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338B1 - 차양 설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차양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차양 설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차양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338B1
KR101652338B1 KR1020150161107A KR20150161107A KR101652338B1 KR 101652338 B1 KR101652338 B1 KR 101652338B1 KR 1020150161107 A KR1020150161107 A KR 1020150161107A KR 20150161107 A KR20150161107 A KR 20150161107A KR 101652338 B1 KR101652338 B1 KR 101652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er
frame
wall
fixing
aw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1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미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미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미하이텍
Priority to KR1020150161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11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with articulated arms supporting the movable end of the blind for deployment of the blin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04F10/066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 차양 고정프레임 또는 차양 구성품들을 적은 인원 또는 단독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한 차양 설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차양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차양 고정프레임을 고정시키는 벽고정브라켓에 서포터탈착홈을 형성하고, 이 서포터탈착홈에 고정프레임이나, 차양을 구성하는 구성품의 일단을 지지하는 서포터를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차양을 구성하는 긴 구성요소들의 일단을 지지하게 한 상태에서 타단을 벽에 설치된 벽고정브라켓에 고정시킨 후, 서포터에 의해 지지되는 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적은 인원 또는 단독으로 차양을 설치할 수 있게 한 차양 설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차양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양 설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차양 설치방법 {install assembly of awning and awning installing methods thereby}
본 발명은 차양 설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차양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긴 차양 고정프레임 또는 차양 구성품들을 적은 인원 또는 단독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한 차양 설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차양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차양 고정프레임을 고정시키는 벽고정브라켓에 서포터탈착홈을 형성하고, 이 서포터탈착홈에 고정프레임이나, 차양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단을 지지하는 서포터를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차양을 구성하는 긴 구성요소들의 일단을 지지하게 한 상태에서 타단을 벽에 설치된 벽고정브라켓에 고정시킨 후, 서포터에 의해 지지되는 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적은 인원 또는 단독으로 차양을 설치할 수 있게 한 차양 설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차양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양은 건물의 출입구나 상점의 쇼윈도 및 옥외에 설치되어 여름철 강한 햇빛과 빗물을 막아주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차양은 건물을 출입하는 사람들과 쇼윈도에 진열된 각종 상품들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건물이나 상점 등의 테라스(terrace) 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있다.
한편 차양은 다양한 색상으로 시각적인 이미지를 부각시켜 건물이나 상점 등의 외적인 인테리어 효과와 더불어 광고매체 및 손님들이 옥외에서 쉴 수 있는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차양은 대부분 설치방식에 따라 고정식과 접이식으로 구분되고, 천이나 또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진 차양막은 장기간 고유의 색상을 유지하도록 내후성을 갖고, 강풍에 대한 내구성을 갖도록 견고하게 설치되고 있다.
종래 차양 중에서 접이식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설치되므로 고정식에 비하여 선호되고 있으며, 이러한 접이식 차양과 관련된 기술로는 다양한 것이 있고, 그 예로 특허문헌 1 내지 3이 있다.
특허문헌1(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2586호)은 지주의 일측면에 양측으로 벽브라켓을 체결하고 벽브라켓의 타측에는 사각바가 체결된 것으로, 사각바의 양단부는 롤브라켓이 체결되며 양측 롤브라켓의 상측에 위치한 고정공 사이에는 롤튜브를 구비하기 위하여 롤튜브의 일측에는 베어링과 앤드플러그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앤드플러그와 기어박스가 체결된 구조를 갖는 것이며 사각바의 양측에는 암브라켓이 체결되고 암브라켓의 내측에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돌출암이 구비되며 돌출암의 다리부에는 회전체를 갖는 클램프가 체결되어 클램프의 일측 회전체를 프론트바의 안내레일에 체결시킨 것으로서 롤튜브에 권취된 차양막이 기어박스의 회전에 의하여 권해됨과 동시에 돌출암이 전개되고 돌출암의 전개에 따라 클램프의 회전체가 프론트바의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차양막이 확개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고,
특허문헌2(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2689호)는 본 출원인에 이해 개발된 기술로, 건물의 외부 벽체에 고정 설치된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차양막이 감기는 권취롤과 상부차양막과 하부차양막의 끝단이 끼워져 고정되는 포스트와, 브라켓에 결합된 지지바와 포스트에 연결 설치되고, 포스트를 펼치거나 접는 암으로 구현된 차양에 있어서, 차양의 측부에 설치되고, 차양의 펼침 및 접힘 작동에 따라 펴지고 접히도록 보조차양을 구비한 것이고,
특허문헌3(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1675호)은 수직상으로 양측에 설치된 다수의 포스트와, 포스트의 상부양쪽에 경사져 설치된 안내레일과, 포스트의 상단 양쪽에 횡방향으로 고정 설치된 수평지지바와, 수평지지바의 양측에 회전가능케 설치되고, 차양막이 감기는 권취롤러와, 수평지지바에 암으로 연결 설치되는 한편 차양막의 끝단이 고정되며, 안내레일을 타고 왕복 이송하여 차양막을 펼치거나 접는 이송바를 포함하는 접이식 차양에 있어서, 안내레일은 포스트의 상부에 힌지로 회동가능케 설치되고, 포스트와 안내레일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바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 접이식 차양의 기본적인 구조는 도면에서 도 4 내지 도 5와 같이, 대부분 건물이나 상점 등의 외부 벽체에 적정 길이로 고정프레임(200)이 고정 설치되고, 고정프레임에 차양막(300)이 감긴 권취롤이 롤브라켓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차양막(300)과 전방차양막이 끼워져 고정된 포스트가 복수개의 암에 의해 접철 가능케 설치되며, 전동식의 경우, 모터의 구동으로 권취롤이 회전하여 차양막이 자동으로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설치된다.
즉, 도면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에 고정된 벽고정브라켓(100)에 고정프레임(200)을 고정하고, 고정프레임에 다른 롤고정브라켓을 이용하여 권취롤을 고정시켜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되는 차양은 차양 영역에 따라 차양막의 폭이 달라질 수 있고, 폭이 긴 차양의 경우, 차양을 고정시키는 고정프레임을 비롯하여 권취롤, 암 등의 길이가 길며, 긴 차양 구성요소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차양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단을 지지하여 잡아준 상태에서 설치작업이 이루어져야 함으로 시공할 때 많은 작업 인원을 필요로 함에 따라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일예로, 도면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고정프레임(200)을 벽에 고정된 벽고정브라켓(100)에 조립할 경우, 고정프레임의 양단을 동시에 두 벽고정브라켓에 조립하거나, 일측의 벽고정브라켓에 고정프레임의 일단을 고정시킨 후, 타단을 고정시켜야 하지만, 긴 고정프레임을 두 벽고정브라켓에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고정프레임의 양단을 두 명의 작업자가 각각 들어 올려 벽고정브라켓에 정렬시킨 후, 작업을 하여야 함으로 작업 인원이 많이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258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268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167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발된 것으로, 긴 차양 고정프레임 또는 차양 구조물을 적은 인원 또는 단독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한 차양 설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차양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차양 고정프레임을 고정시키는 벽고정브라켓에 서포터탈착홈을 형성하고, 이 서포터탈착홈에 고정프레임이나, 차양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일단을 지지하는 서포터를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하여 차양을 구성하는 긴 구성요소들의 일단을 지지하게 한 상태에서 타단을 벽에 설치된 벽고정브라켓에 고정시킨 후, 서포터에 의해 지지되는 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적은 인원 또는 단독으로 차양을 설치할 수 있게 한 차양 설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차양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벽고정브라켓에 고정된 고정프레임에 롤고정브라켓에 차양막이 권취된 권취롤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차양막의 전단에 설치된 포스트와 롤고정브라켓 사이에 절첩암을 설치하여 구성된 차양에 있어서, 상기 벽고정브라켓의 일측에 하기 프레임서포터가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서포터탈착홈을 형성하고, 받침대의 일단에 탈착날개를 구비한 서포터를 상기 서포터탈착홈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고정프레임 또는 차양 구성품을 포함하는 지지대상물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서포터의 받침대에는 상부에 올려진 지지대상물이 받침대의 단부로 밀려 받침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받침대와 탈착날개는 서로 직각 또는 예각을 이루어, 탈착날개가 벽고정브라켓의 서포터탈착홈에 끼워져 결합되었을 때, 받침대의 단부가 아래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서포터탈착홈은 벽고정브라켓의 전방에 형성된 두 개의 프레임고정날개 사이의 안쪽 내벽에 측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설치방법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립체를 이용한 차양 설치방법으로, 벽에 소정 간격으로 두 개의 벽고정브라켓을 고정한 후, 일측의 벽고정브라켓에 형성된 서포터탈착홈에 서포터의 탈착날개를 끼워 서포터를 설치하며, 설치된 서포터의 받침대 상부에 고정프레임 또는 차양 구성품을 포함하는 지지대상물의 일단을 올려 받친 후, 타단을 들어 올려 고정프레임을 두 벽고정브라켓 쪽으로 밀어 벽고정브라켓의 두 프레임고정날개 사이에 끼워지게 하고, 고정수단을 프레임고정날개에 설치하여 고정프레임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설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차양 설치방법은 서포터를 벽고정브라켓에 가설한 후, 고정프레임 또는 이를 포함하는 차양 구성품의 일단을 서포터에 올려 지지되게 한 상태에서 타단을 들어 올려 고정프레임을 벽고정브라켓에 고정시킴으로써, 차양 구성품을 보다 쉽게 벽에 고정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서포터로 고정프레임 또는 이를 포함하는 차양 구성품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게 함에 따라 한 사람이 차양을 벽에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일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를 구성하는 프레임서포터를 벽고정브라켓에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를 이용하여 벽고정브라켓에 고정된 고정프레임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4는 종래 차양의 일예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차양 구조물의 측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차양 구조물에서 고정프레임의 설치상태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이 참조되어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설치용 조립체는 차양을 구성하는 구성품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게 함에 따라 차양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인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설치용 조립체는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200)을 벽에 고정시키는 벽고정브라켓(10)에 고정프레임 또는 차양 구성품을 포함하는 지지대상물의 일단을 지지하는 서포터(20)를 탈착 가능하게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설치용 조립체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차양은 통상의 차양과 같이, 벽에 고정 설치된 벽고정브라켓(10)에 고정된 고정프레임(200)에 롤고정브라켓에 차양막(300)이 권취된 권취롤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차양막의 전단에 설치된 포스트와 롤고정브라켓 사이에 절첩암(400)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이미 잘 알려진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 벽고정브라켓(10)은 고정프레임(200)을 변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이 고정프레임(200)에 롤고정브라켓을 설치하고, 이 롤고정브라켓에 차양막이 감긴 권취롤을 회전가능하게 고정한다.
또한 상기에서 벽고정브라켓(10)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 하기 프레임서포터가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서포터탈착홈(10g)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벽고정브라켓(10)에는 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벽고정날개(11)가 형성되고, 상기 벽고정날개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두 개의 프레임고정날개(12)가 형성되어 있고, 각 날개들(11, 12)들에는 앵커볼트나 고정볼트 등과 같은 고정수단이 관통하는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프레임고정날개(12)들 사이의 간격은 고정프레임(200)의 높이와 같아 고정프레임이 두 프레임고정날개들 사이에 삽입되었을 때 유동이 없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서포터탈착홈(10g)은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의 프레임고정날개(12)들 사이의 안쪽 벽에 형성되어 있다. 즉, 프레임고정날개(12)들 사이의 안쪽 벽의 전방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걸림턱과 벽 사이에 서포터탈착홈(10g)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서포터(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200) 또는 차양 구성품을 포함하는 지지대상물을 지지하는 수단으로서, 지지대상물을 지지하는 받침대(21)의 일단에 서포터탈착홈(10g)에 탈착 가능하게 끼워지는 탈착날개(2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에서 받침대(21)는 도면의 도 1 내지 도 3에서 사각 파이프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각 내지는 원형 또는 타원형 파이프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기에서 받침대(21)의 일단에 설치된 탈착날개(22)는 상기 받침대(21)와 직각 또는 예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대와 탈착날개가 이루는 각이 90° 이상일 경우, 받침대의 단부가 아래쪽으로 기울어져 받침대의 상부에 지지대상물이 올려질 경우 지지대상물이 경사를 따라 받침대의 단부 쪽으로 흘러내리면 고정프레임을 벽고정브라켓(10)에 결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에서 탈착날개(22)와 받침대(21) 사이의 거리는 탈착날개(22)가 벽고정브라켓(10)의 서포터탈착홈(10g)에 끼워져 서포터(20)가 벽고정브라켓에 조립되었을 때, 도면에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21)의 상부면이 하부 프레임고정날개(12)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는 정도의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받침대(21)의 상부면이 하부 프레임고정날개(12)의 상부면과 수평을 이루게 함에 따라, 받침대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프레임(200)을 벽고정날개(10) 쪽으로 밀어 주는 동작만으로 고정프레임이 두 벽고정날개들 사이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으므로 고정프레임을 보다 쉽게 벽고정브라켓에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서포터(20)의 받침대(21)에는 상부에 올려진 지지대상물이 받침대의 단부로 밀려 받침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구(23)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탈착날개(22)와 받침대(21) 사이의 각이 직각 또는 예각을 이루게 제작한다 하더라도, 고정프레임 또는 차양 구성품을 포함하는 지지대상물의 무게가 무거우면 받침대의 단부가 아래로 쳐져 단부가 아래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되며, 이렇게 받침대의 단부가 기울어졌을 때에도 고정프레임 또는 차양 구성품을 포함하는 지지대상물이 받침대로부터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걸림구(23)를 더 구비한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양 설치용 조립체를 이용한 차양 설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벽에 소정 간격으로 두 개의 벽고정브라켓(10)을 고정한다.(도 1 및 도 2 참조)
상기에서 고정되는 두 벽고정브라켓(10) 사이의 간격은 차양의 폭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차양의 폭보다는 작게 형성하여 고정프레임의 양단을 벗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면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에 고정된 벽고정브라켓(10) 중 일측의 벽고정브라켓(10)에 형성된 서포터탈착홈(10g)에 서포터(20)의 탈착날개(22)를 끼워 서포터를 설치한다.
상기에서 벽고정브라켓(10)의 서포터탈착홈(10g)는 측방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립된 탈착날개는 도면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고정브라켓에 고정프레임이 고정된 상태에서도 벽고정브라켓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벽고정브라켓에 설치된 서포터의 받침대 상부에 고정프레임 또는 차양 구성품을 포함하는 지지대상물의 일단을 올려 받친 후, 작업자는 타단을 들어 올린다.
이때, 두 벽고정브라켓에 모두 서포터를 설치하고, 두 서포터의 받침대에 고정프레임 또는 차양 구성품의 양단을 올려놓은 후, 작업을 할 수도 있다.
다음은 받침대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프레임을 두 벽고정브라켓(10) 쪽으로 밀어 벽고정브라켓(10)의 두 프레임고정날개(12) 사이에 끼워지게 한 후, 고정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프레임고정날개(12)에 형성된 고정홀에 설치하여 고정프레임이 벽고정브라켓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고정시킨다.
이러한 과정에서 고정프레임과 다른 차양 구성품은 지상에서 조립된 상태에서 벽고정브라켓에 고정프레임만을 고정시킴에 의해 설치가 종료될 수 있다.
물론, 고정프레임만을 벽고정브라켓에 설치한 후, 다른 구성품을 고정프레임에 조립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10: 벽고정브라켓 10g: 서포터탈착홈
11: 벽고정날개 12: 프레임고정날개
20: 서포터 21: 받침대
22: 탈착날개
23: 걸림구

Claims (5)

  1. 벽고정브라켓(10)에 고정된 고정프레임(200)에 롤고정브라켓에 차양막(300)이 권취된 권취롤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차양막의 전단에 설치된 포스트와 롤고정브라켓 사이에 절첩암(400)을 설치하여 구성된 차양에 있어서,
    상기 벽고정브라켓(10)의 일측에 하기 서포터(20)가 탈착가능하게 조립되는 서포터탈착홈(10g)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프레임 또는 차양 구성품을 포함하는 지지대상물의 일단을 지지하는 받침대(21)의 일단에 탈착날개(22)를 구비한 서포터(20)를 서포터탈착홈(10g)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게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설치용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서포터(20)의 받침대(21)에는 상부에 올려진 지지대상물이 받침대의 단부로 밀려 받침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구(23)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설치용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받침대(21)와 탈착날개(22)는 서로 직각 또는 예각을 이루어, 탈착날개가 벽고정브라켓의 서포터탈착홈에 끼워져 결합되었을 때, 받침대의 단부가 아래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설치용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서포터탈착홈(10g)은 벽고정브라켓의 전방에 형성된 두 개의 프레임고정날개(12) 사이의 안쪽 내벽에 측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설치용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차양 설치용 조립체를 설치하는 차향 설치방법에 있어서,
    벽에 소정 간격으로 두 개의 벽고정브라켓(10)을 고정한 후, 일측의 벽고정브라켓(10)에 형성된 서포터탈착홈(10g)에 서포터(20)의 탈착날개(22)를 끼워 서포터를 설치하며, 설치된 서포터의 받침대 상부에 고정프레임 또는 차양 구성품을 포함하는 지지대상물의 일단을 올려 받친 후, 타단을 들어 올리고, 고정프레임을 두 벽고정브라켓(10)쪽으로 밀어 벽고정브라켓(10)의 두 프레임고정날개(12) 사이에 끼워지게 하고, 고정수단을 프레임고정날개(12)에 설치하여 고정프레임을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 설치방법.
KR1020150161107A 2015-11-17 2015-11-17 차양 설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차양 설치방법 KR101652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107A KR101652338B1 (ko) 2015-11-17 2015-11-17 차양 설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차양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1107A KR101652338B1 (ko) 2015-11-17 2015-11-17 차양 설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차양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2338B1 true KR101652338B1 (ko) 2016-08-31

Family

ID=56877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1107A KR101652338B1 (ko) 2015-11-17 2015-11-17 차양 설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차양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3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586Y1 (ko) 2002-07-29 2002-10-25 주식회사 한썸 차양막이 구비된 어닝
KR101302689B1 (ko) 2013-01-14 2013-09-03 주식회사 한미하이텍 차양에 설치되는 보조차양
KR200470032Y1 (ko) * 2012-08-13 2013-11-25 박기정 어닝시스템의 브라켓 장치
KR101524353B1 (ko) * 2013-06-19 2015-06-04 이남수 방수형 어닝 마운트 블록, 어닝 마운트 블록을 포함하는 어닝 마운트 구조체 및 어닝 마운트 구조체를 사용하여 조립된 어닝 구조물
KR101531675B1 (ko) 2014-05-22 2015-06-30 주식회사 한미하이텍 접이식 차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586Y1 (ko) 2002-07-29 2002-10-25 주식회사 한썸 차양막이 구비된 어닝
KR200470032Y1 (ko) * 2012-08-13 2013-11-25 박기정 어닝시스템의 브라켓 장치
KR101302689B1 (ko) 2013-01-14 2013-09-03 주식회사 한미하이텍 차양에 설치되는 보조차양
KR101524353B1 (ko) * 2013-06-19 2015-06-04 이남수 방수형 어닝 마운트 블록, 어닝 마운트 블록을 포함하는 어닝 마운트 구조체 및 어닝 마운트 구조체를 사용하여 조립된 어닝 구조물
KR101531675B1 (ko) 2014-05-22 2015-06-30 주식회사 한미하이텍 접이식 차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1313B2 (en) Portable roll up window blind
KR101345274B1 (ko) 스카이 어닝
KR101796394B1 (ko) 접이식 대형 파라솔
KR101637960B1 (ko) 이동식 하우스
WO2021185381A1 (zh) 一种新型集成装配式篷房
KR20130096950A (ko) 접철식 캐노피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캐노피
KR101531675B1 (ko) 접이식 차양
KR100777325B1 (ko) 접이식 차양
KR101652338B1 (ko) 차양 설치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차양 설치방법
US5816417A (en) Mini clothes line
US20170367447A1 (en) Cantilevered umbrella design with an arcuate guide track
KR101128503B1 (ko) 접이식 차양 구조물
KR20210135699A (ko) 차량용 차양막 골조구조
KR102013889B1 (ko) 건축물 베란다 난간구조물
KR101139907B1 (ko) 차양막 주름 방지를 위한 경첩형 장력조절장치
KR101302689B1 (ko) 차양에 설치되는 보조차양
US3487842A (en) Privacy/windbreak screen
US8683752B1 (en) Modular shelter assembly
KR102013885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발코니 난간
KR200470032Y1 (ko) 어닝시스템의 브라켓 장치
KR101614648B1 (ko) 멀티 차양 파라솔
US10876759B2 (en) Dry open window (DOW) apparatus
JP2004132053A (ja) 日除け装置及び汎用取付け装置
KR20190108322A (ko) 어닝 시스템용 고정브래킷
AU2014301964A1 (en) A structure adapted to depend from a roller of a retractable aw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