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6296B1 -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 - Google Patents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6296B1
KR102406296B1 KR1020210100248A KR20210100248A KR102406296B1 KR 102406296 B1 KR102406296 B1 KR 102406296B1 KR 1020210100248 A KR1020210100248 A KR 1020210100248A KR 20210100248 A KR20210100248 A KR 20210100248A KR 102406296 B1 KR102406296 B1 KR 102406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louver
tilting
brack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해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정
Priority to KR1020210100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2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 E04F10/1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collapsible or extensible; metallic Florentine blinds; awnings with movable parts such as louv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양단에 걸림고리(211,212)가 형성되고 중앙에 회전중심공(213)이 형성된 다수 개의 루버(210)와 중앙에 결합공(221)이 형성되어 회전샤프트(240)를 이용하여 상기 루버(210)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공(221)의 양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링크공(223)이 형성된 다수 개의 틸팅브라켓(220)과 일단이 상기 틸팅브라켓(220)의 링크공(22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다른 루버(210)에 결합된 틸팅브라켓의 링크공(22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브라켓(2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천정부의 개폐 및 개방을 위한 루버의 슬라이딩이 용이하며 견고한 링크를 이용하여 내구성이 우수하며 사용상의 안정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Link-type awning system capable of tilting and opening and closing}
본 발명은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페 등 실외공간에 설치되어 햇빛을 가리고 그늘을 제공할 수 있는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어닝 시스템은 실외공간에 설치되어 비나 눈이 올 경우 활용하지 못하는 외부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 평범한 일상의 공간을 조금 더 특별한 공간으로 만들어주는 시스템이며, 태양 빛을 차단하여 그늘막으로 사용할 수 있어 공간 활용성을 높인다.
어닝 시스템은 카페, 타운하우스, 전원주택 또는 고급상업시설, 호텔, 펜션 등의 테라스에 적용되어 햇빛을 가리는 차양목적뿐 아니라 실용성과 인테리어효과를 동시에 접목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여행 캠핑 등 아웃도어 라이프를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실외공간 조성에 관심이 커지고 있고, 이런 시류에 맞추어 어닝 시스템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609977호(2016.03.31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천정부 개폐와 틸팅이 용이하고 사용상의 안정성이 높으며 견고하고 안전한 실외공간을 만들 수 있는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은 양단에 걸림고리가 형성되고 중앙에 회전중심공이 형성된 다수 개의 루버; 중앙에 결합공이 형성되어 회전샤트프를 이용하여 상기 루버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공의 양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링크공이 형성된 다수 개의 틸팅브라켓; 및 일단이 상기 틸팅브라켓의 링크공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다른 루버에 결합된 틸팅브라켓의 링크공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브라켓; 을 포함한다.
상기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은, 어닝의 천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다수 개의 루버가 회전하여 상기 천정부를 틸팅할 수 있고, 상기 다수 개의 루버가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틸팅브라켓과 함께 후방으로 슬라이딩 동작하여 상기 천정부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링크브라켓은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과 타단 중 하나는 원형의 회전공이 형성될 수 있고, 나머지 하나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회전장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링크브라켓의 회전공과 상기 틸팅브라켓의 링크공을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고, 상기 링크브라켓의 회전장공과 다른 틸팅브라켓의 링크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링크핀; 및 상기 틸팅브라켓의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루버의 회전중심공에 결합되는 회전샤프트;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틸팅브라켓의 결합공은 마름모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회전샤프트는 상기 틸팅브라켓의 마름모 형상에 대응되는 마름모 형상을 구비하는 고정축부; 및 상기 고정축부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단부가 상기 루버의 회전중심공에 결합되는 회전축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샤프트의 회전축부의 단부와 상기 루버의 회전중심공은 원의 일부를 자른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루버의 회전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루버를 회전시키는 틸팅모터; 최전방의 회전샤프트와 연결되는 슬라이드블록; 상기 슬라이드블록이 결합되어 이동 가능하게 된 TM 스크류; 상기 TM 스크류의 양 끝단에 위치하며 최후방 루버를 제외한 모든 루버의 이동이 끝나게 되는 시점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밋스위치; 상기 리밋스위치의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TM 스크류의 동작을 제어하고, 외부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틸팅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루버는 양단의 걸림고리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고 있어 다른 루버와 걸어지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차폐된 천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루버가 90도 회전하여 세워지면 틸팅된 천정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루버 간을 틸팅브라켓과 링크브라켓으로 연결하여 바이너리 링크를 형성하므로 천정부 개폐와 틸팅이 용이하고 사용상의 안정성이 높으며 견고하고 안전한 실외공간을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틸팅모터의 동작에 의해 루버가 회전력을 받을 때 링크브라켓이 틸팅브라켓을 회전시킴에 의해 연결된 다음 루버로 힘을 전달하므로 천정부가 틸팅 또는 펼쳐지기 보다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이 적용된 어닝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로,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이 적용된 어닝의 천정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도 2를 A 방향에서 본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이 적용된 위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 및 이의 동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부품들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루버와 틸팅브라켓, 회전샤프트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루버와 틸팅브라켓, 회전샤프트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의 틸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의 슬라이딩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이 적용된 어닝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로,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이 적용된 어닝의 천정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어닝(10)은 지지프레임(100)과 천정부(200)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00)은 천정부(200)를 지지하는 기둥 역할하며, 천정부(200)에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200-1)이 적용된다. 지지프레임(100)은 지면에 지지되는 4개의 수직프레임(110)과 4개의 수직프레임(110)을 연결하여 천정부(200)의 사각 형상 뼈대를 형성하는 가로프레임(120) 및 세로프레임(130)을 포함한다.
천정부(200)는 다수 개의 루버(210)가 펼쳐져 차폐하고, 다수 개의 루버(210)가 회전하여 틸팅하며, 다수 개의 루버(210)가 회전한 상태에서 틸팅브라켓과 함께 후방으로 슬라이딩 동작하여 개방한다. 도 1 및 도 2는 다수 개의 루버(210)가 펼쳐져 천정부(200)를 차폐한 상태이고, 천정부(200)를 틸팅 및 개방한 상태는 도 11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어닝(10)은 기존 건물들과 맞닿게 설치할 수도 있고 독자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어닝(10)은 테라스, 발코니, 수영장 등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기존 건물들과 조화롭게 어우러져 한층 고급스럽고 안전한 실내공간을 만들 수 있다.
도 3은 도 2를 A 방향에서 본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이 적용된 위치를 보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 및 이의 동작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부품들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200-1)(이하, 어닝 시스템)은 루버(210), 틸팅브라켓(220) 및 링크브라켓(230)을 포함한다. 루버(210)는 실질적으로 천정부(200)를 형성하여 차폐, 틸팅 및 개방하는 부품이다. 루버(210)는 서로 이격된 두 개의 세로프레임(130)의 사이에 배치되고, 틸팅브라켓(220)과 링크브라켓(230)은 루버(210)의 양측에 결합되고 세로프레임(130) 내에 배치되며, 루버(210)의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게 하여 천정부(200)의 차폐 및 개방이 가능하게 한다.
세로프레임(130)의 전방과 후방에는 전방 고정고리(310)와 후방 고정고리(320)가 각각 구비되어 루버(210)가 펼쳐진 상태에서 최전방의 루버(210)와 최후방의 루버(210)가 각각 걸어져 고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어닝시스템(200-1)은 루버(210), 틸팅브라켓(220) 및 링크브라켓(230)을 포함하며, 루버(210)에 틸팅브라켓(220)을 고정하고, 틸팅브라켓(220)의 양단에 링크브라켓(230)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여 루버(210)의 틸팅브라켓(220)과 다른 루버(210')의 틸팅브라켓(220)을 서로 연속하여 연결한 구조로 된다.
루버(210)는 양단에 걸림고리(211,212)가 형성되고 중앙에 회전중심공(213)이 형성된 단면 형상을 갖는다. 양단의 걸림고리(211,212)는 단부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고 있어 다른 루버(210)와 걸어지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루버(210)와 다른 루버(210')가 서로 걸어지는 방식으로 연결되면, 루버(210)가 펼쳐져 천정부(200)가 차폐된다.
틸팅브라켓(220)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루버(210)와 연결을 위한 결합공(221)이 형성된다. 틸팅브라켓(220)은 중앙이 다각형 형상으로 되고, 그 양단은 사각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형상을 갖는다. 틸팅브라켓(220)의 중앙의 다각형 형상 플레이트 부분에 결합공(221)이 형성되고 결합공(221)의 양측의 사각 형상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링크공(223)이 형성된다. 틸팅브라켓(220)의 형상은 천정부(200)의 개방시 서로 간섭없이 밀착되어 천정부(200)의 개방을 용이하게 한다. 실시예에서 링크공(223)은 결합공(221)의 양측으로 각각 5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링크공(223)은 틸팅브라켓(220)과 틸팅브라켓(220')을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틸팅브라켓(220)은 회전샤프트(240)를 이용하여 루버(210)에 결합된다. 회전샤프트(240)는 틸팅브라켓(220)의 결합공(221)을 관통하여 루버(210)의 회전중심공(213)에 결합된다. 루버(210)의 회전중심공(213)과 틸팅브라켓(220)의 결합공(221)에 회전샤프트(240)를 결합하여 루버(210)와 틸팅브라켓(220)의 중심을 연결할 수 있다. 틸팅브라켓(220)의 결합공(221)은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회전샤프트(240)의 고정축부(243)와 접촉되고 고정축부(243)의 내부에 위치한 회전축부(241)와는 접촉되지 않는다. 이는 회전샤프트(240)의 회전에 대해 틸팅브라켓(220)은 회전하지 않고 루버(210)만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틸팅브라켓(220)은 지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설치된다. 이는 천정부(200)의 개방시 틸팅브라켓(220)과 링크브라켓(230)이 최대한 밀착 배치되어 천정부(200)의 개방이 최대가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틸팅브라켓(220)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면 틸팅브라켓(220)과 틸팅브라켓(220)을 연결하는 링크브라켓(230)을 최대로 밀착시키기 어려워 천정부(200)를 최대로 개방하기 어렵다. 실시예에서 틸팅브라켓(220)은 지면에 대해 45도의 각도로 배치된다. 그리고 루버(210)는 지면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고,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지면 틸팅된 상태가 되며, 루버(210)가 틸팅된 상태에서 일방향 즉, 후방으로 슬라이딩 동작시켜 천정부(200)를 개방할 수 있다.
링크브라켓(230)은 바 형상으로 형성된다. 링크브라켓(230)은 일단과 타단 중 하나는 원형의 회전공(231)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회전장공(233)이 형성된다. 즉, 링크브라켓(230)은 하나의 구멍과 다른 하나의 긴 홈을 가진 형태로 제작된다. 링크브라켓(230)은 회전공(231)을 통해 다른 틸팅브라켓(220)을 잡아당겨 슬라이딩 동작시키고 회전장공(233)을 통해 틸팅브라켓(220)들이 일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밀착 가능하게 한다.
회전샤프트(240)는 틸팅브라켓(220)의 결합공(221)을 관통하여 단부가 루버(210)의 회전중심공(213)에 결합된다. 회전샤프트(240)는 고정축부(243)와 회전축부(241)와 고정링부(245)를 포함한다. 고정축부(243)는 틸팅브라켓(220)의 마름모 형상의 결합공(221)에 대응되는 마름모 형상을 구비한다. 회전축부(241)는 고정축부(243)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고정축부(243)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다. 회전축부(241)의 단부는 루버(210)의 회전중심공(213)에 결합된다.
회전샤프트(240)의 고정축부(243)는 세로프레임(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하기 위한 요입홈(243a)을 포함한다. 요입홈(243a)은 세로프레임(130)에 형성된 레일부(미도시)에 안착되어 회전샤프트(240)가 레일부를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회전샤프트(240)는 루버(210)를 회전시키나, 틸팅브라켓(220)은 회전시키지 않고 틸팅브라켓(220)을 루버(210)와 결합시키는 역할만 한다. 즉, 틸팅브라켓(220)과 회전샤프트(240)는 루버(2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회전샤프트(240)는 루버(210)를 틸팅시키는 역할을 한다.
링크브라켓(230)은 틸팅브라켓(220)과틸팅브라켓(220)을 서로 링크 연결하되, 다른 링크브라켓(230)과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링크브라켓(230)은 틸팅브라켓(220)의 가장바깥쪽의 링크공(223)에 각각 링크브라켓(230)을 링크핀(250)을 연결하면, 그 다음의 틸팅브라켓(220)와는 가장바깥쪽에서 두번째 위치한 링크공(223)에 각각 링크핀(250)을 체결하여 링크브라켓(230)을 연결한다. 그리고 그 다음 연결되는 틸팅브라켓(220)와는 가장바깥쪽에서 세번째 위치한 링크공(223)에 각각 링크핀(250)을 체결하여 링크브라켓(230)을 연결한다. 그리고 그 다음은 가장바깥쪽에서 네번째, 다섯번째에 위치한 링크공(223)에 순차적으로 링크핀(250)을 체결하여 링크브라켓(230)을 연결한다. 그리고 다음에는 다시 가장 바깥쪽에 있는 링크공(223)에 각각 링크핀(250)을 체결하여 링크브라켓(230)을 연결한다. 이와 같은 순서로 링크공(223)에 링크핀(250)을 체결하여 링크브라켓(230)을 연결하면 틸팅브라켓들을 연결하는 링크브라켓(230)들이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어닝시스템(200-1)은 틸팅모터(410), 슬라이드블록(420), TM 스크류(430), 리밋스위치(450) 및 제어부(460)를 더 포함한다.
루버(210)에 틸팅모터(410)가 결합되어 루버(210)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루버(210)는 틸팅모터(410)의 동작에 의해 회전력을 받을 때 연결된 다음 루버(210)로 힘을 전달하여 펼쳐지게 되는 구조로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틸팅모터(410)는 다수 개의 루버(210) 중 하나 이상의 회전샤프트(240)에 결합되어 루버(210)를 회전시킨다. 일 예로, 틸팅모터(410)는 최전방에 위치한 루버(210)의 회전샤프트(240)와 최후방에 위치한 루버(210)의 회전샤프트(240)에 각각 결합되어 최전방에 위치한 루버(210)와 최후방에 위치한 루버(2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슬라이드블록(420)은 최전방에 위치한 루버(210)의 회전샤프트(240)와 연결될 수 있다. 슬라이드블록(420)은 루버(210)를 최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TM 스크류(430)는 슬라이드블록(420)이 결합되어 이동 가능하다. TM 스크류(430)는 양측 세로프레임(13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슬라이드블록(420)이 TM 스크류(43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리밋스위치(450)는 TM 스크류(430)의 양 끝단에 위치하며 최후방 루버(210)를 제외한 모든 루버(210)의 이동이 끝나게 되는 시점의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460)는 리밋스위치(450)의 신호를 전송받아 TM 스크류(430)의 동작을 제어하고, 외부 신호를 전송받아 틸팅모터(4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460)는 제어회로와 수신부를 포함하여 리모컨 등을 이용하여 틸팅, 차폐, 개방 등의 신호가 입력되면 틸팅모터(410)의 동작, TM 스크류(430)의 동작 등을 제어한다. 즉, 제어부(460)는 리모컨 신호를 수신받아 틸팅모터(410)와 TM 스크류(43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루버와 틸팅브라켓, 회전샤프트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루버와 틸팅브라켓, 회전샤프트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틸팅브라켓(220)의 결합공(221)은 마름모 형상이고, 회전샤프트(240)의 고정축부(243)는 틸팅브라켓(220)의 마름모 형상에 대응되는 마름모 형상 부분(243b)을 구비한다. 고정축부(243)의 마름모 형상 부분(243b)이 틸팅브라켓(220)의 마름모 형상 결합공(221)에 끼움 결합된다.
회전샤프트(240)의 회전축부(241)는 고정축부(243)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고정축부(243)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며 단부가 루버(210)의 회전중심공(213)에 결합된다. 회전샤프트(240)의 회전축부(241)의 단부와 루버(210)의 회전중심공(213)은 원의 일부를 자른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축부(241)의 회전에 루버(210)의 회전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회전샤프트(240)는 선단에는 고정링부(245)가 결합되어 회전샤프트(240)가 루버(210)와 틸팅브라켓(220)에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루버(210)의 양단 걸림고리(211,212)에는 단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완충부재(215)가 구비된다. 완충부재(215)는 루버(210)와 다른 루버(210')가 서로 걸어지는 방식으로 연결될 때 서로 맞닿는 부분의 완충 기능과 틈새를 막는 역할을 한다. 루버(210)가 펼쳐져 천정부(200)가 차폐된 상태에서, 완충부재(215)가 루버(210) 간의 사이 틈새를 막으면 루버(210)와 루버(210)가 연결되는 부분을 통해 비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부재(215)는 루버(210)와 다른 루버(210')가 서로 걸어지는 방식으로 연결될 때 서로 맞닿는 부분의 완충 기능과 틈새를 막는 역할을 하는 것은 도 4의 확대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의 틸팅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어닝시스템(200-1)을 구성하는 다수 개의 루버(210)는 양단의 걸림고리(211,212)가 서로 걸어지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닫혀진 천정부(200)를 형성한다.
이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닝시스템(200-1)은 루버(210)를 회전시켜 천정부(200)를 틸팅시킬 수 있다. 틸팅은 루버(210)가 천정부(200)를 덮는 형태로 위치하나 천정의 부분 부분은 개방한 상태이다. 틸팅 상태에서는 햇볕을 차단하나 천정으로 바람이 통하여 개방감을 줄 수 있다.
루버(210)의 회전시 틸팅브라켓(220)은 회전하지 않는다.
루버(210)는 틸팅모터(410)의 동작에 의해 회전력을 받을 때 연결된 다음 루버(210)로 힘을 전달하여 펼쳐지게 된다. 이를 위해, 회전샤프트(240)의 회전축부(241) 중 적어도 한 부분의 외주면은 기어형상으로 형성되고, 기어형상 외주면이 세로프레임(130) 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회전력전달기어(350)와 맞물릴 수 있다. 이는 틸팅모터(410)의 동작에 의해 회전샤프트(240)의 회전축부(241)가 회전할 때 다른 회전샤프트(240)의 회전축부(241)도 회전력전달기어(35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방식일 수 있다. 즉, 회전축부(241)의 외주면 기어형상과 일자형상의 회전력전달기어(350)는 렉기어와 피니언기어의 조합과 동일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회전력전달기어(350)는 루버(210)의 슬라이딩 동작시에는 하부로 이동하여 회전축부(241)와 맞물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루버(210)는 90도 회전하여 세워진 상태가 된다. 루버(210)가 회전하여 세워진 상태가 되면, 루버(210)와 루버(210)가 서로 걸어진 상태가 해제되고, 최전방의 루버(210)도 전방 고정고리(310)에 걸어진 상태가 해제되어 루버(210)는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어닝시스템(200-1)의 슬라이딩 동작은 루버(210)들이 90도로 세워진 틸팅 상태에서, 최전방의 회전샤프트(240)와 연결된 슬라이드블록(420)을 TM 스크류(430)를 따라 최후방측으로 이동시켜 수행된다.
최전방의 회전샤프트(240)가 후방측으로 이동하면 회전샤프트(240)에 결합된 틸팅브라켓(220)과 루버(210)도 함께 이동하며, 이 과정에서 틸팅브라켓(220)의 링크공(223)과 링크브라켓(230)의 회전장공(233)을 연결한 링크핀(250)이 회전장공(233)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동한다. 링크핀(250)이 회전장공(233)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이동하면 이동한 틸팅브라켓(220)이 연속하여 배치된 다음 틸팅브라켓(220)을 밀게되므로 전술한 방식과 동일하게 다음 틸팅브라켓(220)을 밀게되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루버(210)들이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루버(210)가 후방측으로 슬라이딩이 완료된 상태에서 틸팅브라켓(220)들은 서로 밀착된 상태가 되고, 링크브라켓(230)은 링크공(223)에 결합된 위치로 인해 서로 간섭하지 않으며, 회전장공(233)에 의해 틸팅브라켓(220)들이 서로 밀착될 수 있는 이동거리를 제공한다.
10: 어닝 100: 지지프레임
110: 수직프레임 120: 가로프레임
130: 세로프레임 200: 천정부
210: 루버 210': 다른 루버
211,212: 걸림고리 213: 회전중심공
215: 완충부재 220: 틸팅브라켓
221: 결합공 223: 링크공
230: 링크브라켓 231: 회전공
233: 회전장공 240: 회전샤프트
241: 회전축부 243: 고정축부
245: 고정링부 250: 링크핀
310: 전방 고정고리 320: 후방 고정고리
350: 회전력전달기어 410: 틸팅모터
430: TM스크류 450: 리밋스위치

Claims (2)

  1.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에 있어서,
    양단에 걸림고리가 형성되고 중앙에 회전중심공이 형성된 다수 개의 루버;
    중앙에 결합공이 형성되어 회전샤트프를 이용하여 상기 루버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공의 양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링크공이 형성된 다수 개의 틸팅브라켓; 및
    일단이 상기 틸팅브라켓의 링크공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다른 루버에 결합된 틸팅브라켓의 링크공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브라켓; 을 포함하며,
    어닝의 천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다수 개의 루버가 회전하여 상기 천정부를 틸팅하고, 상기 다수 개의 루버가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틸팅브라켓과 함께 후방으로 슬라이딩 동작하여 상기 천정부를 개방하며,
    상기 링크브라켓은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과 타단 중 하나는 원형의 회전공이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회전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링크브라켓의 회전공과 상기 틸팅브라켓의 링크공을 관통하여 체결되고, 상기 링크브라켓의 회전장공과 다른 틸팅브라켓의 링크공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링크핀; 및
    상기 틸팅브라켓의 결합공을 관통하여 상기 루버의 회전중심공에 결합되는 회전샤프트;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틸팅브라켓의 결합공은 마름모 형상이고,
    상기 회전샤프트는
    상기 틸팅브라켓의 마름모 형상에 대응되는 마름모 형상을 구비하는 고정축부; 및
    상기 고정축부를 관통하여 배치되고 단부가 상기 루버의 회전중심공에 결합되는 회전축부;
    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샤프트의 회전축부의 단부와 상기 루버의 회전중심공은 원의 일부를 자른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루버의 회전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루버를 회전시키는 틸팅모터;
    최전방의 회전샤프트와 연결되는 슬라이드블록;
    상기 슬라이드블록이 결합되어 이동 가능하게 된 TM 스크류;
    상기 TM 스크류의 양 끝단에 위치하며 최후방 루버를 제외한 모든 루버의 이동이 끝나게 되는 시점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리밋스위치;
    상기 리밋스위치의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TM 스크류의 동작을 제어하고, 외부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틸팅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루버는 양단의 걸림고리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고 있어 다른 루버와 걸어지는 방식으로 연결되어 차폐된 천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루버가 90도 회전하여 세워지면 틸팅된 천정부를 형성하는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
  2. 삭제
KR1020210100248A 2021-03-24 2021-07-29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 KR102406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248A KR102406296B1 (ko) 2021-03-24 2021-07-29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685 2021-03-24
KR1020210100248A KR102406296B1 (ko) 2021-03-24 2021-07-29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685 Division 2021-03-24 2021-03-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296B1 true KR102406296B1 (ko) 2022-06-08

Family

ID=81981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248A KR102406296B1 (ko) 2021-03-24 2021-07-29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2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7018A1 (zh) * 2022-08-18 2024-02-22 浙江永强集团股份有限公司 同步转动伸缩式百叶顶帐篷及伺服电动驱动开合的帐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9776A (ja) * 2003-11-07 2005-06-02 Okayama Building Sash Kogyo Kk サッシ室内側の可動面格子
EP2730714A1 (en) * 2012-11-09 2014-05-14 Frigerio Tende Da Sole S.r.l. Swinging blade covering structure
KR101609977B1 (ko) 2015-02-26 2016-04-08 박범석 루프어닝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9776A (ja) * 2003-11-07 2005-06-02 Okayama Building Sash Kogyo Kk サッシ室内側の可動面格子
EP2730714A1 (en) * 2012-11-09 2014-05-14 Frigerio Tende Da Sole S.r.l. Swinging blade covering structure
KR101609977B1 (ko) 2015-02-26 2016-04-08 박범석 루프어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7018A1 (zh) * 2022-08-18 2024-02-22 浙江永强集团股份有限公司 同步转动伸缩式百叶顶帐篷及伺服电动驱动开合的帐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6296B1 (ko) 틸팅과 개폐가 가능한 링크형 어닝시스템
US20210123289A1 (en) Windows accessing more sky
US5839492A (en) Window apparatus with built in shading device
AU2006285004A1 (en) Selective tilting arrangement for a blind system for coverings for architectural openings
JP6509144B2 (ja) パーゴラ式オーニング
JP5671383B2 (ja) 採風窓
KR20130095472A (ko) 발코니 가변형 구조를 갖는 창호
KR101719543B1 (ko) 이중창호용 접이식 안전 장치
US6293330B1 (en) Universal head rail
CN102392581A (zh) 改进型推拉平开内、外旋多功能门窗
JP4814850B2 (ja) ルーバー装置および建具
KR100513230B1 (ko) 건축용 베란다 난간구조
EP2307652B1 (en) Screening device with a locking mechanism for a tilt device
KR102177082B1 (ko) 자동 슬라이드형 가변 벽체
KR20140126217A (ko) 가변창호 또는 가변벽체의 구조
JP4677321B2 (ja) 木製可動ルーバ
AU2011343291A1 (en) Mechanism for rotating the slats of a roller shutter
CN108798405B (zh) 一种多功能安全窗
KR101442124B1 (ko) 슬라이드 블럭형 발코니 블라인드
KR101852335B1 (ko) 이중창호용 접이식 안전 장치
KR101406301B1 (ko) 슬라이드 접철식 도어의 센터가이드장치
KR20230041334A (ko) 폴대 연결 조인트
KR200349174Y1 (ko) 암막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KR102504899B1 (ko) 공동주택 시공 발코니 확장구조체
KR200450917Y1 (ko) 회전주택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