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400Y1 - 강교 교량 상판슬래브 거푸집 철재받침틀 - Google Patents

강교 교량 상판슬래브 거푸집 철재받침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400Y1
KR200235400Y1 KR2020000035427U KR20000035427U KR200235400Y1 KR 200235400 Y1 KR200235400 Y1 KR 200235400Y1 KR 2020000035427 U KR2020000035427 U KR 2020000035427U KR 20000035427 U KR20000035427 U KR 20000035427U KR 200235400 Y1 KR200235400 Y1 KR 2002354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support frame
steel support
stee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54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래섭
Original Assignee
동신기술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신기술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신기술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54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4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4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40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상기 기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전한 시공과 원가절감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상판 슬래브 거푸집 철재받침틀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고안은 강교구간 상판중앙부 거푸집 받침틀에 있어, 교량의 스틸박스(101)의 경간에 따른 길이 조절용 홀(17)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부재(16)와, 상기 부재(16)가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사각홀이 형성되고 상단에 목재고정틀(18)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제1거푸집 철재받침틀(14)과 제2거푸집 철재받침틀(15)이 장착되고, 상기 제2거푸집 철재받침틀(15)의 끝단에 형성된 홀과 상기 부재(16)의 홀에 육각볼트(12)와 육각너트(13)로 결합되고, 상기 제1거푸집 철재받침틀(14)과 제2거푸집 철재받침틀(15)의 양 끝단에는 2개의 캠프 플레이트(20)와 요크 브라켓(21)이 상기 부재들에 형성된 홀에 육각볼트(12)와 육각너트(13)를 이용하여 결합되어 체결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한 고안으로 인해 안전한 시공과 원가절감을 이루는 효과 및 설치해제가 간단하고 슬래브의 밑면 노출로 인한 유지관리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강교 교량 상판슬래브 거푸집 철재받침틀{Sheeting iron mat of upper slav}
본 고안은 교량의 상판슬래브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장치인 거푸집 받침틀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교량상판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을 위한 거푸집 받침틀은 목재동바리설치 및 데크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설치하였다.
최근 데크플레이트는 녹발생으로 인하여 향후 유지 및 안전점검이 콘크리트 표면의 밀폐로 인한 유지관리가 불가능하고 합판거푸집 사용시에는 하부받침 시설물인 동바리 설치비가 과다하게 투입되고, 해체작업시에는 추락낙하로 인한 안전사고 및 재료가 손실되어 인명피해와 아울러 비용면에서도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기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전한 시공과 원가절감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상판 슬래브 거푸집 철재받침틀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기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강교구간 상판중앙부 거푸집 받침틀에 있어,
교량의 스틸박스의 경간에 따른 길이 조절용 홀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부재와, 상기 부재가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사각홀이 형성되고 상단에 목재고정틀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제1거푸집 철재받침틀과 제2거푸집 철재받침틀이 장착되고, 상기 제2거푸집 철재받침틀의 끝단에 형성된 홀과 상기 부재의 홀에 육각볼트와 육각너트로 결합되고, 상기 제1거푸집 철재받침틀과 제2거푸집 철재받침틀의 양 끝단에는 2개의 캠프 플레이트와 요크 브라켓이 상기 부재들에 형성된 홀에 육각볼트와 육각너트를 이용하여 결합되어 체결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상판중앙부 거푸집 철재받침틀과
강교 캔틸레버구간의 거푸집받침틀에 있어,
스틸박스의 외측부에 앵글이 6각 볼트, 너트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앵글의 상단부에 슬라이딩 컨트롤 플레이트가 형성된 서포트가 6각 볼트, 너트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슬라이딩 컨트롤 플레이트의 끝단 하단에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앵글의 하단에 대각선 방향의 턴 버클 어세이를 체결하여 연결하고, 사각목재가 상기 슬라이딩 컨트롤 플레이트의 사이에 거치되고 이어 핸드레일을 서포트의 끝단에 형성된 플레이트에 6각 볼트, 너트로 체결되고, 상기 핸드레일의 내측에 로프가 설치되고 합판이 상기 4각목재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구간의 거푸집 철재받침틀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교량상판 중앙부 거푸집 철재받침틀의 장착도.
도 2는 본 고안인 교량상판 중앙부 거푸집 철재받침틀의 분해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인 캔틸레버구간 거푸집 철재받침틀의 장착도.
도 4는 본 고안인 캔틸레버구간 거푸집 철재받침틀의 분해 상세도.
도 5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장착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2 : 6각볼트 13 : 6각너트
14 : 제1거푸집 철재받침틀 15 : 제2거푸집 철재받침틀
16 : 길이조절용 홀형성 부재 17 : 길이조절용 홀
18 : 목재고정틀 20 : 크램프 플레이트
21 : 요크 브라켓 30 : 앵글
31 : 슬라이딩 컨트롤 플레이트 32 : 서포트
33 : 하부 플레이트 34 : 턴 버클 어세이
35 : 사각목재 36 : 핸드레일
37 : 끝단 플레이트 38 : 로프
39 : 합판 101 : 스틸박스
본 고안은 교량의 상판슬래브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장치인 거푸집 받침틀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보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시공순서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교량상판 중앙부 거푸집 철재받침틀의 장착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본 고안의 강교구간 상판중앙부 거푸집 철재받침틀의 분해 상세도를 도시한 도2에서 알 수 있듯이, 강교구간 상판중앙부 거푸집 받침틀에 있어,
교량의 스틸박스(101)의 경간에 따른 길이 조절용 홀(17)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부재(16)와, 상기 부재(16)가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사각홀이 형성되고 상단에 목재고정틀(18)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제1거푸집 철재받침틀(14)과 제2거푸집 철재받침틀(15)이 장착되고, 상기 제2거푸집 철재받침틀(15)의 끝단에 형성된 홀과 상기 부재(16)의 홀에 육각볼트(12)와 육각너트(13)로 결합되고, 상기 제1거푸집 철재받침틀(14)과 제2거푸집 철재받침틀(15)의 양 끝단에는 2개의 캠프 플레이트(20)와 요크 브라켓(21)이 상기 부재들에 형성된 홀에 육각볼트(12)와 육각너트(13)를 이용하여 결합되어 체결되는 구조로서, 상기 완성된 상판중앙부 거푸집 철재받침틀을 강교에 거치한후 사각목재(35)를 상기 철재받침틀(14,15)에 고정시키고 합판거푸집(39)을 조립하고 철근을 조립한뒤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순서로 진행한다.
도 3은 본 고안인 캔틸레버구간 거푸집 철재받침틀의 장착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또한 강교 캔틸레버구간의 철재받침틀의 분해 상세도를 도시한 도4에서 알 수 있듯이, 강교 캔틸레버구간의 거푸집받침틀에 있어,
스틸박스(101)의 외측부에 앵글(30)이 6각 볼트(12), 너트(13)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앵글(30)의 상단부에 슬라이딩 컨트롤 플레이트(31)가 형성된 서포트(32)가 6각 볼트(12), 너트(13)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슬라이딩 컨트롤 플레이트(31)의 끝단 하단에 형성된 플레이트(33)와 상기 앵글(30)의 하단에 대각선 방향의 턴 버클 어세이(34)를 체결하여 연결하고, 사각목재(35)가 상기 슬라이딩컨트롤 플레이트(31)의 사이에 거치되고 이어 핸드레일(36)을 서포트(32)의 끝단에 형성된 플레이트(37)에 6각 볼트(12), 너트(13)로 체결되고, 상기 핸드레일(36)의 내측에 로프(38)가 설치되고 합판(39)이 상기 4각목재(35)의 상부에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전체적인 설치구성도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각(100)의 상단의 양방향에 스틸박스(101)가 장착되고, 상기 스틸박스(101) 사이에 상판중앙부 거푸집 철재받침틀(14,15)이 설치되고, 상기 스틸박스(14,15) 외곽에는 캔틸레버구간의 철재받침틀이 장착된다.
상기 기술한 고안으로 인해 안전한 시공과 원가절감을 이루는 효과 및 설치해제가 간단하고 슬래브의 밑면 노출로 인한 유지관리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강교구간 상판중앙부 거푸집 받침틀에 있어,
    교량의 스틸박스(101)의 경간에 따른 길이 조절용 홀(17)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부재(16)와, 상기 부재(16)가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사각홀이 형성되고 상단에 목재고정틀(18)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제1거푸집 철재받침틀(14)과 제2거푸집 철재받침틀(15)이 장착되고, 상기 제2거푸집 철재받침틀(15)의 끝단에 형성된 홀과 상기 부재(16)의 홀에 육각볼트(12)와 육각너트(13)로 결합되고, 상기 제1거푸집 철재받침틀(14)과 제2거푸집 철재받침틀(15)의 양 끝단에는 2개의 캠프 플레이트(20)와 요크 브라켓(21)이 상기 부재들에 형성된 홀에 육각볼트(12)와 육각너트(13)를 이용하여 결합되어 체결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상판중앙부 거푸집 철재받침틀.
KR2020000035427U 2000-12-18 2000-12-18 강교 교량 상판슬래브 거푸집 철재받침틀 KR2002354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427U KR200235400Y1 (ko) 2000-12-18 2000-12-18 강교 교량 상판슬래브 거푸집 철재받침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5427U KR200235400Y1 (ko) 2000-12-18 2000-12-18 강교 교량 상판슬래브 거푸집 철재받침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400Y1 true KR200235400Y1 (ko) 2001-09-26

Family

ID=73093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5427U KR200235400Y1 (ko) 2000-12-18 2000-12-18 강교 교량 상판슬래브 거푸집 철재받침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40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966A (ko) * 2001-04-24 2002-11-01 손석환 슬라브 거푸집의 설치기능을 가지는 피 에스 씨 교량용빔의 가설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72666A (ko) * 2002-03-06 2003-09-19 주식회사 삼덕토건 교량 슬라브의 거푸집장치
KR100469638B1 (ko) * 2002-09-30 2005-02-07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피.에스.씨-빔 교량의 상판 슬래브 지지용 가시설 구조물
KR100854224B1 (ko) 2007-05-18 2008-08-25 (주)한맥기술 반단면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2966A (ko) * 2001-04-24 2002-11-01 손석환 슬라브 거푸집의 설치기능을 가지는 피 에스 씨 교량용빔의 가설방법 및 그 장치
KR20030072666A (ko) * 2002-03-06 2003-09-19 주식회사 삼덕토건 교량 슬라브의 거푸집장치
KR100469638B1 (ko) * 2002-09-30 2005-02-07 주식회사 만영엔지니어링 피.에스.씨-빔 교량의 상판 슬래브 지지용 가시설 구조물
KR100854224B1 (ko) 2007-05-18 2008-08-25 (주)한맥기술 반단면 프리캐스트 캔틸레버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07173B (zh) 装配式叠合梁板安装辅助装置的施工方法
US8323550B2 (en) Method for constructing a bridge decking panel
KR100615471B1 (ko) 강합성 콘크리트 가로보를 이용한 스틸 플레이트 거더교 및그의 시공방법
WO2010021428A1 (en) Opening steel composite gird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728106B1 (ko)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부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
KR100755946B1 (ko) 합성가설교량
KR200235400Y1 (ko) 강교 교량 상판슬래브 거푸집 철재받침틀
JPH08199510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桁の場所打ち床版部の施工方法及びその型枠
KR100946716B1 (ko) 모멘트 재분배를 통한 장경간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거더형 라멘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0397213Y1 (ko) 콘크리트 다주형 교량의 강재가로보 설치 구조
KR200443605Y1 (ko) 교량상판 타설용 거푸집 지지장치
KR100549046B1 (ko) 솔 플레이트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중간지점부 연속화 방법
KR100634344B1 (ko) 합성바닥판 및 그 연결구조
KR101176846B1 (ko) 보의 내력 강화구조를 갖는 공작물
KR101116345B1 (ko) 교량용 빔의 전도 방지와 간격 유지대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 방법
KR20080099061A (ko) Psc 교량의 psc 빔 연결용 강가로보
KR100381724B1 (ko) 교각 점검대
KR200240446Y1 (ko) 강교 교량 상판슬래브 거푸집 철재받침틀
JP4437064B2 (ja) 合成床版橋のコンクリート床版の構築方法および型枠構造
KR200259433Y1 (ko) 콘크리트건물 엘리베이터통로시공용 거푸집장치
JP3798701B2 (ja) コンクリート横桁による鋼桁橋
KR200356048Y1 (ko) 교량 상판 시공을 위한 조립식 거푸집 받침틀 구조
KR100622449B1 (ko) 하이브리드 교각 및 이를 이용한 연속화 시공방법
KR102151567B1 (ko) 강합성 교량
KR100339440B1 (ko) 강합성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