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735Y1 - 부도탑묘 - Google Patents

부도탑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735Y1
KR200257735Y1 KR2020010028548U KR20010028548U KR200257735Y1 KR 200257735 Y1 KR200257735 Y1 KR 200257735Y1 KR 2020010028548 U KR2020010028548 U KR 2020010028548U KR 20010028548 U KR20010028548 U KR 20010028548U KR 200257735 Y1 KR200257735 Y1 KR 2002577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suary
pagoda
display
upper sid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85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훈
Original Assignee
박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훈 filed Critical 박창훈
Priority to KR20200100285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7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7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735Y1/ko

Links

Landscapes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신을 화장한 후 유골을 안치시켜 영구 보존하고자 하는 부도탑묘에 관한 것으로, 지반에 설치되어 중량에 견딜 수 있도록 하고 평면상의 정방형으로 구성되는 받침대; 소정의 높이로 구성되며 납골함을 수장할 수 있도록 하되, 여러 구(具)를 안치할 수 있도록 함체로 구성되는 납골수장함; 표시부석을 올려 놓기 위해 상측의 중심을 평면상으로 구성되게 하며 상기 납골수장함 내측으로 수분이 들어가지 않도록 납골수장함의 상측을 감싸게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덮개석; 천상의 소리로 중생을 해탈의 길로 인도하는 종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덮개석의 상측 중심에 놓여 부도탑묘의 식별을 표시하기 위해 색인표시부를 형성한 표시부석; 상기 표시부석의 상측에 놓여 장식용으로 구성되는 장식봉;으로 구성되는 이들을 차례로 탑재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부도탑묘는 화강석으로 마치 탑처럼 꾸며 고인에 대한 경건함과 존엄함을 줄 수 있도록 하고, 저승으로 가는 고인에 대한 경건한 마음으로 외관상 화려함을 주기 위해 외측벽 일부 또는 전체에 연꽃, 십이간지 등의 문양을 넣어서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부도탑묘는 가족 또는 문중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부도탑묘{A sarira stupa}
본 고안은 시신을 화장한 후 유골을 안치시켜 영구 보존하고자 하는 부도탑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강석으로 마치 탑처럼 꾸며 고인에 대한 경건함과 존엄함을 줄 수 있도록 하고, 가족 또는 문중의 시신을 하나의 탑묘에 안치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부도탑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은 작고하게 되면, 유가족들이 시신을 땅속에 안치한 후 그 위로 봉분을 만들고 주변에는 잔디로 정돈하여 저승으로 가는 시신을 애도하였는데, 이러한 방식은 오래 전부터 실시되어 오고 있는 방식으로 현재에도 일부 그렇게 진행하고 있는 것이다.
시신을 매장하기 위해서는 봉분과 비석, 주변의 정돈에 따른 잔디 조성에 필요한 부지를 확보하여야 하는 바, 소요되는 부지는 상당한 면적을 차지하게 되고, 개인으로서는 크지 않는 면적으로 볼 수 있으나 이를 전국적으로 볼 때 국토의 면적에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한 번 매장한 시신은 약 50년 이상 보존하게 되고 이것이 계속적으로 누적하게 되면, 년간 약 8,500,000㎡ 면적만큼 불어나게 되고 세월이 흐를수록 불어나는 묘지 때문에 좁은 국토를 잠식하게 되는 우려도 있다.
그로 인한 국토의 잠식으로 한정되어 있는 국토가 고갈되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뿐만 아니라 불어나는 묘지의 면적만큼 산림을 훼손하게 되어 환경에도 심각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묘지의 증가로 인한 국토 잠식의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매장한 시신을 사후 어느 정도 시일이 지나면 화장화도록 권장하는 한편, 대대적으로 화장을 권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시신을 화장하고 남은 유골을 안치하는 납골당이 선호되는데, 납골당이라 함은 수백 내지 수천의 유골을 안치하는 것으로 인식되어 고인에 대한 경건함과 존엄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고안의 출원인은 한 구(具)에 대한 유골을 영구적으로 보관하는 부도탑묘를 개발하여 실용신안등록제179384호로 등록 받은 '부도탑묘'를 고안한 바 있는데, 이는 시신 한 구(具)를 한정하거나 지하로 내려가는 가족묘로 구성하고 있으므로 대가족 또는 문중의 묘(墓)로 적용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는 결점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족 또는 문중의 시신을 하나의 탑묘에 안치할 수 있도록 하되, 연화좌대 문양을 넣은 화강석을 마치 탑처럼 꾸며 고인에 대한 경건함과 존엄함을 줄 수 있도록 하는데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도탑묘를 구성함에 있어서, 지반에 설치되어 중량에 견딜 수 있도록 하고 평면상의 정방형으로 구성되는 받침대; 소정의 높이로 구성되며 납골함을 수장할 수 있도록 함체로 구성되는 납골수장함; 표시부석을 올려 놓기 위해 상측의 중심을 평면상으로 구성되게 하며 상기 납골수장함 내측으로 수분이 들어가지 않도록 납골수장함의 상측을 감싸게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덮개석; 천상의 소리로 중생을 해탈의 길로 인도하는 종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덮개석의 상측 중심에 놓여 부도탑묘의 식별을 표시하기 위해 색인표시부를 형성한 표시부석; 상기 표시부석의 상측에 놓여 장식용으로 구성되는 장식봉;으로 구성되는 이들을 차례로 탑재하여서 구성되는 부도탑묘를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납골수장함을 격벽으로 분배되게 구성하여 상기의 부도탑묘에 시신의 유골이 담긴 납골함을 여러 안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저승으로 가는 고인에 대한 경건한 마음으로 외관상 화려함을 주기 위해 상기 부도탑묘로 구성되는 장식봉, 표시부석, 덮개석, 납골수장함, 받침대 등의 외측벽 일부 또는 전체에 연꽃, 십이간지 등의 문양을 넣어서 구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부도탑묘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부도탑묘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부도탑묘의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부도탑묘에 적용되는 납골수장함의 다른 실시례의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부도탑묘에 적용되는 납골수장함의 또 다른 실시례의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부도탑묘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부도탑묘 10. 받침대
20. 납골수장함 21. 격벽
22. 뚜껑 30. 덮개석
31. 요입부 40. 표시부석
41. 색인표시부 50. 장식봉
60. 납골함
본 고안은 시신을 화장한 유골을 영구적으로 보존하기 위해 덕이 높은 고승의 사리를 보존하는 것처럼 부도탑묘로 구성하여 고인에 대한 경건함과 존엄함을 제공하고 아울러 묘지로 인하여 고갈되는 국토의 잠식을 조금이나마 덜어 주고자 가족이나 문중같은 혈맥에서 발생되는 다수의 납골을 한 곳에 안치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의해 구성한 것을 첨부한 도면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래에서 전술되는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하는 실시례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부도탑묘의 사시도이며, 도2는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부도탑묘의 각 부분을 분리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부도탑묘의 단면도이며, 도4 및 도5는 본 고안의 부도탑묘에 적용되는 납골수장함의 다른 실시례들의 사시도이고, 도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에 의해 구성된 부도탑묘의 정면도로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부도탑묘(1)는 화강석으로 구성되어지며 받침대(10), 납골수장함(20), 덮개석(30), 표시부석(40), 장식봉(50)으로 이루어져 이들이 각각 차례로 탑재되어 구성하게 된다.
상기 받침대(10)는 부도탑묘(1)로 구성되는 납골수장함(20), 덮개석(30), 표시부석(40), 장식봉(50)이 얹혀지게 되므로 중량에 견딜 수 있도록 지반에 잘 설치되어야 하며 상기 받침대(10)의 상측에는 정방형의 납골수장함(20)이 얹혀지므로 평면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물론, 상기 받침대(10)는 납골수장함(20)의 폭보다는 커야 하고 받침대(10)의 상측에 구성되는 평면의 너비는 납골수장함(20)의 너비와 비례하게 되도록 구성되어져야 한다.
상기 납골수장함(20)은 화장한 시신의 유골이 담긴 납골함(60)을 수장하기위한 것이므로 납골함(60)의 높이보다는 크게 구성되어져야 하고, 납골함(60)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투입해야 하는 것과 외관상 미려함을 감안하여 적절한 높이로 구성되어져야 한다.
특히, 상기 납골수장함(20)은 본 고안의 목적에 따라 복수 또는 여러 구(具)의 납골함(60)을 수장하여야 하고, 수장된 납골함(60)을 서로 격리되게 안치할 수 있도록 납골수장함(20)내의 함체에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격벽(21)을 형성하여 납골수장함(20) 범위내에서 납골함(60)이 개개로 분리되게 안치할 수 있도록 한다.
납골수장함(20)의 함체가 격벽(21)에 의해 분리된 수장함마다 별도의 뚜껑(22)을 마련하여 개개로 덮어 줄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뚜껑(22)의 상면에는 누구의 것인가를 색인할 수 있도록 글을 남기도록 한다.
상기 덮개석(30)은 납골수장함(20)을 덮어 씌우는 수단으로 납골수장함(20)에 안치되는 납골함(60)에는 수분이 배척되어야 이유로 덮개석(30)의 하단에 납골수장함(20)의 상측이 요입되도록 소정의 깊이로 구성되는 요입부(31)를 구성하고, 상측에는 표시부석(40)을 올려 놓기 위해 중심부를 평면상으로 구성되게 한다.
상기 표시부석(40)은 천상의 소리로 중생을 해탈의 길로 인도하는 뜻을 지닌 종의 형태로 구성하는가 하면 상측에는 장식봉(50)을 얹기 위해 평면을 유지하여야 하고, 상기 덮개석(30)의 상측 중심에 놓이는 부도탑묘(1)가 누구의 가족 또는 문중의 것인가를 식별하기 위해 몸체의 소정의 위치에 색인표시부(41)를 형성되게 한다.
상기 장식봉(50)은 상기 표시부석(40)의 상측에 얹힐 수 있도록 하면을 평면상으로 유지되게 하고, 부도탑묘(1)의 최상단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받침대(10), 납골수장함(20), 덮개석(30), 표시부석(40), 장식봉(50)의 외벽에는 아무런 조각이나 문양이 없어도 상품의 가치는 있으나 그러나 고인에 대한 명복과 극락 세계로 인도하는 의식으로 연꽃이나 십이간지 등의 문양을 조각함으로써 한층 더 고인에 대한 경건함과 존엄함을 주기 때문에 문양 조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설치 및 작용되는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에서와 같이 부도탑묘(1)로 구성되는 받침대(10), 납골수장함(20), 덮개석(30), 표시부석(40), 장식봉(50)을 각각 구성하게 되고, 사전에 준비된 터에 지반을 잘 다진 후 받침대(10)를 놓고 그 위에 납골수장함(20)을 올려 놓는다.
그리고, 시신을 화장한 유골을 담은 납골함(60)을 상기 납골수장함(20)에 넣고, 그 위에 덮개석(30)을 얹고 표시부석(40)의 색인표시부(41)에 가족 또는 문중의 글을 적은 뒤 덮개석(30)의 상측에 얹고, 상기 표시부석(40)의 상측에는 장식봉(50)을 얹는 작업으로 본 고안의 부도탑묘(1)가 완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부도탑묘(1)를 보존하는 동안에 가족이나 문중에 또 다른 사람이 죽게 되면, 이를 화장하여 유골을 납골함(60)에 넣은 후 중장비 등의 기계를 이용하여 덮개석(30)을 포함한 상측을 옮겨 납골수장함(20)을 개봉하여 안치되지 않은 자리에 납골함(60)을 넣고 그 시신의 신분을 적은 뚜껑(22)을 덮고 다시덮개석(30)을 포함한 상측을 제자리로 옮겨 놓으면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가족이나 문중의 시신을 화장한 납골을 장기간 계속적으로 안치할 수 있어 가족이나 문중의 혈통이 따로 분산되지 않고 한 곳에서 관리 또는 참배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부도탑묘(1)는 화강석으로 이루어져 있어 주변의 벌레나 동물 등의 침투를 예방할 수 있으므로 부도탑묘를 훼손시키지 않고 장기간 보존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부도탑묘는 일인만을 고집하는 종래 부도탑묘에 비해 면적을 적게 차지하게 되므로 좁은 국토의 절감에 따른 산림훼손이 크게 줄어 덜고 그로 인하여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는데 기요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또한, 수백 구(具)를 안치하는 납골당과는 달리 가족이나 문중의 유골만을 보존하게 되므로 조상에 대한 경건함과 존엄함에 기여되는 특징이 있다.

Claims (3)

  1. 부도탑묘에 있어서,
    지반에 설치되어 중량에 견딜 수 있도록 하고 평면상의 정방형으로 구성되는 받침대; 소정의 높이로 구성되며 납골함을 수장할 수 있도록 함체로 구성되는 납골수장함; 표시부석을 올려 놓기 위해 상측의 중심을 평면상으로 구성되게 하며 상기 납골수장함 내측으로 수분이 들어가지 않도록 납골수장함의 상측을 감싸게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덮개석; 천상의 소리로 중생을 해탈의 길로 인도하는 종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덮개석의 상측 중심에 놓여 부도탑묘의 식별을 표시하기 위해 색인표시부를 형성한 표시부석; 상기 표시부석의 상측에 놓여 장식용으로 구성되는 장식봉;으로 구성되는 이들을 차례로 탑재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도탑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수장함의 내측에 격벽을 형성하여 수장함을 소정의 수량으로 분배하고, 분배된 수장함마다 별도의 뚜껑을 구성하여 다수개의 납골함을 격리되게 안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도탑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봉, 표시부석, 덮개석, 납골수장함, 받침대 등의 외측벽 일부 또는 전체에 연꽃, 십이간지 등의 문양을 넣어서 구성된 것을 더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부도탑묘.
KR2020010028548U 2001-09-17 2001-09-17 부도탑묘 KR2002577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548U KR200257735Y1 (ko) 2001-09-17 2001-09-17 부도탑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8548U KR200257735Y1 (ko) 2001-09-17 2001-09-17 부도탑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735Y1 true KR200257735Y1 (ko) 2001-12-22

Family

ID=73109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548U KR200257735Y1 (ko) 2001-09-17 2001-09-17 부도탑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7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7652A (en) Tree forest cemetery
Taylour New light on Mycenaean religion
US20190040648A1 (en) Burial complex
KR20170111259A (ko) 흉상이 구비된 유골함 구조
KR200257735Y1 (ko) 부도탑묘
Malone Metaphor and Maltese Art: Explorations in the Temple Period.
JP3204165U (ja) 墓碑及びその墓碑を備えた樹木葬用の墓
JP3166679U (ja) 墓前用水鉢及び花立て・水鉢セット
CN205476803U (zh) 一种绿色生态地下陵园
Mytum Burial Crypts and Vaults in Britain and Ireland: a biographical approach
Mifsud et al. The subterranean sanctuary at Ħal Saflieni
JP3154472U (ja) 墓地構造
JP3242158U (ja) 納骨堂
DK181383B1 (da) En mindesten, anvendelse af en mindesten og et system af mindesten.
Burger Tombs and burial practices in ancient Palestine
Tamorri manipulated corpses in Predynastic Egyptian tombs: deviant or normative practices?
KR20090123031A (ko) 자연친화적인 유골묘
Dimopoulou A gold discoid from Poros, Herakleion: The guard dog and the garden
Davino Elite and Common People. Redefining Burial Practices in Ancient Egypt
JPH0636187Y2 (ja) 集合墓石構造
JP2001115686A (ja) 立体式墓地
JPH11241527A (ja) 永代納骨用集合型墓石、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永代供養方法
Stevenson The A-Group Cemetery at Tunqala West
JP2001152697A (ja) 永代供養墓兼用永代供養納骨設備
Lacy Seventeenth-century Burial Practices and Landscapes on the East Coa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