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203B1 - 루프 어닝 시스템 - Google Patents

루프 어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203B1
KR102105203B1 KR1020190144651A KR20190144651A KR102105203B1 KR 102105203 B1 KR102105203 B1 KR 102105203B1 KR 1020190144651 A KR1020190144651 A KR 1020190144651A KR 20190144651 A KR20190144651 A KR 20190144651A KR 102105203 B1 KR102105203 B1 KR 102105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of
wing
louve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해울
류지호
Original Assignee
변해울
선일알미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해울, 선일알미늄(주) filed Critical 변해울
Priority to KR1020190144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2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8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 E04F10/1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a plurality of similar rigid parts, e.g. slabs, lamellae collapsible or extensible; metallic Florentine blinds; awnings with movable parts such as louv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외장소에 설치되어 그늘을 제공하며, 지붕 개폐 또는 틸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루프 날개부의 개폐 여부 또는 개폐 정도를 산출할 수 있도록 구현한 루프 어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루프 프레임부; 상기 루프 프레임부의 내측을 따라 연결 설치되어 루프를 형성하며, 틸팅 및 슬라아딩 이동하면서 상기 루프 프레임부의 내측 공간을 개폐시키는 루프 날개부; 및 상기 루프 프레임부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루프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루프 어닝 시스템{ROOF AWNING SYSTEM}
본 발명은 루프 어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외장소에 설치되어 그늘을 제공하며, 지붕 개폐 또는 틸팅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루프 날개부의 개폐 여부 또는 개폐 정도를 산출할 수 있도록 구현한 루프 어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커피숍이나 음식점에는 실외에서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그늘을 제공하는 어닝장치가 설치되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어닝장치는 길이가 긴 철근파이프를 일정길이로 절단하고 각 체결부위를 용접하여 골조를 형성하며, 이러한 파이프 골조의 상부에 천막이나 판재를 덮어 그늘을 제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어닝장치의 경우 용접방식으로 체결부위를 고정시키기 때문에 골조를 조립하기 위한 작업소요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었으며, 상부의 차양막은 노끈 등으로 골조 프레임과 함께 휘감아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조립되어 겨울철과 같이 차양이 불필요한 경우 번번히 차양막을 해제하고 조립해야 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보통 3m 이상의 프레임들을 용접방식으로 상호 체결시키기 위해서는 두 명의 작업자는 길이가 긴 프레임들을 설치높이로 들어올려 고정시키고 다른 한 명의 작업자가 용접기로 용접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인건비가 과도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0208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47513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햇빛, 비, 눈, 바람, 외기로부터 자유롭고, 구동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어 기존 소재까지 사용이 가능하며, 날씨를 고려한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스마트 틸팅 및 개폐가 가능하며,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재활용이 가능하며 자재의 국산화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구현한 루프 어닝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즉,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하여 형성되는 그늘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비 또는 눈을 임시적으로 피하는 보행자들이 웹페이지 등을 통하여 검색되는 검색어 등을 종합적으로 수집 및 분석하며,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분석값을 이용하여 루프 날개부의 개폐 여부 또는 개폐 정도를 산출할 수 있도록 구현한 루프 어닝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 어닝 시스템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루프 프레임부; 상기 루프 프레임부의 내측을 따라 연결 설치되어 루프를 형성하며, 틸팅 및 슬라아딩 이동하면서 상기 루프 프레임부의 내측 공간을 개폐시키는 루프 날개부; 및 상기 루프 프레임부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루프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루프 프레임부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좌우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전단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전단 사이에서 좌우 연장 형성되는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3 프레임과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의 후단과 상기 제2 프레임의 후단 사이에서 좌우 연장 형성되는 제 4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루프 날개부는, 일측이 상기 제1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제2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어 루프를 구성하는 일 날개를 형성하는 다수 개의 루버(Louver); 상기 루버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루프 프레임부의 내측 공간을 개방 또는 차폐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루버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틸팅시켜 주는 다수 개의 틸팅 모터; 상기 루버를 틸팅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틸팅 모터로부터 상기 루버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틸팅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X" 형태로 연결 설치되는 제1 바아와 제2 바아로 이루어지는 다수 개의 링크; 상기 루버의 일측에서 상기 루버의 틸팅축으로부터 편심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지지 바아; 상기 지지 바아와 다른 루버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를 연결 시켜 주는 다수 개의 연결 와이어; 상기 제3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3 프레임에 가장 가까이 설치되는 루버에 연결 설치되는 틸팅 모터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체인을 권취 또는 권출시키면서 해당 틸팅 모터를 상기 제3 프레임 방향으로 잡아당겨 주는 제1 개폐 모터; 및 상기 제4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4 프레임에 가장 가까이 설치되는 루버에 연결 설치되는 틸팅 모터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체인을 권취 또는 권출시키면서 해당 틸팅 모터를 상기 제4 프레임 방향으로 잡아당겨 주는 제2 개폐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의 제1 바아는, 일단부가 인근하여 배치되는 다른 링크의 제2 바아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의 제2 바아는, 일단부가 인근하여 배치되는 다른 링크의 제1 바아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프레임에 가장 가까이에 설치되는 루버에 연결 설치되는 링크는, 상기 제1 개폐 모터가 자신이 연결 설치된 틸팅 모터를 잡아당김에 따라 제1 바아와 제2 바아의 각 일단부가 상기 제3 프레임의 벽체면을 따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바아와 제2 바아의 각 타단부 역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자신이 연결 설치된 루버에 인근하여 배치되는 다른 루버에 연결 설치되는 다른 링크의 제1 바아와 제2 바아의 각 일단부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려 줌에 따라 상기 다른 루버를 자신이 설치된 루버 방향으로 잡아당겨 슬라이딩 이동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루버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틸팅하면서 상기 루프 프레임부의 내측 공간을 개폐시키는 날개 바디; 상기 날개 바디의 전단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1 절곡 날개; 및 상기 날개 바디의 후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2 절곡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절곡 날개 또는 상기 제2 절곡 날개는, 자신이 포함되는 날개 바디와 인근하여 배치되는 다른 루버의 날개 바디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다른 루버의 제2 절곡 날개 또는 상기 제1 절곡 날개와 맞물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 어닝 시스템은, 빗물의 세기와 양을 감지하는 빗물 센서; 상기 루프 날개부의 개폐를 감지하는 멈춤 장치;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IP 카메라; 루프 어닝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두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루프 날개부와 연결되어 상기 루프 날개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루프 날개부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며, 기상청으로부터 제공되는 날씨공공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루프 날개부의 개폐 여부를 판독하며, 상기 루프 날개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루프 제어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루프 제어 서버는, 기상청으로부터 제공되는 날씨공공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태양의 고도각을 판독하며, 판독된 태양의 고도각에 따라 상기 루프 날개부의 루버의 일측면이 태양을 대향하여 태양빛이 상기 루프 날개부를 통화하고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루프 날개부의 루버의 틸팅 각도를 산출한 뒤 이에 대응하는 개폐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루프 날개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루프 제어 서버는, 상기 IP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루프 날개부에 의하여 형성된 그늘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들의 인원수 및 해당 사람들의 위치를 판독하며, 상기 루프 날개부에 의하여 형성된 그늘이 판독된 인원수 및 해당 사람들의 위치를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루프 날개부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개폐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루프 날개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루프 제어 서버는, 기상청으로부터 제공되는 날씨공공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루프 날개부의 상측에 쌓이는 적설량을 판독하며, 상기 루프 날개부에 쌓인 적설량이 기 설정된 높이 이상이 된다고 판독되는 경우 상기 루프 날개부에 쌓인 눈을 하측으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루프 날개부의 루버를 90˚ 내지 180 ˚로 틸팅시켜 주기 위한 개폐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루프 날개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루프 제어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실시간 기상 정보를 화면표시장치 또는 음성출력장치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루프 제어 서버는, 수집 대상 데이터 소스 모듈, 수집 대상 키워드 및 수집 대상 기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집 기준을 설정하는 수집 관리 모듈; 상기 수집 관리 모듈로부터 설정 받은 데이터 수집 기준에 따라 해당 데이터 소스 모듈로부터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빅데이터의 형태소를 분석하여 형태소 별로 구분하고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형태소 분석 모듈; 및 상기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분산 병렬 처리 기반의 통계분석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통계값을 산출하고 상기 통계값에 따라 위크시그널을 출력하는 데이터 분석 모듈;을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위크시그널 도출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루프 날개부의 개폐 여부를 판독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알루미늄, 패프릭, 타일 등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여 소재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고, 연속식 개폐 방식을 사용하여 빠르게 개폐할 수 있으며, 자외선에 의한 부식이 없고 곰팡이 증식이 불가능하며 지진이나 태풍 등으로부터 견고하여 신뢰성을 주며, 스마트폰으로 동작을 원격 제어할 수 있어 편의성을 제공하며, 설치비용이 낮으며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10% 정도의 재활용 소재제 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하여 형성되는 그늘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비 또는 눈을 임시적으로 피하는 보행자들이 웹페이지 등을 통하여 검색되는 검색어 등을 종합적으로 수집 및 분석하며,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분석값을 이용하여 루프 날개부의 개폐 여부 또는 개폐 정도를 산출하여 현재 본 발명에 의하여 생긴 루프의 하측에 있는 보행자에게 최적화된 그늘 또는 쉼터를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 어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루프 날개부의 개폐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루프 프레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루프 날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루버의 틸팅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링크에 의한 슬라이딩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루프 날개부의 틸팅 및 슬라이딩 이동을 종합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루프 어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지지 프레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 어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 어닝 시스템(10)은, 루프 프레임부(100), 루프 날개부(200) 및 지지 프레임부(300)를 포함한다.
루프 프레임부(100)는, 4면을 형성하는 4개의 프레임(즉, 후술하는 제1 프레임(110), 제2 프레임(120), 제3 프레임(130) 및 제4 프레임(140))의 연결에 의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각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루프 날개부(200)가 연결 설치되고,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된 지지 프레임부(300)에 의하여 지지된다.
루프 날개부(200)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어닝 시스템(10)의 지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루프 프레임부(100)의 내측을 따라 다수 개가 열을 지어 연결 설치되어 루프를 형성하며, 틸팅 및 슬라아딩 이동하면서 루프 프레임부(100)의 내측 공간을 개폐시킨다.
즉, 루프 날개부(200)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0)의 내측 공간을 전부 덮어 지붕으로의 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100)의 내측 공간의 일측으로 모두 슬라이딩 이동되어 프레임부(100)의 내측 공간을 개방시켜 줄 수도 있는 것이다.
지지 프레임부(300)는, 루프 프레임부(100)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루프 프레임부(100)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루프 어닝 시스템(10)은, 다수 개가 서로 연결 설치되어 보다 많은 면적을 커버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시스템이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개폐 동작을 수행하며, 알루미늄, 패프릭, 타일 등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여 소재의 다양성을 제공할 수 있고, 연속식 개폐 방식을 사용하여 빠르게 개폐할 수 있으며, 자외선에 의한 부식이 없고 곰팡이 증식이 불가능하며 지진이나 태풍 등으로부터 견고하여 신뢰성을 주며, 스마트폰으로 동작을 원격 제어할 수 있어 편의성을 제공하며, 설치비용이 낮으며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10% 정도의 재활용 소재제 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루프 프레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루프 프레임부(100)는, 제1 프레임(110), 제2 프레임(120), 제3 프레임(130) 및 제4 프레임(140)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110)은, 제2 프레임(120)과 대향하며 이격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후술하는 루버(Louver)(210)의 일측이 연결 설치된다.
제2 프레임(120)은, 제1 프레임(110)과 좌우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후술하는 루버(Louver)(210)의 다른 일측이 연결 설치된다.
제3 프레임(130)은, 제1 프레임(110)의 전단과 제2 프레임(120)의 전단 사이에서 제4 프레임(140)과 대향하면서 좌우 연장 형성된다.
제4 프레임(140)은, 제3 프레임(130)과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제1 프레임(110)의 후단과 제2 프레임(120)의 후단 사이에서 좌우 연장 형성된다.
도 5는 도 1의 루프 날개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루프 날개부(200)는, 루버(Louver)(210), 틸팅 모터(220), 링크(230), 지지 바아(240), 연결 와이어(250), 제1 개폐 모터(260) 및 제2 개폐 모터(270)를 포함한다.
루버(Louver)(210)는, 일측이 제1 프레임(110)에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제2 프레임(120)에 연결 설치되어 루프를 구성하는 일 날개를 형성하며, 일측에 연결 설치된 틸팅 모터(220)에 의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루버(210)는, 날개 바디(211), 제1 절곡 날개(212) 및 제2 절곡 날개(213)를 포함할 수 있다.
날개 바디(211)는, 틸팅 모터(220)의 구동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틸팅하면서 루프 프레임부(100)의 내측 공간을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시키거나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되어 개방시킬 수 있다.
제1 절곡 날개(212)는, 날개 바디(211)의 전단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절곡 형성된다.
제2 절곡 날개(213)는, 날개 바디(211)의 후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절곡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절곡 날개(212) 또는 제2 절곡 날개(213)는, 자신이 포함되는 날개 바디(211a)와 인근하여 배치되는 다른 루버(210b)의 날개 바디(211b)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른 루버(210b)의 제2 절곡 날개(213b) 또는 제1 절곡 날개(212b)와 맞물릴 수 있다.
틸팅 모터(220)는, 루버(210)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루프 프레임부(100)의 내측 공간을 개방 또는 차폐시켜 줄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버(21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틸팅시켜 준다.
링크(230)는, 루버(210)를 틸팅시켜 줄 수 있도록 틸팅 모터(220)로부터 루버(210)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틸팅축(221)을 중심축으로 하여 "X" 형태로 연결 설치되는 제1 바아(231)와 제2 바아(232)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링크(230)의 제1 바아(231)는, 일단부가 인근하여 배치되는 다른 링크(230)의 제2 바아(232)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링크(230)의 제2 바아(232)는, 일단부가 인근하여 배치되는 다른 링크(230)의 제1 바아(231)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프레임(130)에 가장 가까이에 설치되는 루버(210c)에 연결 설치되는 링크(230c)는, 제1 개폐 모터(260)가 자신이 연결 설치된 틸팅 모터(220)를 잡아당김에 따라 제1 바아(231c)와 제2 바아(232c)의 각 일단부가 제3 프레임(130)의 벽체면을 따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바아(231c)와 제2 바아(232c)의 각 타단부 역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자신이 연결 설치된 루버(210c)에 인근하여 배치되는 다른 루버(210b)에 연결 설치되는 다른 링크(230b)의 제1 바아(231b)와 제2 바아(232b)의 각 일단부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려 줌에 따라 도 8의 (a), (b), (c)의 순서에 따라 다른 루버(210b)를 자신이 설치된 루버(210c) 방향으로 잡아당겨 슬라이딩 이동시켜 줄 수 있다.
지지 바아(240)는, 루버(210)의 일측에서 루버(210)의 틸팅축으로부터 편심되어 설치된다.
연결 와이어(250)는, 지지 바아(240)와 다른 루버(210)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240)를 연결시켜 준다.
즉, 연결 와이어(250)는, 일 루버(210a)가 회전될 경우 이에 따라 다른 루버(210b)을 회전시켜 주기 위한 구성에 해당하는 것이다.
제1 개폐 모터(260)는, 제3 프레임(130)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며, 제3 프레임(130)에 가장 가까이 설치되는 루버(210)에 연결 설치되는 틸팅 모터(22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체인을 권취 또는 권출시키면서 해당 틸팅 모터(220)를 제3 프레임(130) 방향으로 잡아당겨 준다.
제2 개폐 모터(270)는, 제4 프레임(140)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며, 제4 프레임(140)에 가장 가까이 설치되는 루버(210)에 연결 설치되는 틸팅 모터(22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체인을 권취 또는 권출시키면서 해당 틸팅 모터(220)를 제4 프레임(140) 방향으로 잡아당겨 준다.
즉, 제1 개폐 모터(260)가 루프를 개방시켜 주기 위한 구동장치에 해당한다면, 제2 개폐 모터(270)는 루프를 폐쇄시켜 주기 위한 구동장치에 해당하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루프 어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루프 어닝 시스템(20)은, 루프 프레임부(100), 루프 날개부(200), 지지 프레임부(300), 빗물 센서(400), 멈춤 장치(500), IP 카메라(600), 사용자 단말기(700) 및 루프 제어 서버(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루프 프레임부(100), 루프 날개부(200) 및 지지 프레임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빗물 센서(400)는, 빗물의 세기와 양을 감지한다.
멈춤 장치(500)는, 루프 날개부(200)의 개폐를 감지한다.
IP 카메라(600)는, 주변의 영상을 촬영한다.
사용자 단말기(700)는, 루프 어닝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두며, 네트워크(N)를 통해 루프 날개부(200)와 연결되어 루프 날개부(200)의 개폐를 제어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7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은 물론, 노트북(Notebook), 스마트 폰(Smart Phone), 데스크탑 컴퓨터(PC), 태블릿 컴퓨터(Tablet PC) 등과 같이 일반인들에게 널리 사용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 유무선 네트워크(N)를 지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를 의미하는 광의의 개념이다.
루프 제어 서버(800)는, 네트워크(N)를 통해 루프 날개부(200) 또는 사용자 단말기(700)와 연결되며, 기상청(P)으로부터 제공되는 날씨공공데이터를 이용하여 루프 날개부(200)의 개폐 여부를 판독하며, 루프 날개부(200)의 개폐를 제어한다.
한편, 네트워크(N)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리워드 제공 서버(200) 간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달 매개체로서, 예컨대 무선 통신, 유선 통신, 광 초음파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BAN(Body Area Network), 위성 통신, 셀룰러 통신, 블루투스, NFC(Near Field Communication),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standard), WiFi(Wireless Fidelity), 및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는 통신 경로에 포함될 수 있는 무선 통신의 예이며, 이더넷, DSL(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및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는 통신망에 포함될 수 있는 유선 통신의 예이다. 또한, 통신망은 다수의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거리를 횡단할 수 있다. 예컨대, 통신망은 직접 연결,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LoRaWAN, NB-Fi, RPMA을 포함하는 저전력광대역 네트워크(Low Power Wide Area Network)를 통해 이루어 질 수도 있다. 다만, 네트워크(N)는, 통신망에 관한 설명은 상기한 통신망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임의의 최신 데이터 통신망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루프 제어 서버(800)는, 기상청으로부터 제공되는 날씨공공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태양의 고도각을 판독하며, 판독된 태양의 고도각에 따라 루프 날개부(200)의 루버(210)의 일측면이 태양을 대향하여 태양빛이 루프 날개부(200)를 통화하고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루프 날개부(200)의 루버(210)의 틸팅 각도를 산출한 뒤 이에 대응하는 개폐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N)를 통해 루프 날개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루프 제어 서버(800)는, IP 카메라(6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루프 날개부(200)에 의하여 형성된 그늘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들의 인원수 및 해당 사람들의 위치를 판독하며, 루프 날개부(200)에 의하여 형성된 그늘이 판독된 인원수 및 해당 사람들의 위치를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루프 날개부(200)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개폐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N)를 통해 루프 날개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루프 제어 서버(800)는, 기상청으로부터 제공되는 날씨공공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루프 날개부(200)의 상측에 쌓이는 적설량을 판독하며, 루프 날개부(200)에 쌓인 적설량이 기 설정된 높이 이상이 된다고 판독되는 경우 루프 날개부(200)에 쌓인 눈을 하측으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루프 날개부(200)의 루버(210)를 90˚ 내지 180 ˚로 틸팅시켜 주기 위한 개폐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N)를 통해 루프 날개부(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루프 어닝 시스템(20)은, 루프 제어 서버(800)로부터 네트워크(N)를 통해 수신되는 실시간 기상 정보를 화면표시장치 또는 음성출력장치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알림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루프 제어 서버(800)는, 루프 날개부(200)의 개폐 여부를 판독을 위해 이하 후술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위크시그널 도출 시스템(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위크시그널 도출 시스템은, 수집 대상 데이터 소스 모듈, 수집 대상 키워드 및 수집 대상 기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집 기준을 설정하는 수집 관리 모듈; 수집 관리 모듈로부터 설정 받은 데이터 수집 기준에 따라 해당 데이터 소스 모듈로부터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빅데이터의 형태소를 분석하여 형태소 별로 구분하고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형태소 분석 모듈; 및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분산 병렬 처리 기반의 통계분석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통계값을 산출하고 통계값에 따라 위크시그널을 출력하는 데이터 분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분석 모듈은, 상기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저장하는 분산 파일 시스템; 상기 분산 파일 시스템에 존재하는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을 기반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가상화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처리부; 및 상기 데이터 처리부가 제공하는 가상화 데이터베이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계분석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상기 형태소 분석 데이터로부터 연도별 출현빈도수(instance frequencies), 연도별 단어-단어 간 동시 출연 건수, 연도별 출현빈도수 및 연도별 단어-단어 간 동시 출현 건수로부터 가공된 값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산출하는 통계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계 분석부는, 상기 통계 분석부는 상기 연도별 출현건수(instance frequencies) 및 단어-단어간 동시 발생건수에 기초하여 단어 별 발생건수 증가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계 분석부는, 상기 연도별 출현건수(instance frequencies)를 연도별 문서수로 나누어 문서당 상기 단어들의 연도별 출현 빈도수를 표준화하여 상기 단어들에 대한 표준화된 단어 별 출현 빈도수 증가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계 분석부는, 상기 단어-단어간 동시발생건수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단어 별 연결 정도 중심성 증가율을 산출하고, 상기 표준화된 단어 별 출현 빈도수 증가율 및 상기 연결 정도 중심성 증가율이 상위 일정 부분 이상인 단어 또는 하위 일정 부분 이하인 단어를 위크시그널로 도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 수집 모듈은, 이미지, 동영상, 음성, 센서, GPS, GIS, M2M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비정형 데이터를 포함하는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즉, 루프 제어 서버(8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위크시그널 도출 시스템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하여 형성되는 그늘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비 또는 눈을 임시적으로 피하는 보행자들이 웹페이지 등을 통하여 검색되는 검색어 등을 종합적으로 수집 및 분석하며,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된 분석값을 이용하여 루프 날개부(200)의 개폐 여부 또는 개폐 정도를 산출하여 현재 본 발명에 의하여 생긴 루프의 하측에 있는 보행자에게 최적화된 그늘 또는 쉼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도 1의 지지 프레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지지 프레임부(300)은, 루프 프레임부(100)의 각 하측에 설치되어 본 발명을 지탱하기 위한 구성에 행상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프레임부(300)은, 프레임 간의 연을 위한 연결브라켓(310, 320)을 구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측 공간에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 알루미늄 골조(33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알루미늄 골조(330)는, 수도/전기/가스/배수/오수 등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파이프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 프레임부(300)은, 콘크리트 등으로 형성되는 바닥면에 체결되기 위한 바닥 브라켓(340) 역시 구비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루프 어닝 시스템
100: 루프 프레임부
200: 루프 날개부
300: 지지 프레임부
400: 빗물 센서
500: 멈춤 장치
600: IP 카메라
700: 사용자 단말기
800: 루프 제어 서버

Claims (2)

  1.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루프 프레임부; 및
    상기 루프 프레임부의 내측을 따라 연결 설치되어 루프를 형성하며, 틸팅 및 슬라아딩 이동하면서 상기 루프 프레임부의 내측 공간을 개폐시키는 루프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 프레임부의 하측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루프 프레임부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루프 프레임부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좌우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의 전단과 상기 제2 프레임의 전단 사이에서 좌우 연장 형성되는 제3 프레임; 및 상기 제3 프레임과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1 프레임의 후단과 상기 제2 프레임의 후단 사이에서 좌우 연장 형성되는 제 4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루프 날개부는, 일측이 상기 제1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제2 프레임에 연결 설치되어 루프를 구성하는 일 날개를 형성하는 다수 개의 루버(Louver); 상기 루버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루프 프레임부의 내측 공간을 개방 또는 차폐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루버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틸팅시켜 주는 다수 개의 틸팅 모터; 상기 루버를 틸팅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틸팅 모터로부터 상기 루버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틸팅축을 중심축으로 하여 "X" 형태로 연결 설치되는 제1 바아와 제2 바아로 이루어지는 다수 개의 링크; 상기 루버의 일측에서 상기 루버의 틸팅축으로부터 편심되어 설치되는 다수 개의 지지 바아; 상기 지지 바아와 다른 루버에 설치되는 지지 바아를 연결 시켜 주는 다수 개의 연결 와이어; 상기 제3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3 프레임에 가장 가까이 설치되는 루버에 연결 설치되는 틸팅 모터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체인을 권취 또는 권출시키면서 해당 틸팅 모터를 상기 제3 프레임 방향으로 잡아당겨 주는 제1 개폐 모터; 및 상기 제4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제4 프레임에 가장 가까이 설치되는 루버에 연결 설치되는 틸팅 모터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체인을 권취 또는 권출시키면서 해당 틸팅 모터를 상기 제4 프레임 방향으로 잡아당겨 주는 제2 개폐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의 제1 바아는, 일단부가 인근하여 배치되는 다른 링크의 제2 바아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링크의 제2 바아는, 일단부가 인근하여 배치되는 다른 링크의 제1 바아의 타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3 프레임에 가장 가까이에 설치되는 루버에 연결 설치되는 링크는, 상기 제1 개폐 모터가 자신이 연결 설치된 틸팅 모터를 잡아당김에 따라 제1 바아와 제2 바아의 각 일단부가 상기 제3 프레임의 벽체면을 따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바아와 제2 바아의 각 타단부 역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자신이 연결 설치된 루버에 인근하여 배치되는 다른 루버에 연결 설치되는 다른 링크의 제1 바아와 제2 바아의 각 일단부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려 줌에 따라 상기 다른 루버를 자신이 설치된 루버 방향으로 잡아당겨 슬라이딩 이동시켜 주며,
    상기 루버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틸팅하면서 상기 루프 프레임부의 내측 공간을 개폐시키는 날개 바디; 상기 날개 바디의 전단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1 절곡 날개; 및 상기 날개 바디의 후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절곡 형성되는 제2 절곡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절곡 날개 또는 상기 제2 절곡 날개는, 자신이 포함되는 날개 바디와 인근하여 배치되는 다른 루버의 날개 바디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다른 루버의 제2 절곡 날개 또는 상기 제1 절곡 날개와 맞물리고,
    빗물의 세기와 양을 감지하는 빗물 센서; 상기 루프 날개부의 개폐를 감지하는 멈춤 장치;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는 IP 카메라; 루프 어닝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두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루프 날개부와 연결되어 상기 루프 날개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루프 날개부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며, 기상청으로부터 제공되는 날씨공공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루프 날개부의 개폐 여부를 판독하며, 상기 루프 날개부의 개폐를 제어하는 루프 제어 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루프 제어 서버는, 기상청으로부터 제공되는 날씨공공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태양의 고도각을 판독하며, 판독된 태양의 고도각에 따라 상기 루프 날개부의 루버의 일측면이 태양을 대향하여 태양빛이 상기 루프 날개부를 통화하고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루프 날개부의 루버의 틸팅 각도를 산출한 뒤 이에 대응하는 개폐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루프 날개부로 전송하며,
    상기 루프 제어 서버는, 상기 IP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루프 날개부에 의하여 형성된 그늘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들의 인원수 및 해당 사람들의 위치를 판독하며, 상기 루프 날개부에 의하여 형성된 그늘이 판독된 인원수 및 해당 사람들의 위치를 모두 커버할 수 있도록 상기 루프 날개부의 개폐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개폐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루프 날개부로 전송하며,
    상기 루프 제어 서버는, 기상청으로부터 제공되는 날씨공공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상기 루프 날개부의 상측에 쌓이는 적설량을 판독하며, 상기 루프 날개부에 쌓인 적설량이 기 설정된 높이 이상이 된다고 판독되는 경우 상기 루프 날개부에 쌓인 눈을 하측으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루프 날개부의 루버를 90˚ 내지 180 ˚로 틸팅시켜 주기 위한 개폐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루프 날개부로 전송하며,
    상기 루프 제어 서버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실시간 기상 정보를 화면표시장치 또는 음성출력장치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루프 제어 서버는, 수집 대상 데이터 소스 모듈, 수집 대상 키워드 및 수집 대상 기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집 기준을 설정하는 수집 관리 모듈; 상기 수집 관리 모듈로부터 설정 받은 데이터 수집 기준에 따라 해당 데이터 소스 모듈로부터 빅데이터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 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 모듈에 저장된 빅데이터의 형태소를 분석하여 형태소 별로 구분하고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는 형태소 분석 모듈; 및 상기 형태소 분석 데이터를 분산 병렬 처리 기반의 통계분석 알고리즘으로 처리하여 통계값을 산출하고 상기 통계값에 따라 위크시그널을 출력하는 데이터 분석 모듈;을 포함하는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위크시그널 도출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루프 날개부의 개폐 여부를 판독하는, 루프 어닝 시스템.
  2. 삭제
KR1020190144651A 2019-11-13 2019-11-13 루프 어닝 시스템 KR102105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651A KR102105203B1 (ko) 2019-11-13 2019-11-13 루프 어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651A KR102105203B1 (ko) 2019-11-13 2019-11-13 루프 어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203B1 true KR102105203B1 (ko) 2020-04-28

Family

ID=70455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651A KR102105203B1 (ko) 2019-11-13 2019-11-13 루프 어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2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513Y1 (ko) 2004-01-29 2004-04-17 임성황 좌우 양단을 움직일 수 있는 버티컬블라인드
KR20090000208U (ko) 2007-07-04 2009-01-08 전영진 커튼이 부설된 버티컬블라인드
EP2730714A1 (en) * 2012-11-09 2014-05-14 Frigerio Tende Da Sole S.r.l. Swinging blade covering structure
KR101609977B1 (ko) * 2015-02-26 2016-04-08 박범석 루프어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7513Y1 (ko) 2004-01-29 2004-04-17 임성황 좌우 양단을 움직일 수 있는 버티컬블라인드
KR20090000208U (ko) 2007-07-04 2009-01-08 전영진 커튼이 부설된 버티컬블라인드
EP2730714A1 (en) * 2012-11-09 2014-05-14 Frigerio Tende Da Sole S.r.l. Swinging blade covering structure
KR101609977B1 (ko) * 2015-02-26 2016-04-08 박범석 루프어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5202B1 (ko) 루프 어닝 장치
Carletti et al. The energy upgrading of existing buildings: Window and shading device typologies for energy efficiency refurbishment
KR102116797B1 (ko) 주차장 출입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20210318123A1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map
US7222461B2 (en) Light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buildings
GR1009514B (el) Συστημα σκιασης με κρυφο μηχανισμο περιστροφης περσιδων
KR102105203B1 (ko) 루프 어닝 시스템
US20220254004A1 (en) Monitoring standing water and drainage problems
JP3913621B2 (ja) 日射遮蔽評価システム
KR101842652B1 (ko) 안테나 위장용 장치
Li et al. Performance of light redirection systems in model buildings under typical sky and building obstruction conditions encountered in Hong Kong
KR102311265B1 (ko) 텐션 시스템을 활용한 가든 하우스
KR102195059B1 (ko) IoT 기반 그늘막 원격 관리 시스템
KR20110006802A (ko) 방수성을 구비한 방충망
US11488255B1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mitigating property loss based on an event driven probable roof loss confidence score
KR20180114389A (ko) 온실난방 자동제어 시스템
JP5888803B2 (ja) 建物、サーバ装置、建物システム
KR20100008157U (ko) 창호용 빗물 차단판
KR200417841Y1 (ko) 창문용 빗물 차단장치
US11428018B2 (en) Light enhancing and flood protection window well installation
KR200494329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빗물받이 구조체
JP6444679B2 (ja) 庇型光ダクト
CN202310730U (zh) 一种栽培川贝母的新型多功能大棚
KR102255979B1 (ko) 다목적 스마트 쉘터
CN211573285U (zh) 一种防水竖向百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