇄물이 비바람에도 씻겨 나가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상부경사면(21) 상에 타일의 표면에 인쇄물을 전사하고 유약을 바른 후 고온에서 구워 형성한 인명타일(22)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 화분장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30026480A 2013-03-13 2013-03-13 화분장묘 KR101467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480A KR101467668B1 (ko) 2013-03-13 2013-03-13 화분장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480A KR101467668B1 (ko) 2013-03-13 2013-03-13 화분장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160A KR20140112160A (ko) 2014-09-23
KR101467668B1 true KR101467668B1 (ko) 2014-12-01

Family

ID=51757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480A KR101467668B1 (ko) 2013-03-13 2013-03-13 화분장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6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318893A1 (en) * 2015-11-24 2018-11-08 Living Legacy Pty Ltd A process for producing a biocompatible soil mixture from cremated ash remains and ground penetrating apparatus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66031A (zh) * 2019-08-06 2019-12-13 青岛元盛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5g和ai技术的数码墓碑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651B1 (en) * 1996-04-04 1999-06-15 Lee Yeong Ryeol The concrete block for transplanting plant
KR100555908B1 (ko) * 2003-04-29 2006-03-03 민경찬 수목장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651B1 (en) * 1996-04-04 1999-06-15 Lee Yeong Ryeol The concrete block for transplanting plant
KR100555908B1 (ko) * 2003-04-29 2006-03-03 민경찬 수목장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318893A1 (en) * 2015-11-24 2018-11-08 Living Legacy Pty Ltd A process for producing a biocompatible soil mixture from cremated ash remains and ground penetrating apparatus therefor
US10946421B2 (en) * 2015-11-24 2021-03-16 Living Legacy Pty Ltd Process for producing a biocompatible soil mixture from cremated ash remains and ground penetrating apparatu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160A (ko) 201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40648A1 (en) Burial complex
KR101467668B1 (ko) 화분장묘
US20160376810A1 (en) Interment system with underground container
KR100990779B1 (ko) 자연친화적인 유골묘
JP3204165U (ja) 墓碑及びその墓碑を備えた樹木葬用の墓
KR100874102B1 (ko) 선조합동묘 (先祖合同墓)
CN205531618U (zh) 具有美化环境功能的墓室以及墓冠
JP7397515B2 (ja) 骨壷納骨型墓地構造
KR101614269B1 (ko) 다층식 공동묘
Gergeta Sotončić Kasnoantičko i ranosrednjovjekovno groblje u Novigradu. Preliminarni rezultati istraživanja
KR200295150Y1 (ko) 산지지형을 이용한 납골매장묘
Artemieva The Ussuriysk Tortoise—A 13th Century Jurchen Monument
POBLOME The 2016 PQ4-Burial Compound Excavations at Sagalassos Sagalassos PQ4 Mezar Kompleksi 2016 Kazıları
JP2007111081A (ja) 紙製骨壺及びこれを用いた自然埋葬方法並びに自然埋葬墓地構造
KR20230064586A (ko) 계단식 가족 수목장
Nešporová Burial Sites
KR20080088689A (ko) 석재 묘지 시설
Berar et al. Researches concerning landscape planning of a cemetery in the City of Timisoara.
KR100302628B1 (ko) 가족단위석함매장및유골이장시스템
CN202810318U (zh) 一种绿色生态环保墓碑
SALDANHA THE CIRCLE OF LIFE: AN
KR200224082Y1 (ko) 전통형태의 가족묘지와 납골 병행 안치소
KR200294956Y1 (ko) 납골묘
RU2484222C2 (ru) Устройство стационарных подземных многоуровневых склепов
Azarpay Cairns, kurums and dambs: a note on pre-Islamic surface burials in eastern Iran and Central As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