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431B1 - 납골 단지 - Google Patents

납골 단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431B1
KR101170431B1 KR1020110104153A KR20110104153A KR101170431B1 KR 101170431 B1 KR101170431 B1 KR 101170431B1 KR 1020110104153 A KR1020110104153 A KR 1020110104153A KR 20110104153 A KR20110104153 A KR 20110104153A KR 101170431 B1 KR101170431 B1 KR 101170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modation space
main container
lid
ossuary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4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호현
Original Assignee
차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호현 filed Critical 차호현
Priority to KR1020110104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2Coffin closures; Packing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골 단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하나의 단지 내부에 예로서 부부와 같은 경우 2인이 공동으로 안치될 수 있도록 하여 비용절감과 아울러 사후에도 부부애를 영구히 유지할 수 있고,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납골 단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상부가 트여지고 그 내부에 유골이 담겨지는 메인용기(10)와,
상기 메인용기(10)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도록 손잡이(41)를 구비하는 뚜껑(40)으로 구성된 납골단지에 있어서,
이 메인용기(10)의 내부로 유골이 담겨지는 제1수용공간(11)과 제2수용공간(12)을 분리벽(20)으로 구획하고,
상기 뚜껑(40)의 손잡이(41)는 속이 빈 상태로 제1수용공간(11)와 제2수용공간(12)를 서로 연통하도록 하는 통로(42)가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공간(11)와 제2수용공간(12)을 구획한 상태로 뚜껑(40)의 저면부와 맞닿는 위치까지 세워지는 분리벽(20)의 상부면에는 요입부(22)와 통기구멍(23)이 각각 형성되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Description

납골 단지 {The pot of ashes to rest}
본 발명은 납골 단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하나의 단지 내부에 예로서 부부와 같은 경우 2인이 공동으로 안치될 수 있도록 하여 비용절감과 아울러 사후에도 부부애를 영구히 유지할 수 있고,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납골 단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납골은 시체를 화장하여 그 유골을 단지에 넣어 납골당 등에 모시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상기 유골을 담는 단지를 납골단지라 한다.
상기 납골단지는 통상적으로 사기로 제작되며, 원통형의 형상에 덮개가 있는 형태로 되어 밀폐되어 있다.
그리고, 원통형의 납골단지 외부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가 부착되기도 한다.
통상의 이러한 납골 방식은 땅이 비좁은 국내 실정에 적합한 방식으로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종래, 납골단지는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11-8453호에서와 같이 내부 공간이 하나로 용기형태로 성형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화장(火葬) 작업을 수행한 후 수거한 골분은 납골 단지내의 1/3 내지 1/4 정도에 불과하다.
납골당의 경우 작은 용기부피의 납골 단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분양하고 있는데, 그 가격이 상당히 고가이다.
따라서, 예로서 부모가 운명하였을 경우 고가인 납골당 내의 안치 장소를 두 군데에 별도로 각각 비용을 부담하여 구매해야 하고, 종래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나의 납골 수납공간을 갖는 고가의 납골 단지를 각각 안치해야 하므로, 경제적으로 많은 피해를 입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부부인데도 불구하고 서로 멀리 떨어진 장소에 안치되어 있을 경우 관리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자손들이 따로 조상해야 하므로 많은 불편함을 주는 등의 폐해가 있었던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최근에는 하나의 납골 단지 내부를 복수개의 공간으로 분할시켜 다수인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제안된 바 있다.(국내 등록번호 제10-1038514호)
그러나 비교적 구조가 복잡하고 부품수가 많아 원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가 작아 제작 원가를 낮춰서 이용자로 하여금 구매비용은 물론 납골당 분양 비용을 현저히 줄여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는 납골 단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리되는 납골용기의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납골 단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가 트여지고 그 내부에 유골이 담겨지는 메인용기(10)와,
상기 메인용기(10)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도록 손잡이(41)를 구비하는 뚜껑(40)으로 구성된 납골단지에 있어서,
이 메인용기(10)의 내부로 유골이 담겨지는 제1수용공간(11)과 제2수용공간(12)을 분리벽(20)으로 구획하고,
상기 뚜껑(40)의 손잡이(41)는 속이 빈 상태로 제1수용공간(11)와 제2수용공간(12)를 서로 연통하도록 하는 통로(42)가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공간(11)와 제2수용공간(12)을 구획한 상태로 뚜껑(40)의 저면부와 맞닿는 위치까지 세워지는 분리벽(20)의 상부면에는 요입부(22)와 통기구멍(23)이 각각 형성되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한편, 메인용기(10) 및 제1수용공간(11), 제2수용공간(12)와 뚜껑(40)은 세라믹재로 성형되며, 뚜껑(40)에는 메인용기(10)의 트인 개구부에 끼워지도록 접속부(44)가 단턱지게 성형되어 접속부(44)에 패킹(1)들이 설치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예로서 부부가 각각 사망하여 화장 후 납골당에 안치하고자 할 때 제1수용공간(11)와 제2수용공간(12)에 골분을 각각 수납할 수 있어 단지의 구매비용은 물론 납골당 분양 비용을 현저히 줄여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제1수용공간(11), 제2수용공간(12)에 골분이 수납된 상태에서 손잡이(41)의 통로(42)와, 분리벽(20)에 뚫어지는 요입부(22)와 통기구멍(23)들을 통해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리벽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납골 단지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통상 원통형으로 속이 빈 단지형상으로 메인용기(10)와 그 내부는 제1수용공간(11) 및 제2수용공간(12)이 분리벽(20)에 의해 분할되도록 제작하게 된다.
메인용기(10)와 이에 일체로 중앙에 세워지는 분리벽(20) 및 제1수용공간(11), 제2수용공간(12) 그리고 뚜껑(40)은 모두 제품의 품위와 자연 통풍성 등을 감안하여 주로 세라믹재로 성형된다.
이 메인용기(10)의 내부로 형성되는 제1수용공간(11)과 제2수용공간(12)의 상부는 용기 기능을 위해 트여지게 성형되어, 제1수용공간(11)와 제2수용공간(12) 내부로 유골의 수납 및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메인용기(10)의 상부로는 뚜껑(40)이 덮어지게 된다.
상기 제1수용공간(11)과 제2수용공간(12)은 도면에서와 같이 분리벽(20)에 의해 대략 면적이 1/2씩 분할되도록 메인용기(10)에 일체로 중앙부 저면에서부터 세워지게 된다.
이렇게 세워지는 분리벽()의 상부면은 뚜껑(40)이 덮어진 상태에서 분할된 제1수용공간(11)과 제2수용공간(12)의 상부 트여진 입구가 뚜껑(4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도록 뚜껑(40)의 저면부에 밀착되는 높이까지 세워지게 제작된다.
그리고, 이 분리벽(20)의 상부면에는 요입부(22)를 파내게 된다.
또, 이 요입부(22)와 어긋난 위치로 분리벽(20)에 통기구멍(23)들을 각각 뚫게 된다.
여기서 통기구멍(23)은 도면에서 2개소 뚫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2개 이상 다수개 뚫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메인용기(10)의 내부로 제1수용공간(11)과 제2수용공간(12)이 분할된 상태에서 뚜껑(40)이 덮어지면, 이 뚜껑(40)에 의해 제1수용공간(11)와 제2수용공간(12)의 상부면이 밀착되면서 내부도 밀폐된다.
이때, 뚜껑(40)의 손잡이(41) 내부로 속이 빈 단면구조로 형성된 통로(42)에 의해 제1수용공간(11)와 제2수용공간(12)의 내부가 연통되게 한다.
또, 제1수용공간(11)와 제2수용공간(12)을 가로 막게 형성되는 분리벽(20)의 상부면에 파여진 요입부(22)와, 이 요입부(22)와 어긋난 위치로 뚫어지는 통기구멍(23)들에 의해 제1수용공간(11)과 제2수용공간(12)의 내부가 연통되는 것이다.
한편, 메인용기(10) 및 제1수용공간(11)와 제2수용공간(12), 그리고 뚜껑(40)은 세라믹재로 성형되는데, 뚜껑(40)에는 메인용기(10)의 트인 개구부에 끼워지도록 접속부(44)가 단턱지게 성형된다.
이 접속부(44)에 패킹(1)들이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먼지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납골단지가 케이스를 형성하는 메인용기(10)의 내부로 두 개의 제1수용공간(11)과 제2수용공간(12)이 각각 분할되어 있다.
따라서, 예로서 부부가 서로 다른 시기에 사망한 후 화장 절차에 의해 수거된 골분을 하나의 납골단지만을 구입한 후 내부에 따로 따로 2인을 안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납골 단지의 구매 비용을 줄이는 것은 당연하고, 특히 고가로 분양 내지 유지 관리비를 납부해야 하는 납골당 비용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등의 경제적인 이익을 주는 것이다.
한편, 뚜껑(40)의 손잡이(41)에 형성된 통로(42)와 분리벽(20)의 상부면에 파여진 요입부(22) 및 통기구멍(23)들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는 제1수용공간(11)과 제2수용공간(12)내 유골 저장공간이 서로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제1수용공간(11)과 제2수용공간(12)의 내부 공기가 상호 순환되면서 어느 하나의 공간 내부에 보관되고 있는 골분이 먼저 부패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1 - 패킹 10 - 메인용기
11 - 제1수용공간 12 - 제2수용공간
20 - 분리벽 22 - 요입부
23 - 통기구멍 40 - 뚜껑
41 - 손잡이부 42 - 통로
44 - 접속부

Claims (1)

  1. 상부가 트여지고 그 내부에 유골이 담겨지는 메인용기(10)와,
    상기 메인용기(10)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도록 손잡이(41)를 구비하는 뚜껑(40)으로 구성된 납골단지에 있어서,
    이 메인용기(10)의 내부로 유골이 담겨지는 제1수용공간(11)과 제2수용공간(12)을 분리벽(20)으로 구획하고,
    상기 뚜껑(40)의 손잡이(41)는 속이 빈 상태로 제1수용공간(11)와 제2수용공간(12)를 서로 연통하도록 하는 통로(42)가 형성되고,
    상기 제1수용공간(11)와 제2수용공간(12)을 구획한 상태로 뚜껑(40)의 저면부와 맞닿는 위치까지 세워지는 분리벽(20)의 상부면에는 요입부(22)와 통기구멍(23)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납골 단지.
KR1020110104153A 2011-10-12 2011-10-12 납골 단지 KR101170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153A KR101170431B1 (ko) 2011-10-12 2011-10-12 납골 단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153A KR101170431B1 (ko) 2011-10-12 2011-10-12 납골 단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0431B1 true KR101170431B1 (ko) 2012-08-07

Family

ID=46886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153A KR101170431B1 (ko) 2011-10-12 2011-10-12 납골 단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4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504B1 (ko) * 2016-01-22 2018-04-02 권남호 납골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326U (ko) 1985-06-24 1987-01-12
KR200259359Y1 (ko) 2001-10-15 2002-01-04 이수원 유골함
KR101038513B1 (ko) 2009-04-08 2011-06-01 차석호 납골 단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326U (ko) 1985-06-24 1987-01-12
KR200259359Y1 (ko) 2001-10-15 2002-01-04 이수원 유골함
KR101038513B1 (ko) 2009-04-08 2011-06-01 차석호 납골 단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504B1 (ko) * 2016-01-22 2018-04-02 권남호 납골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05839S1 (en) Short, square container comprising a bowl and a lid
HK1032177A1 (en) Splash and spill-resistant container for animal use
USD532294S1 (en) Five compartment container lid
US10555631B2 (en) Chip and dip tray
USD548522S1 (en) Drinking mug with stirring apparatus
KR101038514B1 (ko) 납골 단지
KR101170431B1 (ko) 납골 단지
WO2007056573A3 (en) Interleaved containers with a single lid
TW200745364A (en) Vacuum processing chamber
KR20120051289A (ko) 봉안함
KR102040508B1 (ko) 이중구조 뚜껑 용기
CN209739803U (zh) 一种储茶盒
KR101038513B1 (ko) 납골 단지
KR101170429B1 (ko) 납골 단지
CN102771267A (zh) 一种储粮筒
KR101120488B1 (ko) 납골 단지
KR101170434B1 (ko) 납골 단지
USD489985S1 (en) Liquid container with lip and wall channels for returning rim liquid to container
KR101105650B1 (ko) 납골 단지
USD518684S1 (en) Hammer flask
KR101727667B1 (ko) 다기능 보관 용기
KR200259359Y1 (ko) 유골함
CN202342352U (zh) 药品分类配送车
CN205568544U (zh) 一种带储物功能的杯盖
WO2010037343A1 (zh) 花饰水晶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