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045B1 - 충전강관 거더교의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시스템 - Google Patents

충전강관 거더교의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045B1
KR100933045B1 KR1020070074854A KR20070074854A KR100933045B1 KR 100933045 B1 KR100933045 B1 KR 100933045B1 KR 1020070074854 A KR1020070074854 A KR 1020070074854A KR 20070074854 A KR20070074854 A KR 20070074854A KR 100933045 B1 KR100933045 B1 KR 100933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pipe girder
support
longitudinal direction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4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361A (ko
Inventor
김병석
강재윤
최은석
진원종
이정우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74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045B1/ko
Publication of KR20090011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강관 거더교의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강관 거더교의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은 충전강관 거더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제1고정구와, 상기 제1고정구들 사이에 상기 충전강관 거더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하부 받침대와, 상기 충전강관 거더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하부 받침대의 상부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상부 받침대와, 상기 상하부 받침대 사이에 양단부가 삽입되어 인접하는 상기 충전강관 거더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중앙부 거푸집 판과, 인접하는 상기 충전강관 거더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상기 제1고정구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횡방향 지지대와, 상기 횡방향 지지대의 상부에 상기 충전강관 거더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중앙부 거푸집 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종방향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70074854
충전강관 거더, 거푸집, 무지주 가설, 교량 바닥판, 상판

Description

충전강관 거더교의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FORM SYSTEM FOR CASTING SLAB CONCRETE OF CONCRETE-FILLED STEEL TUBE GIRDER BRIDGE}
본 발명은 충전강관 거더교의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형식은 재료적 측면에서 크게 강교량과 콘크리트교량으로 구분된다. 강교량은 재료가 고가이면서 부재요소를 용접 또는 볼트 이음을 해야 하는 등의 제작공정이 복합하고, 압축하중에 의한 좌굴에 취약하므로 많은 보강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콘크리트교량은 자중이 크므로 과대 단면설계가 불가피하고 거푸집 제작공정 등의 추가 공사비가 부담이 되며 품질관리 및 유지관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상호보완하고 각각의 구조재료가 갖는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부재의 거동특성에 부합하도록 합성 및 복합구조를 활발히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요건을 만족하는 구조형식 중의 하나로서 제안된 콘크리트 충전강관 부재는 강관 내부를 콘크리트계 재료로 충전함으로써 강관과 충전재료 간의 상호구속효과로 인해 부재의 변형성능과 강성 및 내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부재이다.
콘크리트 충전강관 구조는 축압축력이 주하중으로 작용하는 기둥부재에 대해서 내력 및 연성도 증대를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콘크리트 충전강관 부재가 갖는 우수한 내력, 탁월한 변형성능, 소음 및 진동 억제 효과 등의 장점에 착안하여 교량 거더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시작하였으며, 단일 강관 구조 또는 동일 단면의 철근콘크리트구조에 비해 내력증대, 변형성능 향상, 강성 증대 등의 우수한 역학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충전강관 거더 교량은 경량구조물로서 경관성 및 투시성이 뛰어나고, 일반적인 강교 제작에 필요한 보강재의 수를 대폭 감소시켜 제작 공정을 단순화 시킬 수 있으며, 기성제품인 원형강관을 최소한의 공장제작 및 가공을 거쳐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상당한 경제적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충전강관 거더를 이용한 복합구조 교량형식에 있어서 충전강관 거더를 동바리 지지로 활용하는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충전강관 거더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제1고정구와, 상기 제1고정구들 사이에 상기 충전강관 거더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하부 받침대와, 상기 충전강관 거더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하부 받침대의 상부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상부 받침대와, 상기 상하부 받침대 사이에 양단부가 삽입되어 인접하는 상기 충전강관 거더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중앙부 거푸집 판과, 인접하는 상기 충전강관 거더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상기 제1고정구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횡방향 지지대와, 상기 횡방향 지지대의 상부에 상기 충전강관 거더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중앙부 거푸집 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종방향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거푸집 시스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고정구는 볼트 구멍이 형성된 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받침대는 양단부에 나사봉을 갖는 길이재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 받침대의 양단부의 나사봉이 상기 제1고정구의 볼트 구멍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횡방향 지지대의 양단부가 상기 하부 받침대의 나사봉을 관통하 도록 삽입하고 상기 하부 받침대의 나사봉에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횡방향 지지대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시스템은 상기 충전강관 거더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제2고정구와, 상기 제2고정구에 결합되는 복수의 수직달대와, 상기 수직달대들의 하단에 결합되는 동바리 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시스템은 상기 충전강관 거더 중 단부측 충전강관 거더의 상하부 받침대 사이에 일단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단부 거푸집 판과, 상기 동바리 지지대 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동바리와, 상기 동바리 상부에 상기 충전강관 거더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경사지게 놓여지는 경사 지지대와, 상기 경사 지지대 상부에 상기 충전강관 거더의 길이방향으로 놓여져 상기 단부 거푸집 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종방향 지지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동바리는 상기 동바리 지지대 상면에 면접하는 기초판과,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2개의 강관이 결합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상기 기초판에 고정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경사 지지대를 받치는 받침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고정구는 볼트 구멍이 형성된 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달대는 앵글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2고정구에 볼트 결합되며, 상기 동바리 지지대는 채널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달대에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량 가설 지점의 거더 하부에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해체 조립이 가능하여 반복 사용이 가능하며, 경제적으로 콘크리트 충전강관 거더교의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시스템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시스템은 편의상 크게 교량의 중앙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중앙부 거푸집 시스템(100)과 작업자의 작업 통로를 제공함과 동시에 단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지지하는 단부 거푸집 시스템(200)으로 구분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시스템의 중앙부를 보여주는 정면확대도이고, 도 2b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시스템에 있어서 중앙부 거푸집 시스템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시스템에 있어서 중앙부 거푸집 판이 지지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중앙부 거푸집 시스템(100)은 충전강관 거더(20)의 양측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제1고정구(110)와, 제1고정구(110)들 사이에 결합되는 복수의 하부 받침대(120)와, 상기 하부 받침대(120)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상부 받침대(130)와, 인접하는 충전강관 거더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중앙 부 거푸집 판(140)과, 상기 중앙부 거푸집 판(140)을 지지하는 복수의 종방향 지지대(160)와, 상기 종방향 지지대(160)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고정구(110)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횡방향 지지대(150)로 구성된다.
고정구(110)는 하부 받침대(120)와 횡방향 지지대(150)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볼트 구멍이 형성된 판재로 구성되어 충전강관 거더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하부 받침대(120)는 중앙부 거푸집 판(140)의 단부를 받치기 위한 것으로, 제1고정구(110)들 사이에 충전강관 거더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된다. 하부 받침대(120)는 양단부에 나사봉(121)을 갖는 길이재로 구성되어, 하부 받침대(120)의 양단부의 나사봉(121)이 제1고정구(110)의 볼트 구멍에 삽입 결합된다.
상부 받침대(130)는 하부 받침대(120)와 이격되어 충전강관 거더의 측면에 고정되며 하부 받침대(120)와 함께 중앙부 거푸집 판(140)이 삽입되는 홈을 형성한다.
중앙부 거푸집 판(140)은 상하부 받침대(120)(130) 사이에 양단부가 삽입되어 인접하는 충전강관 거더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그 단부가 지지되며, 중앙부는 횡방향 지지대(150)와 종방향 지지대(160)에 의해 지지된다.
횡방향 지지대(150)는 인접하는 충전강관 거더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제1고정구(110)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며, 종방향 지지대(160)는 횡방향 지지대(150)의 상부에 충전강관 거더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때, 횡방향 지지대(150)는 그 양단부가 하부 받침대(120)의 나사봉(121)을 관통하도록 삽입한 후 하부 받침대(120)의 나사봉(121)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고정된다. 종방향 지지대(160)로는 예컨데 각목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시스템의 단부를 보여주는 정면확대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시스템에 있어서 단부 거푸집 시스템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시스템에 있어서 동바리 지지대가 설치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1과 도 4 내지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부 거푸집 시스템은, 충전강관 거더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제2고정구(210)와, 상기 제2고정구(210)에 결합되는 복수의 수직달대(220)와, 상기 수직달대(220)들의 하단에 결합되는 동바리 지지대(230)와, 상기 충전강관 거더 중 단부측 충전강관 거더의 상하부 받침대(120)(130) 사이에 일단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단부 거푸집 판(240)과, 상기 동바리 지지대(230) 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동바리(250)와, 상기 동바리(250) 상부에 상기 충전강관 거더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경사지게 놓여지는 경사 지지대(260)와, 상기 경사 지지대(260) 상부에 상기 충전강관 거더의 길이방향으로 놓여져 상기 단부 거푸집 판(240)을 지지하는 복수의 종방향 지지대(160)로 구성된다.
이때, 복수의 제2고정구(210)와, 상기 제2고정구(210)에 결합되는 복수의 수직달대(220)와, 상기 수직달대(220)들의 하단에 결합되는 동바리 지지대(230)는 작업자의 작업 통로를 제공함과 동시에 단부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2고정구(210)는 제1고정구(110)의 직하방 또는 제1고정 구(110)와 엇갈리게 그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동바리(250)는 동바리 지지대(230) 상면에 면접하는 기초판(251)과,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2개의 강관이 결합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기초판(251)에 고정되는 몸체부(252)와, 몸체부(252)의 상단에 결합되어 경사 지지대(260)를 받치는 받침부(253)로 구성하여, 몸체부(252)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경사진 단부 거푸집 판(240)을 경사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제2고정구(210)를 볼트 구멍이 형성된 판재로 구성하고, 수직달대(220)는 앵글부재로 구성하여 제2고정구(210)에 볼트 결합되며, 동바리 지지대(230)는 채널부재로 구성하여 수직달대(220)에 볼트 결합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시스템의 설치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공장에서 충전강관 거더를 제작할 때 제1, 2고정구(110, 120)와 상부 받침대(130)를 용접 고정한 후 현장으로 반입한다.
다음으로, 반입된 충전강관 거더를 교각 또는 교대 위에 거치한 후 제2고정구(210)에 수직달대(220)를 결합하고, 수직달대(220)의 하단에 동바리 지지대(230)를 결합하고 동바리 지지대(230) 위에 발판(미도시)를 설치하여 작업자의 작업 통로를 확보한다.
다음으로, 제1고정구(110) 사이에 하부 받침판(120)을 설치한 후 횡방향 지지대(150)을 설치하고 횡방향 지지대(150)의 상부에 종방향 지지대(160)을 위치시 킨 다음 중앙부 거푸집 판(140)을 설치한다.
마지막으로, 동바리 지지대(230) 위에 동바리(150)을 설치하고, 동바리(150) 상부에 차례로 경사 지지대(260)와 종방향 지지대(160)를 설치한 후 단부 거푸집 판(240)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시스템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시스템의 중앙부를 보여주는 정면확대도이다.
도 2b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시스템에 있어서 중앙부 거푸집 시스템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시스템에 있어서 중앙부 거푸집 판이 지지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시스템의 단부를 보여주는 정면확대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시스템에 있어서 단부 거푸집 시스템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시스템에 있어서 동바리 지지대가 설치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6은 일반적인 충전강관 거더교의 단면도이다.

Claims (7)

  1. 충전강관 거더교의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충전강관 거더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제1고정구(110), 상기 제1고정구(110)들 사이에 상기 충전강관 거더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하부 받침대(120), 상기 충전강관 거더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하부 받침대(120)의 상부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상부 받침대(130), 상기 상하부 받침대(120)(130) 사이에 양단부가 삽입되어 인접하는 상기 충전강관 거더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중앙부 거푸집 판(140), 인접하는 상기 충전강관 거더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상기 제1고정구(110)에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횡방향 지지대(150) 및 상기 횡방향 지지대(150)의 상부에 상기 충전강관 거더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중앙부 거푸집 판(140)을 지지하는 복수의 종방향 지지대(160)와,
    상기 충전강관 거더의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제2고정구(210), 상기 제2고정구(210)에 결합되는 복수의 수직달대(220) 및 상기 수직달대(220)들의 하단에 결합되는 동바리 지지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강관 거더교의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구(110)는 볼트 구멍이 형성된 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받침대(120)는 양단부에 나사봉(121)을 갖는 길이재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 받침대(120)의 양단부의 나사봉(121)이 상기 제1고정구(110)의 볼트 구멍에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강관 거더교의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지지대(150)의 양단부가 상기 하부 받침대(120)의 나사봉(121)을 관통하도록 삽입하고 상기 하부 받침대(120)의 나사봉(121)에 너트를 체결하여 상기 횡방향 지지대(150)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강관 거더교의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강관 거더 중 단부측 충전강관 거더의 상하부 받침대(120)(130) 사이에 일단부가 삽입되는 복수의 단부 거푸집 판(240)과, 상기 동바리 지지대(230) 상에 설치되는 복수의 동바리(250)와, 상기 동바리(250) 상부에 상기 충전강관 거더의 길이방향에 직각으로 경사지게 놓여지는 경사 지지대(260)와, 상기 경사 지지대(260) 상부에 상기 충전강관 거더의 길이방향으로 놓여져 상기 단부 거푸집 판(240)을 지지하는 복수의 종방향 지지대(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강관 거더교의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바리(250)는 상기 동바리 지지대(230) 상면에 볼트 또는 핀 결합되는 기초판(251)과,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2개의 강관이 결합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상기 기초판(251)에 고정되는 몸체부(252)와, 상기 몸체부(252)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경사 지지대(260)를 받치는 받침부(25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강관 거더교의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구(210)는 볼트 구멍이 형성된 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달대(220)는 앵글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제2고정구(210)에 볼트 결합되며, 상기 동바리 지지대(230)는 채널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달대(220)에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강관 거더교의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시스템.
KR1020070074854A 2007-07-26 2007-07-26 충전강관 거더교의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시스템 KR100933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854A KR100933045B1 (ko) 2007-07-26 2007-07-26 충전강관 거더교의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4854A KR100933045B1 (ko) 2007-07-26 2007-07-26 충전강관 거더교의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361A KR20090011361A (ko) 2009-02-02
KR100933045B1 true KR100933045B1 (ko) 2009-12-21

Family

ID=40682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4854A KR100933045B1 (ko) 2007-07-26 2007-07-26 충전강관 거더교의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0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742B1 (ko) * 2021-02-04 2021-12-29 (주)대우건설 거더 부착형 거푸집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라멘교 바닥판 시공방법
CN115419256A (zh) * 2022-09-13 2022-12-02 上海建工七建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核电堆舱顶板吊模结构体系及其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439Y1 (ko) 2000-02-29 2000-08-16 강우균 교량의 슬라브 거푸집용 데크플레이트
KR20030072666A (ko) * 2002-03-06 2003-09-19 주식회사 삼덕토건 교량 슬라브의 거푸집장치
KR20040052834A (ko) * 2004-05-08 2004-06-23 김병호 교량 슬래브의 거푸집 지지를 위한 구조물 및 구조물설치방법
KR200358782Y1 (ko) * 2004-05-27 2004-08-11 이종현 교량 상부 슬라브의 거푸집 받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1439Y1 (ko) 2000-02-29 2000-08-16 강우균 교량의 슬라브 거푸집용 데크플레이트
KR20030072666A (ko) * 2002-03-06 2003-09-19 주식회사 삼덕토건 교량 슬라브의 거푸집장치
KR20040052834A (ko) * 2004-05-08 2004-06-23 김병호 교량 슬래브의 거푸집 지지를 위한 구조물 및 구조물설치방법
KR200358782Y1 (ko) * 2004-05-27 2004-08-11 이종현 교량 상부 슬라브의 거푸집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361A (ko) 2009-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586B1 (ko)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의 제작방법 및 라멘화된 교량용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742206B1 (ko) 모멘트 재분배에 의하여 장경간 및 저형고를 가지는 강합성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2144400B1 (ko) 프리캐스트 슬래브용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CN114278083B (zh) 高低台吊模施工结构及施工方法
CN215925691U (zh) 一种桥梁0号块浇筑用承托支架
KR100933047B1 (ko) 충전강관 거더교의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시스템
KR20120085641A (ko) 보 및 슬래브 거푸집 조립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 및 슬래브 구조물 시공 방법
KR100933045B1 (ko) 충전강관 거더교의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시스템
KR101013009B1 (ko) 정착판 연결장치와 이를 이용한 피에스씨 거더교의 연속화 시공방법
KR101124515B1 (ko) 다양한 단면형식의 합성으로 강성의 최대화와, 편심의 극대화를 통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합성단면빔을 이용하여 설치한 가설구조체
CN110185179B (zh) 装配式悬挂楼盖自复位建筑结构及施工方法
KR101232329B1 (ko) 단부블럭과 아치리브에 의한 합성거더를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373783B1 (ko) 피시빔교용 가설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피시빔교 가설방법
JP2014190116A (ja) コンクリートスラブの構築方法
KR101850498B1 (ko) 강박스거더의 부모멘트부 및 부모멘트부 제조공법
CN110469140A (zh) 一种框架梁预应力加固的施工方法
KR102026976B1 (ko) T형 고정브라켓을 구비한 캔틸레버교량
KR101439947B1 (ko) 링플레이트가 장착된 원형 거더와 횡방향 브라켓을 이용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2132338B1 (ko) 아치형보강재를 포함하는 강합성 psc 거더
KR100989153B1 (ko) 바닥판 주철근 대체가 용이하도록 횡방향 강성연결재를 구비한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 연결구조 및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JP4437064B2 (ja) 合成床版橋のコンクリート床版の構築方法および型枠構造
KR20200013911A (ko)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033052B1 (ko) Src 거더를 이용한 충전강관 트러스교의 지점부 시공방법
JP3798701B2 (ja) コンクリート横桁による鋼桁橋
KR100840279B1 (ko) 슬래브거푸집 현수용 행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