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357Y1 -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 - Google Patents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357Y1
KR200390357Y1 KR20-2005-0011824U KR20050011824U KR200390357Y1 KR 200390357 Y1 KR200390357 Y1 KR 200390357Y1 KR 20050011824 U KR20050011824 U KR 20050011824U KR 200390357 Y1 KR200390357 Y1 KR 200390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enclosure
state
ashes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18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흥용
Original Assignee
최흥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흥용 filed Critical 최흥용
Priority to KR20-2005-00118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3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3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된 상태의 유골을 컴팩트화하여 다수개가 다단으로 이루어진 서랍함에 각각 수납 보관 및 안치 가능하도록 함체을 형성하여 가족용 납골함으로 사용함으로서 제를 올리기 위해 납골당을 방문시 자신의 조상이나 부모 등등 망자의 유골이 하나의 함체에 모셔져 있음으로서 망자의 유골을 찾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가족별로 간결하고 깔끔하게 정리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형성함으로서 예를들면, 할아버지 할머니 어머니 아버지 등을 각각 서랍함에 유골을 안치하거나 2인 1조로 이루어진 하나의 서랍함에 두분의 유골을 각각 안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 하나의 함체에 3대 이상의 조상님을 안치 가능하도록 하여 납골당을 방문하는 가족이나 납골당 관리인에게도 편리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정에서도 보관 사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대략 직사각형상으로 내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다수개의 가로 가이드레일(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로 가이드레일(10) 전방에는 세로방향으로 연하여 세로 가이드레일(11)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세로 가이드레일(11)의 어느 한곳에는 절개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세로 가이드레일(11)의 상단부에는 절곡된 상태에서 걸이홈(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일측에는 삽입공(12)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 좌우 및 배면에는 결합쫄대(P)가 착탈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삽입홈(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상단 바닥면에는 체결홈(14)이 형성되어 있는 함체(1)와,
상기 함체(1)의 최하단에는 인입출이 가능한 받침판(2)과,
상기 함체(1)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12)에는 착탈 가능한 것으로서 상단면 내측에는 상기 체결홈(14)에 돌출 삽입 가능하도록 체결돌기(30)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3)와,
상기 함체(1)의 가로 가이드레일(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외주면 양측에는 롤러(40)가 구비되어 있고 상부는 개구된 상태에서 배면에 일측으로 슬라이딩 형식으로 개폐가능한 체결커버(41)가 형성되어 있는 서랍함(4)과,
상기 서랍함(4)의 체결커버(41)를 개방한 상태에서 수납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상부면에는 사진이나 초상화(8)가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상부덮개(50)와 상기 상부덮개(50)와 결합되는 하부판(51)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또는 목재를 재질로 된 외부 케이스(5)와,
상기 외부 케이스(5) 내측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하로 이루어져 하부 스트로폼(60) 중앙에는 홈(600)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 스트로폼(61과 하부 스트로폼(60)이 결합된 상태에서 용접처리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내부 케이스(6)와,
상기 하부 스트로폼(60)의 홈(600)에 삽입 가능한 원형 또는 각형의 형상으로 일측에는 유골의 유출은 불가능하고 단지 내부공기를 배출하여 진공상태로 유지 가능하도록 진공필터(70)가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재질의 통체(7)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과,
바람직하게는, 함체(1)의 외측 좌우 및 배면에 형성된 삽입홈(13)에 결합쫄대(P)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함체(1)를 연결 결합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을 그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은 다수개의 유골(F)을 하나의 함체(1)에 수납 보관할 수 있으므로 가족용 납골함으로 사용하기 편리함으로서 제를 올리기 위해 납골당을 방문시 조상이나 부모 등등 망자의 유골을 찾는데 편리하도록 상기 함체(1)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 사용함으로서 각 가족별 함체(1)를 한 장소에 일목요연하게 보관 및 관리가 수월한 점이 있고 본 고안의 함체(1)중에서 필요한 유골(F)을 인출하여 제사나 차례등을 지낼 경우에는 상기 제사 및 차례를 지내고자 하는 사람의 유골(F)이 수납된 서랍함(4)을 가로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인출한 후 상기 가로 가이드레일(10)과 연하여 형성된 세로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상측부로 승강시켜 상기 세로 가이드레일(11)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이홈(111)에 고정 결합하여 상기 서랍함(4) 내에 수납된 외부 케이스(5) 상부면에 수납된 유골(F)의 사진이나 초상화(8)가 표현되어 있고 향이나 촛대 등을 올려놓는 제상의 역할로서 함체(1)의 최하단에 구비된 받침판(2)을 인출하여 사용함으로서 장소에 구애되지 아니하고 편리하게 제사나 차례를 지낼 수 있도록 한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이다.

Description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Charnel case of drawer type to easily drawing out}
본 고안은 화장된 상태의 유골을 컴팩트화하여 다수개가 다단으로 이루어진 서랍함에 각각 수납 보관 및 안치 가능하도록 함체을 형성하여 가족용 납골함으로 사용함으로서 제를 올리기 위해 납골당을 방문시 자신의 조상이나 부모 등등 망자의 유골이 하나의 함체에 모셔져 있음으로서 망자의 유골을 찾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가족별로 간결하고 깔끔하게 정리 보관 및 사용이 용이하도록 형성함으로서 예를들면, 할아버지 할머니 어머니 아버지 등을 각각 서랍함에 유골을 안치하거나 2인 1조로 이루어진 하나의 서랍함에 두분의 유골을 각각 안치할 수 있도록 하므로 하나의 함체에 3대 이상의 조상님을 안치 가능하도록 하여 납골당을 방문하는 가족이나 납골당 관리인에게도 편리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가정에서도 보관 사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장식 장묘문화가 확산되어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국토면적에 비해 묘지의 점유율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납골식 장묘문화로 전환되고 있는 실정인데, 시체를 화장하여 유골을 그릇에 담아 안치해 두는 납골식 장묘문화의 발달에 따라 납골묘가 배치된 납골당도 다양화되고 있다.
이러한 납골당은 납골함을 대기중에 노출된 상태로 보관하고 있어 납골함으로부터 발생되는 결로현상에 의한 수분과 대기중의 수분에 의해 유골이 부패하거나 유골충 등이 서식하고 부패에 따른 악취가 발생되어 환경을 오염시킴으로서 자역주민의 심한 반발을 초래하게 되며, 이러한 납골당 설치공간 확보의 어려움으로 묘지의 대처수단으로 부각되고 있는 납골문화의 장애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보편적인 납골묘의 구조를 보면, 먼저 납골묘 전면으로 개폐문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는 유골이 안치된 다수개의 납골함을 다단 적층식으로 형성된 안치단에 보관하는 구조이며, 외부는 봉분형으로 형성되거나 일반 가옥으로 형성된 구조로 최근들어 더욱더 다양한 형상의 납골묘가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납골묘는 그 규모가 커서 묘지 점유율이 높고, 그로 인하여 설계 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즉, 망자의 유골을 항아리 등에 수납하여 각각 안치 보관함으로서 규모가 커 장소적이나 운반 및 기타 사용시 문제점이 있고,
종래의 유골이 안치된 항아리 즉, 납골함은 진공상태가 되지 아니한 관계로서 장기간 보관시 공기가 유입되어 습기가 존재함으로서 항아리 내에 안치된 유골이 검게 변하면서 악취를 발산함으로서 납골당을 방문한 사람들에게 불쾌감과 특히, 조상의 유골이 썩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없으며,
복수명 이상의 망자를 위해 제를 올릴 때에는 각각 망자의 유골이 안치된 납골함을 찾아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으며,
특히, 종래의 납골묘는 납골당이라는 일정한 장소에 보관 안치하여야 함으로서 제를 지낼때는 후손들이 납골당을 찾아가 제를 지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또한, 종래의 납골묘는 그 규모나 설계비용의 과다로 인하여 서민등이 이용하기에는 경제적으로 많은 부담감이 있는 등등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키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첫째, 부부 또는 가족 즉, 할아버지 할머니 어머니 아버지의 유골을 하나의 함체에 다단으로 이루어진 서랍함 1인용 또는 2인 1조용으로 안치함으로서 일목요연하게 유골을 보관 및 안치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고,
둘째, 상기와 같이 부부 등 가족의 유골을 하나의 함체에 보관 및 안치함으로서 제를 올릴 경우 가족들이 번거롭게 유골을 찾아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함으로서 시간적 경제적으로 편리함에 그 목적이 있으며,
세째, 유골이 수납된 서랍함 표면에 안치된 망자의 생전 사진이나 초상화를 부착 또는 설치하고 제를 올릴때 상기 서랍함을 함체로 부터 인출하여 사진이나 초상화를 정면으로 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편리하고 간편하게 제를 올릴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고,
네째, 상기 함체의 최하단부에는 받침판을 인출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제를 올릴때 제상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편리하고 간편하게 제를 올릴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으며,
다섯째, 함체의 규모를 작게 함으로서 운반이나 설치함에 있어 장소적 및 설치비용 등을 절약할 수 있어 가정에서도 상기 함체를 보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고,
여섯째, 상기 함체의 규모를 작게함과 동시에 다수 망자의 유골을 보관 안치할 수 있어 장소적인 잇점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고,
일곱째, 납골당에서 사용시 상기 함체를 다수개 연결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내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다수개의 가로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로 가이드레일 전방에는 세로방향으로 연하여 세로 가이드레일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세로 가이드레일의 어느 한곳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세로 가이드레일의 상단부에는 절곡된 상태에서 걸이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일측에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 좌우 및 배면에는 결합쫄대가 착탈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상단 바닥면에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최하단에는 인입출이 가능한 받침판과,
상기 함체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에는 착탈 가능한 것으로서 상단면 내측에는 상기 체결홈에 돌출 삽입 가능하도록 체결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와,
상기 함체의 가로 가이드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외주면 양측에는 롤러가 구비되어 있고 상부는 개구된 상태에서 배면에 일측으로 슬라이딩 형식으로 개폐가능한 체결커버가 형성되어 있는 서랍함과,
상기 서랍함의 체결커버를 개방한 상태에서 수납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상부면에는 사진이나 초상화가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상부덮개와 상기 상부덮개와 결합되는 하부판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또는 목재를 재질로 된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 내측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하로 이루어져 하부 스트로폼 중앙에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 스트로폼과 하부 스트로폼이 결합된 상태에서 용접처리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내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스트로폼의 홈에 삽입 가능한 원형 또는 각형의 형상으로 일측에는 유골의 유출은 불가능하고 단지 내부공기를 배출하여 진공상태로 유지 가능하도록 진공필터가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재질의 통체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과,
바람직하게는, 함체의 외측 좌우 및 배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결합쫄대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함체를 연결 결합 가능하도록 된 것]을 그 구성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있어서 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있어서 서랍함에 외부케이스 및 내부케이스, 통체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5a는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있어서 서랍함의 사시도이며, 도 5b는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있어서 서랍함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있어서 도 5a의 단면도이며, 도 7a는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있어서 서랍함이 인출 및 승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있어서 서랍함이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내부 상태도이며, 도 7c는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있어서 서랍함이 인출된 상태에서 승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7d는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있어서 서랍함이 인출되어 승강된 상태에서 절곡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있어서 다수개의 함체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있어서 다수개의 함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지시부호 1은 함체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함체(1)는 대략 직사각형상이 일반적이나 상단 정면 즉, 지붕의 처마 부위는 다양한 형상의 모양이나 기타 장식을 결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모양이나 형상을 이룬 함체(1)의 구성을 살펴보면,
그 내주 측부에는 일정간격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다수개의 가로 가이드레일(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로 가이드레일(10) 전방에는 세로방향으로 연하여 세로 가이드레일(11)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세로 가이드레일(11)의 어느 한곳에는 절개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세로 가이드레일(11)의 상단부에는 절곡된 상태에서 걸이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부(110)는 함체(1)에 하기에서 설명하는 다수개의 서랍함(4)을 상기 가로 가이드레일(10)를 결합시 필요한 것이며, 상기 걸이홈(111)은 상기 다수개의 서랍함(4)중 제를 올리고자 하는 유골이 안치된 서랍함(4)을 가로 가이드레일(10)로 부터 인출하여 세로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상단으로 승강시킨 후 상기 서랍함(4)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함체(1)의 전면 일측에는 삽입공(12)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 좌우 및 배면에는 결합쫄대(P)가 착탈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삽입홈(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상단 바닥면에는 체결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지시부호 2는 받침판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받침판(2)은 제상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함체(1)의 최하단에 형성되어 있고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지시부호 3은 커버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3)은 상기 함체(1)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12)에 착탈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상단면 내측에는 상기 체결홈(14)에 인출 가능하도록 체결돌기(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함체(1)를 사용치 아니할 경우에는 상기 커버(3)을 삽입공(12)에서 인출하여 함체(1)의 전면에 결합하여 유골(F)의 분실이나 도난을 방지키 위함과 동시에 상기 커버(3)의 표면에 다양한 문양이나 함체(1)의 소유자의 사진(8) 및 기타 다양한 식별이 가능한 무늬 또는 외관의 미려함을 위한 무늬 등등이 표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 상기 커버(3)가 함체(1)에 결합키 위한 수단은 함체(1)의 전면 상단 바닥면에 형성된 체결홈(14)에 일치되어 결합되도록 상기 커버(3)의 상단면 내측에열쇠등으로 체결시에는 상기 체결홈(14)에 삽입 고정되고 해지시에는 상기 체결홈(14)으로 부터 탈거되도록 구성된 체결돌기(30)가 형성되어 있어 함체(1)를 사용치 아니할 경우에는 열쇠를 이용하여 커버(3)를 함체(1)의 전면에 체결홈(14)에 체결돌기(30)를 결합함으로서 타인 등이 유골(F)의 유출 및 기타 도난으로 부터 방지할 수 있고 함체(1)를 사용할 경우 즉, 제를 지낼때에는 상기 커버(3)를 함체(1) 전면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12)에 수납하여 보관하는 것이다. 지시부호 4는 서랍함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서랍함(4)은 상기 함체(1)의 가로 가이드레일(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외주면 양측에는 롤러(40)가 구비되어 있고 상부는 개구된 상태에서 배면에 일측으로 슬라이딩 형식으로 개폐가능한 체결커버(41)가 형성되어 있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랍함(4)의 길이방향 중앙에 구획벽(42)을 형성하여 생전에 부부나 기타 친밀한 사람의 유골(F)을 함께 안치 가능하도록 하는 즉, 2인 1조용의 서랍함(4)의 구성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지시부호 5는 외부 케이스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외부 케이스(5)는 상기 서랍함(4)의 체결커버(41)를 개방한 상태에서 수납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그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부면에는 사진이나 초상화(8)가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상부덮개(50)와 상기 상부덮개(50)와 결합되는 하부판(51)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또는 목재를 재질로 된 것이다. 물론, 상기 하부판(51)에는 당연히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홈에 하기에서 설명하는 통체(7)가 수납된 내부 케이스(6)가 수납되기 때문이다.
상기 상부덮개(50)와 하부판(51)은 내용물을 수납한 후 밀봉되는 것이다.
지시부호 6은 내부 케이스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내부 케이스(6)는 상기 외부 케이스(5) 내측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하로 이루어진 상태로서 그 재질은 스트로폼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내부 케이스(6)는 하부 스트로폼(60)과 상부 스트로폼(61)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하부 스트로폼(60) 중앙에는 홈(600)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 스트로폼(61)과 하부 스트로폼(60)이 결합된 상태에서 용접처리되어 일체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내부 케이스(6)에 내용물인 하기에서 설명하는 통체(7)가 수납된 상태에서 밀봉되는 것이다.
지시부호 7은 통체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상기 통체(7)의 형상은 다양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원형이나 각형 및 기타 어떠한 형상이라도 무방하며 그 재질은 플라스틱이 바람직하나 기타 유골(F)에 유익한 어떠한 재질이라도 무방하다.
예를들면, 비닐 폴리백과 같은 비닐지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통체(7)는 상기 하부 스트로폼(60)의 홈(600)에 삽입되며 상기 통체(7)의 일측에는 유골(F)의 유출이 불가능하고 단지 통체(7)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유골(F)을 통체(7) 내부에 안치한 후 상기 통체(7)를 밀봉한 상태에서 통체(7)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통체(7)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키 위한 진공필터(7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유골은 일반포장하여 안치하는 것도 무방하나 장기간 안치할 경우가 대부분으로서 상기 통체(7)에 유골(F)을 안치한 후 상기 통체(7)를 밀봉한 다음 상기 진공필터(70)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통체(70) 내를 진공상태로 함으로서, 결국 유골(F)의 변질이나 유골(F)에 습기가 차 악취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체(1)의 상부에는 안치된 망자의 사진(8)들만 서랍함(4)이 삽입된 상태의 전면에 부착하고 하부에는 유골(F)이 안치된 서랍함(4)을 다수개 결합 사용하더라도 무방할 것이다.
즉, 납골당에서는 제를 올릴때 분양소에서 일괄적으로 제를 올림으로서 상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의 상부에는 상기 함체(1)에 안치된 망자들의 사진만 다단으로 부착하고 그 하단에는 상기 망자들의 유골(F)을 또한 다단으로 서랍함(4)에 안치하여 간단하고 편리하게 보관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함체(1)의 외측 좌우 및 배면에 형성된 삽입홈(13)에 결합쫄대(P)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함체(1)를 연결 결합 가능하도록 사용할수도 있을 것이다.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옆으로 눕혀서 책꽂이 형상으로 하여 사진(8)이 부착된 서랍함(4)을 인출하여 절곡한 다음 슬라이딩하여 사용하더라도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형태로 사용할 경우에는 세워서 사용하는 것 보다 적층시 안정감을 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대한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서랍함(4)에 유골(F)을 안치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체(7)에 망자의 화장된 유골(F)을 수납 안치한 후 상기 통체(7)를 밀봉하면 상기 진공필터(70)에 의해 통체(7) 내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유골(F)의 유출이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상기 통체(7)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유골(F)이 안전하고 변질되지 아니하도록 보관함으로서 습기가 차거나 또는 기타 유골(F)의 변질의 원인이 되는 공기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서 악취발생을 방지하고 안전하게 유골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유골(F)이 안치된 통체(7)를 하부 스트로폼(60)에 형성된 홈(600)에 안치한 후 상부 스트로폼(61)을 덮고 즉, 내부 케이스(6)에 결합한 후 밀봉처리한 후 상기 내부 케이스(6)를 외부 케이스(5)에 수납하고 상기 외부 케이스(5)를 밀봉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의 절차는 일반인이 하는 것이 아니라, 화장터 관계자가 상기와 같은 모든 절차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하기에 설명하는 즉, 서랍함(4)에 수납하는 것은 납골당 관계자가 수행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절차는 망자의 유골을 화장한 후 화장터 관계자가 유골(F)을 수거하여 통체(7)에 안치하고 밀봉한 후 통체(7) 내를 진공상태로 한 후 내부 케이스(6)에 상기 통체(7)를 결합하고 상기 내부 케이스(6) 또한 밀봉처리한 다음, 상기 내부 케이스(6)를 외부 케이스(5)에 수납한 후 상기 외부 케이스(5)를 상기 통체(7)나 내부 케이스(6)나 마찬가지로 진공상태로 밀봉 처리하는 것이다.
이후, 서랍함(4)의 배면에 형성된 체결커버(41)을 일측으로 슬라이딩하여 개방한 후 상기 외부케이스를 수납하고 상기 체결커버(41)를 타측으로 슬라이딩 체결 고정하여 서랍함(4)을 완성하면 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서랍함(4)에 부부 등 친밀한 관계인 망자의 유골(F)을 안치할 수 있다.
다음, 사용치 아니할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1)의 전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12)에 삽입된 커버(3)가 상기 함체(1)의 전면에 결합되어 유골(F)의 분실이나 도난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그 결합 수단은 상기 함체(1)의 전면 상단 바닥면에 형성된 체결홈(14)에 상기 커버(3)의 상단면 내측에 열쇠등으로 돌출 및 삽입이 가능하도록 체결돌기(3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열쇠를 체결하면 상기 체결돌기(30)가 체결홈(14)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됨으로서 결국 커버(3)가 상기 함체(1)의 전면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됨으로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다음, 상기 함체(1)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도 1 및 도 2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즉, 제를 올릴 경우에는 상기 열쇠를 이용하여 커버(3)를 함체(1)의 전면에서 탈거시킨 후 상기 커버(3)를 삽입공(12)에 삽입한 연후에, 제를 올릴 대상의 유골(F)이 안치된 서랍함(4)을 가로 가이드레일(10)을 따라 함체(1)의 전면 끝단부까지 인출하고 상기 서랍함(4)을 절곡 즉, 회동시켜 함체(1)의 전면 내측에 형성된 가로 가이드레일(10)과 연하여 형성된 세로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승강시켜 상기 세로 가이드레일(11)의 상단 끝단부에 형성된 절곡된 걸이홈(111)에 걸어서 고정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때, 서랍함(4)을 승강시키는 이유는 제상의 역할을 하는 즉, 함체(1)의 최하단에서 인출되는 받침판(2)에 올리는 촛대나 향 등등 음식물의 방해를 받지 아니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들면 받침판(2) 바로 위의 서랍함(4)의 인출 후 회동시 지면 또는 상기 받침판(2)에 의해 회동이 불가능함으로서 이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키 위하여 모든 서랍함(4)은 인출 회동 후 승강작동을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이 걸이홈(111)에 제를 올리고자 하는 대상의 유골(F)이 안치된 서랍함(4)을 고정시킨 후 상기 받침판(2)을 인출하고 제를 올리는데 필요한 물품을 상기 받침판(2)에 올리고 제를 올리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서랍함(4)이 걸이홈(111)에 고정됨에 따라 서랍함(4)이 지면과 수직을 이룸으로서 결국 서랍함(4) 표면에 형성된 망자의 사진이나 초상화(8)가 정면을 바라보는 형상으로 구성됨에 따라 제를 올리는데 매우 편리하고 간편한 것이다.
제를 마침 다음에는 상기 순서와 역순으로 받침판(2)을 삽입하고 상기 걸이홈(111)에 걸려 고정된 서랍함(4)을 걸리홈(111)으로 부터 롤러(40)를 해지하는 방식으로 해지하여 세로 가이드 레일(11)을 따라 하강시켜 적정 위치에서 회동한 후 가로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삽입하고 커버(3)을 함체(1)의 전면에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이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세로 가이드레일(11)의 일정위치에 구비된 절개부(110)는 함체(1)에 서랍함(4)을 결합할때 사용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함체(1)를 여러개 결합하는 형식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체(1)의 외부 양측 및 배면에 형성된 삽입홈(13)에 결합쫄대(P)를 삽입하여 함체(1)를 좌우 또는 배면에 수차적으로 결합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물론, 외관상 상기 결합쫄대(P)를 외부에서 보지 아니하도록 장식판 등으로 상기 결합쫄대(P)를 외부에서 보이지 아니하도록 함으로서 외관상 전혀 문제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체(1)의 상부에는 안치된 망자의 사진(8)들만 서랍함(4)이 삽입된 상태의 전면에 부착하고 하부에는 유골(F)이 안치된 서랍함(4)을 다수개 결합 사용하더라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즉, 도 10에서는 3인 망자의 유골(F)과 사진(8)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 5b에서와 같이 서랍함(4)에 구획벽(42)을 형성하여 6인용으로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서, 제를 올릴때 별도로 유골(F)이 안치된 서랍함(4)을 인출하여 승강하는 작동을 할 것 없이 상기 함체(1)의 커버(3)를 제거한 상태에서 그대로 제를 올림으로서 제를 올리는 사람에게 편리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체(1)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이 미려한 봉분형 또는 일반 가옥으로 형성된 구조에 수납하여 보관하여 종래의 납골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은 다수개의 유골(F)을 하나의 함체(1)에 수납 보관할 수 있으므로 가족용 납골함으로 사용하기 편리하게 납골당에서 상기 함체(1)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 사용함으로서 각 가족별 함체(1)를 한 장소에 일목요연하게 보관 및 관리가 수월한 점이 있고 본 고안의 함체(1)중에서 필요한 유골(F)을 인출하여 제사나 차례등을 지낼 경우에는 상기 제사 및 차례를 지내고자 하는 사람의 유골(F)이 수납된 서랍함(4)을 가로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인출한 후 상기 가로 가이드레일(10)과 연하여 형성된 세로 가이드레일(11)을 따라 상측부로 승강시켜 상기 세로 가이드레일(11)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이홈(111)에 고정 결합하여 상기 서랍함(4) 내에 수납된 외부 케이스(5) 상부면에 수납된 유골(F)의 사진이나 초상화(8)가 표현되어 있고 향이나 촛대 등을 올려놓는 제상의 역할로서 함체(1)의 최하단에 구비된 받침판(2)을 인출하여 사용함으로서 장소에 구애되지 아니하고 편리하게 제사나 차례를 지낼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함체(1)를 가정에서 구입하여 가족의 유골(F)을 안치하여 사용하더라도 무방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있어서 커버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있어서 서랍함에 외부케이스 및 내부케이스, 통체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있어서 서랍함의 사시도,
도 5b는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있어서 서랍함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있어서 도 5a의 단면도,
도 7a는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있어서 서랍함이 인출 및 승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b는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있어서 서랍함이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내부 상태도,
도 7c는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있어서 서랍함이 인출된 상태에서 승강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7d는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있어서 서랍함이 인출되어 승강된 상태에서 절곡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있어서 다수개의 함체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있어서 다수개의 함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도 12는 본 고안인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에 있어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함체 2 : 받침판
3 : 커버 4 : 서랍함
5 : 외부 케이스 6 : 내부 케이스
7 : 통체 8 : 사진 이나 초상화
10 : 가로 가이드레일 11 : 세로 가이드레일
12 : 삽입공 13 : 삽입홈
14 : 체결홈 30 : 체결돌기
40 : 롤러 41 : 체결커버
42 : 구획벽 50 : 상부덮개
51 : 하부판 60 : 하부 스트로폼
61 : 상부 스트로폼 70 : 진공필터
110 : 절개부 111 : 걸이홈
600 : 홈 P : 결합쫄대

Claims (3)

  1.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내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다수개의 가로 가이드레일(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로 가이드레일(10) 전방에는 세로방향으로 연하여 세로 가이드레일(11)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세로 가이드레일(11)의 어느 한곳에는 절개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세로 가이드레일(11)의 상단부에는 절곡된 상태에서 걸이홈(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일측에는 삽입공(12)이 형성되어 있고 외측 좌우 및 배면에는 결합쫄대(P)가 착탈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삽입홈(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상단 바닥면에는 체결홈(14)이 형성되어 있는 함체(1)와,
    상기 함체(1)의 최하단에는 인입출이 가능한 받침판(2)과,
    상기 함체(1)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공(12)에는 착탈 가능한 것으로서 상단면 내측에는 상기 체결홈(14)에 돌출 삽입 가능하도록 체결돌기(30)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3)와,
    상기 함체(1)의 가로 가이드레일(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외주면 양측에는 롤러(40)가 구비되어 있고 상부는 개구된 상태에서 배면에 일측으로 슬라이딩 형식으로 개폐가능한 체결커버(41)가 형성되어 있는 서랍함(4)과,
    상기 서랍함(4)의 체결커버(41)를 개방한 상태에서 수납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 상부면에는 사진이나 초상화(8)가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상부덮개(50)와 상기 상부덮개(50)와 결합되는 하부판(51)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또는 목재를 재질로 된 외부 케이스(5)와,
    상기 외부 케이스(5) 내측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하로 이루어져 하부 스트로폼(60) 중앙에는 홈(600)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상부 스트로폼(61과 하부 스트로폼(60)이 결합된 상태에서 용접처리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내부 케이스(6)와,
    상기 하부 스트로폼(60)의 홈(600)에 삽입 가능한 원형 또는 각형의 형상으로 일측에는 유골의 유출은 불가능하고 단지 내부공기를 배출하여 진공상태로 유지 가능하도록 진공필터(70)가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재질의 통체(7)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의 상부에는 안치된 망자의 사진(8)들만 서랍함(4)이 삽입된 상태의 전면에 부착하고 하부에는 유골(F)이 안치된 서랍함(4)을 다수개 결합 사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
  3. 제 1 항에 있어서,
    함체(1)의 외측 좌우 및 배면에 형성된 삽입홈(13)에 결합쫄대(P)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함체(1)를 연결 결합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
KR20-2005-0011824U 2005-04-28 2005-04-28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 KR2003903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824U KR200390357Y1 (ko) 2005-04-28 2005-04-28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1824U KR200390357Y1 (ko) 2005-04-28 2005-04-28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357Y1 true KR200390357Y1 (ko) 2005-07-20

Family

ID=43691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1824U KR200390357Y1 (ko) 2005-04-28 2005-04-28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3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623B1 (ko) * 2010-11-30 2013-05-02 고윤철 기둥형 납골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623B1 (ko) * 2010-11-30 2013-05-02 고윤철 기둥형 납골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91993A1 (en) Vessel for interring cremated remains and associated methods
US11039972B2 (en) Funerary display arrangement with insert kit
US5611124A (en) Casket having memorabilia compartment
US8146216B2 (en) Lamp
US5950288A (en) Urn for housing of ashes
US7191499B2 (en) Memorial urn
US20080116772A1 (en) Wall-mounted urn display cabinet
US20070152549A1 (en) Wall-mounted ash display cabinet
KR101018430B1 (ko) 개방형 이중 수납구조를 갖춘 납골안치단
KR200390357Y1 (ko)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
US7854047B2 (en) Casket having memorabilia compartment
US4139929A (en) Structure for an integrated display and burial containment system
US7251869B1 (en) Burial device
KR200399295Y1 (ko) 인출이 용이한 서랍식 납골함
KR100729904B1 (ko) 납골함보관냉동고
KR20100125485A (ko) 디스플레이용 특장차
KR20080093523A (ko) 서랍식 납골함
KR200214920Y1 (ko) 납골안치단
JP2707219B2 (ja) 墓石付き仏壇
CN209450177U (zh) 可折叠的储物沙发
KR200422764Y1 (ko) 납골함보관냉동고
KR200326188Y1 (ko) 복수개의 유골함을 적층하기 용이한 납골묘
KR200223612Y1 (ko) 가족용 납골단
JP2004187765A (ja) 納骨用位牌
KR960009834Y1 (ko) 침대를 내장시킨 장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