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5699A - 차량용 차양막 골조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차양막 골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5699A
KR20210135699A KR1020200053664A KR20200053664A KR20210135699A KR 20210135699 A KR20210135699 A KR 20210135699A KR 1020200053664 A KR1020200053664 A KR 1020200053664A KR 20200053664 A KR20200053664 A KR 20200053664A KR 20210135699 A KR20210135699 A KR 20210135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rame
main frame
awn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일
Original Assignee
김세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일 filed Critical 김세일
Priority to KR1020200053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5699A/ko
Publication of KR20210135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6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상부에 결합가능한 차량결합부와, 상기 차량결합부에 의해 차량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루프랙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차양막 골조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루프랙의 일단에 각각 결합되는 프레임결합구와, 상기 프레임결합구의 일단에 형성되고 축공을 구비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하부축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회전대와, 상기 회전대의 상부에는 상부축에 의해 역시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회전대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회전억제수단으로 구성되는 차량용 차양막 골조구조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차양막을 차량 위에 탑재가 용이하고, 또 차량에 메인프레임이 직접 설치되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시에는 메인프레임의 높이를 높여 차양막이 차량 높이보다 높이 설치되도록 하고, 차량 주행시에는 메인프레임의 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저항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이 직접 차체에 고정된 구조로 상기 메임프레임에 보강대를 이용하여 보조프레임과, 보조연장프레임이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보조프레임에 지주만 세우면 되므로 별도의 견인줄 설치를 위한 말뚝 등이 필요없게 되어 장소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신속한 설치와 쉬운 설치가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차양막 골조구조{SUNSHIELD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차양막 골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상단에 결합된 골조를 활용하여 차량 측면에 비나 햇볕을 가릴 수 있는 차양막을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차양막 골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차양막 골조는 차량을 이용한 아웃도어 활동시 별도의 천막이나 햇볕가리개를 설치하지 않고, 차량에 직접 차양막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특히 차량을 가지고 가서 소풍 또는 야영을 하고자 할 때 별도의 기둥을 세우거나 말뚝을 박지 않아도 차량의 지지에 의해 차양막을 칠 수 있다는 점에서 활용도가 매우 높다.
상기 차양막이란 비나 햇볕을 가리기 위한 천을 골조에 의해 지탱하도록 함으로써 그늘을 형성하게 되는데,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차양막의 각 모서리에 힘을 가해 당겨서 넓게 벌릴 수 있어야 하며, 이를 버티기 위한 골조의 구조가 필연적이다.
그러나 외부, 즉 아웃도어 환경에서는 차양막을 고정하기 위한 적절한 고정 대상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많고, 이런 경우에는 차양막을 펼칠 수도 없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차량(A)의 지붕에 폭 방향으로 설치된 적어도 2조의 루프랙(B, roof rack)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로 개방된 'J' 형상으로 곡면을 구비한 고정구(200);와,
상기 루프랙간의 최대 간격보다 길이가 길고 상기 고정구(200)의 곡면에 대응하는 지름을 갖는 결합봉(110)과; 상기 결합봉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고, 상기 결합봉(110)이 일단에 내입가능하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길이방향 중간에서 상기 루프랙에 대응되는 곳에는 결합봉(11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일부가 절개된 차양막(100, 遮陽幕)을 포함하여, 상기 결합봉(110)의 노출된 중간부분이 고정구(200)에 상부로부터 끼워져 안착됨으로써 빠지지 않고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결합가능한 차양막의 고정구조가 등록특허 10-1508336호로 개발되어 있으나, 상기한 종래 차량용 차량막은 차양막의 가장자리에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에 차량에 설치된 골조에 걸어서 고정하는 구조여서 필연적으로 차양막을 당기기 위한 견인줄을 사방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구조이다.
이는 신속하게 설치할 수 없고, 설치가 곤란하며, 무엇보다 자갈밭과 같이 말뚝을 박을 수 없는 장소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517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차양막을 차량 위에 보관함을 통해 탑재가 용이하고, 또 차량에 메인프레임이 직접 설치되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차양막의 높이를 높이거나 낮출 수 있어 사용의 편리함을 도모하고, 메인프레임이 직접 차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보강대 및 보조프레임, 보조연장프레임 등을 지탱하도록 함으로써 말뚝을 박아야 할 필요가 없게 되어 장소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는 차량용 차양막 골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차양막 골조구조는, 차량의 상부에 결합가능한 차량결합부와, 상기 차량결합부에 의해 차량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루프랙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한쌍의 루프랙의 일단에 각각 결합되는 프레임결합구와, 상기 프레임결합구의 일단에 형성되고 축공을 구비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하부축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회전대와, 상기 회전대의 상부에는 상부축에 의해 역시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회전대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회전억제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억제수단(200)으로는 프레임결합구(130)의 브라켓(132)에 형성되는 핀공(134,134a)과, 역시 회전대(140)의 일측에 형성되는 핀끼움공(143)과, 상기 핀끼움공(143)과 핀공(134,134a)에 끼워져 회전대(140)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핀(2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결합구의 일단에는 장공이 형성되어 루프랙에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가능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축에 스프링이 끼워진 상태로 메인프레임에 내장되되, 상기 스프링의 양측 돌출부 중 일단은 상부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메인프레임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회전대를 눕혔다가 세울 때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보다 수월하게 세울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프레임에 보강대를 유볼트로 결합하되, 상기 보강대에는 차양막과 지주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이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보강대에 보조프레임이 연결되거나 보조연장프레임이 내삽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차양막을 차량 위에 탑재가 용이하고, 또 차량에 메인프레임이 직접 설치되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시에는 메인프레임의 높이를 높여 차양막이 차량 높이보다 높이 설치되도록 하고, 차량 주행시에는 메인프레임의 높이를 낮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저항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이 직접 차체에 고정된 구조로 상기 메임프레임에 보강대를 이용하여 보조프레임과, 보조연장프레임이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보조프레임에 지주만 세우면 되므로 별도의 견인줄 설치를 위한 말뚝 등이 필요없게 되어 장소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신속한 설치와 쉬운 설치가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차량용 차양막 골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메인프레임과 회전대 부분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메인프레임과 회전대의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사시도로써, (가)도는 회전대를 세운 상태이고, (나)도는 회전대를 눕힌 상태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메인프레임과 회전대의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측면도로써, (가)도는 회전대를 세운 상태이고, (나)도는 회전대를 눕힌 상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이기위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차량용 차양막 골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서 메인프레임과 회전대 부분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메인프레임과 회전대의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사시도로써, (가)도는 회전대를 세운 상태이고, (나)도는 회전대를 눕힌 상태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메인프레임과 회전대의 결합상태를 보이기 위한 측면도로써, (가)도는 회전대를 세운 상태이고, (나)도는 회전대를 눕힌 상태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이기위한 참고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참고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 차량용 차양막 골조구조는 차량(A)의 상부에 결합가능한 차량결합부(110)와, 상기 차량결합부(110)에 의해 차량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루프랙(1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한쌍의 루프랙(120)의 일단에 각각 결합되는 프레임결합구(130)와, 상기 프레임결합구(130)의 일단에 형성되고 축공(133)을 구비하는 브라켓(132)과, 상기 브라켓(132)에 하부축(180)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회전대(140)와, 상기 회전대(140)의 상부에는 상부축(190)에 의해 역시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메인프레임(150)과, 상기 회전대(140)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회전억제수단(2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대(140) 중 어느 하나에는 회전억제수단(200)을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회전억제수단(200)으로는 프레임결합구(130)의 브라켓(132)에 형성되는 핀공(134,134a)과, 역시 회전대(140)의 일측에 형성되는 핀끼움공(143)과, 상기 핀끼움공(143)과 핀공(134,134a)에 끼워져 회전대(140)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핀(20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프레임결합구(130)의 브라켓(132)에는 핀공(134,134a)이 2개가 형성되어 이중 어느 하나의 핀공(134)에는 회전대(140)가 세워졌을 때 핀(200)을 꽂아서 회전대(140)를 고정하도록 하고, 다른 하나의 핀공(134a)에는 회전대(140)가 눕혀졌을 때 핀(200)을 꽂아서 회전대(140)를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 차량결합부(110)는 루프랙(120)을 차량의 차체 상부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 차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오목홈 또는 돌출부(B)에 끼워지거나 물어서 결합하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서는 집게방식의 구조를 일예로 도시하였다.
이때 상기 프레임결합구(130)의 일단에는 장공(131)이 형성되어 루프랙(120)에 체결구(112)에 의해 결합된 상태인데 체결구(112)를 헐겁게 한 다음 프레임결합구(130)를 좌우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다음 다시 체결구(112)를 잠궈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는 메인프레임(150)의 위치를 차량으로 부터 소정간격 이격시켜 설치하고자 할 때 필요한 구성이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축(190)에 스프링(145)이 끼워진 상태로 메인프레임(150)에 내장되되, 상기 스프링(145)의 양측 돌출부(B) 중 일단은 상부축(190)에 고정되고 타단은 메인프레임(150)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회전대(140)를 눕혔다가 세울 때 스프링(145)의 탄성에 의해 보다 수월하게 회전대(140)를 세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50)에 보강대(160)를 유볼트(170)로 결합하되, 상기 보강대(160)에는 차양막(163)과 지주(162)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210)이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보강대(160)에 보조연장프레임(161a)이 내삽되거나 보조프레임(160a)이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연장프레임(161a)은 보강대(160)에 삽입된 상태로 연장시키고자 할 때는 원하는 길이만큼 뽑아서 사용하게 된다. 또 보조프레임(160a)은 메인프레임(150)과 평행을 이뤄 차양막(163)의 천정골조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보조프레임(160a)의 하부에는 지주(152)를 설치하여 차양막(163)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10: 차량결합부
120: 루프랙
130: 프레임결합구
140: 회전대
150: 메인프레임
200: 회전억제수단
A: 차량
B: 루프랙(roof rack)

Claims (4)

  1. 차량의 상부에 결합가능한 차량결합부와, 상기 차량결합부에 의해 차량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루프랙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차양막 골조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루프랙의 일단에 각각 결합되는 프레임결합구와,
    상기 프레임결합구의 일단에 형성되고 축공을 구비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하부축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회전대와,
    상기 회전대의 상부에는 상부축에 의해 역시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회전대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회전억제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양막 골조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억제수단(200)으로는 프레임결합구(130)의 브라켓(132)에 형성되는 핀공(134,134a)과, 역시 회전대(140)의 일측에 형성되는 핀끼움공(143)과, 상기 핀끼움공(143)과 핀공(134,134a)에 끼워져 회전대(140)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핀(2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양막 골조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축에 스프링이 끼워진 상태로 메인프레임에 내장되되, 상기 스프링의 양측 돌출부 중 일단은 상부축에 고정되고 타단은 메인프레임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회전대를 눕혔다가 세울 때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보다 수월하게 세울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양막 골조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결합구의 일단에는 장공이 형성되어 루프랙에 결합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가능토록 체결구로 결합하고, 메인프레임에는 보강대가 형성되어 상기 보강대에 차양막과 지주를 보관할 수 있는 보관함이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보강대에 보조프레임이 연결되거나 보조연장프레임이 내삽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양막 골조구조.
KR1020200053664A 2020-05-06 2020-05-06 차량용 차양막 골조구조 KR202101356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664A KR20210135699A (ko) 2020-05-06 2020-05-06 차량용 차양막 골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664A KR20210135699A (ko) 2020-05-06 2020-05-06 차량용 차양막 골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699A true KR20210135699A (ko) 2021-11-16

Family

ID=78717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664A KR20210135699A (ko) 2020-05-06 2020-05-06 차량용 차양막 골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3569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218B1 (ko) * 2022-08-26 2023-09-11 주식회사 케이지 교통표지판
KR102580020B1 (ko) * 2022-08-26 2023-09-19 주식회사 케이지 차양수단을 구비한 교통표지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218B1 (ko) * 2022-08-26 2023-09-11 주식회사 케이지 교통표지판
KR102580020B1 (ko) * 2022-08-26 2023-09-19 주식회사 케이지 차양수단을 구비한 교통표지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58145A (en) Portable awning assembly
US8393343B2 (en) Railing mounted shade
US7946306B2 (en) Portable garage
US5287871A (en) Vehicle sun shade
US8113259B2 (en) Side shade for an awning
KR20210135699A (ko) 차량용 차양막 골조구조
US11384560B2 (en) Awning assembly
US20090277487A1 (en) Portable shelter
KR102024632B1 (ko) 관절형 이동통신 안테나 고정용 브라켓
AU2011100415B9 (en) Awning and frame assembly therefor
CN205890521U (zh) 车用户外遮阳伞
US3349784A (en) Shelter attachment for automboiles
US20070056222A1 (en) Extendable support braces for a screened enclosure
US10876319B2 (en) Roof shade apparatus
US20130098409A1 (en) Umbrella with Wind-Compliant Canopy Attachment
KR102170358B1 (ko) 텐트 및 타프 폴대 연결용 조인트
US20240181850A1 (en) Supporting golf-cart pivotal windshield for use as table
CN212105373U (zh) 一种便携式多功能户外帐篷
CN220986403U (zh) 一种斜撑式大面积张网器
AU2020103660A4 (en) Retractable awning assembly
CN211396756U (zh) 一种岗亭伞
AU703978B2 (en) Support rail for caravan awning side walls
JP3056931U (ja) 建築物用オーニング
AU2015100823B4 (en) A post attachment for a camper trailer awning frame and awning frame elements
CN2459212Y (zh) 农机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110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430

Effective date: 20220705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