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623B1 - 기둥형 납골당 - Google Patents

기둥형 납골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623B1
KR101258623B1 KR1020100120834A KR20100120834A KR101258623B1 KR 101258623 B1 KR101258623 B1 KR 101258623B1 KR 1020100120834 A KR1020100120834 A KR 1020100120834A KR 20100120834 A KR20100120834 A KR 20100120834A KR 101258623 B1 KR101258623 B1 KR 101258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ar
storage space
present
column
oin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9190A (ko
Inventor
고윤철
Original Assignee
고윤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윤철 filed Critical 고윤철
Priority to KR1020100120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8623B1/ko
Publication of KR20120059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8Memorials for cremation a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형 납골당에 관한 것으로서,
기둥형태로 형성되는 기둥형 수납체(100)의 둘레로 수납공간(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120)에 납골함(200)을 수용하는 다수의 납골서랍(121)이 끼워짐으로써 납골함(200)을 수용하게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여,
납골함의 수용능력을 극대화함과 아울러 또한 수납된 납골함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일반인들의 납골당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할 수 있고, 건축물의 기둥에 적용하여 형성할 수 있어 편리한 기둥형 납골당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둥형 납골당 {pillar-type charnel house}
본 발명은 유골이 담긴 납골함을 보관하는 납골당에 관한 것으로, 기둥형 수납체에 수납공간을 마련하여 다 수의 납골함을 봉안하는 납골당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장례문화는 매장식 장묘문화로 시신을 매장하고 그 위로 봉분을 형성한 분묘로 조상을 모시는 방식이다.
이러한 전통 장례문화로 전국의 야산과 공원묘지에는 분묘가 넘쳐나게 되었고, 농촌에서는 종중의 선산은 물론 인근 야산에서도 어렵지않게 많은 분묘를 볼 수 있으며, 최근에는 농경지 인근까지 분묘가 조성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풍수지리에 의해 명당으로 꼽히는 곳에는 불법적인 수목벌채를 강행하여 호화롭고 크게 분묘를 조성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나 묘지를 조성할 때에도 땅을 일정 깊이로 판 다음 고인을 매장하고 그 위로 봉분을 만들고 봉분주변으로 대리석과 같은 석재를 이용해 치마석을 두르고, 봉분 주변으로 공적비나 묘비를 세워 고인의 업적이나 후손들의 정보를 함께 남기는 것이 일반적인 분묘형태이며, 이와 같은 분묘를 조성하는데에는 많은 면적과 비용이 필요하였다.
한편 현재 전 국토는 이미 수년 전부터 대부분의 공원묘지와 야산이 조성된 분묘로 포화상태에 이르렀으며, 이에 정부와 각 지자체에서는 매년 새로운 묘지조성을 위해 고심하고 있고, 해마다 전국의 산과 들이 분묘로 잠식되면서 국가 식량자원과 관광자원도 빠르게 감소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조상을 숭상하고 모시는 전통 장례문화의 순기능은 지키면서 상기와 같이 전통적 분묘로 인한 폐해를 해결하고자 화장장이 제안되고 있다.
화장장은 고인의 시신을 화장하고 수습된 유골을 납골함에 담아 납골탑이나 납골당에 마련된 안치소에 봉안하는 방식이다. 이때 납골당에는 보통 일정 구역의 벽면에 다 수의 분실을 진열장 형태로 마련하여 각 분실에 납골함을 봉안하는 것으로, 일정 구역에 여러 기가 함께 모셔지기 때문에 종래의 분묘가 국토를 잠식하는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화장장이 확산 되면서 납골당 시설과 화장시설이 더욱 많이 요구되고 있는 반면, 일반인과 각 지자체에서는 화장장을 기피시설로 인식하여 자신들의 생활영역에 건축되는 것을 반대하여 납골당이나 화장시설의 신규 건축이 어려운 실정으로 납골당 시설도 조만간 포화 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또한 납골당이 보통 화강암이나 대리석과 같은 석재를 가공하여 건축되기 때문에 고가의 석재를 수급하는데 어려움과 납골함의 수용에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다.
더불어 일반인과 각 지자체에서는 화장장과 함께 납골묘 시설이 자신들의 생활권 내에 세워지는 것을 적극적으로 기피하고 있는 현실에 더하여, 많은 비용을 들여 건축한 납골묘 시설이 고인의 기일과 명절에만 참배를 위해 이용되는 비효율적 시설로 비판을 받고 있는 것이 현실인 바, 확산되고 있는 화장장 문화가 반드시 해결해야할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납골당의 납골함 수용한계를 해결하고, 더불어 납골당 시설물에 대한 일반인들의 거부감을 해소하여, 납골당이 추모목적 이외 일반인들을 위한 공익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둥형 납골당은, 납골시설을 구성하는 기둥형 수납체를 구비하고, 상기 기둥형 수납체의 둘레로 다수 개의 수납공간이 형성하며, 상기 수납공간에 다수 개의 납골함, 특히 축소된 진공납골함을 수납한 납골서랍을 끼워 많은 수의 납골함을 봉안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기둥형 수납체를 건축물의 기둥으로 적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납골당을 구성하는 기둥형 수납체의 둘레를 따라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공간에 다수의 납골함이 수납된 납골서랍을 끼워줌으로써 납골함의 수용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납골효율이 증가하여 비용을 절감해 줄 수 있게 되고,
납골함을 납골서람에 수납할 때에는 각자 지정된 위치에 납골함이 봉안될 수 있게되어 납골함에 대한 보관과 관리가 용이하게 되며,
또한 수납된 납골함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일반인들의 납골당에 대한 거부감을 해소할 수 있으며,
납골당이 기둥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건축물에서 천장을 지지하는 기둥으로 사용할 수 있어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둥형 수납체의 평면 구성을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기둥형 수납체의 납골서랍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 4는 본 발명에 의한 납골함이 분실에 수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은 본 발명에 의한 납골함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기둥형 수납체가 기둥으로 설치된 납골당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기둥형 수납체가 기둥으로 설치된 납골당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둥형 수납체의 둘레로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공간에 납골함을 수용하는 다수의 납골서랍을 끼우게 형성된 기둥형 납골당을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둥형 수납체의 평면 구성을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기둥형 수납체의 납골서랍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 4는 본 발명에 의한 납골함이 분실에 수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5은 본 발명에 의한 납골함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기둥형 수납체가 기둥으로 설치된 납골당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기둥형 수납체가 기둥으로 설치된 납골당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 예시도 이다.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납골함(200)을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둥형 수납체(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둥형 수납체(100)는 그 중심에 지붕체(102) 같은 건축 구조물의 하중을 직접 지지할 수 있도록 코어(1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코어(101)를 중심으로 하여 그 둘레에 수납공간(120)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공간(120)은 상기 기둥형 수납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홈이 형성됨으로써 형성되는바, 다 수개가 기둥형 수납체(10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수납공간(120)의 내부에는 다수의 납골함(200), 특히 크기가 축소된 진공 납골함(200)을 수용하고 있는 다수의 납골서랍(121)이 차곡차곡 끼워진다. 이때, 다 수의 상기 납골서랍(121)이 끼워지게 형성되는 서랍장(110)이 마련되어 상기 수납공간(120)에 설치됨으로써 다 수의 상기 납골서랍(121)을 묶음단위로 수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납골서랍(121)은 납골함(200)의 수납, 인출이 용이하게 상기 납골서랍(121)의 전면에 손잡이(122)가 형성됨으로써 쉽게 밀고 당길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수납된 납골함(200)의 정보를 전면에 표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수납공간(120)마다 상기 서랍장(110)을 가족, 단체, 년도와 같은 분류 기준으로 분리 설치해 납골함(200)을 봉안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납골함(200)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고 납골서랍(121)에 수납되어 봉안될 수 있는바, 일반인들이 혹여라도 느낄 수 있는 혐오감을 최대한 줄여 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형성되는 본 발명의 기둥형 수납체(100)는 종래의 납골당에서보다 월등히 많은 수의 납골함(200)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납골서랍(121) 마다 많은 수의 납골함(200)을 수납하게 됨에 따라 수납된 납골함(200)의 위치가 서로 바뀔 우려 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둥형 수납체(100)는 납골함(200)이 수납되는 상기 분실(124)에 각각 지정된 납골함(200)이 납골서랍(121)에 형성된 분실(124)에 삽입되어 봉안될 수 있게 구성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한다.
여기서, 상기 분실(124)은 각각 지정된 납골함(200)만이 봉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각 분실(124) 마다 각각 번호를 부여하고 납골함(200)에도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수납하는 등의 방법으로 지정된 분실(124)에 지정된 납골함(200)이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각각 분실(124)에 각각 지정된 납골함(200)만이 봉안될 수 있도록 구현하기 위해 도 3,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실(124) 내측 바닥면에 홈(206)을 형성하고, 납골함(200) 바닥면에는 상기 홈(206)과 대응 위치에 돌기(204)를 형성하여서 상기 납골함(200)을 상기 분실(124)에 삽입하며 수납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홈(206)에 상기 돌기(204)가 치합될 수 있게 하여 달성한다.
더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분실(124)이 바닥면에는 홈(206)을 형성하기 위해 판 형태로 돌출된 패널(208)이 구비되는바, 이 패널(208)의 일부가 파여 홈(206)이 형성된다.
상기 홈(206)은 상기 납골함(200)의 돌기(204)와 그 형성 위치 및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납골함(200)이 상기 분실(124)에 삽입되면서 상기 돌기(204)가 상기 홈(206)에 치합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정확한 위치에 치합되게 되면 도 5의 'a'와 같이 상기 납골함(200)이 상기 분실(124)에 수납된다.
반면, 납골함(200)이 지정된 분실(124)이 아닌 곳에 끼워질 경우, 상기 납골함(200)의 돌기(204)의 위치와 패널(208)에 형성된 홈(206)의 위치가 서로 상이하므로, 상기 납골함(200)이 분실(124)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돌기(204)가 상기 패널(208)의 상면과 접하며 더 이상의 삽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 5의 b측에 도시된 납골함(200)의 상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납골함(200)이 분실(124)에 완전히 수납되지 못하고 그 상부 일부가 분실(124) 위로 돌출된 상태가 되며, 이 상태로 납골서랍(121)을 밀어 넣게 되면 상기 납골함(200)의 상부가 상부에 배치된 납골서랍(121)에 간섭되어 제대로 수납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둥형 납골당은 상기 분실(124)마다 각기 다른 위치에 홈(206)이 형성되고, 상기 홈(206)과 치합 가능한 돌기(204)를 구비한 납골함(200)만이 해당 분실(124)에 수납되게 구성됨으로써 다수의 납골함(200)을 한 납골서랍(121)에 수납하더라도 서로 그 위치가 바뀌지않고 각자 지정된 분실(124)에만 수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납골함(200)의 보관과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패널(208)에는 블럭, 도형, 문양 등으로 홈(206)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상응하는 형태의 돌기(204)가 상기 납골함(200)에 바닥면에 형성되어 서로 치합되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납골함(200)은 인출되어 바닥에 놓여졌을 때 안정적으로 지면에 세워지도록 상기 돌기(204)의 돌출길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밑받침(20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둥형 납골당은 도 6과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둥형 수납체(100)가 기둥으로 사용된 건축물에 적용되어 납골당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6.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형 지붕체(102) 아래로 중앙에 추모탑과 조형물이 위치도록 하고, 그 둘레로 조문객들을 위한 조문공간이 마련하되, 상기 조문공간에 본 발명에 의한 기둥형 수납체(100)를 기둥으로 세워 지붕체(102)를 지지하게 함으로써 납골당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기둥형 수납체(100)가 설치되는 건축물은 도시된 구성 외에다 다양한 형태로 건축 될 수 있는바, 필요에 따라 기둥형 수납체(10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여서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함으로써 건축물의 기둥에 본 발명을 자연스럽게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나 납골당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또는 기존 납골당에 설치된 기둥에도 설치하게 되면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 기둥형 수납체 101 : 코어
102 : 지붕체 110 : 서랍장
120 : 수납공간 121 : 납골서랍
122 : 손잡이 124 : 분실
200 : 납골함 202 : 받침
204 : 돌기 206 : 홈
208 : 패널

Claims (7)

  1. 기둥형태로 형성되는 기둥형 수납체(100)의 둘레로 수납공간(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120)에 납골함(200)을 수용하는 다수의 납골서랍(121)이 끼워지며, 상기 납골서랍(121)은 내측에 분실(124)이 형성되어 다수의 납골함(200)을 수용하되,
    상기 분실(124)의 바닥면에는 각기 다른 위치에 홈(206)이 형성되고, 상기 납골함(200) 밑면에는 상기 홈(206)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기(204)가 형성되어,
    상기 납골함(200)이 상기 분실(124)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홈(206)과 돌기(204)가 치합됨으로써 수납이 이루어져 상기 각 납골함(200)이 지정된 분실로 봉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형 납골당.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120)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다수의 납골서랍(121)이 차곡차곡 끼워지게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형 납골당.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120)에는 다수의 납골서랍(121)이 구비된 서랍장(110)이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형 납골당.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함(200)은 상기 돌기(204)의 돌출길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밑받침(202)이 구비되어 지면에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형 납골당.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형 수납체(100)는 천장이 형성된 납골당의 기둥으로 설치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형 납골당.
  6. 삭제
  7. 삭제
KR1020100120834A 2010-11-30 2010-11-30 기둥형 납골당 KR101258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834A KR101258623B1 (ko) 2010-11-30 2010-11-30 기둥형 납골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834A KR101258623B1 (ko) 2010-11-30 2010-11-30 기둥형 납골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190A KR20120059190A (ko) 2012-06-08
KR101258623B1 true KR101258623B1 (ko) 2013-05-02

Family

ID=46610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834A KR101258623B1 (ko) 2010-11-30 2010-11-30 기둥형 납골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6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866Y1 (ko) * 2003-05-16 2003-08-14 김필혁 타워형 납골당의 구축물 구조
KR200390357Y1 (ko) * 2005-04-28 2005-07-20 최흥용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2866Y1 (ko) * 2003-05-16 2003-08-14 김필혁 타워형 납골당의 구축물 구조
KR200390357Y1 (ko) * 2005-04-28 2005-07-20 최흥용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190A (ko) 201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5457B1 (en) Multi-entity urn
US6052954A (en) Burial structure for the non-retrievable interment of human remains and significant memorabilia
US6799399B2 (en) Burial structure for the interment of human remains and significant memorabilia
KR101258623B1 (ko) 기둥형 납골당
US6484457B1 (en) Burial structure for the non-retrievable interment of human remains and significant memorabilia
KR101392489B1 (ko) 큐알코드가 형성된 생분해성 분골함
JP2009235697A (ja) 合祀墓
JP3242158U (ja) 納骨堂
JP2001173272A (ja) 簡易墓石
JP3166679U (ja) 墓前用水鉢及び花立て・水鉢セット
KR200411730Y1 (ko) 납골묘비석
JP3154472U (ja) 墓地構造
US20180023313A1 (en) A receptacle for cremated remains
KR101614269B1 (ko) 다층식 공동묘
JP7397515B2 (ja) 骨壷納骨型墓地構造
KR200234906Y1 (ko) 가족묘용 납골항아리 안치함
JP3161606U (ja) 永代供養墓
JP3217536U (ja) 納骨用具
JP3173969U (ja) 納骨用位牌及び納骨用位牌を収容した供養納骨堂
KR200475777Y1 (ko) 통기구조 및 평면 다중 구조의 납골실이 적용된 납골묘
JP5613269B2 (ja) 永代供養墓
KR200257735Y1 (ko) 부도탑묘
JP3216337U (ja) 自宅安置用墓石
KR200298973Y1 (ko) 납골당
JP3196387U (ja) 納骨箱並びに該納骨箱を収納可能な納骨仏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