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166B1 - 누수 방지 구조를 갖는 차양 장치 - Google Patents
누수 방지 구조를 갖는 차양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8166B1 KR102008166B1 KR1020180142602A KR20180142602A KR102008166B1 KR 102008166 B1 KR102008166 B1 KR 102008166B1 KR 1020180142602 A KR1020180142602 A KR 1020180142602A KR 20180142602 A KR20180142602 A KR 20180142602A KR 102008166 B1 KR102008166 B1 KR 1020081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of
- roof frame
- water blocking
- accommodating part
- roof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05—Rigidly-arranged sunshade roofs with coherent surfa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3/00—Roof covering by making use of flat or curved slabs or stiff sheets
- E04D3/38—Devices for sealing spaces or joints between roof-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Abstract
누수 방지 구조를 갖는 차양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 또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소정 크기로 제공되는 지붕 부재; 상기 지붕 부재의 가장 자리 끝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붕 부재의 끝단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측방이 개방된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수용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제1 수용부의 상방에 형성되는 제2 수용부를 구비하는 지붕 프레임; 상기 지붕 프레임의 상기 제1 수용부에 내장되며 상기 지붕 부재와 상기 지붕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여 상기 지붕 프레임 외부의 물이 상기 제1 수용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물 차단부와, 상기 물 차단부가 상기 지붕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상기 물 차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수용부에 설치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탄성 재질의 실링 부재; 및 상기 지붕 프레임의 상기 제1 수용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붕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지붕 부재 및 상기 지붕 프레임을 지지하는 기둥 구조물을 포함하는 누수 방지 구조를 갖는 차양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 또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소정 크기로 제공되는 지붕 부재; 상기 지붕 부재의 가장 자리 끝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붕 부재의 끝단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측방이 개방된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수용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제1 수용부의 상방에 형성되는 제2 수용부를 구비하는 지붕 프레임; 상기 지붕 프레임의 상기 제1 수용부에 내장되며 상기 지붕 부재와 상기 지붕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여 상기 지붕 프레임 외부의 물이 상기 제1 수용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물 차단부와, 상기 물 차단부가 상기 지붕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상기 물 차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수용부에 설치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탄성 재질의 실링 부재; 및 상기 지붕 프레임의 상기 제1 수용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붕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지붕 부재 및 상기 지붕 프레임을 지지하는 기둥 구조물을 포함하는 누수 방지 구조를 갖는 차양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누수 방지 구조를 갖는 차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붕 부재와 지붕 프레임 간의 밀착력을 증대시켜 내부로 물이 새는 것이 구조적으로 방지되는 누수 방지 구조를 갖는 차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양 장치는 운동장, 야외 공연장 및 야외용 좌석 등에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지붕 프레임에 비나 햇빛을 차단할 수 있는 지붕 부재를 고정하여 우천시 비를 피하거나 햇빛을 가리는 차양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차양 장치의 공통점은 지붕이 아치형 또는 사선형으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예컨대, 아치형 지붕의 양끝에 기둥을 세워 지붕부재를 지탱하는 구조이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차양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양 장치(1)는 비나 햇빛의 차단이 필요한 특정 대상물(2) 위에 배치되는 지붕 부재(3)와, 상기 지붕 부재(3)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지붕 프레임(4)과, 상기 지붕 부재(3) 및 상기 지붕 프레임(4)을 지탱하기 위한 기둥 구조물(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붕 부재(3)는 상기 지붕 프레임(4)에 끼워져 고정되며, 비나 햇빛을 가리기 위한 소정의 면적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붕 프레임(4)은 통상 지붕의 뼈대를 구성하는 것으로써 지붕 부재(3)의 끝단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엔드바'라고 불리기도 한다.
도 2에서 보듯이, 지붕 부재(3)의 끝단부는 "U"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지붕 프레임(4)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지붕 프레임(4)은 기둥 구조물(5)에 용접 또는 나사,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하여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양 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점 및 문제점이 있다.
지붕 부재가 "U"자 형으로 절곡된 금속재의 지붕 프레임에 끼워져 고정되거나, 알루미늄 압출로 제작된 "ㄷ"자형 지붕 프레임에 끼워져 고정되기 때문에, 지붕 프레임에 끼워진 지붕 부재는 하절기에 고온의 열과 동절기의 냉기에 반복적으로 노출되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함으로써 지붕 부재가 뒤틀리는 등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붕 부재와 지붕 프레임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여 이 곳으로 외부의 물이 지붕 내부로 유입된 후 지붕 부재 아래로 떨어지는 등의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바람이 강하게 부는 날에는 지붕 부재가 반복적으로 유동하여 지붕 프레임과 지붕 부재 사이에 간섭 소음이 발생하며, 이러한 간섭이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누적될 때 지붕 프레임 및 지붕 부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마모가 발생되는 바, 많은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결국 손상되어 정상적인 지붕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차양 장치는 도 1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바람이 불면서 비가 오는 경우 비가 차양 장치 내부로 들이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계절의 온도 변화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여 지붕 부재가 변형되더라도 지붕 부재와의 밀착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지붕의 내부로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누수 방지 구조를 갖는 차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붕 부재와 지붕 프레임이 직접적으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양 장치에서 간섭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양 장치의 비 차단 성능을 향상시켜 바람이 불면서 비가 오는 경우에도 비가 최대한 차양 장치의 내부로 들이치는 것을 예방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 또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소정 크기로 제공되는 지붕 부재; 상기 지붕 부재의 가장 자리 끝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붕 부재의 끝단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측방이 개방된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수용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제1 수용부의 상방에 형성되는 제2 수용부를 구비하는 지붕 프레임; 상기 지붕 프레임의 상기 제1 수용부에 내장되며 상기 지붕 부재와 상기 지붕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여 상기 지붕 프레임 외부의 물이 상기 제1 수용부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물 차단부와, 상기 물 차단부가 상기 지붕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상기 물 차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수용부에 설치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탄성 재질의 실링 부재; 및 상기 지붕 프레임의 상기 제1 수용부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붕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지붕 부재 및 상기 지붕 프레임을 지지하는 기둥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물 차단부는 상기 제1 수용부의 밖으로 노출되는 부위에 물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쐐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용부는, 상기 제2 수용부의 하부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제1 수용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된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의 양 옆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가 걸리는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2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제2 수용부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평판 구조의 이탈 방지부; 및 상기 이탈 방지부와 상기 물 차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누수 방지 구조를 갖는 차양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차단부는, 상기 지붕 부재의 끝단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물 차단부의 끝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상기 지붕 부재의 두께에 해당하는 길이 이상으로 연장되는 탄력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붕 프레임은, 상기 제1 수용부의 끝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낙하하는 빗물을 상기 지붕 부재로부터 멀리 유도하기 위한 처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붕 프레임은, 상기 제1 수용부의 저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어 상기 기둥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서 상기 기둥 구조물과의 지지력을 증대하기 위한 추가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온도 변화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여 지붕 부재가 변형되더라도 실링 부재에 의하여 지붕 프레임과 지붕 부재간의 밀착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지붕 내부로 물이 유입되지 않아 누수 문제가 개선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붕 부재와 지붕 프레임이 실링 부재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차양 장치에서 간섭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양 장치에 별도의 처마부를 구성하여 바람이 불면서 비가 오는 경우에도 비가 차양 장치의 내부로 들이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차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나타낸 것으로서, 종래 차양 장치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와 대비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구조를 갖는 차양 장치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각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난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구조를 갖는 차양 장치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나타낸 것으로서, 종래 차양 장치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와 대비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구조를 갖는 차양 장치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각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난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구조를 갖는 차양 장치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구조를 갖는 차양 장치(10)는 크게 지붕 부재(100), 지붕 프레임(200), 실링 부재(300) 및 기둥 구조물(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위에 나열된 구성들을 포함한다는 의미는 이들 구성으로만 이루어진다는 뜻이 아니라 이들 구성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는 뜻으로, 이외에도 다른 구성(예컨대, 차양 장치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는 의미이지만, 공지기술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지붕 부재(100)는 차양 장치(10)의 최상부에 위치하며 지붕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실질적으로 비 또는 햇빛을 가리고 차단하기 위해 차양이 필요한 대상물(예컨대, 야외 공연장, 야외 관람석 등)의 평면적에 상응하도록 소정의 크기(면적)로 제공될 수 있다.
지붕 부재(100)는 우천시 빗물이 잘 흘러내릴 수 있도록 아치형 또는 사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평판 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지붕 부재(100)는 광 차단 성능이 우수하여 빛이 잘 투과되지 않으면서 방수 성능이 우수한 재질이면 특별히 그 재질에 제한은 없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붕 프레임(200)은 지붕 부재(100)의 가장 자리 끝단부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지붕 부재(100)의 가장 자리 끝단부에 설치되어 지붕 부재(100)를 지지하기 때문에 엔드바로 불리기도 한다.
지붕 프레임(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붕 부재(100)의 끝단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소정의 수용 공간이 형성된 제1 수용부(21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수용부(210)는 지붕 프레임(200) 상에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지붕 부재(100)의 끝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지붕 부재(100)와 대향하는 측방이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지붕 프레임(200)은 제1 수용부(210)와 연통하는 제2 수용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수용부(22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듯이 제1 수용부(210)의 상방에 제1 수용부(210)와 한 몸체로 형성되며, 제1 수용부(210)와 서로 통하도록 일부가 개방되어 있다. 제1 수용부(210)에 제2 수용부(220)에 대해서는 뒤에서 조금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실링 부재(300)는 본 발명에 따른 차양 장치(10)의 수밀 성능을 높이고 지붕 부재(100) 및 지붕 프레임(200)과의 밀착력을 증대하며 각 구성의 접촉 부위에서의 간섭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탄성 변형력이 우수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실링 부재(300)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 또는 실리콘을 포함하는 합성 수지로 구성될 수 있으나, 실링 부재(300)의 재질이 반드시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한 재질 이외에도 탄성력을 갖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실링 부재(300)는 기본적으로 물 차단부(310)와 걸림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물 차단부(310)와 걸림부(320)는 실링 부재(300)의 최소 구성이 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차단부(310)는 상기 지붕 부재(100)의 상부면과 상기 지붕 프레임(20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수용부(210)에 내장될 수 있다. 물 차단부(310)는 지붕 부재(100)와 지붕 프레임(20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틈새를 완벽하게 차폐(밀폐)하여 지붕 프레임(200)의 외부의 물이 제1 수용부(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320)는 물 차단부(310)가 지붕 프레임(200)에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걸림부(320)는 물 차단부(310)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어 제2 수용부(220)에 수용되고, 수용된 후에는 제2 수용부(220)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수용부(220)와 걸림부(320)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2 수용부(220)는 개구부(221) 및 걸림턱(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구부(221)는 제2 수용부(220)의 하부의 일부가 개방된 것으로서, 제2 수용부(220)가 제1 수용부(210)와 연통하도록 그 경계 부위의 일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걸림턱(222)은 개구부(221)의 양 옆에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제2 수용부(220)에 수용된 상기 걸림부(320)가 제2 수용부(22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걸리도록 개구부(221) 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320)는 이탈 방지부(321)와 연결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부(321)는 제2 수용부(220)에 실질적으로 수용되는 구성으로서, 이탈 방지부(321)는 제2 수용부(220)에 수용된 다음 걸림턱(222)에 걸리기 때문에 제2 수용부(22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어 실링 부재(300)가 지붕 프레임(20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탈 방지부(321)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2 수용부(220)에 초기 삽입시에는 탄성 변형된 상태로 개구부(221)를 통과하였다가 제2 수용부(220)에 위치하면 복원되고, 복원 후에는 걸림턱(222)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322)는 이탈 방지부(321)와 물 차단부(31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연결부(322)에 의해 물 차단부(310)가 이탈 방지부(321)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22)는 상기 개구부(221)를 통과하여 이탈 방지부(321)와 물 차단부(310)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물 차단부(310)가 지붕 프레임(2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지붕 프레임(200)에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붕 프레임(200)과 지붕 부재(100) 사이로 물이 유입되어 지붕 부재(100)의 하방으로 물이 누수되는 것이 근본적으로 차단되도록 상기 물 차단부(310)는 쐐기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쐐기부(311)는 제1 수용부(210)의 밖으로 노출되는 물 차단부(310)의 끝단 부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지붕 부재(100)와 지붕 프레임(200) 사이에 물 차단부(310)가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물의 유입이 근본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상기 쐐기부(311)는 물 차단부(310)의 끝단에서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며, 상부 끝단이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제2 수용부(220)를 형성하는 상기 지붕 프레임(200)의 단부 외주면에 밀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쐐기부(311)에 의하면, 폭우시 많은 빗물이 흐르더라도 물이 쐐기부(311)의 경사 방향을 따라 쐐기부(311)를 타고 넘게 되므로 물의 흐름이 틈새가 아닌 다른 곳으로 유도되어 물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차단부(310)는 물 차단부(310)의 타단에 형성되는 탄력 지지부(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력 지지부(312)는 제1 수용부(210)에 삽입된 지붕 부재(100)의 끝단면과 밀착되도록 물 차단부(310)의 끝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상기 지붕 부재(100)의 두께 이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탄력 지지부(312)는 지붕 부재(100)의 끝단면과 밀착력을 유지함으로써 물의 침투를 한번 더 차단할 뿐만 아니라, 외기의 온도 변화에 따라 지붕 부재(100)가 팽창되거나 또는 수축되는 경우에도 탄력 지지부(312)가 지붕 부재(100)를 탄성 가압하기 때문에 지붕 부재(100)의 위치가 크게 변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하절기에 지붕 부재(100)가 고온의 열에 의해 팽창하는 경우 지붕 부재(100)의 길이 및 두께는 증가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탄력 지지부(312)와 물 차단부(310)는 탄성 변형되면서 지붕 부재(100)와의 밀착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동절기에 지붕 부재(100)가 수축하더라도 탄력 지지부(312)와 물 차단부(310)는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이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또한, 지붕 부재(100)가 팽창 또는 수축되거나 지붕 부재(100)가 바람 등의 영향으로 유동하는 경우에도 지붕 부재(100)와 지붕 프레임(200)이 직접 접촉되지 않고 탄성 재질의 실링 부재(300)에 의하여 간접 접촉하게 되므로 간섭 소음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폭우시 빗물이 지붕 내부로 들이치는 것이 방지되도록 지붕 프레임(200)은 처마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처마부(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용부(210)의 외측 끝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낙하하는 빗물을 지붕 부재(100)로부터 멀리 유도함으로써 종래처럼 빗물이 지붕 내부로 들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둥 구조물(400)은 지붕 프레임(200)의 제1 수용부(210)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지붕 프레임(200)과 고정 결합되어 상기 지붕 부재(100) 및 지붕 프레임(200)을 지지하고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여기서 기둥 구조물(400)은 지붕 프레임(200)과 용접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볼트나 나사와 같은 별도의 체결 수단(c)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지붕 프레임(200)과 기둥 구조물(400)의 지지력이 증대되도록 상기 지붕 프레임(200)은 추가 지지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지지부(240)는 지붕 프레임(200) 상에서 제1 수용부(210)의 저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어 기둥 구조물(4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붕 프레임(200)과 기둥 구조물(400)의 지지력이 증대되어 강풍이 부는 경우에도 지붕 프레임(200)과 기둥 구조물(400)이 분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구조를 갖는 차양 장치(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따른 차양 장치(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비하여 그 구조를 단순화시킨 것으로 누수 방지가 가능하면서도 제조가 간편하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지붕 부재(100)의 끝단부 상부면에 지붕 프레임(200)이 배치되고, 상기 지붕 부재(100)와 지붕 프레임(200) 사이에 탄성력을 갖는 밀착 부재(5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밀착 부재(500)는 지붕 부재(100)와 지붕 프레임(200) 사이에서 열에 의해 융착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지붕 부재(100) 및 지붕 프레임(200)을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밀착 부재(500)의 끝단 중에서 지붕 프레임(200) 밖으로 노출되는 일단부에는 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쐐기부(51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밀착 부재(500)의 타단부에는 지붕 부재(100)의 끝단면과 밀착되도록 하방으로 연장되는 탄력 지지부(52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쐐기부(510) 및 탄력 지지부(520)의 기능 및 효과는 앞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10)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양 장치
100 : 지붕 부재
200 : 지붕 프레임 210 : 제1 수용부
220 : 제2 수용부 221 : 개구부
222 : 걸림턱 230 : 처마부
240 : 추가 지지부
300 : 실링 부재 310 : 물 차단부
311 : 쐐기부 312 : 탄력 지지부
320 : 걸림부 321 : 이탈 방지부
322 : 연결부
400 : 기둥 구조물
100 : 지붕 부재
200 : 지붕 프레임 210 : 제1 수용부
220 : 제2 수용부 221 : 개구부
222 : 걸림턱 230 : 처마부
240 : 추가 지지부
300 : 실링 부재 310 : 물 차단부
311 : 쐐기부 312 : 탄력 지지부
320 : 걸림부 321 : 이탈 방지부
322 : 연결부
400 : 기둥 구조물
Claims (4)
- 비 또는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 소정 크기로 제공되는 지붕 부재(100);
상기 지붕 부재(100)의 가장 자리 끝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붕 부재(100)의 끝단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측방이 개방된 제1 수용부(210)와, 상기 제1 수용부(210)와 연통하도록 상기 제1 수용부(210)의 상방에 형성되는 제2 수용부(220)를 구비하는 지붕 프레임(200);
상기 지붕 프레임(200)의 상기 제1 수용부(210)에 내장되며 상기 지붕 부재(100)와 상기 지붕 프레임(200) 사이의 틈새를 차폐하여 상기 지붕 프레임(200) 외부의 물이 상기 제1 수용부(2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물 차단부(310)와, 상기 물 차단부(310)가 상기 지붕 프레임(200)에 고정되도록 상기 물 차단부(3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수용부(220)에 설치되는 걸림부(320)를 구비하는 탄성 재질의 실링 부재(300); 및
상기 지붕 프레임(200)의 상기 제1 수용부(2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붕 프레임(200)에 나사로 고정 결합되어 상기 지붕 부재(100) 및 상기 지붕 프레임(200)을 지지하는 기둥 구조물(400)을 포함하며,
상기 물 차단부(310)는 상기 제1 수용부(210)의 밖으로 노출되는 부위에 물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쐐기부(311)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수용부(220)는,
상기 제2 수용부(220)의 하부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제1 수용부(210)와 연통하도록 형성된 개구부(221); 및
상기 개구부(221)의 양 옆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320)가 걸리는 걸림턱(222)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320)는,
상기 제2 수용부(220)에 수용되고 상기 걸림턱(222)에 걸려 상기 제2 수용부(220)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는 평판 구조의 이탈 방지부(321); 및
상기 이탈 방지부(321)와 상기 물 차단부(310)를 연결하는 연결부(322)를 포함하며,
상기 물 차단부(310)는, 상기 지붕 부재(100)의 끝단면과 밀착되도록 상기 물 차단부(310)의 끝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상기 지붕 부재(100)의 두께에 해당하는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는 탄력 지지부(31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붕 프레임(200)은, 상기 제1 수용부(210)의 끝단으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낙하하는 빗물을 상기 지붕 부재(100)로부터 멀리 유도하기 위한 처마부(2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붕 프레임(200)은, 상기 제1 수용부(210)의 저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어 상기 기둥 구조물(4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서 상기 기둥 구조물(400)과의 지지력을 증대하기 위한 추가 지지부(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쐐기부(311)는 상부 끝단이 수직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수용부(220)를 형성하는 상기 지붕 프레임(200)의 단부 외주면에 밀착되는, 누수 방지 구조를 갖는 차양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2602A KR102008166B1 (ko) | 2018-11-19 | 2018-11-19 | 누수 방지 구조를 갖는 차양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2602A KR102008166B1 (ko) | 2018-11-19 | 2018-11-19 | 누수 방지 구조를 갖는 차양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08166B1 true KR102008166B1 (ko) | 2019-08-07 |
Family
ID=6762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2602A KR102008166B1 (ko) | 2018-11-19 | 2018-11-19 | 누수 방지 구조를 갖는 차양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8166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0712B1 (ko) | 2020-08-07 | 2020-12-14 | 주식회사 새아스 | 차양시스템 |
KR102298878B1 (ko) | 2021-02-10 | 2021-09-07 | 주식회사 새아스 | 차양 연결구 |
KR20210002742U (ko) | 2020-06-01 | 2021-12-08 | 제희광 | 간이 휴게시설물의 지붕 또는 차양용 마감부재 |
KR20230010328A (ko) | 2021-07-12 | 2023-01-19 | 김정님 | 차양 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7950Y1 (ko) * | 2005-04-02 | 2005-06-28 | 서건용 | 케노피 지붕구조물에 설치되는 차양판 지지용 마감골재 |
KR20120001641U (ko) * | 2010-08-30 | 2012-03-08 | 주식회사 성신에이엘에스 | 지붕시트 고정프레임의 마감부재 |
KR101171103B1 (ko) * | 2011-05-31 | 2012-08-03 | 황성희 | 차양구조물용 몰딩바 |
KR101300235B1 (ko) * | 2012-09-18 | 2013-08-26 | (주)동신캐노피 | 아케이드 지붕패널 고정 프레임 |
KR20160031708A (ko) | 2014-09-15 | 2016-03-23 | 박소민 | 브라켓, 고정대, 덮개바, 보강대 및 차양시스템 |
-
2018
- 2018-11-19 KR KR1020180142602A patent/KR10200816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7950Y1 (ko) * | 2005-04-02 | 2005-06-28 | 서건용 | 케노피 지붕구조물에 설치되는 차양판 지지용 마감골재 |
KR20120001641U (ko) * | 2010-08-30 | 2012-03-08 | 주식회사 성신에이엘에스 | 지붕시트 고정프레임의 마감부재 |
KR101171103B1 (ko) * | 2011-05-31 | 2012-08-03 | 황성희 | 차양구조물용 몰딩바 |
KR101300235B1 (ko) * | 2012-09-18 | 2013-08-26 | (주)동신캐노피 | 아케이드 지붕패널 고정 프레임 |
KR20160031708A (ko) | 2014-09-15 | 2016-03-23 | 박소민 | 브라켓, 고정대, 덮개바, 보강대 및 차양시스템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02742U (ko) | 2020-06-01 | 2021-12-08 | 제희광 | 간이 휴게시설물의 지붕 또는 차양용 마감부재 |
KR102190712B1 (ko) | 2020-08-07 | 2020-12-14 | 주식회사 새아스 | 차양시스템 |
KR102298878B1 (ko) | 2021-02-10 | 2021-09-07 | 주식회사 새아스 | 차양 연결구 |
KR20230010328A (ko) | 2021-07-12 | 2023-01-19 | 김정님 | 차양 장치 |
KR102690538B1 (ko) * | 2021-07-12 | 2024-07-30 | 김정님 | 차양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08166B1 (ko) | 누수 방지 구조를 갖는 차양 장치 | |
CA2455600C (en) | Louvered roof assembly | |
RU2007142022A (ru) |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спользуемая в качестве укрытия | |
KR102277067B1 (ko) | 지붕 개폐형 차양 시설 | |
JP6172589B2 (ja) | 硬質フィルム温室屋根構造 | |
KR100806634B1 (ko) | 폴리에스테르 강화 pvc 방수 시트와 단부 실링재의열화방지 캡을 이용한 옥상의 방수 구조 | |
KR102075380B1 (ko) | 창호 시스템 | |
KR101077633B1 (ko) | 캐노피용 지붕구조물 조립부재 | |
CN212773207U (zh) | 防渗屋面天窗结构 | |
JP3871750B2 (ja) | 太陽エネルギー変換装置 | |
JP7120658B2 (ja) | 除雪用テント又は屋根乃至建築物 | |
KR200497406Y1 (ko) | 캐노피용 방수 이중덮개 | |
KR101559110B1 (ko) | 에어홈이 구비된 캠핑카용 창문 | |
KR100926581B1 (ko) | 창틀 시스템 | |
US7182092B1 (en) | Tent eve | |
KR101090134B1 (ko) | 케노피 구조물 | |
KR101352686B1 (ko) | 내부 덧창 부착이 가능한 시스템 창호 | |
CN212393383U (zh) | 一种新型天沟结构 | |
KR102459960B1 (ko) | 우수 피해 방지 창호 어셈블리 | |
KR102391083B1 (ko) | 캐노피 차양판 마감부재 | |
KR200465549Y1 (ko) | 방풍 및 빗물배출 기능이 구비된 창문구조 | |
KR100630414B1 (ko) | 건물 차광 및 배수 장치 | |
KR0132892Y1 (ko) | 방풍기능을 갖는 창틀 | |
KR101052892B1 (ko) | 차양장치용 차양 지붕재 고정판 | |
JP7119162B2 (ja) | 建物添設用独立構築物および建物添設用独立構築物の支持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