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3291B1 - 건설현장용 비현수식 안전망장치 - Google Patents

건설현장용 비현수식 안전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291B1
KR100783291B1 KR1020070009360A KR20070009360A KR100783291B1 KR 100783291 B1 KR100783291 B1 KR 100783291B1 KR 1020070009360 A KR1020070009360 A KR 1020070009360A KR 20070009360 A KR20070009360 A KR 20070009360A KR 100783291 B1 KR100783291 B1 KR 100783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afety net
fixing frame
vertical wall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훈
윤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코
Priority to KR1020070009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2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23Means supported by building floors or flat roofs, e.g. safety railings
    • E04G21/3233Means supported by building floors or flat roofs, e.g. safety railings without permanent provision in the floor or roof
    • E04G21/3242Means supported by building floors or flat roofs, e.g. safety railings without permanent provision in the floor or roof us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현장용 비현수식 안전망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소정 메쉬로 연속되는 안전망과, 상기 안전망의 하부에 완충공간을 형성하도록 지지해주는 수단으로서 그 주지지대 상의 스트레스 집중부위를 이중관 형태로 중첩 형성함과 아울러 이를 중심으로 삼각트러스 형태를 이루는 보조지지대 및 보강트러스로 보강하여서 된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슬래브 또는 그 슬래브 단부의 수직벽체(옹벽)에 고정시켜주는 지지대 분리형의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바이스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지지대 구조에 의하면, 안전망과 지지대 사이에 완충공간이 형성·유지될 수 있는 비현수식(Wireless Type)의 지지구조를 이룸으로써 건축자재 잔재물 등의 낙하나 작업자의 추락시 와이어 또는 안전망 지지대와 직접적으로 충돌할 수 있었던 위험성을 배제할 수 있으며, 지지대와 바이스부재가 분리 및 결합 가능하고 보다 경량화 및 보강된 구조를 이룸으로써 운반 및 설치가 간편하여 시공성 향상은 물론 전체 공사기간이 단축되어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안전망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안전망, 비현수식 지지대, 바이스부재, 보강트러스, 이중관형 주지지대

Description

건설현장용 비현수식 안전망장치{Non-suspended type safety net assembly for construction fiel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용 비현수식 안전망장치에 적용되는 지지대 및 바이스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비현수식 안전망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현수식 안전망장치에 적용되는 지지대 및 바이스부재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비현수식 안전망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현수식 안전망장치에 적용되는 바이스부재에 대한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시공구조물의 수직벽체 쪽에 죄어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구조 및 그 설치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현수식 안전망장치에 적용되는 바이스부재에 대한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시공구조물의 수직벽체 쪽에 보울트와 너트를 관통시켜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구조 및 그 설치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현수식 안전망장치에 적용되는 바이스부재에 대한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시공구조물의 슬래브 단부 쪽에 죄어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구조 및 그 설치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 측면도이다.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현수식 안전망장치의 일반적 구조 및 그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 상향경사각 d ; 최대완충간극
e ; 탄력지지구간 r ; 강화지지구간
F ; 지지대(Frame) 1 ; (콘크리트) 슬래브
2 ; 수직벽체 3 ; 완충공간
10 ; 안전망(Safety Net)
20, 30, 40 ; 바이스부재(Vise Member)
21, 31 ; 41 ; 고정틀 22, 42 ; 압착체결구
23, 33, 43 ; 클램프 24, 34, 44 ; 주지지대 접속부
32 ; 관통체결구(보울트&너트) 50, 60 ; 주지지대(Main Frame)
51, 61 ; 보조지지대(Sub-frame)
52, 62 ; 보강트러스(Reinforcement Truss)
53, 54, 63, 64 ; 횡단보강대 56, 66 ; 안전망 고정링
57, 67 ; 심관 65 ; 망 거치대(Net Support)
150 ; 지지대 160 ; 와이어 161 ; 턴버클
본 발명은 건설현장용 비현수식 안전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전망과 지지대 사이에 완충공간이 형성·유지될 수 있는 비현수식(Wireless Type)의 지지구조를 이룸으로써 건축자재 잔재물 등의 낙하나 작업자의 추락시 와이어 또는 안전망 지지대와 직접적으로 충돌할 수 있었던 위험성을 배제할 수 있으며, 지지대와 바이스부재가 분리 및 결합 가능하고 보다 경량화 및 보강된 구조를 이룸으로써 운반 및 설치가 간편하여 시공성 향상은 물론 전체 공사기간이 단축되어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건설현장용 비현수식 안전망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중인 구조물이 3층 이상일 때에는 공구 또는 건축자재의 낙하나 작업자의 추락방지를 위하여 그 구조물의 외부에 반드시 안전망을 설치하도록 법제화되어 있다.
도 8은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현수식 안전망장치의 구조 및 그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안전망장치는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1) 또는 그 슬래브(1) 단부의 수직벽체(옹벽)(2)에 고정되는 일체형의 지지대(150)와, 상기 지지대(150)의 선단부와 상층의 슬래브(1) 외벽간에 설치되어 장력을 유지하며 상기 지지대(150)를 현수시켜 지탱해주는 와이어(160)와, 상기 지지대(150)의 상부에 접촉하여 설치되는 안전망(1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안전망장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60)는 상기 지지대(150)를 지탱해주는 수단으로서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라 할 수 있으며,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61은 설치된 와이어(16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턴버클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150)는 안전망(10)이 전개되어 설치되고 이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기 위한 일정치 이상의 강도를 요하는 구조물로서, 보다 안정적인 강도를 발휘하기 위해 비교적 굵은 관경으로 된 금속파이프 등 다수의 자재를 종횡으로 배열하여서 된 사각격자형의 지지틀 형태를 유지하고, 또한 그 일단부에는 건축구조물의 슬래브(1) 또는 수직벽체(2)에 설치하기 위한 바이스부재(도면부호 미도시)가 용접되어 일체화 된 중량체의 구조를 이룬다.
따라서, 작업자가 여러 명 동원된다 하더라도 상당한 중량체인 지지대(150)를 직접 옮겨 설치한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건설현장에서 건축구조물 외부에 안전망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크레인이 동원되어야 하며, 이와 같이 크레인을 사용하여 다수의 지지대를 필요한 위치마다 옮겨가며 건축구조물의 수직벽체(2)상에 고정하고 각 지지대(150)의 선단부에 와이어(160)를 연결한 후에야 비로소 상기 지지대(150)의 상부에 안전망(10)을 설치할 수 있게 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안전망을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할애되어 결국 전체 건축 공정상의 작업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안전망 설치과정에 있어서, 크레인의 사용에 따른 별도의 장비 및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므로 지지대의 운반 및 설치작업에 상당한 시간적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게 됨은 물론이고, 지지대 자체의 구조에 있어서도, 강도 보강을 위하여 다수의 자재가 소요됨에 따라 지지대 제작단가의 상승을 유발함으로써 전체건설비용도 동반 상승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현수식 안전망장치를 건설현장에 적용함에 있어서, 지지대의 확고한 지탱을 위하여 와이어가 설치됨으로써, 건축자재 잔재물 등이 낙하하는 경우에 그 낙하지점에 따라서는 상기 건축자재 잔재물 등이 와이어와 충돌한 후 그 탄력에 의해 안전망 밖으로 튕겨져 나가 보행인들에게 심각한 상해를 입힐 수 있는 위험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와이어나 지지대 상에 떨어지는 경우에는 직접적인 충돌로 인한 2차 재해를 유발함에 따라 자칫 더 큰 부상을 입게 되거나 심지어는 사망으로 이어질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주목적은, 안전망 지지대의 선단부를 와이어로 연결하여 지탱하지 않아도 되는 비현수식(Wireless Type)의 지지구조를 구현함과 아울러 안전망과 지지대 사이에 완충공간이 형성·유지될 수 있는 지지구조를 이룸으로써, 작업자의 추락시 그 추락위치에 따라서는 와이어 또는 안전망 지지대와 직접적으로 충돌할 수 있었던 위험성을 배제하여 안전시설물 자체의 구조적 결함으로 인한 작업자의 2차 상해를 사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건설현장용 비현수식 안전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일체형 지지대의 구조를 지지대와 바이스부재를 각각 분리하여 구성함과 아울러 그 지지대 자체가 보다 안정적인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경량화된 구조를 이룸으로써, 지지대를 작업자가 직접 운반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 향상은 물론 전체 공사기간이 단축되어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안전망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건설현장용 비현수식 안전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용 비현수식 안전망장치는, 소정 메쉬로 연속되는 안전망과; 상기 안전망의 양쪽 모서리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링이 양단부에 각각 마련된 안전망 지지수단으로서, 상기 안전망에 중량 부하시의 스트레스 집중부위를 보강 처리한 하부의 주지지대와, 상부 한 쌍의 보조지지대가 역삼각형의 각 꼭지점 상에서 대략 일방향을 지향한 채 병렬 배치되고, 상기 역삼각형을 잇는 각 면 및 사선방향을 따라 다수의 횡단보강대 및 보강트러스가 다수열 배치되어 상기 주지지대 및 보조지지대와 일체로 삼각트러스 형태를 이루며 보강되어지며, 상기 안전망에 중량 부하시 그 중량체와 상기 주지지대 및 보조지지대와의 직접 접촉에 의한 충돌을 유발하지 않는 완충공간을 상기 안전망의 하부에 형성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주지지대의 선단부쪽으로 소정 범위 내의 상향경사각을 유지하도록 된,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비현수식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슬래브 또는 그 슬래브 단부의 수직벽체에 고정시켜주는 지지대 분리형의,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바이스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주지지대는, 상기 바이스부재와 인접하는 후단으로부터 상기 주지지대의 전체길이 중 대략 1/4 지점에 이르는 길이까지의 내측으로 심관이 중첩 삽입되어 그 스트레스 집중부위에 대해 부분적 이중관 형태로 보강된 강화지지구간을 이루고, 상기 심관이 삽입되지 않은 주지지대의 선단부쪽 나머지 3/4 길이 부분 에 대해서는 상기 주지지대 고유의 탄성을 유지할 수 있는 탄력지지구간으로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지지대는, 그 선단부쪽으로 상향 만곡호형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상기 지지대의 선·후단부에 안전망의 양쪽 모서리가 각각 고정될 때 상기 안전망과 상기 주지지대 사이에 소정 폭의 최대완충간극을 유지하는 완충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주지지대는, 그 선단부를 향해 수평면으로부터 소정각도를 이루며 직선상으로 연장 형성되어지되 그 선단부에는 삼각트러스 구조의 망 거치대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망 거치대의 첨단과 상기 지지대의 후단부에 안전망의 양쪽 모서리가 각각 고정될 때 상기 안전망과 상기 주지지대 사이에 소정 폭의 최대완충간극을 유지하는 완충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바이스부재는, 수직벽체의 상부를 감쌀 수 있는 대략 '7'자형 측면형상의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의 상측 전면쪽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의 상측 후단부를 상기 고정틀에 일체로 체결 고정시켜주는 착탈조작 가능한 클램프와, 상기 고정틀의 하측 전면쪽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하측 후단부를 삽입 수용하여 상기 고정틀에 상기 지지대가 지지되도록 해주는 주지지대 접속부와, 상기 고정틀의 후면쪽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틀이 수직벽체의 상부에 압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해주는 압착체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직벽체 죔 설치형의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바이스부재는, 수직벽체의 외측면상에 밀착되는 대략 '1'자형 측 면형상의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의 상측 전면쪽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의 상측 후단부를 상기 고정틀에 일체로 체결 고정시켜주는 착탈조작 가능한 클램프와, 상기 고정틀의 하측 전면쪽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하측 후단부를 삽입 수용하여 상기 고정틀에 상기 지지대가 지지되도록 해주는 주지지대 접속부와, 상기 고정틀 및 상기 수직벽체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틀이 수직벽체의 상부에 압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해주는 관통체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직벽체 관통체결형의 구조인 것도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바이스부재는, 슬래브의 단부를 감쌀 수 있는 대략 '디귿'자형 측면형상의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의 상측 전면쪽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의 상측 후단부를 상기 고정틀에 일체로 체결 고정시켜주는 착탈조작 가능한 클램프와, 상기 고정틀의 하측 전면쪽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하측 후단부를 삽입 수용하여 상기 고정틀에 상기 지지대가 지지되도록 해주는 주지지대 접속부와, 상기 고정틀의 후면쪽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틀이 슬래브의 단부에 압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해주는 압착체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슬래브 단부 죔 설치형의 구조인 것도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용 비현수식 안전망장치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건설현장용 비현수식 안전망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에 따른 안전망장치에 적용되는 지지대(F) 및 바이스부재(20)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장치에 적용되는 지지대(F) 및 바이스부재(20)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안전망장치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망장치에 적용되는 바이스부재(20)에 대한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시공구조물의 수직벽체(2) 쪽에 죄어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구조 및 그 설치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망장치에 적용되는 바이스부재(30)에 대한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시공구조물의 수직벽체(2) 쪽에 보울트와 너트(32)를 관통시켜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구조 및 그 설치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망장치에 적용되는 바이스부재(40)에 대한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시공구조물의 슬래브(1) 단부 쪽에 죄어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구조 및 그 설치상태를 도시한 부분확대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현장용 비현수식 안전망장치는 상기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각 부재를 다양한 형태의 구조로 구현함으로써 설치환경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2와, 도 3 및 도 4는, 보다 안정적으로 보강된 구조를 이루면서도 안전망(10)과 지지대(F) 사이에 완충공간(3)을 형성하기 위한 지지대(F)의 각 실시예들을, 또한 도 5 내지 도 7은, 슬래브(1) 또는 그 슬래브(1) 단부의 수직벽체(옹벽)(2) 등과 같이 설치환경의 차이에 따라 그에 적합한 지지대 고정수단을 구현하기 위한 바이스부재(20)(30)(40)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각각 제시하고 있으며, 아래에서 이들 각각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물론 어느 실시예든, 본 발명의 기본적 구성은, 소정 메쉬로 연속되는 안전망(10)과, 상기 안전망(10)의 하부에 완충공간(3)을 형성하도록 지지해주는 수단으로서 그 주지지대 상의 스트레스 집중부위를 이중관 형태로 중첩 형성함과 아울러 이를 중심으로 삼각트러스 형태를 이루는 보조지지대 및 보강트러스로 보강하여서 된 적어도 한 쌍 이상의 지지대(F)와, 상기 지지대(F)를 슬래브(1) 또는 그 슬래브(1) 단부의 수직벽체(2)에 고정시켜주는 지지대 분리형의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바이스부재로 이루어진다는 것은 동일하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현수식 안전망장치에 적용되는 지지대(F)를, 구성 및 작용 위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비현수식 안전망장치에 적용되는 지지대(F)는, 상기 안전망(10)의 양쪽 모서리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안전망 고정링(56)이 양단부에 각각 마련된 안전망 지지수단으로서, 상기 안전망(10)에 건축자재 잔재물의 낙하나 작업자의 추락 등에 의한 중량 부하시의 스트레스 집중부위를 보강 처리한 하부의 주지지대(50)와, 상기 주지지대(50)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는 직경의 상부 한 쌍의 보조지지대(51)가 역삼각형의 각 꼭지점 상에서 대략 일방향을 지향한 채 병렬 배치되고, 상기 역삼각형을 잇는 각 면 및 사선방향을 따라 다수의 횡단보강대(53)(54) 및 보강트러스(52)가 다수열 배치되어 상기 주지지대(50) 및 보조지지대(51)와 일체로 삼각트러스 형태를 이루며 보강되어지며, 상기 안전망(10)에 중량 부하시 그 중량체와 상기 주지지대(50) 및 보조지지대(51)와의 직접 접촉에 의 한 충돌을 유발하지 않는 완충공간(3)을 상기 안전망(10)의 하부에 형성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주지지대(50)의 선단부쪽으로 소정 범위 내의 상향경사각(a)을 유지하도록 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주지지대(50)는, 지지대(F)의 각 부위 중 중량 부하시 가장 스트레스가 많이 발생하는 강도 유지상의 핵심적 요소로서, 상기 바이스부재(20)와 인접하는 후단으로부터 상기 주지지대(50)의 전체길이 중 대략 1/4 지점에 이르는 길이까지의 내측으로 심관(57)이 중첩 삽입되어 그 스트레스 집중부위에 대해 부분적 이중관 형태로 보강된 강화지지구간(r)을 이루고, 상기 심관(57)이 삽입되지 않은 주지지대(50)의 선단부쪽 나머지 3/4 길이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주지지대(50) 고유의 탄성을 유지할 수 있는 탄력지지구간(e)으로 각각 형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지지대(50)는, 그 선단부쪽으로 상향 만곡호형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상기 지지대(F)의 선·후단부에 안전망(10)의 양쪽 모서리가 각각 고정될 때 상기 안전망(10)과 상기 주지지대(50) 사이에 소정 폭의 최대완충간극(d)을 유지하는 완충공간(3)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주지지대(50)는, 그 강화지지구간(r) 대(對) 탄력지지구간(e)의 길이비가 대략 1:3 정도를, 그리고 상기 횡단보강대(53)(54) 대(對) 주지지대(50)의 관경비가 대략 1:2 정도를 각각 유지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지지대(50)의 강화지지구간(r)에는 그 내부로 접하는 작은 직경의 심관(57)이 중첩 배치된 이중관의 구조로 보강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실제의 제작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상기 주지지대(50)의 길이는 2,000∼4,000mm의 범위 내에서, 상기 횡단보강 대(53)(54)의 최대길이는 350∼450mm의 범위 내에서 각각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안전망(10)을 지지대(F)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안전망(10)의 상향경사각(a)은, 통상적으로 20∼30°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안전망(10)과 지지대(F) 간의 최대이격부위에서의 최대완충간극(d)은, 400∼600mm의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제작하되 통상적으로 500mm 정도를 유지하면 적당하다.
한편, 상기 지지대(F)의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상기 바이스부재는, 수직벽체(2) 상에 설치할 것이냐 또는 슬래브(1) 단부에 설치할 것이냐 등과 같은 설치환경의 차이에 따라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그 일실시예로서의 상기 바이스부재(20)는 수직벽체 죔 설치형의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벽체(2)의 상부를 감쌀 수 있는 대략 '7'자형 측면형상의 고정틀(21)과, 상기 고정틀(21)의 상측 전면쪽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F)의 상측 후단부를 상기 고정틀(21)에 일체로 체결 고정시켜주는 착탈조작 가능한 한 쌍의 클램프(23)와, 상기 고정틀(21)의 하측 전면쪽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F)의 하측 후단부를 삽입 수용하여 상기 고정틀(21)에 상기 지지대(F)가 지지되도록 해주는 주지지대 접속부(24)와, 상기 고정틀(21)의 후면쪽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틀(21)이 수직벽체(2)의 상부에 압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해주는 압착체결구(22)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스부재(20)의 고정틀(21)은 C-채널 형강으로 제작되고, 상기 압착체결구(22)는 상기 고정틀(21)에 나사식으로 전·후진되는 통상의 바이스용 나사식 압착착탈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의 상기 바이스부재(30)는 수직벽체 관통체결형의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벽체(2)의 외측면상에 밀착되는 대략 '1'자형 측면형상의 고정틀(31)과, 상기 고정틀(31)의 상측 전면쪽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F)의 상측 후단부를 상기 고정틀(31)에 일체로 체결 고정시켜주는 착탈조작 가능한 한 쌍의 클램프(33)와, 상기 고정틀(31)의 하측 전면쪽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F)의 하측 후단부를 삽입 수용하여 상기 고정틀(31)에 상기 지지대(F)가 지지되도록 해주는 주지지대 접속부(34)와, 상기 고정틀(31) 및 상기 수직벽체(2)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틀(31)이 수직벽체(2)의 상부에 압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해주는 관통체결구(32)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서도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통체결구(32)는 부하의 정도를 감당할 수 있는 강도의 보울트와 너트를 적용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또는,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상기 바이스부재(40)는 슬래브 단부 죔 설치형의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브(1)의 단부를 감쌀 수 있는 대략 '디귿'자형 측면형상의 고정틀(41)과, 상기 고정틀(41)의 상측 전면쪽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F)의 상측 후단부를 상기 고정틀(41)에 일체로 체결 고정시켜주는 착탈조작 가능한 한 쌍의 클램프(43)와, 상기 고정틀(41)의 하측 전면쪽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F)의 하측 후단부를 삽입 수용하여 상기 고정틀(41)에 상기 지지대(F)가 지지되도록 해주는 주지지대 접속부(44)와, 상기 고정틀(41)의 후면쪽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틀(41)이 슬래브(1)의 단부에 압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해주는 압착체결구(42)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서도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착체결구(42)는 도 5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F)는, 설치환경에 따라 도 5 내지 도 7의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바이스부재를 적절히 선택하여 그것을 고정 설치한 상태에서, 2인1조의 작업자가 상기 지지대(F)를 운반하여 그 주지지대(50)의 후단부가 상기 주지지대 접속부(24) 내에 삽입되도록 한 후, 고정틀(21) 상부쪽의 클램프(23)를 상기 지지대(F)의 상측 후단부에 체결하여 고정하면 되고, 이후에 상기 지지대(F) 양단쪽의 안전망 고정링(56)에 안전망(10)의 양쪽 모서리를 걸어 고정하기만 하면 모든 안전망 설치공정이 간단히 완료된다. 이는, 주지지대(50)의 일부에 심관(57)을 삽입하는 보강구조와 삼각트러스에 의한 지지대(F)의 효과적인 보강구조에 의해 지지대(F)의 자중을 최소화하면서도 강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크레인 없이도 작업자의 인력만으로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안전망(10)과 지지대(F) 간에 형성되는 완충공간(3)으로 인하여, 중량체의 낙하시 낙하물과 지지대가 충돌할 수 있는 위험성을 완전 배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들간의 충돌에 의한 2차적 사고의 위험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다. 물론, 지지대(F)를 지탱해주던 와이어가 제거된 상태에서도 견고한 안전망 지지구조를 도모할 수 있어 이에 따른 문제점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F)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 로도 실시 가능하며, 단, 설치방식이나 작용은 선행 실시예에서의 경우와 다르지 않으므로, 그 지지대(F)를, 구성만을 위주로 간략히 설명하기로 하겠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비현수식 안전망장치에 적용되는 지지대(F)는, 상기 안전망(10)의 양쪽 모서리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안전망 고정링(66)이 양단부에 각각 마련된 안전망 지지수단으로서, 상기 안전망(10)에 건축자재 잔재물의 낙하나 작업자의 추락 등에 의한 중량 부하시의 스트레스 집중부위를 보강 처리한 하부의 주지지대(60)와, 상기 주지지대(60)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는 직경의 상부 한 쌍의 보조지지대(61)가 역삼각형의 각 꼭지점 상에서 대략 일방향을 지향한 채 병렬 배치되고, 상기 역삼각형을 잇는 각 면 및 사선방향을 따라 다수의 횡단보강대(63)(64) 및 보강트러스(62)가 다수열 배치되어 상기 주지지대(60) 및 보조지지대(61)와 일체로 삼각트러스 형태를 이루며 보강되어지며, 상기 안전망(10)에 중량 부하시 그 중량체와 상기 주지지대(60) 및 보조지지대(61)와의 직접 접촉에 의한 충돌을 유발하지 않는 완충공간(3)을 상기 안전망(10)의 하부에 형성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주지지대(60)의 선단부쪽으로 소정 범위 내의 상향경사각(a)을 유지하도록 된 구조를 이룬다.
이때, 상기 주지지대(60)는, 그 선단부를 향해 수평면으로부터 소정각도를 이루며 직선상으로 연장 형성되어지되 그 선단부에는 삼각트러스 구조의 망 거치대(65)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망 거치대(65)의 첨단과 상기 지지대(F)의 후단부에 안전망(10)의 양쪽 모서리가 각각 고정될 때 상기 안전망(10)과 상기 주지지대(60) 사이에 소정 폭의 최대완충간극(d)을 유지하는 완충공간(3)이 형성되는 것 이며, 도면 중 미설명 부호 67은 심관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건설현장용 비현수식 안전망장치에 의하면, 안전망 지지대의 선단부를 와이어로 연결하여 지탱하지 않아도 되는 비현수식(Wireless Type)의 지지구조를 구현함과 아울러 지지대 자체를 절곡된 형태로 구성하여 안전망과 지지대 사이에 완충공간이 형성·유지될 수 있는 지지구조를 이룸으로써, 작업자의 추락시 그 추락위치에 따라서는 와이어 또는 안전망 지지대와 직접적으로 충돌할 수 있었던 위험성을 확실하게 배제하여 안전시설물 자체의 구조적 결함으로 인한 작업자의 2차 상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일체형 지지대의 구조를 지지대와 바이스부재를 각각 분리하여 구성함과 아울러 그 지지대 중 주지지대의 일부를 이중관으로 중첩시키고 이를 중심으로 그 주변을 삼각트러스 형태로 보강하여 보다 안정적인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경량화된 구조를 이룸으로써, 상기 바이스부재를 슬래브 또는 수직벽체(옹벽)에 우선 설치한 후,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2인1조 단위로 상기 지지대를 작업자가 직접 운반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 향상은 물론 전체 공사기간이 단축되어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안전망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적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기준하여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라 할 수 있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 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들을 생각해 낼 수 있으므로 이러한 균등한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함은 극히 당연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소정 메쉬로 연속되는 안전망;
    상기 안전망의 양쪽 모서리를 걸어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링이 양단부에 각각 마련된 안전망 지지수단으로서, 상기 안전망에 중량 부하시의 스트레스 집중부위를 보강 처리한 하부의 주지지대와, 상부 한 쌍의 보조지지대가 역삼각형의 각 꼭지점 상에서 대략 일방향을 지향한 채 병렬 배치되고, 상기 역삼각형을 잇는 각 면 및 사선방향을 따라 다수의 횡단보강대 및 보강트러스가 다수열 배치되어 상기 주지지대 및 보조지지대와 일체로 삼각트러스 형태를 이루며 보강되어지며, 상기 안전망에 중량 부하시 그 중량체와 상기 주지지대 및 보조지지대와의 직접 접촉에 의한 충돌을 유발하지 않는 완충공간을 상기 안전망의 하부에 형성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주지지대의 선단부쪽으로 소정 범위 내의 상향경사각을 유지하도록 된,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비현수식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를 슬래브 또는 그 슬래브 단부의 수직벽체에 고정시켜주는 지지대 분리형의,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바이스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용 비현수식 안전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지지대는, 상기 바이스부재와 인접하는 후단으로부터 상기 주지지대의 전체길이 중 대략 1/4 지점에 이르는 길이까지의 내측으로 심관이 중첩 삽입되 어 그 스트레스 집중부위에 대해 부분적 이중관 형태로 보강된 강화지지구간을 이루고, 상기 심관이 삽입되지 않은 주지지대의 선단부쪽 나머지 3/4 길이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주지지대 고유의 탄성을 유지할 수 있는 탄력지지구간으로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용 비현수식 안전망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지지대는, 그 선단부쪽으로 상향 만곡호형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상기 지지대의 선·후단부에 안전망의 양쪽 모서리가 각각 고정될 때 상기 안전망과 상기 주지지대 사이에 소정 폭의 최대완충간극을 유지하는 완충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용 비현수식 안전망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지지대는, 그 선단부를 향해 수평면으로부터 소정각도를 이루며 직선상으로 연장 형성되어지되 그 선단부에는 삼각트러스 구조의 망 거치대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망 거치대의 첨단과 상기 지지대의 후단부에 안전망의 양쪽 모서리가 각각 고정될 때 상기 안전망과 상기 주지지대 사이에 소정 폭의 최대완충간극을 유지하는 완충공간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용 비현수식 안전망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스부재는, 수직벽체의 상부를 감쌀 수 있는 대략 '7'자형 측면형상 의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의 상측 전면쪽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의 상측 후단부를 상기 고정틀에 일체로 체결 고정시켜주는 착탈조작 가능한 클램프와, 상기 고정틀의 하측 전면쪽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하측 후단부를 삽입 수용하여 상기 고정틀에 상기 지지대가 지지되도록 해주는 주지지대 접속부와, 상기 고정틀의 후면쪽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틀이 수직벽체의 상부에 압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해주는 압착체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직벽체 죔 설치형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용 비현수식 안전망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스부재는, 수직벽체의 외측면상에 밀착되는 대략 '1'자형 측면형상의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의 상측 전면쪽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의 상측 후단부를 상기 고정틀에 일체로 체결 고정시켜주는 착탈조작 가능한 클램프와, 상기 고정틀의 하측 전면쪽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하측 후단부를 삽입 수용하여 상기 고정틀에 상기 지지대가 지지되도록 해주는 주지지대 접속부와, 상기 고정틀 및 상기 수직벽체를 관통하여 상기 고정틀이 수직벽체의 상부에 압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해주는 관통체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직벽체 관통체결형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용 비현수식 안전망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스부재는, 슬래브의 단부를 감쌀 수 있는 대략 '디귿'자형 측면형 상의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의 상측 전면쪽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의 상측 후단부를 상기 고정틀에 일체로 체결 고정시켜주는 착탈조작 가능한 클램프와, 상기 고정틀의 하측 전면쪽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의 하측 후단부를 삽입 수용하여 상기 고정틀에 상기 지지대가 지지되도록 해주는 주지지대 접속부와, 상기 고정틀의 후면쪽에 결합되어 상기 고정틀이 슬래브의 단부에 압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해주는 압착체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슬래브 단부 죔 설치형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용 비현수식 안전망장치.
KR1020070009360A 2007-01-30 2007-01-30 건설현장용 비현수식 안전망장치 KR100783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360A KR100783291B1 (ko) 2007-01-30 2007-01-30 건설현장용 비현수식 안전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360A KR100783291B1 (ko) 2007-01-30 2007-01-30 건설현장용 비현수식 안전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3291B1 true KR100783291B1 (ko) 2007-12-07

Family

ID=39140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360A KR100783291B1 (ko) 2007-01-30 2007-01-30 건설현장용 비현수식 안전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2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173B1 (ko) * 2009-01-08 2011-07-14 주식회사 리수산업 안전망 설치구
CN111021761A (zh) * 2019-12-13 2020-04-17 中建城市建设发展有限公司 旋转式安全平网悬挑支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099Y1 (ko) 2002-02-27 2002-05-09 조현묵 낙하물 방지망 지지장치
KR200314561Y1 (ko) 2003-01-10 2003-05-27 정이수 라운드형 안전망 구조틀
KR200398763Y1 (ko) 2005-07-12 2005-10-18 이정호 낙하물 방지 안전망 설치시스템
KR20060104233A (ko) * 2005-03-29 2006-10-09 (주)삼아이엔지 건축용 안전망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099Y1 (ko) 2002-02-27 2002-05-09 조현묵 낙하물 방지망 지지장치
KR200314561Y1 (ko) 2003-01-10 2003-05-27 정이수 라운드형 안전망 구조틀
KR20060104233A (ko) * 2005-03-29 2006-10-09 (주)삼아이엔지 건축용 안전망 지지장치
KR200398763Y1 (ko) 2005-07-12 2005-10-18 이정호 낙하물 방지 안전망 설치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173B1 (ko) * 2009-01-08 2011-07-14 주식회사 리수산업 안전망 설치구
CN111021761A (zh) * 2019-12-13 2020-04-17 中建城市建设发展有限公司 旋转式安全平网悬挑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19558A1 (en)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JP5020163B2 (ja) 張り出し床版用支保工
JP6017083B1 (ja) 床版ユニット、床版地組工法、および床の施工方法
JP2019007206A (ja) 橋梁点検用恒久足場の無足場設置工法
KR101917812B1 (ko) 외부강선 정착부 및 그 시공방법
JP5927599B2 (ja) 仮設鉄塔ユニット及び仮設鉄塔
KR100783291B1 (ko) 건설현장용 비현수식 안전망장치
JP6644657B2 (ja) シールドトンネル工事用仮設枕木
JP3144708U (ja) 鉄筋仮固定装置
KR200417314Y1 (ko) 낙하물 방지장치
JP5334707B2 (ja) 木造建築物における梁の補強方法
JP5773469B1 (ja) 吊足場
JP2014088708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の載置架台及び太陽光発電装置
KR20180130391A (ko) 건설현장 안정망장치
JP6001314B2 (ja) 親綱支柱
KR101994071B1 (ko) 고강도 격자지보
JP6013770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用親綱支柱
KR101632352B1 (ko) 교량용 안전망 고정 장치
JP2008031667A (ja) 朝顔装置
JP7158334B2 (ja) 墜落防止構造
JP5807883B1 (ja) 吊足場
JP5812554B1 (ja) 親綱係留用支柱の取付金具及び取付構造
JP4058104B1 (ja) 重量物の揚重方法
KR100933045B1 (ko) 충전강관 거더교의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시스템
CN216663852U (zh) 一种拱桥钢梁结构施工用防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