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7193B1 - 납골함 - Google Patents

납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7193B1
KR101227193B1 KR1020120059281A KR20120059281A KR101227193B1 KR 101227193 B1 KR101227193 B1 KR 101227193B1 KR 1020120059281 A KR1020120059281 A KR 1020120059281A KR 20120059281 A KR20120059281 A KR 20120059281A KR 101227193 B1 KR101227193 B1 KR 101227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inner container
edge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달순
Original Assignee
황달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달순 filed Critical 황달순
Priority to KR1020120059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7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7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7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납골함은 받침대(10), 상부뚜껑(20) 및 내부용기(30)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10)는 상판(12)의 하면을 둘러 레그(14)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부용기(20)는 내부에 형성된 뚜껑공간(22)이 상부뚜껑(20)의 하부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뚜껑(20)의 뚜껑공간(22)의 입구는 상기 받침대(10)의 상판(12)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내부용기(30)는 용기몸체(32)와 용기뚜껑(38)으로 형성된다. 상기 용기몸체(32)의 내부에는 수납공간(34)이 형성되는데, 상기 수납공간(34)은 용기몸체(32)의 상부로 개방되고, 상기 용기몸체(32)의 하면은 상기 받침대(10)의 상판(12) 상에 안착된다. 상기 받침대(10)의 상판(12) 상에는 상기 내부용기(30)가 안착되는 안착홈(16)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뚜껑(20)의 하부가 안착되는 뚜껑가이드홈(1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용기(30)가 받침대(10)에 안착되었을 때, 내부용기(30)의 대부분이 외부로 드러나게 되어 취급이 용이하고, 상기 상부뚜껑(20)이 상기 받침대(10)에 안착되었을 때, 내부용기(30)의 입구와 상부뚜껑(20)의 입구가 서로 멀리 떨어져 상기 내부용기(30)에 수납된 유골분이 외부 환경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납골함{Chest for laying ashes to rest}
본 발명은 납골함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중 구조를 가지면서도 취급이 편리하고 사용상태가 안정적인 납골함에 대한 것이다.
납골함은 시신을 화장하여 그 유골을 모시는 용기로서, 납골(納骨)은 봉안(奉安)과 같은 의미, 즉 시신을 화장하여 유골을 그릇이나 봉안당에 모시는 것을 말한다.
사람이 사망했을 때, 시신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우리나라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이 매장이다. 즉, 무덤을 만들어 그 무덤에 관에 넣은 시신을 안치하는 것이다. 하지만, 국토가 좁은 우리나라에서 매장을 하는 것은 매년 많은 국토면적을 묘지화하는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 화장을 많이 한다.
하지만, 시신을 화장하여 산이나, 강, 바다 등 자연에 뿌리고 나면 묘가 없어 망자를 추모할 수 있는 대상이 없어, 화장을 꺼리기도 한다. 따라서, 시신을 화장하여 납골함에 봉안하는 방식이 최근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 납골함이 사용되는데, 납골함에는 많은 종류가 있다. 이들 납골함은 내부에 화장하여 분쇄한 유골분이 존재하게 되어 납골묘에 오랜 동안 두게 되면 외부 환경 때문에 유골분이 부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납골함을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서와 같이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로 구성한다. 즉, 외부용기의 내부에 유골분이 담겨 있는 내부용기를 두어 외부의 환경이 유골분에 직접 전달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내부용기와 외부용기로 납골함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비록 외부의 환경이 내부의 유골분에 직접 전달되지 않는 좋은 점은 있으나, 내부용기를 취급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즉 유골분이 들어 있는 내부용기를 깊이가 깊은 내부용기에 넣는 과정에서 내부용기를 놓쳐 내부용기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내부용기의 입구와 외부용기의 입구가 인접하여 있어 외부에서 전달된 주변의 환경이 상기 내부용기의 입구를 통해 내부용기의 유골분에 상대적으로 쉽게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가 별도로 구성되는데, 이들 사이에서 서로가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이 없어 상기 내부용기가 상기 외부용기의 내에서 외력에 의해 쉽게 유동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07885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납골함을 이중으로 형성하면서도 납골함의 취급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용기의 입구가 외관을 구성하는 상부뚜껑의 입구의 반대쪽에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납골함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상대 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구조를 두어 부품들 사이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판의 하면에 레그가 구비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상에 안착되어 유골분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수납공간 입구를 차폐하는 용기뚜껑으로 구성되는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의 용기뚜껑과 대응되는 상판과 상기 용기몸체에 대응되는 측벽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용기를 덮어씌우는 형태로 외부와 차폐하면서 상기 받침대의 상판에 안착되는 상부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용기의 하면에는 상기 받침대 상판에 형성되는 안착홈의 가장자리에 안착되는 용기레그가 원궤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용기레그의 외측에 해당되는 내부용기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안착홈의 가장자리에 안착되는 안착단이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의 상판에는 상기 내부용기의 하면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위치에 상기 내부용기의 하면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가장자리단이 형성된다.
삭제
상기 받침대의 상판에는 상기 내부용기의 하면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가장자리단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상부뚜껑의 뚜껑공간 입구에 해당되는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뚜껑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상기 뚜껑가이드홈은 상기 받침대의 상판 상에 형성된 2개의 가이드벽 사이에 형성되는데, 상기 상부뚜껑의 내면을 둘러서는 상기 가이드벽 상면에 안착되는 가이드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내부용기의 용기몸체 입구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몸체걸이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뚜겅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몸체걸이리브와 대응되는 뚜껑걸이리브가 형성된다.
상기 용기뚜껑의 상면 중앙에는 평면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납골함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납골함은 상부뚜껑의 입구가 상부뚜껑의 하부로 개방되어 받침대와 마주보도록 되어 있어 실질적으로 유골분이 안치되는 내부용기의 취급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유골분이 안치되는 내부용기의 입구와 외관을 구성하는 상부뚜껑의 입구가 서로 반대쪽에 형성되어 있어, 납골함 주변 환경이 내부용기의 유골분으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유골분의 부패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받침대에 상부뚜껑과 내부용기의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구성을 두었으므로, 상부뚜껑 및 내부용기와 받침대 사이의 상대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어 납골함 전체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납골함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내부용기의 바닥을 보인 저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납골함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받침대(10)가 본 발명의 납골함의 하부를 구성한다. 상기 받침대(10)는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판모양인 상판(12)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레그(14)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상판(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상부뚜껑(20)과 내부용기(30)가 안착된다.
상기 상판(12) 상에는 안착홈(16)이 다른 부분에 비해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6)은 상기 상판(12)의 거의 대부분의 면적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16)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판(12) 상에는 가장자리단(16')이 일정 폭만큼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가장자리단(16')은 상기 안착홈(16)보다 상면이 높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판(12)을 평면도로 볼 때, 링형상으로 된다.
상기 상판(12)에서 상기 가장자리단(16')을 둘러서는 뚜껑가이드홈(18)이 형성된다. 상기 뚜껑가이드홈(18)은 상기 가장자리단(16')의 외측을 둘러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상부뚜껑(20)의 입구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뚜껑가이드홈(18)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장자리단(16') 상에 2줄의 가이드리브(18')가 나란히 원형으로 형성되어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부뚜껑(20)은 상기 상판(12) 상에 안착되는 것으로, 그 하부가 되는 입구 가장자리가 상기 뚜껑가이드홈(18)에 안착된다. 상기 상부뚜껑(20)은 본 실시예에서 원통형상으로 된다. 상기 상부뚜껑(20)은 그 상부가 막혀 있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이다. 상기 상부뚜껑(20)의 내부에는 뚜껑공간(22)이 형성되는데, 상기 뚜껑공간(22)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내부용기(30)가 수납된다. 상기 뚜껑공간(22)은 도면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뚜껑(20)의 하부로 개방된다.
상기 상부뚜껑(20)은 원판형상의 상판(24)과 상기 상판(24)을 가장자리에서 원통형으로 연장되는 측벽(26)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24)은 그 상면이 곡면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상판(24)의 중앙이 가장 높고 가장자리가 가장 낮도록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상판(24)의 형상을 이와 같이 만드는 것은 상판(24)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분산시켜 외력에 의한 파손을 막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측벽(26)의 내면 중 상기 뚜껑공간(22)의 입구 근처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가이드리브(28)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28)는 상기 측벽(26)의 내면에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벽(18')중 내측의 것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가이드리브(28)는 상기 가이드벽(18')에 안착되어 상부뚜껑(20)이 상기 받침대(10)에 접촉되는 면적을 상대적으로 늘려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받침대(10)의 상판(12) 상에는 내부용기(30)가 위치된다. 상기 내부용기(30)는 상기 상부뚜껑(20)의 뚜껑공간(22)내에 위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내부용기(30)가 상기 상판(12) 상에 얹어진 상태로 상기 상부뚜껑(20)이 받침대(10)의 상판(12) 상에 안착되어 상기 받침대(10)에 의해 차폐된 뚜껑공간(22)의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내부용기(30)는 본 실시예에서 원통형상의 용기몸체(32)를 구비한다. 상기 용기몸체(32)의 내부에는 수납공간(34)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공간(34)에는 유골분이 안치된다. 상기 수납공간(34)은 상기 용기몸체(32)의 상부로 개방된다. 상기 수납공간(34)의 입구가 되는 상기 용기몸체(32)의 상단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몸체걸이리브(32')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걸이리브(32')는 상기 용기몸체(32)의 상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용기몸체(32) 상면의 상대적으로 내측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용기몸체(32)의 하면에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용기레그(36)가 형성된다. 상기 용기레그(36)는 상기 용기몸체(32)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원형상을 만들도록 다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용기레그(36)는 본 실시예에서는 4개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으나, 상기 용기레그(36)의 갯수는 2개, 3개, 5개, 6개 등 다수개가 있으면 된다. 상기 용기레그(36)의 사이 사이에는 홈부(36')가 형성되어 상기 용기레그(36) 사이를 구획한다. 상기 용기레그(36)는 상기 용기몸체(32)의 하면에 리브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용기레그(36)는 상기 받침대(10)의 안착홈(16) 가장자리에 안착된다.
상기 용기레그(36)의 외측에 해당되는 용기몸체(32)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소정 폭의 안착단(37)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37)은 상기 가장자리단(16')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용기몸체(32)의 수납공간(34)입구에는 용기뚜껑(38)이 설치된다. 상기용기뚜껑(38)은 상기 수납공간(34)의 입구를 막아 상기 수납공간(34)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수납공간(34)에 있는 유골분이 외부로 나오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유골분이 외부 환경과 단절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용기뚜껑(38)의 하면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몸체걸이리브(32')에 대응되게 뚜껑걸이리브(38')가 형성된다. 상기 뚜겅걸이리브(38')는 상기 몸체걸이리브(32')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된다.
상기 용기뚜껑(38)의 상면 중앙쪽에는 평면부(39)가 형성된다. 상기 평면부(39)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형의 평면이다. 상기 평면부(39)가 용기뚜껑(38)의 상면 중앙에 형성되어 있음으로 해서, 사용자는 상기 용기뚜껑(38)을 손으로 잡기 위해서는 용기뚜껑(38)의 가장자리를 잡아야 한다. 특히, 상기 용기뚜껑(38)은 도자기이므로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워 사용자는 상기 용기뚜껑(38)을 양손으로 잡게 된다. 물론, 상기 용기뚜껑(38)의 상면 중앙에 별도의 손잡이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용기뚜껑(38) 상면에 함몰부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손잡이를 두는 것이 좋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함몰부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용기뚜껑(38)의 하면 중앙에는 돌출부(40)가 돔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40)는 평면도로 볼 때, 상기 용기뚜껑(38) 반지름의 약 2/3정도의 반지름을 가지도록 만들어진다. 상기 돌출부(40)는 표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는데, 소정의 그림이 있다. 상기 그림은 상기 돌출부(40)에 일체로 만들어지도록 한다. 즉, 상기 용기뚜껑(38)을 만들 때, 함께 만들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받침대(10), 상부뚜껑(20), 내부용기(30)는 모두 도자기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물론, 상기 내부용기(30)를 다른 재질로 만들어 사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받침대(10)와 상부뚜껑(20)은 도자기로 되는 것이 좋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납골함이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내부용기(30)의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34)에는 유골분이 안치된다. 따라서, 화장장에서 받은 유골분을 상기 내부용기(30)의 수납공간(34)에 안치하고, 상기 용기뚜껑(38)을 상기 용기몸체(32)의 상단부에 안착시키면 상기 용기뚜껑(38)에 의해 상기 수납공간(34)이 닫혀진다. 따라서, 상기 유골분은 외부환경의 영향을 상기 용기뚜껑(38) 때문에 받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 용기뚜껑(38)과 용기몸체(32) 사이에 틈새가 존재하게 되면, 이를 통해 외부환경의 영향이 어느 정도는 미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용기몸체(32) 상단부에 형성된 몸체걸이리브(32')와 상기 용기뚜껑(38)의 하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뚜껑걸이리브(38')가 서로 대응됨에 의해 용기몸체(32)와 용기뚜껑(38) 사이의 틈새는 거의 없어지게 되고, 틈새가 있더라도 그 틈새를 통과하기 위한 유동거리가 길어져 외부의 환경이 내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한다.
한편, 상기 내부용기(30)는 상기 받침대(10) 상에 안착된다. 즉,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0)의 상판(12)에 형성된 안착홈(16)에 상기 용기몸체(32)의 용기레그(36)가 안착되고, 상기 용기레그(36) 외측의 안착단(37)이 상기 가장자리단(16')에 안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안착홈(16)의 가장자리 내면에 인접하여 상기 용기레그(36)가 안착홈(16)에 안착되고, 상기 안착단(37)이 상기 가장자리단(16')에 안착됨에 의해 상기 내부용기(30)는 상기 받침대(10)에 대해 임의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뚜껑(20)을 상기 내부용기(30)를 덮도록 하면서 상기 받침대(10)상에 안착시킨다. 즉, 상기 상부뚜껑(20)의 하단부 가장자리, 즉 상기 뚜껑공간(22)의 입구 가장자리를 상기 받침대(10)의 뚜껑가이드홈(18)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상기 뚜껑가이드홈(18)에 상기 상부뚜껑(20)의 하단부가 안착되면서 상기 가이드리브(28)가 상기 가이드벽(18') 상단에 안착되면 상기 가이드리브(28)와 상부뚜껑(20)의 하단부 가장자리가 서로 협력하여 상기 가이드벽(18')을 상기 상부뚜껑(20)의 하단부가 타고 넘으면서 상부뚜껑(20)이 상기 받침대(10)에 대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뚜껑(20)을 상기 내부용기(30)가 받침대(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내부용기(30)를 덮도록 상기 받침대(10)에 놓게 되면,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골함의 외부로는 상기 받침대(10)와 상부뚜껑(20)만이 보이게 되고, 상기 내부용기(30)는 상기 뚜껑공간(22)의 내부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용기(30)가 상기 받침대(10)와 상기 상부뚜껑(20)에 의해 외부와 차폐된 공간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상 상기 내부용기(30), 특히 상기 내부용기(30)의 내부에 있는 수납공간(34)은 상부뚜껑(20)의 외부환경의 영향을 받는 것이 완전히 차단된다.
특히, 상기 내부용기(30)의 수납공간(34)의 입구는 상기 내부용기(30)의 상단 쪽에 있고 상기 내부용기(30)가 안착된 뚜껑공간(22)의 입구는 상기 내부용기(30)의 하단에 대응되는 상기 상부뚜껑(20)의 하단에 있어, 납골함의 외부 환경이 상기 수납공간(34) 내부의 유골분에 영향을 미치는 일은 거의 없게 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에서 상기 내부용기(30)를 상기 받침대(10) 상에 안착시키거나 분리하는 작업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받침대(10)의 상판(12)의 상면에는 별도의 공간이 형성되지 않고, 단지 안착홈(16)만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내부용기(30)의 용기몸체(32) 외면을 작업자가 잡고 내부용기(30)를 취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상부용기(20)가 상기 받침대(10) 상에 없는 상태에서는 상기 내부용기(30)의 하면을 제외한 나머지 외면은 모두 외부로 드러나게 되므로, 작업자가 내부용기(30)의 외면의 거의 대부분의 영역을 잡아 취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받침대(10)의 상판(12) 상에 안착홈(16), 가장자리단(16'), 뚜껑가이드홈(18), 가이드벽(18') 등의 구조가 있어 상기 상부뚜껑(20)과 내부용기(30)가 쉽게 이동되지 않도록 되어 있어, 취급하는 과정에서 납골함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상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뚜껑(20)이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상부뚜껑(20)의 횡단면이 원형이다. 하지만, 상기 상부뚜껑(20)의 횡단면이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칠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될 수 있다. 이때, 내부용기(30)도 같은 형상으로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10)의 형상도 상부뚜껑(20)의 횡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평면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받침대(10)의 상판(12) 상면 상에는 안착홈(16), 가장자리단(16'), 뚜껑가이드홈(18), 가이드벽(18') 등이 형성되어 있으나, 상부뚜껑(20) 및 내부용기(30)와 상기 받침대(10) 사이의 상대 이동이 문제될 것이 없는 경우에는 이들이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10: 받침대 12: 상판
14: 레그 16: 안착홈
16': 가장자리단 18: 뚜껑가이드홈
18': 가이드벽 20: 상부뚜껑
22: 뚜껑공간 24: 상판
26: 측벽 28: 가이드리브
30: 내부용기 32: 용기몸체
32': 몸체걸이리브 34: 수납공간
36: 용기레그 36': 홈부
37: 안착단 38: 용기뚜껑
38': 뚜껑걸이리브 39: 평면부
40: 돌출부

Claims (7)

  1. 상판의 하면에 레그가 구비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상에 안착되어 유골분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수납공간 입구를 차폐하는 용기뚜껑으로 구성되는 내부용기와,
    상기 내부용기의 용기뚜껑과 대응되는 상판과 상기 용기몸체에 대응되는 측벽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용기를 덮어씌우는 형태로 외부와 차폐하면서 상기 받침대의 상판에 안착되는 상부뚜껑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용기의 하면에는 상기 받침대 상판에 형성되는 안착홈의 가장자리에 안착되는 용기레그가 원궤적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용기레그의 외측에 해당되는 내부용기의 하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안착홈의 가장자리에 안착되는 안착단이 형성되는 납골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상판에는 상기 내부용기의 하면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오목하게 들어가도록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위치에 상기 내부용기의 하면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가장자리단이 형성되는 납골함.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상판에는 상기 내부용기의 하면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가장자리단의 가장자리에 해당되는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상부뚜껑의 뚜껑공간 입구에 해당되는 가장자리가 안착되는 뚜껑가이드홈이 형성되는 납골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가이드홈은 상기 받침대의 상판 상에 형성된 2개의 가이드벽 사이에 형성되는데, 상기 상부뚜껑의 내면을 둘러서는 상기 가이드벽 상면에 안착되는 가이드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납골함.
  6.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의 용기몸체 입구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몸체걸이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뚜겅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몸체걸이리브와 대응되는 뚜껑걸이리브가 형성되는 납골함.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뚜껑의 상면 중앙에는 평면부가 형성되는 납골함.
KR1020120059281A 2012-06-01 2012-06-01 납골함 KR101227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281A KR101227193B1 (ko) 2012-06-01 2012-06-01 납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281A KR101227193B1 (ko) 2012-06-01 2012-06-01 납골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7193B1 true KR101227193B1 (ko) 2013-01-28

Family

ID=47842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281A KR101227193B1 (ko) 2012-06-01 2012-06-01 납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71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039Y1 (ko) * 2000-10-26 2001-04-16 윤치효 유해 보관용 납골단지와 그 안치함
KR200281333Y1 (ko) * 2002-04-02 2002-07-13 이철호 납골단지
KR200303011Y1 (ko) 2002-11-12 2003-02-07 권봉길 이중 구조의 납골단지
KR200385898Y1 (ko) * 2005-03-12 2005-06-02 권택조 밀폐형 유골함 외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039Y1 (ko) * 2000-10-26 2001-04-16 윤치효 유해 보관용 납골단지와 그 안치함
KR200281333Y1 (ko) * 2002-04-02 2002-07-13 이철호 납골단지
KR200303011Y1 (ko) 2002-11-12 2003-02-07 권봉길 이중 구조의 납골단지
KR200385898Y1 (ko) * 2005-03-12 2005-06-02 권택조 밀폐형 유골함 외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55760C (en) Columbarium with inner ossuary
US7900327B2 (en) Broken heart shaped vault
US3581452A (en) Burial system with sealed casket made of plastic
US9775761B2 (en) Compartmentalized cremation urn system for retaining multigenerational cremains of humans and/or pets
KR101227193B1 (ko) 납골함
US20160376810A1 (en) Interment system with underground container
US20110283497A1 (en) Broken Heart Shaped Urn
US7251869B1 (en) Burial device
KR102022499B1 (ko) 안전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납골묘
ES2971827T3 (es) Dispositivo de soporte para ataúd y monumento funerario y ataúd asociado
US20070209172A1 (en) Keepsake niche
US20180023313A1 (en) A receptacle for cremated remains
KR101170429B1 (ko) 납골 단지
US11946272B1 (en) Outdoor burial system for urns
KR101258623B1 (ko) 기둥형 납골당
KR200281240Y1 (ko) 유골함 케이스
KR101170431B1 (ko) 납골 단지
JP3217331U (ja) 納骨室及びこれを備える墓構造
JP3203614U (ja) 墓および霊園
KR200455924Y1 (ko) 통돌 상석형 납골묘
KR200248386Y1 (ko) 유골함
KR200475777Y1 (ko) 통기구조 및 평면 다중 구조의 납골실이 적용된 납골묘
JP2016084699A (ja)
JP3206677U (ja) カプセル墓地
ES2207382B1 (es) Envase de tierra compactada para contener restos de incineracion huma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