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474B1 -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 - Google Patents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474B1
KR101545474B1 KR1020140187025A KR20140187025A KR101545474B1 KR 101545474 B1 KR101545474 B1 KR 101545474B1 KR 1020140187025 A KR1020140187025 A KR 1020140187025A KR 20140187025 A KR20140187025 A KR 20140187025A KR 101545474 B1 KR101545474 B1 KR 101545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supporting
opening
support portion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민식
Original Assignee
해천이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천이엔씨(주) filed Critical 해천이엔씨(주)
Priority to KR1020140187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1/00Defence installations; Defence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4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3/00Means of attack or defen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 상부에 빈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 및 이동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수납부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진지를 구성하는 수납부의 내측 하부에 이동수단이 구비된 승강부가 구비되어 이동수단을 출몰시킬 수 있으므로 진지의 이동 및 구축이 용이하고, 진지 구축완료 후 수납부를 바닥에 안착시켜 최적의 진지구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FLOWER BED TYPE POSITION WITH LIFTING MEANS}
본 발명은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지를 구성하는 수납부의 내측 하부에 이동수단이 구비된 승강부가 구비되어 이동수단을 출몰시킬 수 있으므로 진지의 이동 및 구축이 용이하고, 진지 구축완료 후 바닥에 안착시켜 최적의 진지구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군부대 등과 같은 곳에서는 긴급상황 발생시 모래주머니 등을 이용하여 진지를 구축한다.
그러나, 모래주머니는 평상시 모래를 담아두어 어느 한 쪽에 보관하였다가 전쟁 등과 같은 위급상황 발생시 일일이 하나씩 옮겨다가 진지구축에 사용하므로, 보관상의 불편함과 진지 구축시 작업 인력 및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 등록된 등록번호 제20-0461004호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이동수단이 구비된 도로가각 진지를 소개한 바 있다.
한편, 이동수단이 구비될 경우 이동수단의 높이만큼 진지의 하부면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총격전 등이 발생할 경우 매우 위험한 상태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위험요소를 낮추기 위해 바닥면으로부터 진지 하부면의 이격 높이를 낮게 구성할 경우, 평탄하지 못한 장소에서는 진지의 하부면이 바닥에 닿거나 긁혀 진지이동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진지의 이동시에는 이동수단이 외부로 노출되고, 진지구축 후에는 이동수단이 진지의 내부로 삽입되는 출몰구조로 형성하기 위해 승강부를 구비함으로써 최적의 상태로 안전하게 진지구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는, 내측 상부에 빈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승강부는, 상기 수납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하부로 소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수납부의 승강시 바닥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의 사이에 결합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지지부의 하부에는 이동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진지를 형성하는 수납부의 내측에 승강부를 구비함으로써 이동수단을 출몰구조로 형성하여 진지의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진지구축 후에도 진지의 하부면을 바닥면에 밀착시킨 채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의 일실시예에 의한 승강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의 일실시예에 의한 승강보조가이드수단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납부가 바닥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내부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납부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내부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의 일실시예에 의해 진지로 구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폐부재의 구성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은 이동수단이 구비된 수납부(진지)의 경우 이동수단의 높이만큼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진지가 구축되므로, 총격전 등이 발생하는 상황 하에서는 사용자의 발이 안전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의 일실시예에 의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내측 상부에 빈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100); 및 수납부(100)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어 수납부(100)를 승강시키는 승강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납부(100)는 전시(戰時)에 모래나 흙 등을 넣어 진지로 사용하는 것으로, 수납부(100)의 형태, 형상 및 크기 등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납부(100)는 상부가 개구되며, 개구된 상부를 개폐시키는 개폐부재(110)가 구비되며, 측면에는 수납부(00)의 이동시 파지를 용이하게 하도록 손잡이(130)가 구성된 형태로 제작된다.
따라서, 개폐부재(110)를 개방한 상태에서 수납부(100)의 내부로 모래나 흙 등을 넣어 사용한다.
또한, 수납부(100)는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 등록된 등록번호 제20-0461004호 및 등록번호 제10-1338121호에 소개된 수납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진지 구축을 위해 사용되는 수납부(100)의 형태는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열거한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개폐부재(110)의 개폐높이는 수납부(100)의 상단부에만 결합되는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미도시 하였으나, 수납부(100)의 내부로 다수 개의 결합턱(미도시)을 구성하여 수납부(100)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결합위치를 조절하여 개폐부재(110)를 위치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수납부(100)에는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승강부(200)를 작동시키기 위해 개방되는 개방부(120)가 구비된다.
개방부(120)는 승강부(200)를 작동시키기 위해 구성하는 것으로, 승강부(200)의 위치에 대응시켜 형성한다.
또한, 개방부(120)는 탈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사용 및 보관상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을 형성한 뒤 형성된 홀에 고무 등을 부착하고, 부착된 고무의 중심에 직선상의 절개부를 구성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승강부(200)를 사용시 절개부를 양쪽으로 벌려 승강부(200)를 작동시키며, 평시에는 고무의 탄성에 의해 절개부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수납부(100)의 상부면과 전후좌우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검문중' , '일단정지' 등과 같은 안내표지판을 삽입 및 분리할 수 있는 안내표지판삽입부(140)가 구비된다.
안내표지판삽입부(140)는 상부나 측면을 통해 안내표지판을 삽입 및 분리할 수 있는 홈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상에는 안내표지판삽입부(140)를 개방부(120)가 형성된 면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개방부(120)는 사용자가 위치한 곳이 되므로, 반대면과 좌우측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상에는 일실시예에 의해 수납부(100)의 한 면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며, 안내표지판삽입부(140)는 편의상 도 1에만 도시하였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의 일실시예에 의한 승강부(200)의 승강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의 일실시예에 의한 승강보조가이드수단(240)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납부(100)가 바닥에 지지된 상태를 나타낸 내부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의 일실시예에 의한 수납부(100)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내부상태도이다.
승강부(200)는 수납부(100)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210); 제1지지부(210)로부터 하부로 소정 간격 이격되며, 수납부(100)의 상승시 바닥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220); 및 제1지지부(210)와 제2지지부(220)의 사이에 결합되는 승강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지지부(210)는 수납부(100)의 내측에 결합되어, 자세히 도시하진 않았으나, 수납부(100) 내측의 중앙 바닥면 상부에 접면되어 수납부(100) 전체를 지지한다.
제1지지부(210)는 도면상에는 프레임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수납부(100)의 내측 하부에 위치되어 수납부(100)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그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제2지지부(220)도 프레임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이동수단(260)이 하부에 결합되어 승강부재(230)의 작동시 바닥면에 맞닿아 제1지지부(210)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그 형상을 한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수단(260)은 방향전환이 용이하도록 모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거나, 한 쪽은 회전하고 다른 한 쪽은 고정되어 회전하는 한 쪽에 의해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동수단(260)의 방향전환을 위한 결합 방법이나 결합 위치 등은 전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승강부재(230)는 유압실린더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압실린더의 작동상태는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유압실린더의 하단부는 제2지지부(220)의 상부에 고정결합되며, 유압실린더의 상단부는 제1지지부(210)의 중앙 하단부에 고정 또는 비고정방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압실린더의 비작동(하강) 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00)의 하단 테두리부가 바닥면에 접면되어 지지된다.(이동수단도 함께 바닥면에 접면될 수 있음)
또한, 유압실린더의 작동(상승) 상태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00)의 하단 테두리부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이동수단(260)만이 바닥면에 접면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수납부(100)의 이동시에는 유압실린더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수행하며, 진지를 구축하고 수납부(100)를 바닥에 고정할 경우에는 유압실린더를 하강시킨다.
한편, 승강부(200)를 구성하게 되면 진지 구축시 승강부(200)의 높이만큼 수납부(100)의 하부는 빈 공간 상태로 유지되므로, 총격전 등과 같은 긴급 상황시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승강부(200)의 전후좌우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강판(270)을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강판(270)의 위치는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해 구성한 개방부(120)의 반대편에 구성하는 것이 좋다.
강판(270)은 승강부 이외에도 수납부(100) 자체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화단형 진지의 이동시 이동의 편의성을 위해 무게 등을 함께 고려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납부(100) 및 승강부(200)는 상호간에 결합일체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결합분리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수납부(100) 및 승강부(200) 상호간을 체결수단(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으며, 수납부(100)가 승강부(200)에 단순 거치되는 형태로 상호간에 분리가능하게 제작할 수도 있다.
제1지지부(210) 및 제2지지부(220) 사이에는, 승강부재(230)의 작동시 제1지지부(210) 및 제2지지부(220)가 상호 간에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근접 및 이격되도록 가이드하는 승강보조가이드수단(240)이 더 구비된다.
승강보조가이드수단(240)은 제1지지부(210)에 승강방향으로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승강가이드샤프트(241); 및 제2지지부(220)에 결합되며, 승강가이드샤프트(241)를 따라 이동하는 수평유지가이드부재(2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유지가이드부재(242)는 내측에 베어링(243)이 형성되어, 승강가이드샤프트(241)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베어링(243)은 승강가이드샤프트(241)를 따라 수평유지가이드부재(242)가 승강시 원활하게 승강되도록 보조하한다.
또한, 수평유지가이드부재(242)는 제1지지부(210)의 모서리부 4곳에 위치한 승강가이드샤프트(241)에 동시에 체결되어 승강되므로 제1지지부(210)의 승강시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승강되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승강가이드샤프트(241)는 하나로도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승강가이드샤프트(241)는 제1지지부(210) 및 제2지지부(220)의 수평상태가 유지되면서 승강되도록 무게를 고려하여 그 크기 및 두께 등을 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부(210) 및 제2지지부(220)의 모서리부 4곳에 구성하는 것이 부피 및 무게 등을 경감시킬 수 있다.
한편, 제1지지부(210) 및 제2지지부(220)의 근접상태유지를 보조하는 탄성매체(250)가 더 구비된다.
탄성매체(250)로 스프링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2지지부(220)가 하부로 쳐지지 않도록 지지해준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의 일실시예에 의해 진지로 구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수납부(100)의 상부에 형성된 개폐부재(110)는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으로, 평시에 조화 등으로 구성된 면을 상부에 드러나도록 결합함으로써 수납부(100)를 도로의 화단 등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시에는 총구거치대 등이 형성된 반대 면을 상부에 드러나도록 결합하여 수납부를 진지로 사용할 수 있다.
수납부(100)의 크기나 길이 등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진지로 구축하여 사용시 수납부(100)의 내부에 모래나 흙 등을 채워 넣는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개폐부재(110)의 구성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개폐부재(110)는 수납부(100) 내부의 빈 수납공간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것으로, 수납부(100)의 상부면과 전후좌우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개폐부재(110)는, 상부면에 형성된 개폐부재(110)와 같이 수납부(100) 몸체와 분리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전후좌우면에 형성된 개폐부재(110)와 같이 경첩에 의해 회동되어 수납부(100) 내부의 빈 공간을 개폐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개폐형태를 접목시킬 수도 있으며, 복수 개의 개폐형태를 함께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폐쇄시 고리에 의해 폐쇄된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개방 및 폐쇄를 위한 구성은 전술한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접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수납부(100)의 전후좌우측면에 개폐부재(110)를 형성할 경우 개폐부재(110)에 형성된 손잡이(130)는 개폐부재(110)의 개방 및 폐쇄시에 사용함과 동시에 화단형 진지(100, 200)를 이동시킬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화단형 진지(100, 200)의 이동시에는 개폐부재(110)의 내구성을 위해, 미도시 하였으나 수납부(100)의 다른 부위에 손잡이(130)를 별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납부(100) 및 승강부(200)의 구성 비율은 도면상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한 진지구축 상태를 일실시예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압실린더를 승강시켜 이동수단(260)만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한다.
2) 진지를 구축하기 위해 화단형 진지(100, 200)를 진지 구축 장소로 이동시킨다.
3) 원하는 형태의 진지형상으로 위치시킨 후 유압실린더를 하강시켜 수납부(100)의 하단 테두리부가 바닥면에 접면되도록 구성한다.
4) 개폐부재(110)를 개방 후 모래나 흙 등을 채운다.
5) 개폐부재(110)를 폐쇄 후 진지로 사용한다.
6) 상기 4)의 과정은 화단형 진지(100, 200)를 이동시키기 전에도 수행할 수 있다.
100 : 수납부
110 : 개폐부재 120 : 개방부
130 : 손잡이 140 : 안내표지판삽입부
200 : 승강부
210 : 제1지지부 220 : 제2지지부
230 : 승강부재 240 : 승강보조가이드수단
241 : 승강가이드샤프트 242 : 수평유지가이드부재
243 : 베어링 250 : 탄성매체
260 : 이동수단 270 : 강판

Claims (14)

  1. 내측 상부에 빈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수납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하부로 소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수납부의 상승시 바닥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의 사이에 결합되는 승강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와 상기 제2지지부의 근접상태유지를 보조하는 탄성매체;를 포함하는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는,
    상부면과 전후좌우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상기 빈 수납공간을 개방 및 폐쇄시키는 개폐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부면에 형성된 상기 개폐부재의 개폐높이는 상기 수납부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는,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상기 승강부를 작동시키기 위해 개방되는 개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의 전후좌우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강판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상부면과 전후좌우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안내표지판을 삽입 및 분리할 수 있는 안내표지판삽입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의 하부에는 이동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 사이에는,
    상기 승강부재의 작동시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가 상호 간에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근접 및 이격되도록 가이드하는 승강보조가이드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보조가이드수단은,
    상기 제1지지부에 승강방향으로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승강가이드샤프트; 및
    상기 제2지지부에 결합되며, 상기 승강가이드샤프트를 따라 이동하는 수평유지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유지가이드부재는,
    내측에 베어링이 형성되어, 상기 승강가이드샤프트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
  13. 삭제
  14. 제1항 및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의 하부에는 이동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
KR1020140187025A 2014-12-23 2014-12-23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 KR101545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025A KR101545474B1 (ko) 2014-12-23 2014-12-23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025A KR101545474B1 (ko) 2014-12-23 2014-12-23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474B1 true KR101545474B1 (ko) 2015-08-19

Family

ID=54061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025A KR101545474B1 (ko) 2014-12-23 2014-12-23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4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960B1 (ko) * 2016-10-11 2017-03-24 안경순 이중 구조를 갖는 화단형 진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004Y1 (ko) * 2011-12-08 2012-06-21 해천이엔씨(주) 화단기능이 구비된 도로가각 진지
KR101309246B1 (ko) * 2011-08-22 2013-09-16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이동이 가능한 화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246B1 (ko) * 2011-08-22 2013-09-16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이동이 가능한 화단
KR200461004Y1 (ko) * 2011-12-08 2012-06-21 해천이엔씨(주) 화단기능이 구비된 도로가각 진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960B1 (ko) * 2016-10-11 2017-03-24 안경순 이중 구조를 갖는 화단형 진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07070B1 (en) Apparatus for self-levelling storing a plurality of objects such as trays
WO2007081361A3 (en) Lifting bag device
US7900327B2 (en) Broken heart shaped vault
DK200900065A (en) Improved sow chute and hoist
ITPD20080124A1 (it) Colombario funebre, particolarmente per l'alloggiamento di urne cinerarie
KR20120108077A (ko)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
KR101545474B1 (ko) 승강수단이 구비된 화단형 진지
US9862324B2 (en) Driver lift device
CN105102740A (zh) 用于水疗缸的盖组件
ES2618731T3 (es) Conjunto que forma una rampa de acceso para personas con movilidad reducida y vehículo así equipado
KR101832620B1 (ko) 접철식 캠핑용 그릴
CN103946144A (zh) 用于处理下水道井盖的工具
US20140345039A1 (en) Collapsible toilet enclosure
KR101683245B1 (ko) 교육용 완강기 체험장치
KR102022499B1 (ko) 안전 슬라이드 개폐구조를 갖는 납골묘
CN110754842A (zh) 一种用于地震自救的高强稳定型救生床
CN211131589U (zh) 牵引架配重装置
CN210831193U (zh) 一种语文课堂朗诵用可移动式显示屏
JP3197296U (ja) 介護用リフト装置
US8201805B1 (en) Hydraulic jack apparatus
RU2633695C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электронного моби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электронное моб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умка для электронного моби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CN215993395U (zh) 一种医美用床
CN104305775B (zh) 一种用于流动展示的展台展箱一体化结构
CN210009596U (zh) 一种部队训练用移动障碍
CN216275837U (zh) 一种市政道路用井盖提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