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907Y1 - 안전망 고정구 - Google Patents
안전망 고정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83907Y1 KR200383907Y1 KR20-2005-0004624U KR20050004624U KR200383907Y1 KR 200383907 Y1 KR200383907 Y1 KR 200383907Y1 KR 20050004624 U KR20050004624 U KR 20050004624U KR 200383907 Y1 KR200383907 Y1 KR 20038390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fety net
- fixing
- scaffolding
- pipe
- clamp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18—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cantilevers or other provisions mounted in openings in the building, e.g. window open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안전망 고정구는 안전망(60)을 지지하도록 (슬라브)단턱부(S)에 소정 간격으로 고정된 2개 이상의 안전망 고정부재의 제2고정프레임(20)과 연결프레임(30)의 클램프(31, 21)들 각각에 횡으로 상부 및 하부 비계파이프(40,41)를 설치하고, 이 상부 및 하부 비계파이프(40, 41)에 안전망(60)을 까치발 비계파이프(50)에 의해 경사각도가 조절되게 한 후 고정하여 지지되게 함으로써 (슬라브)단턱부(S) 구조물의 각각의 작업층 내부에서 안전망의 설치 작업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안전망설치작업이 외부에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안전망 설치 근로자가 추락할 염려가 없고, 또한 안전망의 상부로 안전망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이들 안전망을 지지하는 지지대에 부딪쳐서 안전망 외부로 낙하물이 떨어지는 것이 발지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안전망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중인 구조물의 외부로 나가지 않고 내부에서 줄이 없이 안전망의 설치가 가능한 줄없는 안전망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중인 구조물이 3층이상일 때에는 안전망을 설치하여야 하며 상층 및 하층의 각각의 슬라브 단턱부에 안전망고정부재를 고정설치하고, 하층 슬라브 단턱부에 고정된 안전망고정부재에는 안전망을 고정하는 파이프의 단부를 고정시키는 한편 안전망이 고정된 파이프의 단부에 연결된 지지대를 상층의 안전망고정부재에 고정함으로써 낙하물 방지 안전망의 설치작업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층 및 하층에 고정부재를 설치한 후 이들 고정부재에 안전망을 고정하는 작업은 설치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설치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층의 안전망을 소정 각도로 지지하기 위해 상층에 설치되는 지지대에 낙하물이 떨어져서 부딪치는 경우 설치된 안전망 외부로 낙하물이 떨어져서 보행자에게 상해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이와같은 종래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층 및 하층의 구조물에 고정부재를 각각 설치할 필요가 없고, 낙하물이 부딪칠 지지대가 안전망 상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구조물 내부에서 안전망의 설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안전망 고정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와 같은 목적은 안전망 고정구에 있어서,
고정클램프부재가 구비된 제 1고정프레임과,
이 제1고정프레임에 소정간격 이격되고 하부에 비계파이프 고정용 클램프가 구비된 제2고정프레임과,
이들 제1고정프레임과 제2고정프레임을 연결하고 상부에 비계파이프 고정용 클램프가 구비된 연결프레임
으로 구성되어 (슬라브) 단턱부에 고정되는 2개 이상의 고정부재와,
연결프레임의 비계파이프 고정용 클램프와 제2고정프레임의 비계파이프 고정용 클램프에 각각 고정되어 횡으로 배열된 상부 및 하부 비계파이프와,
하부는 상부 비계파이프에 고정되고, 상부는 배면 내측에 결합된 까치발 비계파이프에 의해 하부 비계파이프에 고정되는 안전망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안전망의 하부 및 까치발 비계파이프의 하부에는 비계파이프에 고정되는 클램프가 각각 설치되고, 안전망의 상부에는 까치발 비계파이프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클램프가 설치되어 안전망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안전망 고정부재는 제1고정프레임과 제2고정프레임을 (슬라브)구조물의 단턱부에 끼운 후 클램프부재에 의해 이들 프레임을 구조물의 단턱부에 확실히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안전망에 낙하물이 떨어져도 안전망의 상부 배면 내측에 까치발 비계파이프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낙하물이 까치발 비계파이프 내측에 부딪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안전망 고정구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및 도2는 (슬라브)단턱부에 고정되는 안전망 고정부재의 측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3은 이 안전망 고정부재와 안전망이 결합되어 각도조절이 되는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4는 도3의 평면도이고, 도5는 도3의 정면도이다.
도1 및 도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안전망 고정부재는 나사식으로 작동되는 고정클램프부재가 구비된 제 1고정프레임(10)과, 이 제1고정프레임(10)에 소정간격 이격되고 하부에 비계파이프 고정용 클램프(21)가 구비된 제2고정프레임(20)과, 이들 제1고정프레임(10)과 제2고정프레임(20)을 연결하고 상부에 비계파이프 고정용 클램프(31)가 구비된 연결프레임(30)으로 구성된다.
제1고정프레임(10)에 구비된 고정클램프부재는 (슬라브) 단턱부(S)(도3참조)를 가압하도록 나사봉(12) 전방 단부에 형성된 가압부(11)와, 나사봉(12)을 회전시켜 전후진시키도록 나사봉(12) 후방부에 인접 형성된 손잡이(13)를 포함한다.
이 안전망 고정부재는 안전망을 고정하기 위해 (슬라브) 단턱부(S)에 소정간격으로 2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에 확대도로 예시된 바와 같이, 제2고정프레임(20)에 고정된 클램프(21) 및 연결프레임(30)의 클램프(31)는 비계파이프(40, 41)를 수용하여 감싸도록 핀(P)으로 고정되어 회전가능한 고정부(M)와, 또한 핀(P)으로 고정되어 회동가능한 볼트(B), 및 고정부(M)에 결합된 볼트(B)를 고정하는 너트(N)를 포함한다. 클램프는 여기에 도시된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비계파이프(40, 41)를 수용하여 간단히 고정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도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안전망 고정부재의 연결프레임(30)의 비계파이프 고정용 클램프(31)와 제2고정프레임(20)의 비계파이프 고정용 클램프(21)는 안전망(60)을 지지하기 위하여 횡으로 상부 비계파이프(40) 및 하부 비계파이프(41)가 각각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부 비계파이프(40) 및 하부 비계파이프(41)은 안전망(60)의 하부 및 상부가 각각 지지된다. 이를 위해 안전망(60)의 하단부에는 상부 비계파이프(40)에 결합되도록 클램프(61)가 설치되고, 안전망(60)의 상부는 까치발 비계파이프(50)가 결합되고, 이 까치발 비계파이프(50)의 하부에는 하부 비계파이프(41)에 결합되도록 클램프(51)가 또한 설치된다.
도4 및 도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안전망(60)의 하단부 및 까치발 비계파이프(50)의 하부에는 클램프(61)(51)가 각각 설치되어 상부 비계파이프(40) 및 하부 비계파이프(41)에 결합된다.
또한, 까치발 비계파이프(50)의 상부 및 안전망(60)의 상부는 클램프(62)로 결합되어 상호 회전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하부 비계파이프(41)에 클램프(51)로 가고정된 까치발 비계파이프(50)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거나 하방으로 잡아당기는 경우 안전망(60)은 상부 비계파이프(40)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되고, 안전망(60)의 상부와 까치발 비계파이프(50)도 안전망(60)의 상부 배면 내측에 결합되는 클램프(62)에 의해 상호 회전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안전망 고정구는 먼저, 고정클램프부재의 나사봉(12)을 손잡이(13)로 회전시켜 가압부(11)가 후방으로 즉 제1고정프레임(10)측으로 후퇴시킨 다음 제1고정프레임(10)과 제2고정프레임(20)이 (슬라브)단턱부(S) 사이에 위치되게 하여 연결프레임(30)이 (슬라브)단턱부(S)상에 얹히게 한다. 그리고 손잡이(13)를 반대로 회전시켜 가압부(11)가 (슬라브)단턱부(S)의 측면을 가압되게 하여 안전망 고정구를 확실히 고정되게 한다.
이와 같이 고정클램프부재에 의해 안전망 고정구를 단턱부(S)에 고정시켜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게 한 후 각각의 연결프레임(30)의 클램프(31)들에 상부 비계파이프(40)를 횡으로 결합시키고, 마찬가지로 제2고정프레임(20)의 클램프(21)들에 하부 비계파이프(41)를 횡으로 결합시킨다. 제2고정프레임(20)에 고정된 클램프(21) 및 연결프레임(30)의 클램프(31)들에 비계파이프(40, 41)를 수용하여 고정부(M)로 감싼 후 핀(P)으로 고정되어 회동가능하며 너트(N)가 결합된 볼트(B)를 고정부와 결합시켜 너트(N)로 간단히 고정시킨다.
그리고, 안전망(60)의 상부 배면 내측에 클램프(62)를 결합시키고, 이 클램프(62)에 까치발 비계파이프(50)를 결합시킨다. 물론 안전망(60)의 하부 및 까치발 비계파이프(50)의 하부에는 클램프(61)(51)가 각각 미리 설치된다.
까치발 비계파이프(50)가 결합된 안전망(60)의 하부는 클램프(61)에 의해 상부 비계파이프(40)에 결합시켜 가고정시키는 한편 까치발 비계파이프(50)는 하부 비계파이프(41)에 클램프(51)에 의해 가고정시킨다. 이와같이 안전망(60)을 안전망 고정구에 결합시킬 때, 안전망(60)의 상부는 별도의 안전고리(도시되지 않음)로 걸어서 부주의하게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망(60)의 하부와 까치발 비계파이프(50)의 하부가 가고정되어 있으므로 까치발 비계파이프(50)를 하방(도3의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방(도3의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안전망(60)의 설치각도를 조절한 후 클램프(61)(51)를 완전히 고정시켜 안전망(60)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은 (슬라브)구조물 각각의 작업층 모든 설치 작업이 가능하여 인력 비용이 감소되고 안전망 설치작업이 간소화되며, 안전망 설치작업시 외부에서 이루어지 않으므로 인명사고가 방지됨은 물론 안전망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안전망 상부로 돌출 설치되지 않으므로 종래와 같이 낙하물이 지지대에 부딪쳐서 발생되는 사고가 방지되고, 까치발 비계파이프에 의해 안전망이 지지되어 중량물의 낙하물도 충분히 견뎌 안전망 고정구의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슬라브)단턱부에 고정되는 안전망 고정부재의 측면도.
도2는 (슬라브)단턱부에 고정되는 안전망 고정부재의 사시도.
도3은 안전망 고정부재와 안전망이 결합되어 각도조절이 되는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4는 도3의 평면도.
도5는 도3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고정프레임 20: 제2고정프레임
21: 비계파이프 고정용 클램프 30: 연결프레임
31: 비계파이프 고정용 클램프 40, 41: 상부 및 하부 파이프
50: 까치발 비계파이프 51: 클램프
60: 안전망 61: 클램프
62: 클램프 S : 단턱부
Claims (3)
- 고정클램프부재가 구비된 제 1고정프레임(10)과,이 제1고정프레임(10)에 소정간격 이격되고 하부에 비계파이프 고정용 클램프(21)가 구비된 제2고정프레임(20)과,이들 제1고정프레임(10)과 제2고정프레임(20)을 연결하고 상부에 비계파이프 고정용 클램프(31)가 구비된 연결프레임(30)으로 구성되어 (슬라브) 단턱부(S)에 고정되는 2개 이상의 안전망 고정부재와,연결프레임(30)의 비계파이프 고정용 클램프(31)와 제2고정프레임(20)의 비계파이프 고정용 클램프(21)에 각각 고정되어 횡으로 배열된 상부 및 하부 비계파이프(40, 41)와,하부는 상부 비계파이프(40)에 고정되고, 상부는 까치발 비계파이프(50)에 의해 하부 비계파이프(41)에 고정되는 안전망(6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망 고정구.
- 제1항에 있어서,안전망(60)의 하단부 및 까치발 비계파이프(50)의 하부에는 상부 및 하부 비계파이프(40,41)에 고정되는 클램프(61)(51)가 각각 설치되고, 안전망(60)의 상부 배면 내측에는 까치발 비계파이프(50)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클램프(6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망 고정구.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안전망(60)은 까치발 비계파이프(50)의 상하이동에 의해 경사각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망 고정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4624U KR200383907Y1 (ko) | 2005-02-22 | 2005-02-22 | 안전망 고정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4624U KR200383907Y1 (ko) | 2005-02-22 | 2005-02-22 | 안전망 고정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83907Y1 true KR200383907Y1 (ko) | 2005-05-10 |
Family
ID=43685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04624U KR200383907Y1 (ko) | 2005-02-22 | 2005-02-22 | 안전망 고정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83907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0149B1 (ko) | 2006-11-07 | 2007-02-07 | 탁재균 | 아파트 발코니 확장형 브래킷 |
KR20180002609U (ko) | 2017-02-23 | 2018-08-31 | 배순조 | 아파트 동출입구의 안전망 설치세트 |
KR20190030155A (ko) * | 2017-09-13 | 2019-03-21 | 이상식 | 강교용 가설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비계 설치공법 |
-
2005
- 2005-02-22 KR KR20-2005-0004624U patent/KR20038390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0149B1 (ko) | 2006-11-07 | 2007-02-07 | 탁재균 | 아파트 발코니 확장형 브래킷 |
KR20180002609U (ko) | 2017-02-23 | 2018-08-31 | 배순조 | 아파트 동출입구의 안전망 설치세트 |
KR20190030155A (ko) * | 2017-09-13 | 2019-03-21 | 이상식 | 강교용 가설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비계 설치공법 |
KR102127345B1 (ko) | 2017-09-13 | 2020-06-26 | 이상식 | 강교용 가설 브래킷 및 이를 이용한 비계 설치공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90085188A (ko) | 난간의 가로대 연결구 | |
WO2007017957A1 (ja) | タラップ装置 | |
KR200383907Y1 (ko) | 안전망 고정구 | |
KR20120140340A (ko) | 비계장치 | |
ES2899984T3 (es) | Aparato para formar barandillas temporales en escaleras | |
KR20150031511A (ko) | 계단 난간대의 지주 각도조절장치 | |
JP6713599B1 (ja) | くさび緊結式足場用朝顔装置およびくさび緊結式足場用朝顔装置システム | |
JP4417539B2 (ja) | 屋根工事用作業足場 | |
KR101017373B1 (ko) | 핸드레일 | |
US3383080A (en) | Overhang bracket | |
KR100611532B1 (ko) | 거푸집 난간대용 발판지지대 | |
KR200386867Y1 (ko) | 안전방호망장치 | |
JP2003239529A (ja) | ベランダ手摺り用足場板支持装置 | |
JP2006348580A (ja) | 屋根工事用足場 | |
GB2350859A (en) | Scaffolding fixtures | |
KR200398763Y1 (ko) | 낙하물 방지 안전망 설치시스템 | |
KR100680277B1 (ko) | 철골에 설치되는 승강수단용 브라켓 | |
JP3005946U (ja) | 鉄骨階段用仮設手摺 | |
KR200392830Y1 (ko) | 건축용 안전망 장치 | |
JP3981604B2 (ja) | 仮設階段用踊り場 | |
KR200367402Y1 (ko) | 건설공사용 안전망 가설구조 | |
KR101578763B1 (ko) | 계단용 임시난간 | |
KR200382479Y1 (ko) | 안전난간 | |
KR100406517B1 (ko) | 건축공사용 a형 지주 | |
JP2011111864A (ja) | 屋根上作業用安全柵及び支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EXTG | Extinguishment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