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165Y1 - 납골 분묘 - Google Patents

납골 분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165Y1
KR200193165Y1 KR2020000007926U KR20000007926U KR200193165Y1 KR 200193165 Y1 KR200193165 Y1 KR 200193165Y1 KR 2020000007926 U KR2020000007926 U KR 2020000007926U KR 20000007926 U KR20000007926 U KR 20000007926U KR 200193165 Y1 KR200193165 Y1 KR 2001931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present
culture
cremation
ceme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79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기보
Original Assignee
조기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기보 filed Critical 조기보
Priority to KR20200000079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1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1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1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부에서 권장하는 화장문화에 기여하며 묘지 설치에 획신을 일으키는 납골 분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여러곳으로 흐터져 있는 묘지를 한곳에 모우고 앞으로 장묘 문화에 있어 화장을 대중화하여 직계, 가족, 종중 단위로 봉안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납골 분묘{charnel grave}
기존의 분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서 원형으로 처리하여 부드러운 느낌과 화강석 재료를 사용하여 가장 한국적으로 고안 되었다. 석실문의 표지석은 흑석으로 사용되어 또렷함을 강조했고 내부 역시 화강석 재료로 절단하여 석재용 접착제 에폭시로 처리 완벽한 방수가 되어졌다. 봉안되는 유골은 30기에서 부터 60기 까지 안치할 수 있으며 면적은 약 2평 이내면 충분하다.
우리의 장묘 문화는 토지의 잠식이 날로 증가해 가고 아름다운 강산을 해치는 기존의 묘지설치 문화에 변획을 일으켜 좁은 면적으로도 가장 한국적인 묘지 형태를 유지하면서 많은 유골을 안장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산악 지역이 많은 우리의 실정에 비추어 낱개의 석재로(도5,도6,도8,도9) 짜여져 있어 운반이 용의하여 현장에서 조립 시공이 간편하게 되어있다. 아직 정착단계에 못미친 납골묘지 문화는 시행 초기에 있어 토굴형, 벙커형 등은 무덤속으로 들어가서 안장해야 하는 번거러움과 거부감을 느낄 수 있는 반면에 본 고안된 납골 분묘는(도4,도9) 외부에서 손쉽게 열고 안장하여 닫을 수 있다. 또한 방수, 습기가 걱정없다. 그리고 부도형, 석탑형은 석재만으로 처리되어 정서적으로 삭막한 분위기를 느끼게 하고 봉안수도 적은 반면에 본 고안은 같은 면적일지라도 봉안수가 많으며, 완성후 분묘의 봉분형태는(도4) 기존의 묘지형태와 비슷하 다 .
본 고안의 목적은 납골분묘 설치에 있어 좁은 면적으로 최대의 유골을 봉안하고 한국인들의 정서에 가장 가깝게 고안되었으며, 뚜렷한 질감과 기존의 분묘형태에 약간의 변형을 주었으며, 습기의 차단이 간편하고 봉안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도1은 평면도
도2는 사시도
도3은 저면도
도4는 정면도
도5는 각부분별 사시도
도6은 하단 결합 예시도
도7은 석실 결합 예시 평면도
도8은 석실과 석실사이 연결석 사시도
도9는 석실 실시예와 상세도 및 표지석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하단 4. 중단
6. 표지석 8. 연결석
10. 석실 12. 중단
14. 중단 16. 상단
18. 석실 20. 표지석
22. 연결석 24. 석재용 접착제 에폭시
본 고안에 따르면 상단(16), 중단(4)(12)(14), 하단(2), 석실(10)(18), 석실의 문이되는 표지석(6)(20), 연결석(8)(22)로 구성되어 각 부분별로 조합하여 쌓아 올리면 완성이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단(2)을 수평이 되게 정확하게 맞추고(도6 참고) 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면이 잘 처리되어야 한다. 그리고 중단(4)을 하단(2) 위에 얹어 시공함에 있어 이음새가 서로 엇갈리게(도4 참고) 놓고 연결 부분은 석재용 접착제 에폭시(24)로 조합한다. 다음은 석실(10)을 연결석(8)을 끼워 넣어 돌아가면서 조립이 된다. 여기에 석실(10) 조립은(도9 참고) 먼저 해둔 것이다. 그 위에 중단(12)을 중단(4) 처럼 얹어 조립하고 다시 석실(18)을 석실(10)의 설명과 같이 설치하고 그 위에 중단(14)을 중단(4)(12) 처럼 조립하고 마무리 상단(16) 또한 같은 방법으로 조합하여 완성한다. 완성된 참고 도면은 도4, 도2, 도3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 분묘 1기에 소요되던 면적으로 60기 까지 봉안할 수 있어 토지 잠식률을 최대 60분의 1로 줄일 수 있고 계속되는 묘지문화를 화장문화의 정착과 더불어 묘지 면적 난을 해소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1)

  1. 좁은 면적으로 많은 유골을 안치 시킬 수 있는 납골 분묘로 외형〔도1〕〔도6〕이 원형으로 시작되어 표지석(6)(20)을 제외한 모든 부분(2)(4)(8)(12)(14)(16)(22)이 원형으로 된것이 특징이고 석실(10)(18)은 조립 〔도9〕하여 표지석(6)(20)을 손쉽게 열고 닫으며 석실(10)(18)이 분리〔도7〕된 납골분묘.
KR2020000007926U 2000-03-13 2000-03-13 납골 분묘 KR2001931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926U KR200193165Y1 (ko) 2000-03-13 2000-03-13 납골 분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926U KR200193165Y1 (ko) 2000-03-13 2000-03-13 납골 분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165Y1 true KR200193165Y1 (ko) 2000-08-16

Family

ID=19647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926U KR200193165Y1 (ko) 2000-03-13 2000-03-13 납골 분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16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93165Y1 (ko) 납골 분묘
ATE162265T1 (de) Urnengrab
JP7397515B2 (ja) 骨壷納骨型墓地構造
KR200246492Y1 (ko) 납골묘의 구조
KR100261763B1 (ko) 납골묘
KR100293286B1 (ko) 납골묘
CN2576855Y (zh) 盆景式微型墓穴
KR200184307Y1 (ko) 봉분식 납골묘
KR200238394Y1 (ko) 납골함 보관구조
KR100260019B1 (ko) 다단 콘크리트 주조형 조립식 석묘
KR200350382Y1 (ko) 환경친화적 납골묘
KR200380729Y1 (ko) 자연석을 이용한 납골묘
KR200216703Y1 (ko) 봉분식 납골당
KR200256508Y1 (ko) 가족단위 납골묘
KR200376101Y1 (ko) 납골묘
KR200356530Y1 (ko) 조립식 가족용 다기 납골당
KR200210575Y1 (ko) 납골분묘
KR950008469Y1 (ko) 가족용 납골 분묘
CN2200022Y (zh) 钟型墓塔
KR200227285Y1 (ko) 가족 납골묘
KR100353310B1 (ko) 축조용 돌묘
KR200278391Y1 (ko) 납골묘
KR100379364B1 (ko) 가족 납골묘
KR200163343Y1 (ko) 가족납골당의납골함안치소
KR200423393Y1 (ko) 평장식납골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