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2666A - 교량 슬라브의 거푸집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슬라브의 거푸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2666A
KR20030072666A KR1020020011796A KR20020011796A KR20030072666A KR 20030072666 A KR20030072666 A KR 20030072666A KR 1020020011796 A KR1020020011796 A KR 1020020011796A KR 20020011796 A KR20020011796 A KR 20020011796A KR 20030072666 A KR20030072666 A KR 20030072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formwork
steel
yok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덕토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덕토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덕토건
Priority to KR1020020011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2666A/ko
Publication of KR20030072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66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간의 넓이와 헌치의 형태가 각각 다른 여러 개소의 슬라브에 동시에 적용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따른 재료의 손실과 인력의 과다투입을 방지시켜 시공원가의 절감과 공기단축의 효과를 이룰 수 있는 교량 슬라브의 거푸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은, 강상형교나 피씨빔교 등의 교량의 각 스틸박스 사이에 슬라브 공사를 위한 거푸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스틸박스의 길이반대방향에서 서로 마주보게 고정설치되고, 길이방향의 장공이 형성된 매달기 틀과;
상기 매달기 틀의 장공 상에 습동결합되고, 수직방향으로 위치변위가 가능한 높이조절볼트가 구비된 받침틀과; 상기 받침틀의 각 높이조절볼트의 상단에 각각 지지되고, 임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두 개의 빔부재가 슬라이딩결합된 멍에재용 빔과; 상기 멍에재용 빔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그 멍에재용 빔과 직교되게 설치되는 장선재; 및 상기 장선재의 상부에 얹혀져 헌치부를 포함한 스틸박스 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거푸집 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교량 슬라브의 거푸집장치{A SHEETING APPARATUS FOR BRIDGE SLAB}
본 발명은 교량 슬라브의 거푸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상형교나 피씨빔교에서와 같이 헌치의 형태와 지간의 넓이가 다양한 교량 슬라브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의 설치를 보다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거푸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상형교나 피씨빔교는 교량의 넓이에 따라 지간의 폭이 다양할 뿐 아니라 교량 상부의 횡구배와 거더의 위치에 따라 헌치의 높이와 폭이 변화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종래에는 지간의 넓이에 맞추어 멍에재를 절단하고, 헌치의 높이에 따라 장선재를 직각으로 가공하여 사용하거나 별도의 고임재를 이용하여 왔다.
따라서 한번 절단된 멍에재는 다른 교량에 별도의 가공없이 재사용하기 어렵고, 헌치의 높이와 폭에 맞추기 위한 장선재의 가공 및 고임은 많은 인력낭비와 재료의 손실을 가져오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지간의 넓이와 헌치의 형태가 각각 다른 여러 개소의 슬라브에 동시에 적용이 용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따른 재료의 손실과 인력의 과다투입을 방지시켜 시공원가의 절감과 공기단축의 효과를 이룰 수 있는 교량 슬라브의 거푸집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 은 강상형교의 교량에서 본 발명의 거푸집장치가 적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A - A선 확대 단면도.
도 3 은 도 2 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 는 도 2 의 평면 구성도.
도 5 는 도 4 의 B - B선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교량 슬라브의 거푸집장치에서 헌치부 받침대가 추가 구성된 상태의 확대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헌치부가 있는 피씨빔교에 적용된 상태의 측단면 구성도.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헌치부가 없는 피씨빔교에 적용된 상태의 측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교각,2: 스틸박스,
3: 크로스 빔,4: 스트링거,
5: 매달기 너트,6: 평철,
7: 매달기 볼트,10: 매달기 틀,
11: 장공,12: ㄱ형강,
13: 높이조절볼트,14: 고정너트,
15: 위치고정볼트,16: 받침틀,
17: 멍에재용 빔,18: 장선재,
19: 헌치부,20: 거푸집 널,
21: 받침편,22: 헌치부 받침대,
23: 피씨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강상형교나 피씨빔교 등의 교량의 각 스틸박스 사이에 슬라브 공사를 위한 거푸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스틸박스의 길이반대방향에서 서로 마주보게 고정설치되고, 길이방향의 장공이 형성된 매달기 틀과,
상기 매달기 틀의 장공상에 습동결합되고, 수직방향으로 위치변위가 가능한 높이조절볼트가 구비된 받침틀과,
상기 받침틀의 각 높이조절볼트의 상단에 각각 지지되고, 임의 길이조절이가능하도록 두 개의 빔부재가 슬라이딩결합된 멍에재용 빔과,
상기 멍에재용 빔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그 멍에재용 빔과 직교되게 설치되는 장선재 및
상기 장선재의 상부에 얹혀져 헌치부를 포함한 스틸박스 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거푸집 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강상형교의 교량에서 본 발명의 거푸집장치가 적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A - A선 확대 단면도이며, 도 3 은 도 2 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4 는 도 2 의 평면 구성도이고, 도 5 는 도 4 의 B - B선 단면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교량 슬라브의 거푸집장치에서 헌치부 받침대가 추가 구성된 상태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헌치부가 있는 피씨빔교에 적용된 상태의 측단면 구성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헌치부가 없는 피씨빔교에 적용된 상태의 측단면 구성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일 실시예의 강상형교에 적용될 수 있다. 강상형교는 기본적으로 교각(1)위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스틸박스(2)가 나란히 설치되고, 그 사이에 크로스 빔(3)과 스트링거(4)가 부착됨으로서 거푸집 널()로 타설되는 슬라브 콘크리트를 지지해주는 강구조가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스틸박스(2)의 내측 가장자리 및 스트링거(4)의 내측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매달기 너트(5)가 고정된 평철(6)이 용접된다.
상기 평철(6)의 매달기 너트(5)에는 매달기 볼트(7)의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스틸박스(2)의 길이반대방향을 갖도록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고, 또환 길이방향의 장공(11)이 형성된 매달기 틀(10)이 구비된다.
상기 매달기 너트(5)와 매달기 볼트(7)에 고정되는 매달기 틀(10)과 스틸박스(2) 사이에는 후술되는 헌치부(19)의 하단부분에 접하는 거푸집 널(20)의 처짐에 따른 공극발생을 막기위한 ㄱ형강(12)을 삽입하여 용접 설치하며,
또한 상기 매달기 틀(10)의 장공(11)상에 습동결합되고, 나사결합방식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위치변위가 가능한 높이조절볼트(13)와 위치조절이 끝난 조정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너트(14)와 장공(11)상에서 수평이동되는 매달기 틀(5)의 조정위치를 고정하기 위해 매달기 틀(5)의 배면에 위치고정볼트(15)가 구비된 받침틀(16)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받침틀(16)의 각 높이조절볼트(13)의 상단에 각각 지지되고, 임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두 개의 빔부재가 슬라이딩결합된 멍에재용 빔(17)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멍에재용 빔(17)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그 멍에재용 빔(17)과 직교되게 설치되는 장선재(18)가 구비되며,
마지막으로 상기 장선재(18)의 상부에 얹혀져 헌치부(19)를 포함한 스틸박스(2)와 스트링거(4) 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거푸집 널(20)이 설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틸박스(2)와 스트링거(4)간의 직교방향인크로스 빔(3)간에는 헌치부(19)에서 발생될 수 있는 휨모멘트가 적기 때문에 ㄱ형강(12)에 맞닿게 거푸집 널(20)을 설치하고, 상기 ㄱ형강(12)을 받쳐주기 위해 매달기 너트(5)와 매달기 볼트(7) 사이에 별도의 받침편(21)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헌치부(19)의 폭이 길 경우,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받침틀(16)의 상부측에 슬라이딩결합되는 헌치부 받침대(2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참고로, 스틸박스(2)와 스트링거(4)를 지점으로 볼 때 그 사이를 지간의 넓이라고 하고, 양 지점부에서 크게 작용하는 휨모멘트에 대항하기 위해 그 단면을 넓게 확대시킨 부분을 헌치라고 한다.
상기의 구성은 강상형교에 적용되는 실시예를 설명한 것이며,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씨빔(23)을 지지단으로 하는 피씨빔교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동일부호에 대해서는 상기의 부호를 따름)
또한 본 발명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헌치부가 없는 피씨빔교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동일한 부품번호에 대해서 상기의 부호를 따름)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측단부에 매달기 너트(5)가 용접된 평철(6)을 스틸박스(2)와 스트링거(4)의 내측 가장자리 임의 위치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용접 설치한 다음 매달기 틀(10)을 매달기 볼트(7)를 이용하여 스틸박스(2)와 스트링거(4)에 각각 고정시킨다.
또한 스틸박스(2)와 매달기 틀(10), 스트링거(4)와 매달기 틀(10) 사이에는헌치부(19)의 하단부분에 접하는 거푸집 널(20)의 처짐에 따른 공극발생을 막기위한 ㄱ형강(12)을 삽입하여 설치하고, 헌치부(19)의 폭에 맞게 매달기 틀(10)의 장공(11)을 통하여 받침틀(16)을 좌우로 이동시킨 다음 위치세팅을 위해 위치고정볼트(15)를 죄어 상기 받침틀(16)의 위치를 고정한다.
한편, 횡구배에 따른 헌치부(19)의 높이를 맞추기 위해 높이조절볼트(13)를 조정하여 멍에재용 빔(17)의 횡구배를 정한 다음 지간의 넓이에 따라 길이조정이 가능한 멍에재용 빔(17)을 알맞게 늘려서 그 높이조절볼트(13)의 상단에 거치시켜 놓고, 그 위에 장선재(18)를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한 뒤 거푸집 널(20)을 덮는 과정으로 거푸집 설치공사를 시행한다.
거푸집 설치후 철근 배근과 콘크리트 타설이 진행되고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나사결합상태의 높이조절볼트(13)를 해제시켜 멍에재용 빔(17)과 장선재(18), 거푸집 널(20)을 순차적으로 해체하고, 매달기 볼트(7)를 분리시켜 상기 매달기 틀(10)과 ㄱ형강(12) 및 헌치부(19)의 거푸집 널(20)을 해체하는 방법으로 거푸집 해체공사를 시행한다.
이러한 상기 거푸집 설치 및 해체과정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피씨빔교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게 되면, 길이조절이 가능한 멍에재용 빔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교량 슬라브 단면에 설치 적용할 수 있으며, 자재의 재사용횟수를 연장시킴에 따른 재료비의 절감과 지간의 넓이, 헌치의 폭과 높이에 따라 용이하게 조정 설치가 가능함에 따라 재료비 및 인건비의 감소와 공기의 단축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강상형교나 피씨빔교 등의 교량의 각 스틸박스 사이에 슬라브 공사를 위한 거푸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스틸박스의 길이반대방향에서 서로 마주보게 고정설치되고, 길이방향의 장공이 형성된 매달기 틀과;
    상기 매달기 틀의 장공 상에 습동결합되고, 수직방향으로 위치변위가 가능한 높이조절볼트가 구비된 받침틀과;
    상기 받침틀의 각 높이조절볼트의 상단에 각각 지지되고, 임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두 개의 빔부재가 슬라이딩결합된 멍에재용 빔과;
    상기 멍에재용 빔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그 멍에재용 빔과 직교되게 설치되는 장선재; 및
    상기 장선재의 상부에 얹혀져 헌치부를 포함한 스틸박스 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거푸집 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슬라브의 거푸집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헌치부의 폭이 길 경우,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받침틀의 상부측에 슬라이딩결합되는 헌치부 받침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슬라브의 거푸집장치.
KR1020020011796A 2002-03-06 2002-03-06 교량 슬라브의 거푸집장치 KR200300726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796A KR20030072666A (ko) 2002-03-06 2002-03-06 교량 슬라브의 거푸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796A KR20030072666A (ko) 2002-03-06 2002-03-06 교량 슬라브의 거푸집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709U Division KR200308999Y1 (ko) 2002-12-18 2002-12-18 교량 슬라브의 거푸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666A true KR20030072666A (ko) 2003-09-19

Family

ID=3222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796A KR20030072666A (ko) 2002-03-06 2002-03-06 교량 슬라브의 거푸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266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650B1 (ko) * 2002-07-25 2005-07-12 김남식 교량용 상부받침 지지장치
KR100933045B1 (ko) * 2007-07-26 2009-12-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충전강관 거더교의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시스템
KR100933047B1 (ko) * 2007-07-26 2009-12-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충전강관 거더교의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시스템
CN101298754B (zh) * 2008-05-16 2012-06-20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 一种销接式吊索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0222A (ja) * 1999-08-30 2001-05-22 Hidetoshi Morioka コンクリート床版固定型枠用支保工
KR200226626Y1 (ko) * 2000-12-26 2001-06-15 주식회사제일설치 교량상판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
KR200226627Y1 (ko) * 2000-12-26 2001-06-15 주식회사제일설치 교량상판 거푸집용 멍에재
KR200235400Y1 (ko) * 2000-12-18 2001-09-26 동신기술개발 주식회사 강교 교량 상판슬래브 거푸집 철재받침틀
KR200241134Y1 (ko) * 2001-04-26 2001-10-12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강교 구간 슬래브 거푸집 설치용 스프링식 철재 받침틀
KR200240446Y1 (ko) * 2001-04-24 2001-10-12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강교 교량 상판슬래브 거푸집 철재받침틀
KR20020001480A (ko) * 2000-06-26 2002-01-09 김준규 피씨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0222A (ja) * 1999-08-30 2001-05-22 Hidetoshi Morioka コンクリート床版固定型枠用支保工
KR20020001480A (ko) * 2000-06-26 2002-01-09 김준규 피씨빔 공법 또는 스틸 박스 공법에 적용되는 슬라브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KR200235400Y1 (ko) * 2000-12-18 2001-09-26 동신기술개발 주식회사 강교 교량 상판슬래브 거푸집 철재받침틀
KR200226626Y1 (ko) * 2000-12-26 2001-06-15 주식회사제일설치 교량상판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
KR200226627Y1 (ko) * 2000-12-26 2001-06-15 주식회사제일설치 교량상판 거푸집용 멍에재
KR200240446Y1 (ko) * 2001-04-24 2001-10-12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강교 교량 상판슬래브 거푸집 철재받침틀
KR200241134Y1 (ko) * 2001-04-26 2001-10-12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강교 구간 슬래브 거푸집 설치용 스프링식 철재 받침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650B1 (ko) * 2002-07-25 2005-07-12 김남식 교량용 상부받침 지지장치
KR100933045B1 (ko) * 2007-07-26 2009-12-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충전강관 거더교의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시스템
KR100933047B1 (ko) * 2007-07-26 2009-12-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충전강관 거더교의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시스템
CN101298754B (zh) * 2008-05-16 2012-06-20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 一种销接式吊索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5113B1 (ko) 표면의 곡률이 각기 다른 구조물용 형틀장치
US4123031A (en) Improvements in concrete roadway-slab forming and form-elevation adjusting means
JP2000136632A (ja) 生コンクリ―ト打設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型枠装置
CN108678193B (zh) 一种后浇带及其施工方法
KR20030072666A (ko) 교량 슬라브의 거푸집장치
KR200226626Y1 (ko) 교량상판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
KR200308999Y1 (ko) 교량 슬라브의 거푸집장치
KR101116345B1 (ko) 교량용 빔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JP2677893B2 (ja) 柱型枠の施工法
JP3602479B2 (ja) 橋梁床版用型枠の取付構造
JPH0380210B2 (ko)
JP3830362B2 (ja) Pc箱桁橋の張出施工方法
CN112962945A (zh) 墙角支架结构及施工方法
JP2001140221A (ja) 張出床版の補修工法及び型枠の支持構造
CN218668525U (zh) 一种用于钢结构建筑悬挑板支撑的装配式装置
CN117052121A (zh) 超大地库后浇带吊模施工模具及安装方法
JPH0547343Y2 (ko)
KR20020082966A (ko) 슬라브 거푸집의 설치기능을 가지는 피 에스 씨 교량용빔의 가설방법 및 그 장치
KR100456320B1 (ko) 교량 상판 슬래브의 부모멘트 발생 방지 공법 및 그 구조
JP2002235403A (ja) Pc鋼線支持用スペーサー
JP3119525B2 (ja) 外囲体及びその施工方法
JPH06248742A (ja) Rc床スラブ
KR200298102Y1 (ko) 토목용 콘크리트 박스구조물의 하부를 성형하기 위한거푸집 설치구조
KR20050082473A (ko) 피씨빔 교량용 슬라브 거푸집장치
JPH07180360A (ja) 立上り部型枠固定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