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889B1 -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물 - Google Patents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889B1
KR102013889B1 KR1020190024159A KR20190024159A KR102013889B1 KR 102013889 B1 KR102013889 B1 KR 102013889B1 KR 1020190024159 A KR1020190024159 A KR 1020190024159A KR 20190024159 A KR20190024159 A KR 20190024159A KR 102013889 B1 KR102013889 B1 KR 102013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pair
fixing
fixing ho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을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90024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8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65Collapsible or portable balustra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6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arrangements for fastening the blind to the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2011/1868Miscellaneous features of handr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011/1876Movable elements, e.g. against sun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에 사용되는 베란다 난간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써, 난간대(10), 수직구조대(20), 수직지지대(30), 수평지지대(40), 건조대(50), 천막대(60) 및 이동가이드대(70)를 갖추고, 수직지지대(30)의 구경이 인입홀(21)의 구경보다 좁게 형성됨으로써, 수직지지대(30)를 수직고정대(20)의 내측에 설치할 수 있고 위치에 맞춰 높낮이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물{RAILING STRUCTURE OF VERANDA CONSTRUCTION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에 사용되는 베란다 난간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세대주택, 단독 주택 등의 건물은 외관과 활용도 및 바깥전망효과를 높이기 위해 베란다가 설치되어 있고, 베란다는 안전등을 고려하여 부식에 강한 강철 또는 스테인레스로 된 난간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사람들의 최근 실내생활이 증가하면서 베란다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건물의 베란다는 화초를 기르고, 옷을 말리며, 휴식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베란다 난간구조는 베란다와 외부의 경계부에 단턱이 형성된다. 상기 단턱은 내측에 베란다 샷시가 형성되고, 외측에 일정간격의 수직지지대가 형성되며, 수직지지대 사이에 각각의 수직지지대를 지지하는 수평지지대 및 보조수직대가 다수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베란다 난간구조는 단순히 베란다와 실외의 경계 및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수단으로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 기술로서, 등록특허 제 10-0914143호인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가 출원되었으며, 이는 베란다 난간에 건조대를 설치하되 건조대를 접어지거나 펼처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베란다 난간에 설치된 건조대를 접어지거나 펼처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를 살펴보면, 난간구조에 설치된 건조대는 난간구조에 고정되어 위치에 따른 활용이 불가능하고, 천막 등이 없어 태양에 의한 직사광선 및 비에 의한 습기 등이 베란다 내부에 들어오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4143호(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물/2009.08.20)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4559호(건축용 난간 보강시설물/2010.11.09)
본 발명은 종래 베란다 난간구조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난간구조에 설치된 건조대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형성된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천막을 난간구조 상측에 설치하여 난간구조 내부 베란다에 유입되는 태양에 의한 직사광선 및 비에 의한 습기 등을 차단하는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물은
베란다바닥의 상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난간수직부와, 다수의 상기 난간수직부의 상측에 설치되는 난간수평부를 갖춘 난간대;
상기 베란다바닥의 상측 및 상기 난간수평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측에 관형상의 인입홀을 형성하며,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수직고정홀이 형성된 한 쌍의 수직고정대;
상기 인입홀에 삽입되도록 인입홀의 구경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수직고정홀에 대응하는 다수의 제1지지고정홀을 형성하며, 인입홀에 삽입 후 상기 수직고정홀 및 상기 제1지지고정홀에 수직고정볼트를 삽입하여 수직고정대에 고정되며, 베란다 내측으로 일정간격마다 형성되되 제1지지고정홀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2지지고정홀을 갖춘 한 쌍의 수직지지대;
한 쌍의 상기 수직지지대의 상측에 결합되고 수평하게 형성된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된 한 쌍의 수평돌출부와, 상기 수평돌출부의 하부측에 형성된 한 쌍의 힌지부를 갖춘 수평지지대;
한 쌍의 상기 힌지부의 일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프레임과, 한 쌍의 상기 회동프레임 내측면에 결합된 다수의 건조부와, 한 쌍의 상기 회동프레임의 타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받침프레임을 갖춘 건조대;
한 쌍의 상기 수평돌출부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토션스프링과, 한 쌍의 상기 토션스프링의 내측에 연결되는 보빈부와, 상기 보빈부를 중심으로 권취되는 천막과, 천막에 설치되어 건조부에 착탈되는 갈고리부를 갖춘 천막대;
상기 수직고정대에 고정 시 수직고정홀 및 제1결합고정홀에 제1고정볼트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수직지지대에 고정 시 제1지지고정홀 및 제1결합고정홀에 제1고정볼트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제2지지고정홀 및 제2결합고정홀에 제2결합고정볼트가 삽입되어 안정되며 높낮이 조절 시 난간수평부에 걸리지 않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 한 쌍의 이동결합부와, 상기 건조받침부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도록 한 쌍의 상기 이동결합부에 각각 돌출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이동힌지부와, 상기 이동결합부의 이동을 따라 상기 수직고정대 또는 수직지지대의 외면과 맞물려 롤링하도록 상기 이동힌지부의 내측에서 대칭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와, 한 쌍의 상기 롤러가 상기 수직고정대와 수직지지대에 밀착하도록 탄발 지지하는 탄성부를 갖춘 이동가이드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수직지지대의 구경이 인입홀의 구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수직고정볼트를 수직고정홀 및 제1지지고정홀에 삽입 또는 배출하여 수직지지대의 고정 및 해체가 됨으로써, 수직지지대를 수직고정대의 내측에 설치하고, 위치에 맞춰 높낮이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막을 수평으로 펼쳐서 설치하면, 건물 내측에 태양광에 의한 직사광선 또는 비가 건물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천막을 수직으로 펼쳐서 설치하면, 건물 내측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비가 건물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가 결합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가 다른 방법으로 결합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의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갖춘 이동가이드대의 이동과정 작용예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 작용예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의 다른 작용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가 결합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가 다른 방법으로 결합된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의 결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가이드대의 이동과정의 작용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는 난간대(10), 수직고정대(20), 수직지지대(30), 수평지지대(40), 건조대(50), 천막대(60) 및 이동가이드대(70)를 포함한다.
상기 난간대(10)는 다수의 수직난간부(11) 및 난간수평부(12)를 갖춘다.
상기 난간수직부(11)는 베란다바닥(1)의 상측에 설치된다. 난간수직부(11)는 베란다 내측에 있는 사람 및 물건에 대해 안전할 수 있도록 일반적인 베란다에 설치되는 바로써 다수개가 설치된다.
상기 난간수평부(12)는 다수의 난간수직부(11)의 상측에 설치된다. 난간수평부(12)는 난간수직부(11)의 상측에 설치되어 다수의 난간수직부(11)를 연결시킨다.
한 쌍의 상기 수직고정대(20)는 인입홀(21) 및 다수의 수직고정홀(22)을 갖춘다. 또한, 수직고정대(20)는 상기 베란다바닥(1)의 상측 및 상기 난간수평부(1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측에 관형상의 인입홀(21)을 형성하며,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수직고정홀(22)이 형성된다.
수직고정대(20)는 베란다 난간의 양측 기둥이며, 외관은 일반적인 베란다 난간의 기둥과 동일하다. 또한, 수직고정대(20)의 구경은 수직난간부(11)의 구경 및 수직지지대(30)의 구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후술하겠지만 수직고정대(20)의 상측에 형성된 관형상의 인입홀(21)을 통해 수직지지대(30)가 삽입된다. 또한, 수직고정대(20)에 형성된 다수의 수직고정홀(22)은 볼트에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어 볼트고정이 가능하다.
상기 수직지지대(30)는 제1지지고정홀(31), 수직고정볼트(32) 및 제2지지고정홀(33)을 갖춘다. 또한, 상기 수직지지대(30)는 상기 인입홀(21)에 삽입되도록 인입홀(21)의 구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수직고정홀(22)에 대응하는 다수의 제1지지고정홀(31)을 형성하며, 인입홀(21)에 삽입 후 상기 수직고정홀(22) 및 상기 제1지지고정홀(31)에 수직고정볼트(32)를 삽입하여 수직고정대(20)에 고정되며, 베란다 내측으로 일정간격마다 형성되되 제1지지고정홀(31)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2지지고정홀(33)을 갖춘다.
수직지지대(30)의 구경은 인입홀(21)의 구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본 발명은, 도 4(a)와 같이 수직지지대(30)의 구경이 인입홀(21)의 구경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수직지지대(30)를 수직고정대(20)의 내측에 설치할 수 있고 위치에 맞춰 높낮이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직고정볼트(32)를 수직고정홀(22) 및 제1지지고정홀(31)에 삽탑하여 수직지지대(30)의 고정 및 해체가 됨으로써, 수직지지대(30)의 높낮이 조절 및 고정이 용이하다.
상기 다수의 제1지지고정홀(31)은 너트 형태로 일정간격마다 형성되고, 상기 2개의 수직고정볼트(32)는 수직고정홀(22) 및 제1지지고정홀(31)에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지지대(30)가 다수의 제1지지고정홀(31)을 형성하고 수직고정홀(22)과 대응되며, 고정 시 도 4(b)와 같이 수직고정홀(22) 및 제1지지고정홀(31)의 위치를 맞추고 수직고정볼트(32)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또한, 수직지지대(30)는 다수의 제2지지고정홀(33)을 제1지지고정홀(31)의 내측수직방향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지지고정홀(31) 및 제2지지고정홀(33)은 동일한 높이에서 일정간격으로 다수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지지대(40)는 수평프레임(41), 수평돌출부(42) 및 힌지부(43)를 갖춘다.
상기 수평프레임(41)은 한 쌍의 상기 수직지지대(30)의 상측에 결합되고 수평하게 형성된다. 또한, 수평프레임(41)은 수직지지대(30)의 상측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한 쌍의 수직지지대(30)와 연결된다.
상기 수평돌출부(42)는 상기 수평프레임(41)의 외측면에 돌출된다. 또한, 수평돌출부(42)는 수평프레임(41)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힌지부(43)는 상기 수평돌출부(42)의 하부측에 형성된다. 또한, 힌지부(43)는 수평돌출부(42) 및 수평프레임(41)과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건조대(50)는 회동프레임(51), 건조부(52) 및 받침프레임(53)을 갖춘한다.
한 쌍의 상기 회동프레임(51)은 도 4(b)와 같이 한 쌍의 상기 힌지부(43)의 일측에 각각 힌지결합된다. 회동프레임(51)은 힌지부(43)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수평상태 및 수직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다수의 상기 건조부(52)는 한 쌍의 상기 회동프레임(51) 내측면에 결합된다. 또한, 건조부(52)는 수평상태로 조절하면, 상측에 빨래를 널어 말리거나 화분 또는 기타 물건등을 올려놓을 수도 있다.
한 쌍의 상기 받침프레임(53)은 한 쌍의 상기 회동프레임(51)의 타측에 각각 힌지결합된다. 받침프레임(53)은 회동프레임(51)이 수평상태 및 수직상태로 변경이 가능하도록 회동프레임(51)과 연결된다. 또한, 받침프레임(53)은 회동프레임(51)이 수평상태로 변경될 수 있도록 회동프레임(51)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천막대(60)는 토션스프링(61), 보빈부(62), 천막(63) 및 갈고리부(64)를 갖춘다.
상기 한 쌍의 토션스프링(61)은 도 4(c)와 같이 한 쌍의 상기 수평돌출부(42) 내측에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보빈부(62)는 한 쌍의 상기 토션스프링(61)의 내측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천막(63)은 상기 보빈부(62)를 중심으로 권취된다.
본 발명은 보빈부(62)에 권취된 천막(63)을 설치 넓이에 맞춰 확장시킬 수 있고, 천막(63)을 권취할 때 보빈부(62)와 연결된 토션스프링(61)을 통해 자동으로 천막(63)을 권취 할 수 있다.
상기 갈고리부(64)는 천막(63)에 설치되어 건조부(52)에 착탈된다.
본 발명은 상기 갈고리부(64)를 도 1과 같이 천막(63)의 양측 끝에 형성되어 건조부(52)에 착탈시킬 수 있고, 한 개의 갈고리부(64)를 천막(63)의 중앙에 설치하여 건조부(52)에 고정할 수도 있으며, 다수개의 갈고리부(64)를 천막(63)에 설치하여 건조부(52)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은 천막(63)의 설치범위에 따라 갈고리부(64)를 각 위치에 맞춰서 설치된 건조부(52)로부터 착탈시킬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대(70)는 이동결합부(71), 이동힌지부(72), 제1고정볼트(73), 제2고정볼트(74), 탄성부(75) 및 롤러(76)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결합부(71)는 상기 수직고정대(20)에 고정 시 수직고정홀(22) 및 제1결합고정홀(71a)에 제1고정볼트(73)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수직지지대(30)에 고정 시 제1지지고정홀(31) 및 제1결합고정홀(71a)에 제1고정볼트(73)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제2지지고정홀(33) 및 제2결합고정홀(71b)에 제2결합고정볼트(74)가 삽입되어 안정되며 높낮이 조절 시 난간수평부(12)에 걸리지 않도록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은 이동결합부(71)를 'ㄷ'자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난간수평부(12)에걸리지 않고 수직고정대(20) 및 수직지지대(30)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도 3의 확대된 부분과 같이 이동결합부(71)가 수직고정대(20) 외측면에도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ㄷ'자의 형태가 적어도 수직고정대(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지지고정홀(31)과 제1결합고정홀(71a)에 대응되도록 맞추고 제1고정볼트(73)를 삽입하여 이동결합부(71)를 수직지지대(30)에 고정시킴으로써, 건조대(50)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고정홀(22)과 제1결합고정홀(71a)을 맞추거나, 수직고정홀(22)과 제1지지고정홀(31)과 제1결합고정홀(71a)에 맞춘다. 이후 본 발명은 도 4(c)와 같이 제1고정볼트(73)를 삽입하여 이동결합부(71)를 수직고정대(20)에 고정시킴으로서, 낮은 위치에서의 수직지지대(30)에서도 건조대(50)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동결합부(71)는 'ㄷ'자로 형성된 부분이 도 3의 확대된 부분과 같이 수직고정대(20)의 구경보다 크다. 또한, 수직고정대(20)의 구경은 수직지지대(30)의 구경보다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2의 확대된 부분과 같이 이동결합부(71)와 수직지지대(30)에 제1고정볼트(73)가 삽입되면 건조대(50)를 고정시키지만 제1고정볼트(73)과 고정된 부분을 제외한 이동결합부(71)의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건조대(50)에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이동결합부(71) 및 수직지지대(30)의 두께차에 따른 흔들림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도록 도 2의 확대된 부분과 같이 제2지지고정홀(33)과 제2결합고정홀(71b)을 맞추고 도 4(c)와 같이 제2고정볼트(74)를 삽입함으로써 이동결합부(71)에서 발생되는 흔들림을 막음으로써 건조부(50)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이동힌지부(72)는 상기 받침프레임(53)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도록 한 쌍의 상기 이동결합부(71)에 각각 돌출하게 형성된다.
이동힌지부(72)는 받침프레임(53)과 힌지결합되어 건조대(50)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탄성부(75)는 이동결합부(71)가 상하로 이동 시 이동을 원활하게 하도록 스프링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상기 롤러(76)는 상기 이동결합부(71)의 이동을 따라 상기 수직고정대(20) 또는 수직지지대(30)의 외면과 맞물려 롤링하도록 상기 이동힌지부(72)의 내측에서 대칭하게 설치된다.
탄성부(75)는 한 쌍의 상기 롤러(76)가 상기 수직고정대(20)와 수직지지대(30)에 밀착하도록 탄발 지지한다.
본 발명은 수직지지대(30)에 고정된 이동결합부(71)를 수직고정대(20)로 맞물려 롤링될 때 도 5의 과정과 동일하게 작용된다.
본 발명은 도 5(a)와 같이 이동결합부(71)를 수직지지대(30)에서 수직고정대(20)로 이동시키면, 롤러(76)가 동시에 수직지지대(30)의 외면에 맞물려 롤링되면서 이동결합부(71)를 이동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5(b)와 같이 이동결합부(71)를 수직지지대(30)와 수직고정대(20)의 외면에 맞닿는 지점에 도달되면, 탄성부(75) 및 롤러(76)가 밀착되며 원활하게 이동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5(c)와 같이 이동결합부(71)를 베란다바닥(1)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롤러(76)가 밀착된 형태로 롤링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의 작용도와 반대로 이동결합부(71)를 수직고정대(20)에서 수직지지대(30)로 이동시키면, 수직고정대(20)와 수직지지대(30)의 맞닿는 지점에서 탄성부(75) 및 롤러(76)의 밀착이 해제된 후 롤러(76)를 롤링시킨다.
본 발명은 도 5와 같이 탄성부(75)와 롤러(76)를 통해 이동결합부(71)가 수직지지대(30)에서 수직고정대(20)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의 작용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도 6과 같이 건조대(50)를 수직상태로 설치되고, 수직고정홀(22) 및 제1지지고정홀(31)의 위치를 대응시키고 수직고정볼트(32)를 삽입하여 수직고정대(20)의 내측에 수직지지대(30)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지지고정홀(31), 수직고정홀(22) 및 제1결합고정홀(71a)의 위치를 대응시키고 제1고정볼트(73)를 삽입하여 이동결합부(71)를 고정시킨다.
이후, 본 발명은 도 7과 같이 건조대(50)를 수평상태로 설치하도록 제1고정볼트(73) 및 수직고정볼트(32)를 해체한 후 이동결합부(71)의 위치를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제1고정볼트(73)를 삽입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시에 수직고정볼트(32)를 비어있는 수직고정홀(22) 및 제1지지고정홀(31)에 삽입하여 수직지지대(30)를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도 8 또는 도 9와 같이 보빈부(62)에 설치된 갈고리부(64)를 건조대(50)의 위치에 맞춰 건다. 또한, 본 발명은 천막(63)의 설치 범위에 따라 도 8과 같이 설치도 가능하고, 도 9와 같이 설치도 가능하며, 천막(63)의 설치 범위를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설치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 9와 같이 건조대(50)에 천막(63)을 설치하면 도 10과 같이 사시도형태로 완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도 11과 같이 수직고정볼트(32) 및 제1고정볼트(73)를 해체하고 수직지지대(30)를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수직고정볼트(32)로 난간대(10)에 수직지지대(30)를 고정시킨다. 이후, 본 발명은 제1지지고정홀(31) 및 제1결합고정홀(71a)의 위치를 동일하게 맞추고 제1고정볼트(73)를 삽입하여 이동결합부(71)를 고정시킨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제2지지고정홀(22) 및 제2결합고정홀(62a)의 위치를 동일하게 맞추고 제2고정볼트(74)를 삽입하여 이동결합부(71)의 흔들림을 막는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1과 같이 수직지지대(30)의 위치를 변경한 후 고정시키면 도 12와 같이 사시도형태로 완성된다.
본 발명은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천막(63)을 수평으로 펼쳐서 설치하면, 건물 내측에 태양광에 의한 직사광선 또는 비가 건물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처음으로 되돌릴 때, 과정과 반대로 하면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도 8 또는 도 9와 같이 설치된 천막(63)을 보빈부(62)로 권취시킬 때 갈고리부(64)를 건조부(52)에서 해체하면 한 쌍의 토션스프링(61)에 의해 자동으로 천막(63)이 보빈부(62)로 권취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1에서 도 8 또는 도 9의 과정으로 되돌릴 때, 이동결합부(71)에 설치된 탄성부(75) 및 롤러(76)를 통해 수직고정대(20)와 수직지지대(30)가 맞닿아 있는 지점도 도 5의 작동도와 같이 이동결합부(71)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의 다른 작용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도 6과 같이 건조대(50)를 수직상태로 설치되고, 수직고정홀(22) 및 제1지지고정홀(31)의 위치를 동일하게 맞추면서 수직고정볼트(32)를 삽입하여 난간대(10) 내측에 수직지지대(30)를 삽입 및 고정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지지고정홀(31), 수직고정홀(22) 및 제1결합고정홀(71a)의 위치를 동일하게 맞추고 제1고정볼트(73)를 삽입하여 이동결합부(71)를 고정시킨다.
이후, 본 발명은 도 13 또는 도 14와 같이 보빈부(62)에 설치된 갈고리부(64)를 건조부(52)의 위치에 맞춰 건다. 또한, 본 발명은 천막(63)의 설치 범위에 따라 도 13과 같이 설치도 가능하고 도 14와 같이 설치도 가능하며, 천막(63)의 설치 범위를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설치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도 15와 같이 수직고정볼트(32) 및 제1고정볼트(73)를 해체하고 수직지지대(30)를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수직고정볼트(32)로 난간대(10)에 수직지지대(30)를 고정시킨다. 이후, 본 발명은 제1지지고정홀(31) 및 제1결합고정홀(71a)의 위치를 동일하게 맞추고 제1고정볼트(73)를 삽입하여 이동결합부(71)를 고정시킨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제2지지고정홀(22) 및 제2결합고정홀(62a)의 위치를 동일하게 맞추고 제2고정볼트(74)를 삽입하여 이동결합부(71)의 흔들림을 막는다.
본 발명은 도 15와 같이 천막(63)을 수직으로 펼쳐서 설치하면, 건물 내측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비가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처음으로 되돌릴 때, 과정과 반대로 하면 된다. 특히 본 발명은 도 13 또는 도 14와 같이 설치된 천막(63)을 보빈부(62)로 권취시킬 때 갈고리부(64)를 건조부(52)에서 해체하면 한 쌍의 토션스프링(61)에 의해 자동으로 천막(63)이 보빈부(62)로 권취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5에서 도 6의 과정으로 되돌릴 때, 이동결합부(71)에 설치된 탄성부(75) 및 롤러(76)를 통해 수직고정대(20)와 수직지지대(30)가 맞닿아 있는 지점도 도 5의 작동도와 같이 이동결합부(71)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직지지대(30)의 구경이 인입홀(21)의 구경보다 작게 형성되고, 수직고정볼트(32)를 수직고정홀(22) 및 제1지지고정홀(31)에 삽입 또는 배출하여 수직지지대(30)의 고정 및 해체가 됨으로써, 수직지지대(30)를 수직고정대(20)의 내측에 설치하고, 위치에 맞춰 높낮이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빈부(62)에 권취된 천막(63)을 천막 설치 넓이에 맞춰 확장시킬 수 있고, 천막(63)을 권취할 때 보빈부(62)와 연결된 토션스프링(61)을 통해 자동으로 천막(63)을 권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결합부(71)를 'ㄷ'자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난간수평부(12)에걸리지 않고 수직고정대(20) 및 수직지지대(30)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제1지지고정홀(31)과 제1결합고정홀(71a)에 대응되도록 맞추고 제1고정볼트(73)를 삽입하여 이동결합부(71)를 수직지지대(30)에 고정시킴으로써, 건조대(50)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고정홀(22)과 제1지지고정홀(31)과 제1결합고정홀(71a)에 대응되도록 맞추고 제1고정볼트(73)를 삽입하여 이동결합부(71)를 수직고정대(20) 및 수직지지대(30)에 고정시킴으로서, 낮은 위치에서의 수직지지대(30)에서도 건조대(50)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결합부(71) 및 수직지지대(30)의 두께차에 따른 흔들림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도록 제2지지고정홀(33)과 제2결합고정홀(71b)에 대응되도록 맞추고 제2고정볼트(74)를 삽입함으로써 이동결합부(71)의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부(75)와 롤러(76)를 통해 이동결합부(71)가 수직지지대(30)에서 수직고정대(20)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막(63)을 수평으로 펼쳐서 설치하면, 건물 내측에 태양광에 의한 직사광선 또는 비가 건물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천막(63)을 수직으로 펼쳐서 설치하면, 건물 내측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비가 건물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에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로 설명했기에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베란다바닥 10: 난간대
20: 수직고정대 30: 수직지지대
40: 수평지지대 50: 건조대
60: 천막대 70: 이동가이드대

Claims (1)

  1. 베란다바닥(1)의 상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난간수직부(11)와, 다수의 상기 난간수직부(11)의 상측에 설치되는 난간수평부(12)를 갖춘 난간대(10);
    상기 베란다바닥(1)의 상측 및 상기 난간수평부(1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측에 관형상의 인입홀(21)을 형성하며,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수직고정홀(22)이 형성된 한 쌍의 수직고정대(20);
    상기 인입홀(21)에 삽입되도록 인입홀(21)의 구경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수직고정홀(22)에 대응하는 다수의 제1지지고정홀(31)을 형성하며, 상기 제1지지고정홀(31)이 상기 수직고정홀(22)의 위치에 맞춰지도록 인입홀(21)에 삽입 후 서로 맞춰진 상기 수직고정홀(22) 및 상기 제1지지고정홀(31)에 수직고정볼트(32)가 삽입되어 수직고정대(20)에 고정되며, 베란다 내측으로 일정간격마다 형성되되 제1지지고정홀(31)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2지지고정홀(33)을 갖춘 한 쌍의 수직지지대(30);
    한 쌍의 상기 수직지지대(30)의 상측에 결합되고 수평하게 형성된 수평프레임(41)과, 상기 수평프레임(41)의 양측면에 각각 돌출된 한 쌍의 수평돌출부(42)와, 상기 수평돌출부(42)의 하부측에 형성된 한 쌍의 힌지부(43)를 갖춘 수평지지대(40);
    한 쌍의 상기 힌지부(43)의 일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회동프레임(51)과, 한 쌍의 상기 회동프레임(51) 내측면에 결합된 다수의 건조부(52)와, 한 쌍의 상기 회동프레임(51)의 타측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받침프레임(53)을 갖춘 건조대(50);
    한 쌍의 상기 수평돌출부(42)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토션스프링(61)과, 한 쌍의 상기 토션스프링(61)의 내측에 연결되는 보빈부(62)와, 상기 보빈부(62)를 중심으로 권취되는 천막(63)과, 천막(63)에 설치되어 건조부(52)에 착탈되는 갈고리부(64)를 갖춘 천막대(60);
    중앙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날개측 일단과 날개측 타단이 구성되어 'ㄷ'자 형태를 이루고 상기 중앙에 제1결합고정홀(71a)이 관통하게 형성되며 상기 날개측 일단에 제2결합고정홀(71b)이 관통하게 형성되되 제1결합고정홀(71a)과 수직고정대(20)의 수직고정홀(22)이 동일한 위치에 맞춰진 후 제1고정볼트(73)가 제1결합고정홀(71a) 및 수직고정홀(22)에 삽입되어 수직고정대(20)에 고정되거나 제1결합고정홀(71a)과 수직지지대(30)의 제1지지고정홀(31)을 동일한 위치에 맞춰진 후 제1고정볼트(73)가 제1결합고정홀(71a)과 제1지지고정홀(31)에 삽입되어 수직지지대(30)에 고정되고 제2결합고정홀(71b)과 수직지지대(30)의 제2지지고정홀(33)이 동일한 위치에 맞춰진 후 제2고정볼트(74)가 제2결합고정홀(71b)과 제2지지고정홀(33)에 삽입되어 수직지지대(30)에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이동결합부(71)와, 상기 받침프레임(53)의 일측에 힌지결합되도록 한 쌍의 상기 이동결합부(71)의 날개측 타단에 각각 돌출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이동힌지부(72)와, 상기 이동결합부(71)의 이동을 따라 상기 수직고정대(20) 또는 수직지지대(30)의 외면과 맞물려 롤링하도록 상기 이동힌지부(72)의 내측에서 대칭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롤러(76)와, 한 쌍의 상기 롤러(76)가 상기 수직고정대(20)와 수직지지대(30)에 밀착하도록 탄발 지지하는 탄성부(75)를 갖춘 이동가이드대(70);
    를 포함하는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물.
KR1020190024159A 2019-02-28 2019-02-28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물 KR102013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159A KR102013889B1 (ko) 2019-02-28 2019-02-28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159A KR102013889B1 (ko) 2019-02-28 2019-02-28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889B1 true KR102013889B1 (ko) 2019-08-23

Family

ID=67763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159A KR102013889B1 (ko) 2019-02-28 2019-02-28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8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770A (ko) * 2019-03-26 2020-10-07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추락방지용 베란다 난간구조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6101U (ja) * 1992-02-14 1993-08-31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上下バルコニーのカーテン構造
KR100472405B1 (ko) * 2004-10-29 2005-03-14 (주)정방건축사사무소 공동 주택 발코니 높이조정이 가능한 안전 난간대
KR20050055893A (ko) * 2003-12-09 2005-06-14 정용석 세탁물 건조대
KR100914143B1 (ko) 2009-06-04 2009-08-27 제이엔케이기술단(주)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
KR100994559B1 (ko) 2010-07-14 2010-11-16 (주)대성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난간 보강시설물
KR20140055573A (ko) * 2012-10-31 2014-05-09 김민재 세탁물 건조대가 구비된 베란다 난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6101U (ja) * 1992-02-14 1993-08-31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上下バルコニーのカーテン構造
KR20050055893A (ko) * 2003-12-09 2005-06-14 정용석 세탁물 건조대
KR100472405B1 (ko) * 2004-10-29 2005-03-14 (주)정방건축사사무소 공동 주택 발코니 높이조정이 가능한 안전 난간대
KR100914143B1 (ko) 2009-06-04 2009-08-27 제이엔케이기술단(주)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
KR100994559B1 (ko) 2010-07-14 2010-11-16 (주)대성건축사사무소 건축용 난간 보강시설물
KR20140055573A (ko) * 2012-10-31 2014-05-09 김민재 세탁물 건조대가 구비된 베란다 난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3770A (ko) * 2019-03-26 2020-10-07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추락방지용 베란다 난간구조물
KR102198191B1 (ko) 2019-03-26 2021-01-04 호원대학교산학협력단 추락방지용 베란다 난간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3889B1 (ko)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물
KR101750863B1 (ko) 베란다용 빨래 건조대
KR102013885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발코니 난간
KR102011629B1 (ko) 슬라브 트러스 시스템
KR100592658B1 (ko) 건축용 발코니 안전난간
KR100894723B1 (ko)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
KR200391887Y1 (ko) 이동식 세탁물 건조대
KR102198191B1 (ko) 추락방지용 베란다 난간구조물
KR101068776B1 (ko) 발코니 난간 지지용 측벽 브라켓
KR200221982Y1 (ko) 베란다용빨래건조장치
KR102145936B1 (ko) 베란다 난간 거치형 접이식 건조대
US6510658B1 (en) System for fixing sun protection cloth
KR102114006B1 (ko) 공동주택 난간의 고정부위 확대 보강시설
JPH10273970A (ja) ベランダ等の乗り越え用ブリッジ装置
KR100525272B1 (ko) 건축용 높이조절 작업난간대
KR101652338B1 (ko) 차양 설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차양 설치방법
KR101710338B1 (ko) 건축용 베란다 난간구조
JP2996385B2 (ja) 組立式足場
EP1914361A1 (en) Outdoor framework structure for awnings
KR102504899B1 (ko) 공동주택 시공 발코니 확장구조체
KR200398763Y1 (ko) 낙하물 방지 안전망 설치시스템
KR101278588B1 (ko) 탈착식 옥외용 건조대
JP2002242423A (ja) 吊足場
KR102186044B1 (ko) 난간형 2단 건조대
KR20100009659U (ko) 비상탈출 사다리 겸용 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