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763Y1 - 낙하물 방지 안전망 설치시스템 - Google Patents

낙하물 방지 안전망 설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8763Y1
KR200398763Y1 KR20-2005-0020314U KR20050020314U KR200398763Y1 KR 200398763 Y1 KR200398763 Y1 KR 200398763Y1 KR 20050020314 U KR20050020314 U KR 20050020314U KR 200398763 Y1 KR200398763 Y1 KR 2003987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net
horizontal
vertical fixing
pip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03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이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호 filed Critical 이정호
Priority to KR20-2005-00203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87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87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87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18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cantilevers or other provisions mounted in openings in the building, e.g. window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E04G7/12Clamps or clips for cross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낙하물 방지 안전망 설치시스템은 브라켓의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자동 클램프를 고정설치하고, 이 자동 클램프에 수평파이프를 설치한 후 낙하물 방지 안전망의 상부 측면에 경사고정파이프를 회동가능하게 연결한 낙하물 방지 안전망의 하단부를 브라켓의 후방 자동 클램프에 고정된 수평파이프에 자동클램프로 연결하고, 경사고정파이프를 전방 자동클램프에 설치된 수평파이프에 연결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설치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경사각도 조절가능하여 안전망 설치 및 분리 작업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낙하물 방지 안전망 설치시스템{SAFETY NET INSTALLING SYSTEM FOR PREVENTING HURTING HUMAN BEINGS FROM FALLING THINGS}
본 고안의 낙하물 방지 안전망 설치시스템은 건축현장에 설치되는 비계 설치물에 간단히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고층으로부터 떨어지는 낙하물로 부터 사람들이 상해를 입지 않도록 발코니 단턱부에 간단히 설치되어 건축물 외부로 돌출 설치되는 낙하물 안전망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안전망은 건축 구조물 등의 신축시에 상방으로부터 낙하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조물의 주위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안전망을 설치하기 위해 고정구와 파이프 등을 이용하였으나 안전망의 상부로 파이프나 줄이 노출되어 상방으로부터 떨어지는 낙하물이 이들 노출된 파이프나 줄에 부딪쳐서 안전망 외부로 낙하되어 인명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의 출원인이 이를 방지 하기 위해 실용신안등록 제20-0383907호(등록일: 2005년 5월 2일)를 개발하였으나 이 낙하물 방지 안전망 고정구는 그 설치가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지나, 그 제조비용이 값비싸서 갈수록 경쟁이 치열해지는 국내 건설현장에 쉽게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출원인은 현재 통상적으로 제조되어 건설현장에 사용되고 있는 쌍줄브라켓의 구조를 적용하여 그 제조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설치도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본 고안을 개발한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은 제조비용이 값싸고 설치도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낙하물 방지 안전망 설치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와 같은 목적은 통상의 발코니 단턱부에 고정되는 안전망 고정구의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전,후방부의 위치에 자동클램프를 설치하고, 수평파이프를 자동클램프로 고정설치하며, 설치된 수평파이프에 안전망의 하부를 고정한 후 안전망의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경사고정파이프를 수평파이프에 고정하여 안전망의 상부로 끈, 파이프 등이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낙하물 방지 안전망 설치시스템은 안전망을 고정하기 위한 파이프나 줄(rope)이 안전망 상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발코니 단턱부(W)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1세로고정막대(3),
이 제1세로고정막대(3)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발코니 단턱부(W)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2세로고정막대(2),
제1 및 제2세로고정막대(3, 2)를 연결하고 발코니 단턱부(W)의 상부에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제1 및 제2세로고정막대(3, 2) 상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길게 연장되고,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제1 및 제2 수평파이프(70a, 70b)를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 자동클램프(8a, 8b)가 설치된 가로고정막대(1),
제2세로고정막대(2)와 길게 연장된 가로고정막대(1) 사이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결합되어 가로고정막대(1)를 지지하는 경사고정막대(7)
제1세로고정막대(3)에는 통상의 안전망 고정구(10)에서와 같이 고정판(6)과 손잡이(4)가 나사봉(5)으로 구성되는 안전망 고정구(10);
제1 수평파이프(70a)에 하부가 직접 고정되고, 상부는 경사고정파이프(30)에 의해 제2 수평파이프(70b)에 고정되는 안전망(20);
상단부는 안전망(20)의 상부에 고정되고, 하단부 측은 제2 수평파이프(70b)에 고정되는 경사고정파이프(30);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즉, 상부에 제 1 및 제2 수평파이프(70a, 70b)를 설치하기 위해 제1 및 제2 자동클램프(8a, 8b)를 갖춘 안전망 고정구(10)와, 이 안전망 고정구(10)에 설치된 제1 및 제2 수평파이프(10a, 10b)에 설치되는 안전망(20)과, 안전망(20)의 상부를 제2 수평파이프(10b)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경사고정파이프((30)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낙하물 방지 안전망 설치시스템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낙하물 방지 안전망 설치시스템은 제1,2세로고정막대(3, 2)와, 가로고정막대(1), 및 경사고정막대(7)로 구성되고, 가로고정막대(1)의 상부 선단부 및 제2세로고정막대(2) 상측 부근 위치에 제 1및 제2 수평파이프(70a, 70b)를 지지하기 위한 자동클램프(8a, 8b)가 각각 고정되어 있는 안전망 고정구(10)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안전망(20)은 하부부분이 절곡되어 돌출된 파이프 단부에 자동클램프(40)가 설치되어 안전망 고정구(10) 등에 설치된 수평파이프, 예컨대 제1 수평파이프(70a)에 간단히 체결하여 연결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망(20)의 상부 부분은 경사고정파이프(30)가 아이볼트(60)와, 볼트(62) 및 너트(61)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낙하물 방지 안전망 설치시스템은 먼저 안전망 고정구(10)들을 소정 간격으로 발코니 단턱부(W)에 손잡이(4)로 고정시키고, 상부의 제1 및 제2 자동 클램프(8a, 8b)에 수평파이프(70a, 70b)들을 각각 설치한다. 그 다음 안전망(20)의 하부를 클램프(40)에 의해 제1 수평파이프(70a)에 가고정한 후 안전망(20)의 상부에 미리 결합된 경사고정파이프(30)의 하부를 자동클램프(50)를 이용하여 제2수평파이프(70b)에 고정시킨다. 이때 경사고정파이프(30)의 상부는 안전망(20)의 측면프레임(21)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어서, 경사고정파이프(30)를 상방으로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안전망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경사고정파이프(30)의 상부는 아이볼트(60) 및 볼트(62)와 너트(61)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안전망 측면프레임(21)에 고정되어 경사고정파이프(30)가 안전망(20)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안전망 고정구는 브라켓의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자동 클램프를 갖추고, 이 자동클램프에 고정되는 수평파이프에 통상의 클램프를 적용함으로써 부주의하게 발생되는 낙하물로부터 상해를 입지 않게 함은 물론, 그 제조 비용 및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3은 도1의 "F"부분 확대도
도4는 도1의 "G"부분 확대도.
도5는 도1의 "H"부분 확대도
도6은 부분 확대부분을 보이는 부분 절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가로고정막대 2: 제2세로고정막대
3: 제1세로고정막대 4: 손잡이
5: 결합나사봉 6: 고정판
7: 경사고정막대 8a: 제1 자동클램프
8b: 제2 자동클램프 10: 안전망 고정구
20: 안전망 30: 경사고정파이프
70a: 제1수평파이프 70b: 제2수평파이프

Claims (5)

  1. 안전망 고정구(10)의 상방에 상호 이격되게 제1 및 제2 자동클램프(8a, 8b)가 설치되고,
    이 안전망 고정구(10)를 발코니 단턱부(W)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한 후 제 1 및 제2 자동클램프(8a, 8b)들에 제1 및 제2 수평파이프(70a, 70b)를 설치하며,
    안전망(10)의 하부를 자동클램프(40)에 의해 제1 수평파이프(70a)에 고정하고,
    상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경사고정파이프(30)의 하부를 제2수평파이프(70b)에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 안전망 설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안전망 고정구(10)는
    발코니 단턱부(W)의 내측에 위치되는 제1세로고정막대(3),
    이 제1세로고정막대(3)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발코니 단턱부(W)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2세로고정막대(2),
    제1 및 제2세로고정막대(3, 2)를 연결하고 발코니 단턱부(W)의 상부에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제1 및 제2세로고정막대(3, 2) 상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길게 연장되고,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어 제1 및 제2 수평파이프(70a, 70b)를 각각 지지하는 제1 및 제2 자동클램프(8a, 8b)가 설치된 가로고정막대(1),
    제2세로고정막대(2)와 길게 연장된 가로고정막대(1) 사이에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결합되어 가로고정막대(1)를 지지하는 경사고정막대(7)
    제1세로고정막대(3)에는 통상의 안전망 고정구에서와 같이 고정판(6)과 손잡이(4)가 나사봉(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 안전망 설치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경사고정파이프(30)는 안전망(20)의 측면프레임(2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 안전망 설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제1 자동 클램프(40a)는 제1세로고정막대(3)에 인접하여 그리고 제2 자동 클램프(40b)는 제2세로고정막대(2) 전방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 안전망 설치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낙하물 방지 안전망(20)은 절곡되어 돌출된 양단부에 자동클램프(4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물 방지 안전망 설치시스템.
KR20-2005-0020314U 2005-07-12 2005-07-12 낙하물 방지 안전망 설치시스템 KR2003987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314U KR200398763Y1 (ko) 2005-07-12 2005-07-12 낙하물 방지 안전망 설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0314U KR200398763Y1 (ko) 2005-07-12 2005-07-12 낙하물 방지 안전망 설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8763Y1 true KR200398763Y1 (ko) 2005-10-18

Family

ID=43699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314U KR200398763Y1 (ko) 2005-07-12 2005-07-12 낙하물 방지 안전망 설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87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291B1 (ko) 2007-01-30 2007-12-07 주식회사 엠코 건설현장용 비현수식 안전망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291B1 (ko) 2007-01-30 2007-12-07 주식회사 엠코 건설현장용 비현수식 안전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36889C (en) Roof perimeter cable guard system
KR100601790B1 (ko) 건축용 난간 보강구조
AU2005211415A1 (en) Suspended storage shelf
CA2060968C (en) Awning support brace
JP5160143B2 (ja) 吊足場構造
WO1998026141A1 (en) Pivot bracket
KR200398763Y1 (ko) 낙하물 방지 안전망 설치시스템
KR102070711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펜스의 가로대 고정구
KR102092902B1 (ko) 견고성을 갖도록 형성한 조립형 기능성 휀스
KR200386867Y1 (ko) 안전방호망장치
NZ566777A (en) Ladder steady and gutter bracket
KR101017373B1 (ko) 핸드레일
KR100931957B1 (ko) 조립식 펜스
KR20110044009A (ko) 가로등용 조류 퇴치기
JPS6025443Y2 (ja) バルコニ−
KR200414304Y1 (ko) 에어컨 실외기 고정대
KR200383907Y1 (ko) 안전망 고정구
US7003816B1 (en) Fence system for an above-the-ground swimming pool
KR100714070B1 (ko)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
JP3670136B2 (ja) 手摺りの支持構造
KR102183911B1 (ko) 공동주택용 발코니 난간보강구
KR20120087497A (ko) 확장형 발코니용 브라켓
AU729560B2 (en) Rafter support bracket
KR200367402Y1 (ko) 건설공사용 안전망 가설구조
JP3710223B2 (ja) 防鳥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