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899B1 - 공동주택 시공 발코니 확장구조체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시공 발코니 확장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899B1
KR102504899B1 KR1020220166584A KR20220166584A KR102504899B1 KR 102504899 B1 KR102504899 B1 KR 102504899B1 KR 1020220166584 A KR1020220166584 A KR 1020220166584A KR 20220166584 A KR20220166584 A KR 20220166584A KR 102504899 B1 KR102504899 B1 KR 102504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plate
guide
balcony
backward
sola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6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원
Original Assignee
(주)우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우림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20166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8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03Balconies; Dec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시공 발코니 구조를 개선하여 확장플레이트를 전방측으로 확장시키거나 복귀시킴과 아울러, 확장플레이트의 전,후 이동에 따라 연계동작되는 태양광 모듈의 각도를 가변 조절할 수 있도록 시공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공동주택 시공 발코니 확장구조체{EXTENSION BALCONY STRUCTURE OF THE APARTMENT HOUSES}
본 발명은 공동주택 시공 발코니 확장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동주택 시공 발코니 구조를 개선하여 확장플레이트를 전방측으로 확장시키거나 복귀시킴과 아울러, 확장플레이트의 전,후 이동에 따라 연계동작되는 태양광 모듈의 각도를 가변 조절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공동주택 시공 발코니 확장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연립주택, 오피스텔 등과 같은 건축물은 물품의 수납 및 화초재배, 기타 실외 경치를 조망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용도 공간으로, 발코니(베란다) 등을 갖추게 되며, 이러한 발코니(베란다)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난간을 필수적 구성요소로 설치하게 된다.
이에,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발코니에 설치,이용되는 종래 난간의 통상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기초적 외관 골격구조를 이루는 직사각틀 형상의 메인프레임 내측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안전봉을 규칙적이고 반복적인 빗살형 배열구조로 직립 설치시키고; 상기 안전봉이 설치된 메인프레임을 건축물의 베란다 벽체에 앙카볼트 등을 이용, 견고히 결합 고정되게 한 구성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난간은 앙카볼트 또는 용접작업 등을 통해 설치된 완전 고정식 구조로서, 일단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는 어떠한 경우라도 임의적인 변경, 즉, 공간의 확장이나, 면적의 변형 등이 불가능한 것으로, 이에 입주자는 한정된 범위 내에서 그 이용관계를 갖 을 수밖에 없는 매우 제한적인 공간활용도 상의 문제점을 갖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또 다르게, 종래 발코니(베란다) 등은 그 사용관계에 있어, 공간 활용도상의 문제로 인하여, 입주자가 공간 및 면적의 확장을 반드시 필요로 경우에 있어서는, 그 발코니(베란다) 확장공사를 전문시공업체에 의뢰하여, 대대적인 구조변경작업을 행해야 하는 것이었던바, 따라서 이와 같은 전문시공업체를 통한 발코니(베란다) 확장공사로 인하여, 과다한 비용이 소모될 수밖에 없는 상당한 경제적 폐단의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으며, 특히, 발코니(베란다) 확장시 소요되는 장기간의 공사기간과, 그 공사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먼지 등의 발생으로 사용자는 물론 이웃 주민에게까지 상당한 피해를 주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필요에 의한 확장공사로서, 발코니(베란다) 의 면적이 확대된 경우라도, 그 확대된 면적 역시 완전한 고정식 구조로서, 확장공사가 완료된 이후에는, 어떠한 경우라도 임의적인 공간의 변형이 불가능한 것이며, 특히, 새로운 입주자 내지 건물주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는, 그 확장된 발코니(베란다)를 추가 비용을 들여 원상태로 복원시켜야하는 등, 매우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인 구조상의 문제점을 상존되게 하는 것이다.
기존 발코니 확장과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39653호 "건축물의 확장형 베란다 구조"(등록일자 : 2005.12.22)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난간을 설치할 수 있도록 일정 구간 개구부가 형성된 베란다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내면 상부에 서로 대칭되도록 설치되며, 내면 일측에 소정길이를 갖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양단부 상면에 조임나사가 볼트체결된 한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 상기 개구부의 내면 하부에 상기 제1,2 가이드프레임과 대향되게 설치되며, 하부에 받침플레이트가 형성된 한쌍의 제2 가이드프레임; 상기 한쌍의 제1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설치되며, 양단부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된 제1 프레임; 상기 한쌍의 제2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하부에 보조받침플레이트가 형성된 제2 프레임; 상기 제1,2 프레임의 상부에 힌지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옷걸이를 거치하기 위한 다수개의 걸이홈과 볼트체결구조를 갖는 화분받침대를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복수개의 연결구가 구비된 다수개의 회동바 및 상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2 프레임을 연결하기 위한 수직프레임이 설치된다.
이 경우에는 베란다의 개구부에 제1,2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제1,2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2 프레임을 설치하여, 슬라이딩 되는 제1,2 프레임을 통해 베란다의 내부공간을 확장하여 베란다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확장된 공간에 화분을 수납하고 빨래가 거치된 옷걸이를 걸어서 빨래 건조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수납기능만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태양광 모듈의 설치 기능이 마련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기존 공동주택 베란다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37262호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등록일자 : 2019.10.22)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은 화재 발생 시 다른 층의 거주공간으로 이동하지 않고 자신의 거주공간인 베란다에서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안전하게 피신할 수 있고, 베란다에 피신하는 사용자가 다수인 경우에 사용자가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을 보다 더 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대피공간 내부로 다른 층의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해서 베란다의 좌우 양측 끝에 각각 상기 난간 본체로부터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피 난간; 및 상기 대피 난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화재 발생 시에 베란다 내측으로 회전시키면 난간 본체와 간격을 유지하며 대피 공간을 형성하는 보조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난간 본체는, 상기 베란다의 전면에 세워지는 다수의 전면부 수직바 및 상기 전면부 수직바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전면부 수평바로 이루어지는 전면부 난간 본체; 및 상기 베란다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 상기 전면부 난간 본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전면부 수직바와 일정 거리를 두고 세워지는 측면부 수직바 및 상기 측면부 수직바와 상기 전면부 난간 본체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전면부 수직바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측면부 수평바에 의해 출입구를 형성하는 측면부 수평바로 이루어진 측면부 난간 본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대피 난간은, 상기 베란다의 좌우 양측 내부에 각각 횡방향을 향해 개방 형성된 발판 삽입부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요철 단면의 대피 발판; 상기 대피 발판의 가장자리에 각각 세워지는 다수의 안전 수직바; 상기 다수의 안전 수직바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안전 수평바; 상기 안전 수평바의 전방측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 난간 본체의 전면부 수평바의 내부에 출몰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전 수평연결바; 상기 안전 수평바의 후방측에 형성되며 공동주택의 벽체에 형성되는 레일에 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대피 발판의 바닥에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측면부 난간 본체와의 사이에 세워지는 방화벽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난간은, 상기 전면부 수평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대; 상기 연결대에 지지되고, 상기 전면부 난간 본체에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프레임부재; 상기 프레임부재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부재가 베란다 내측으로 회전되어 대피공간을 제공할 때에 상기 프레임부재를 따라 펼쳐지면서 화염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며, 불연성재질로 이루어지는 스크린부재를 구비한다.
그런데, 기존 안전난간은 화재 대피공간을 제공하도록 베란다의 좌,우 양측에 출몰되는 대피 발판 및 안전 수직바와 안전 수평바로 구성된 대피공간에 방화벽과 스크린부재가 화염으로부터 대피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나, 이 경우에는 화재 발생시에만 필요한 공간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활용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39653호 "건축물의 확장형 베란다 구조"(등록일자 : 2005.12.2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37262호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등록일자 : 2019.10.22)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공동주택 시공 발코니 구조를 개선하여 확장플레이트를 전방측으로 확장시키거나 복귀시킴과 아울러, 확장플레이트의 전,후 이동에 따라 연계동작되는 태양광 모듈의 각도를 가변 조절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공동주택 시공 발코니 확장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공동주택 시공 발코니 확장구조체에 있어서,
바닥 본체와, 상기 바닥 본체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안전난간으로 구성되고, 공동주택의 외측에 마련되는 발코니와;
상기 안전난간의 전면에 전방측으로 출몰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난간과;
상기 바닥 본체의 전면에 전방측으로 출몰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보조난간의 하단부가 지지되며, 실린더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는 확장플레이트와;
상기 확장플레이트에 연결수단으로 연결되어 상기 확장플레이트의 출몰동작과 연계되도록 회전 동작되며, 상기 확장플레이트의 전방 인출동작시 태양광을 수광하도록 세워지고, 상기 확장플레이트의 후방 이동시 상기 바닥 본체의 하측으로 눕혀지는 태양광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확장플레이트의 전방측 하부와 상기 태양광 모듈의 후면을 연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링크부재와, 상기 태양광 모듈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링크부재의 단부와 힌지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의 회전동작을 지지하는 회전핀과, 상기 태양광 모듈의 좌,우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핀과, 상기 바닥 본체의 좌,우 양측 하부에 배치되어서 상기 확장플레이트의 전,후진 이동시 상기 태양광 모듈의 각도 가변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핀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바닥본체와 나란한 수평안내부와, 상기 수평안내부로부터 연장되고 상방향으로 그리고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곡선안내부를 구비하는 가이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확장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바닥본체의 하면 일측에 상기 가이드부재가 회동가능하게 힌지 연결되고,
상기 바닥본체의 하면 타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부재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실린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 공동주택의 외측에 마련된 베란다 또는 발코니의 바닥 본체에 전방측으로 출몰 가능한 확장플레이트를 배치하여 필요시 확장플레이트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공간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확장플레이트의 전,후방 이동시 태양광 모듈이 연결수단으로 연동되도록 마련됨에 따라, 상기 확장플레이트의 전진 이동시 상기 태양광 모듈이 햇빛을 집광할 수 있도록 경사진 각도로 세워지게 되고, 상기 확장플레이트의 후방 이동시 상기 태양광 모듈이 확장플레이트의 하측에 눕혀지도록 배치됨에 따라, 태양광 모듈의 집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한 태양광 모듈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특히, 태양광 모듈(400)은 가이드부재(540)의 수평안내부(542a)와 곡선안내부(542b)의 형성에 의해서 각도 변위가 이루어지게 되지만, 회동실린더(550)에 의해서 가이드부재(540)를 회동시킴으로써 각도 변위를 더욱 크게하여서 태양의 경로에 따라 태양광 모듈(400)을 큰 범위로 각도 변위시켜서 집광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셋째, 태양광 모듈의 각도 변화가 실린더에 의해 전,후방 이동되는 확장플레이트에 연계동작되도록 함으로써, 부품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고장 요인을 줄일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발코니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발코니가 확장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발코니가 수축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2의 요부 확대도이다.
본 발명 실시예의 공동주택 시공 발코니 확장구조체는 발코니의 확장플레이트를 전방측으로 확장시키거나 복귀시킴과 아울러, 확장플레이트의 전,후 이동에 따라 태양광 모듈의 각도를 가변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시공 발코니 확장구조체를 설명한다.
공동주택 시공 발코니 확장구조체는 발코니(100), 확장플레이트(300), 태양광모듈(400) 및 확장프레이트(300)에 태양광모듈(400)을 연결시키는 연결수단(500)을 구비한다.
상기 발코니(100)는 바닥 본체(120)와, 상기 바닥 본체(120)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안전난간(110)으로 구성되고, 공동주택의 외측에 마련된다.
상기 안전난간(110)의 전면에는 전방측으로 출몰가능하게 보조난간(200)이 연결된다.
상기 확장플레이트(300)는 상기 바닥 본체(120)의 전면에 전방측으로 출몰가능하게 마련되고 실린더(350)에 의해 전,후로 이동된다.
상기 태양광 모듈(400)은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에 연결수단(500)으로 연결되고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의 출몰동작과 연계되어 회동되며,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의 전방 인출동작시 태양광을 수광하도록 세워지고,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의 후방 이동시 상기 바닥 본체(120)의 하측으로 눕혀지게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발코니(100)의 바닥 본체(120)는 전면이 개구되고 상기 실린더(350)와 확장플레이트(300)의 후단측 부위가 수용되는 수용부(125)가 형성된다.
상기 확장플레이트(300)는 후단측이 발코니(100)의 바닥 본체(120)의 내부에 출몰 가능하게 수용되고, 선단 측 부위가 상기 수용부(125)의 외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확장플레이트(300)는 상기 선단측 상부에 상기 보조난간(200)이 연동되도록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상기 보조난간(200)은 실린더(350)에 의한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의 전,후진 이동시 상기 안전난간(110)의 전면 방향으로 전진 또는 복귀되도록 후진동작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확장플레이트(300)는 상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화분의 하부가 각각 수용되도록 요홈 형태의 안착홈(310)이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31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의 전진 이동시 상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의 전진 이동으로 외부로 노출된 후에 화분의 하부가 수용됨에 따라 안정적으로 화분을 지지할 수 있으며, 햇빛이 잘드는 전방측으로 화분을 보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연결수단(500)은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상기 태양광 모듈(400)의 각도를 가변 조절하도록 연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연결수단(500)은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의 전방측 하부와 상기 태양광 모듈(400)의 후면을 연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링크부재(510)와, 상기 태양광 모듈(400)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링크부재(510)의 단부와 힌지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400)의 회전동작을 지지하는 회전핀(520)과, 상기 태양광 모듈(400)의 좌,우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핀(530)과, 상기 바닥 본체(120)의 좌,우 양측 하부에 배치되어서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의 전,후진 이동시 상기 태양광 모듈(400)의 각도 가변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540)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부재(540)는 상기 가이드핀(530)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바닥본체(120)와 나란한 수평안내부(542a)와, 상기 수평안내부(542a)로부터 연장되고 상방향으로 그리고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곡선안내부(542b)를 구비하는 가이드공(54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540)는 상기 바닥본체(120)의 하면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545) 연결되고, 상기 바닥본체(120)의 하면에 고정된 회동실린더(550)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회동실린더(550)는 상기 바닥본체(120)의 하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부재(54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551)로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부재(540)는 상기 힌지(545)를 중심으로 회동실린더(550)에 의해서 회동가능해진다.
상기 링크부재(510)는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의 좌,우 양측 하부면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제1연결링크(512)와, 상기 제1연결링크(512)의 타단부에 회전핀(520)으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핀(520)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링크(514)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핀(520)은 상기 태양광 모듈(400)의 후면에 브라켓으로 고정되고, 상기 링크부재(510)의 제2연결링크(514)와 연결되어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의 전,후진 이동시 상기 태양광 모듈(400)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축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태양광 모듈(400)은 상기 가이드공(542)에 결합된 가이드핀(530)의 전,후 위치에 따라 가변되는 높이 변위 및 상기 회전핀(520)의 높이 변위에 따라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의 전방 위치에 경사진 각도로 세워지거나, 상기 바닥 본체(120)의 하측으로 눕혀지도록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와 연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태양광 모듈(400)은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의 전진 이동시 상기 연결수단(500)에 의해 가이드되어 태양광을 집광할 수 있도록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의 전방으로 경사진 각도로 세워지고,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의 후진 이동시 우천시 눈이나 빗물이 닿지 않으며 먼지 등의 외부 이물질이 쌓이지 않도록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의 하측으로 눕혀지게 된다.
특히, 상기 태양광 모듈(400)은 가이드부재(540)의 수평안내부(542a)와 곡선안내부(542b)의 형성에 의해서 각도 변위가 이루어지게 되지만, 상기 회동실린더(550)에 의해서 가이드부재(540)를 회동시킴으로써 각도 변위를 더욱 크게하여서 태양의 경로에 따라 태양광 모듈(400)을 큰 범위로 각도 변위시켜서 집광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발코니(100) 확장을 위해 확장플레이트(300)를 실린더(350)로 전진동작시킬 경우, 상기 실린더(350)의 로드와 연결된 확장플레이트(300)가 수용부(125)의 전방측으로 인출되도록 이동되며,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의 전방 이동시 전면의 집광판이 태양광을 집광할 수 있는 경사진 각도로 태양광 모듈(400)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태양광 모듈(40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에 돌출된 가이드핀(530)이 상기 가이드부재(540)의 가이드공(542)에 의해 전,후방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링크부재(510)로 연결된 태양광 모듈(400)의 후면에 마련된 회전핀(520)에 의해 확장플레이트(300)의 전,후진 이동과 연동되도록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의 전진 이동시 상기 가이드핀(530)이 상기 가이드공(542)의 전방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가이드공(542)의 전,후방 높이 변위에 따라 태양광 모듈(400)의 집광판이 태양빛을 수광할 수 있도록 경사진 각도로 세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링크부재(510)의 제1,2연결링크(512,514)는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의 전,후진 이동시 상기 연결핀을 중심으로 제1,2연결링크(512,514) 사이의 각도가 접히거나 확대되도록 가변되면서 상기 태양광 모듈(400)의 각도 변화를 보조하게 된다.
상기 보조난간(200)은 하부가 확장플레이트(300)의 상면에 고정되고 상부가 상기 안전난간(110)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의 전,후진 이동에 따라 상기 안전난간(110)의 전방측으로부터 인출되거나, 다시 복귀되도록 후방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확장플레이트(300)는 전방 이동시 상면에 요홈 형태로 복수개 형성된 안착홈(310)에 화분의 하부가 수용되도록 안착시킴에 따라, 복수의 화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어 화분의 추락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야간이나 우천시에는 태양광 모듈(400)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실린더(350)의 로드를 후진동작시켜 확장플레이트(300)를 후진동작시킨다.
이때, 상기 확장플레이트(300)는 후단측이 바닥 본체(120)의 수용부(125) 내부에 인입되도록 수용된다.
상기 태양광 모듈(400)은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의 후진동작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핀(530)이 가이드공(542) 내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전방측 높이보다 높이가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링크부재(510)의 제1,2연결링크(512,514)가 접히게 되면서 확장플레이트(300)의 하측에 눕혀진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태양광 모듈(400)은 확장플레이트(300)의 하측에 눕혀진 상태로 배치됨에 따라, 우천시 빗물이나 눈이 태양광 모듈(400)의 집광판에 쌓이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먼지 등의 이물질이 집광판에 적층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태양광 모듈(400)의 집광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외측에 마련된 베란다 또는 발코니(100)의 바닥 본체(120)에 전방측으로 출몰 가능한 확장플레이트(300)를 배치하여 필요시 확장플레이트(30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공간 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확장플레이트(300)의 전,후방 이동시 태양광 모듈(400)이 연결수단(500)으로 연동되도록 마련됨에 따라,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의 전진 이동시 상기 태양광 모듈(400)이 햇빛을 집광할 수 있도록 경사진 각도로 세워지게 되고,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의 후방 이동시 상기 태양광 모듈(400)이 확장플레이트(300)의 하측에 눕혀지도록 배치됨에 따라, 태양광 모듈(400)의 집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부 환경 요인에 의한 태양광 모듈(400)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400)의 각도 변화가 실린더(350)에 의해 전,후방 이동되는 확장플레이트(300)에 연계동작되도록 함으로써, 부품의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고장 요인을 줄일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100...발코니 110...안전난간
120...바닥 본체 125...수용부
200...보조난간 300...확장플레이트
310...안착홈 350...실린더
400...태양광 모듈 500...연결수단
510...링크부재 512,514...제1,2연결링크
520...회전핀 530...가이드핀
540...가이드부재 542...가이드공

Claims (3)

  1. 바닥 본체(120)와, 상기 바닥 본체(120)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안전난간(110)으로 구성되고, 공동주택의 외측에 마련되는 발코니(100)와;
    상기 안전난간(110)의 전면에 전방측으로 출몰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난간(200)과;
    상기 바닥 본체(120)의 전면에 전방측으로 출몰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보조난간(200)의 하단부가 지지되며, 실린더(350)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는 확장플레이트(300)와;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에 연결수단(500)으로 연결되어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의 출몰동작과 연계되도록 회전 동작되며,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의 전방 인출동작시 태양광을 수광하도록 세워지고,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의 후방 이동시 상기 바닥 본체(120)의 하측으로 눕혀지는 태양광 모듈(400);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수단(500)은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의 전방측 하부와 상기 태양광 모듈(400)의 후면을 연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링크부재(510)와, 상기 태양광 모듈(400)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링크부재(510)의 단부와 힌지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 모듈(400)의 회전동작을 지지하는 회전핀(520)과, 상기 태양광 모듈(400)의 좌,우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핀(530)과, 상기 바닥 본체(120)의 좌,우 양측 하부에 배치되어서 상기 확장플레이트(300)의 전,후진 이동시 상기 태양광 모듈(400)의 각도 가변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540)를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부재(540)는 상기 가이드핀(530)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바닥본체(120)와 나란한 수평안내부(542a)와, 상기 수평안내부(542a)로부터 연장되고 상방향으로 그리고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곡선안내부(542b)를 구비하는 가이드공(5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시공 발코니 확장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본체(120)의 하면 일측에 상기 가이드부재(540)가 회동가능하게 힌지(545) 연결되고,
    상기 바닥본체(120)의 하면 타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가이드부재(54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551)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부재(540)를 상기 힌지(545)를 중심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실린더(5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시공 발코니 확장구조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확장플레이트(300)는 상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화분의 하부가 각각 수용되도록 요홈 형태의 안착홈(310)이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시공 발코니 확장구조체.
KR1020220166584A 2022-12-02 2022-12-02 공동주택 시공 발코니 확장구조체 KR102504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584A KR102504899B1 (ko) 2022-12-02 2022-12-02 공동주택 시공 발코니 확장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6584A KR102504899B1 (ko) 2022-12-02 2022-12-02 공동주택 시공 발코니 확장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899B1 true KR102504899B1 (ko) 2023-03-02

Family

ID=85509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6584A KR102504899B1 (ko) 2022-12-02 2022-12-02 공동주택 시공 발코니 확장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8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653B1 (ko) 2005-02-28 2005-12-28 주식회사 에이텍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확장형 베란다 구조
KR101114259B1 (ko) * 2009-08-31 2012-03-14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벽체 설치형 태양광 추적 집광장치
KR101412211B1 (ko) * 2014-02-27 2014-06-25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디에스그룹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2037262B1 (ko) 2019-06-24 2019-12-02 주식회사 이지건축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653B1 (ko) 2005-02-28 2005-12-28 주식회사 에이텍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확장형 베란다 구조
KR101114259B1 (ko) * 2009-08-31 2012-03-14 주식회사 그린플러스 벽체 설치형 태양광 추적 집광장치
KR101412211B1 (ko) * 2014-02-27 2014-06-25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사무소 디에스그룹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개선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2037262B1 (ko) 2019-06-24 2019-12-02 주식회사 이지건축 건축용 베란다 안전난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431474A (zh) 一种可伸缩折叠防雨遮阳棚
KR102504899B1 (ko) 공동주택 시공 발코니 확장구조체
KR100723342B1 (ko) 공동주택용 확장용 창문틀 구조
US3101731A (en) Canopy
US20230151614A1 (en) Terrace canopy
JP3230733U (ja) 建築工事用仮設屋根
CN210177772U (zh) 一种空间可变的阁楼及双坡阁楼
CN2425187Y (zh) 多功能伸缩折叠防盗栏
CN217896934U (zh) 一种顶部斜度可调的钢结构厂房
EP4139531B1 (en) Terrace canopy
JP7318923B2 (ja) 歩行者保護用の移動式防護塀
KR102013889B1 (ko)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물
KR102145936B1 (ko) 베란다 난간 거치형 접이식 건조대
JP5880968B2 (ja) 建物
CN112854461A (zh) 一种同步连动伸缩结构
CN111206689A (zh) 一种可折叠阳光房及其折叠方法
CN215484955U (zh) 一种停车位多功能花架
CN213509743U (zh) 一种定型化伸缩钢筋棚
CN219281120U (zh) 一种玻璃栏杆安全栅
CN110016989B (zh) 一种空间可变的阁楼及双坡阁楼
JP7129153B2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NL1038577C2 (nl) Kas en scherminrichting daarvoor.
WO2022259088A1 (en) A terrace canopy
AU2022335762A1 (en) A terrace canop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3529000B2 (ja) 折り畳み梯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