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7382B1 - 건축물 창문틀 부속시설 - Google Patents

건축물 창문틀 부속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7382B1
KR100567382B1 KR1020050125437A KR20050125437A KR100567382B1 KR 100567382 B1 KR100567382 B1 KR 100567382B1 KR 1020050125437 A KR1020050125437 A KR 1020050125437A KR 20050125437 A KR20050125437 A KR 20050125437A KR 100567382 B1 KR100567382 B1 KR 100567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frame
plate
window
sunshade
install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주)이안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안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이안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50125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73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일반 건축물 또는 공동주택의 벽체에 설치되는 창호 부속 시설에 관한 것으로, 창문틀에 외부로부터 실내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할 수 있으면서 비가 내리는 동안 창문 및 창문틀에 빗물이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창문 및 창문틀을 세척할 수 있도록 차양막이 설치된 건축물 창문틀 부속시설이 개시되어 있다.
즉,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창문 및 창문틀과,
벽체의 외부면에 창문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부에 위치하도록 벽체에 고정되어 창문 및 창문틀로 유입되는 햇빛 및 비바람을 차단시키는 차양막을 포함하는 건축물 창문틀 부속시설에 있어서,
상면부를 사각형 형상으로 절개하여 형성되는 설치홀과,
설치홀이 형성된 수평판의 전방이 경사지고 양측면에 형성되는 수직판과,
수평판과 수직판의 후방에 다수개의 나사홀이 형성된 플렌지부를 가지는 차양막;
설치홀을 이루는 네 절개면중에서 전면에 형성되는 제1단턱에 착설되는 제1마그네틱판;
설치홀을 이루는 네 절개면중에서 후면에 형성되는 제2단턱에 착설되는 제2마그네틱판;
차양막의 양측 내면에 볼트에 의해 수직판의 내면에 착설되는 연결구;
연결구에 구비되는 삽입홈에 양측단이 회전가능하게 삽설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직각으로 형성된 손잡이와,
회전축에 착설되어 차양막의 설치홀에 구비되는 제1단턱과 제2단턱에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교대로 접촉되는 제1덮개부와,
제1덮개부에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착설되고 끝단부가 창문틀을 향하도록 굽어져 있는 제2덮개부로 이루어지는 회전판;이 제시된다.
창문틀, 차양막, 회전체, 제1덮개부, 제2덮개부, 설치홀

Description

건축물 창문틀 부속시설{WINDOW BOXING STRUCTURE FOR RESTRAINING SOUND}
도1은 종래 창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 창문틀 부속시설인 차양막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 창문틀 부속시설인 차양막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 창문틀 부속시설인 차양막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창문틀 부속시설인 차양막이 빗물을 외부로 처리하는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 창문틀 부속시설인 차양막이 빗물을 이용해 창문을 청소하는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0: 건축물 710: 벽체
720: 창문틀 727: 창문
728: 나사못 730: 차양막
739: 볼트 740: 연결구
750: 회전판
본 발명은 건축물의 창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창호의 창문틀에 외부로부터 실내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할 수 있으면서 비가 내리는 동안 창문 및 창문틀에 빗물이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창문 및 창문틀을 세척할 수 있도록 차양막과 회전판이 설치되는 건축물 창문틀 부속시설에 관한 것이다.
창문은 태양광에 의한 실내 조명 기능과 함께 실외 관망기능 및 풍수의 차단, 방음, 단열 등의 역할을 하는 건축물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이와 같은 창문을 구성하는 창문틀은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벽체의 개구부에 고정되고, 상기 창문틀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창문틀에는 창문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창문틀을 개폐하는 창문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창문은 건축물 벽체에 대부분 직사각형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상기 창문틀의 내부에 다수개의 창문이 설치되어 슬라이딩 작동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창문에는 내측으로 브라인드 또는 커텐이 설치되어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종래 창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건축물(10)의 외측 벽체(11)에는 창문틀(12)이 직사각형 형태로 고정되고, 상기 창문틀(12)에는 내부에 유리창과 창틀로 구성된 창문(14)이 설치된다.
상기 창문 및 창문틀의 경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먼지 및 빗물에 의해 창문틀, 창틀 및 유리창에 얼룩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창문 및 창문틀의 외부면에 존재하는 얼룩을 자주 청소해 주지 않은 경우 외부에서 바라볼 때 건축물의 외관이 지저분하게 나타나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창호의 창문틀에 외부로부터 실내로 유입되는 햇빛을 차단할 수 있으면서 비가 내리는 동안 창문 및 창문틀에 빗물이 인가되도록 함으로써 창문 및 창문틀을 세척할 수 있는 차양막 구조를 갖는 건축물 창문틀 부속시설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창문 및 창문틀과,
벽체의 외부면에 창문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부에 위치하도록 벽체에 고정되어 창문 및 창문틀로 유입되는 햇빛 및 비바람을 차단시키는 차양막을 포함하는 건축물 창문틀 부속시설에 있어서,
상면부를 사각형 형상으로 절개하여 형성되는 설치홀과,
설치홀이 형성된 수평판의 전방이 경사지고 양측면에 형성되는 수직판과,
수평판과 수직판의 후방에 다수개의 나사홀이 형성된 플렌지부를 가지는 차양막;
설치홀을 이루는 네 절개면중에서 전면에 형성되는 제1단턱에 착설되는 제1 마그네틱판;
설치홀을 이루는 네 절개면중에서 후면에 형성되는 제2단턱에 착설되는 제2마그네틱판;
차양막의 양측 내면에 볼트에 의해 수직판의 내면에 착설되는 연결구;
연결구에 구비되는 삽입홈에 양측단이 회전가능하게 삽설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직각으로 형성된 손잡이와,
회전축에 착설되어 차양막의 설치홀에 구비되는 제1단턱과 제2단턱에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교대로 접촉되는 제1덮개부와,
제1덮개부에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착설되고 끝단부가 창문틀을 향하도록 굽어져 있는 제2덮개부로 이루어지는 회전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창문틀 부속시설을 제공한다.
상기 제1덮개부의 끝단부에는 끝단부로부터 상호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걸림편과 제2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제1걸림편의 일측면에는 제1마그네틱판에 제1금속로드가 착설되고, 상기 제2걸림편의 타측면에는 제2금속로드가 착설되며, 상기 제1금속로드와 제2금속로드는 상호 대향하는 면에 착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창문틀 부속시설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 창문틀 부속시설인 차양막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 창문틀 부속시설인 차양막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 창문틀 부속시설인 차양막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창문틀 부속시설인 차양막이 빗물을 외부로 처리하는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 창문틀 부속시설인 차양막이 빗물을 이용해 창문을 청소하는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건축물(700)의 외측 벽체(710)에는 차양막(730)이 설치되어 벽체(710)에 구비되는 창문틀(720) 및 창문(727)으로 유입되는 햇빛 및 빗물을 차단시키는 한편, 차양막(730)에는 내측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판(750)이 연결구(740)를 매개로 볼트(739)에 의해 차양막(730)과 회전판(750)이 설치된다.
상기 차양막(730)은 나사못(728)에 의해 벽체(710)에 고정되고, 상기 차양막(730)의 상면부에는 일정 넓이를 갖는 직사각형 형태의 설치홀(731)이 형성되며, 상기 차양막(730)의 설치홀(731)은 차양막(730)의 상면부를 절개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차양막(730)은, 수평판의 중앙을 절개한 설치홀(731)의 전방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설치홀(731)의 측면에 수직판부(732)가 형성되며, 설치홀(731)의 후방이 수직한 플렌지부(733)가 형성된다. 상기 차양막(730)은 수직판부(732)와 플렌지부(733)에 각각 볼트(739)와 나사못(728)이 체결될 수 있는 볼트홀과 나사홀이 다수개 형성되는 한편, 수직판부(732)에 사각형 형태로 볼트홀이 형성되고 플렌지부(733)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나사홀이 형성된다.
상기 차양막(730)에는 설치홀(731)의 네 절개면 중에서 전면에 제1단턱(734)이 형성되고, 후면에 제2단턱(735)이 형성되며, 상기 제1단턱(734)에는 제1마그네틱판(736)이 착설되고, 상기 제2단턱(735)에는 제2마그네틱(737)이 착설된다.
상기 제1마그네틱판(736)과 제2마그네틱판(737)은 슬릿 판재로 제작된다.
상기 차양막(730)의 양측 내면부에는 볼트(739)에 의해 연결구(740)가 각각 착설되는 한편, 상기 연결구(740)에는 원형판과 후방 원통에 각각 볼트홀(742)과 삽입홈(744)이 형성되며, 볼트홀(742)에 볼트(739)가 체결되어 연결구(740)가 체결되고, 삽입홈(744)에 회전축(751)이 삽입설치된다.
상기 회전판(750)의 회전축(751)은 양측단이 단차를 가지도록 중앙 위치에 형성되고 차양막(730)의 양측에 착설된 연결구(740)의 삽입홈(744)에 내경이 축소된 축이 삽설되어 삽입홈(744)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동작을 할 수 있는 한편, 상기 회전판(750)은 회전축(751)을 중심으로 상,하부에 제1덮개부(753)와 제2덮개부(755)가 상호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말단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덮개부(753)가 설치홀(731)에 위치하고, 상기 제2덮개부(755)는 하부를 향하도록 위치된다.
상기 회전판(750)은 제1덮개부(753)의 끝단부가 두 갈래로 나뉘어 연장되도록 제1걸림편(756)과 제2걸림편(754)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1걸림편(756)의 끝단은 설치홀(731)의 전면을 향하도록 굽어져 있고, 상기 제2걸림편(754)의 끝단은 설치홀(731)의 후면을 향하도록 굽어져 있다.
상기 회전판(750)은 제1걸림편(756)의 굽어진 끝단에 제1금속로드(757)가 착설되어 설치홀(731)의 전면에 착설된 제1마그네틱판(736)에 탈부착 되고, 상기 제2걸림편(754)의 굽어진 끝단에 제2금속로드(758)가 착설되어 설치홀(731)의 후면에 착설된 제2마그네틱판(737)에 탈부착 된다.
상기 회전판(750)의 제2덮개부(755)의 끝단은 창문틀을 향하도록 굽어져 있 으며, 상기 회전축(751)의 몸체에는 손잡이(752)가 착설되어 사용자가 손잡이(752)를 잡고서 회전축(751)을 회전시키게 된다.
즉, 상기 회전판(750)은 손잡이(752)를 이용하여 손잡이를 상향으로 당기게 되면 회전축(75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제1덮개부(753)의 제1걸림편(756)이 설치홀(731)의 전면을 향해 회전을 함으로써 제1걸림편(756)의 제1금속로드(757)가 제1마그네틱판(736)에 부착된다.
그에 따라, 상기 회전판(750)의 제1덮개부(753)가 설치홀(731)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단턱(734)에 위치하게 되면 제2덮개부(755)는 창문틀(720)을 향해 회전을 하여 창문틀(720)의 상단부에 근접하게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750)의 제2덮개부(755)가 창문틀(720)의 상단부에 근접한 상태에서 비가 내리는 경우 제1덮개부(753)와 제2덮개부(755)의 상면에 빗물이 유입되고, 상기 제1덮개부(753)와 제2덮개부(755)의 상면에 유입된 빗물은 창문틀(720) 및 창문(727)에 인가되어 창문틀(720) 및 창문(727)에 존재하는 먼지 및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 회전판(750)의 손잡이(752)를 이용하여 손잡이를 하향으로 당기게 되면 회전축(751)이 회전을 하여 제1덮개부(753)의 제2걸림편(754)이 설치홀(731)의 후면을 향해 회전을 함으로써 제2걸림편(754)의 제2금속로드(758)가 제2마그네틱판(737)에 부착된다.
상기 회전판(750)의 제1덮개부(753)가 설치홀(731)의 후면에 구비되는 제2단턱(735)에 위치하게 되면 제2덮개부(755)는 창문틀(720)로부터 반대방향으로 회전 을 하여 창문틀(720)의 상단부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한다. 상기 제2덮개부(755)가 창문틀(720)의 상단부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비가 내리는 경우 제1덮개부(753)와 제2덮개부(755)의 저면에 빗물이 유입되고, 상기 제1덮개부(753)와 제2덮개부(755)의 저면에 유입된 빗물은 창문틀(720) 및 창문(727)에 인가되지 않고 차단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축물의 창문틀(720)에는 벽체(710)에 차양막(730)과 회전판(750)을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빗물 및 햇빛을 차단시키는 한편, 상기 차양막(730)은 나사못(728)에 의해 창문틀(720)에 고정된다.
상기 차양막(730)에는 상면부에 사각형 형상을 갖는 설치홀(731)이 형성되고, 상기 설치홀(731)의 전,후면에 제1단턱(734)과 제2단턱(735)이 형성되며, 상기 제1단턱(734)과 제2단턱(735)에는 제1마그네틱판(736)과 제2마그네틱판(737)을 착설시킨다.
상기 차양막(730)의 양측 내면부에는 볼트(739)를 이용하여 연결구(740)를 각각 착설시키고, 상기 연결구(740)에는 회전판(750)의 중심에 위치된 회전축(751)이 결합된다.
상기 회전판(750)의 회전축(751)에는 설치홀(731)을 덮는 기능을 하는 제1덮개부(753)와 제2덮개부(755)가 형성되고, 상기 제1덮개부(753)와 제2덮개부(755)는 상호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판(750)은 제1덮개부(753)의 끝단부에서 연장되는 제1걸림편(756)과 제2걸림편(754)이 각각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걸림편(756)과 제2걸림편 (754)의 사이에는 예각(銳角)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회전판(750)은 제1걸림편(756)의 끝단이 차양막(730)의 제1단턱(734)방향으로 굽어지고, 제2걸림편(754)의 끝단이 차양막(730)의 제2단턱(735) 방향으로 굽어지며, 상기 제1걸림편(756)의 끝단이 제1단턱(734)을 향하는 일면에 제1금속로드(757)가 착설되고, 제2걸림편(754)의 끝단이 제2단턱(735)을 향하는 타면에 제2금속로드(758)가 착설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750)의 제2덮개부(755)의 끝단은 창문틀(720) 방향으로 굽어지고, 상기 회전축(751)에는 손잡이(752)가 착설되는 한편, 상기 손잡이(752)를 상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회전축(751)이 회전을 하면서 제1덮개부(753)와 제2덮개부(755)의 위치가 변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752)를 상측 방향으로 움직이면 회전판(750)의 제1덮개부(753)는 제1단턱(734)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2덮개부(755)는 창문틀(720)의 상단부에 근접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상기 회전판(750)의 제1덮개부(753)가 제1단턱(734)으로 이동하면 제1덮개부(753)의 제1걸림편(756)에 부착된 제1금속로드(757)가 제1마그네틱판(736)에 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2덮개부(755)는 창문틀(720)의 상단부에 근접하는 위치에서 고정되어 차양막(730)의 설치홀(731) 측으로 유입되는 빗물이 제2덮개부(755)의 상면을 따라 흘러 창문틀(720)에 인가된다.
그에 따라, 상기 창문틀(720)에 존재하는 먼지 및 이물질이 제2덮개부(755)를 통해 인가되는 빗물에 의해 세척되어 제거된다.
상기 손잡이(752)를 움직여서 제1덮개부(753)가 제2단턱(735)으로 이동하면 제1덮개부(753)의 제2걸림편(754)에 부착된 제2금속로드(758)가 제2단턱(735)의 제2마그네틱판(737)에 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2덮개부(755)는 창문틀(720)의 상단부에 근접한 위치에서 이탈하여 창문틀(720)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지면을 향해 고정되어 설치홀(731)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 및 햇빛이 창문에 인가되지 않고 차단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한 효과를 하기에 설명한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창문 및 창문틀이 설치되는 건축물의 외벽에 창문틀로부터 이격되도록 차양막이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창문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햇빛 및 빗물 등을 차양막과 회전판을 통해 차단시키는 한편, 회전판의 회전에 따라 창문, 유리창 및 창문틀을 청소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차양막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판에 의해 차양 효과와 함께 유리창과 창문을 청소하는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되는 창문 및 창문틀과,
    벽체의 외부면에 창문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상부에 위치하도록 벽체에 고정되어 창문 및 창문틀로 유입되는 햇빛 및 비바람을 차단시키는 차양막을 포함하는 건축물 창문틀 부속시설에 있어서,
    상면부를 사각형 형상으로 절개하여 형성되는 설치홀과,
    설치홀이 형성된 수평판의 전방이 경사지고 양측면에 형성되는 수직판과,
    수평판과 수직판의 후방에 다수개의 나사홀이 형성된 플렌지부를 가지는 차양막;
    설치홀을 이루는 네 절개면중에서 전면에 형성되는 제1단턱에 착설되는 제1마그네틱판;
    설치홀을 이루는 네 절개면중에서 후면에 형성되는 제2단턱에 착설되는 제2마그네틱판;
    차양막의 양측 내면에 볼트에 의해 수직판의 내면에 착설되는 연결구;
    연결구에 구비되는 삽입홈에 양측단이 회전가능하게 삽설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직각으로 형성된 손잡이와,
    회전축에 착설되어 차양막의 설치홀에 구비되는 제1단턱과 제2단턱에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교대로 접촉되는 제1덮개부와,
    제1덮개부에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착설되고 끝단부가 창문틀을 향하도록 굽 어져 있는 제2덮개부로 이루어지는 회전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창문틀 부속시설.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판의 제1덮개부의 끝단부에는 끝단부로부터 상호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걸림편과 제2걸림편이 형성되는 한편,
    회전판은 제1걸림편의 일측면에 제1마그네틱판과 부착되도록 제1금속로드가 착설되고 제2걸림편의 타측면에 제2마그네틱판과 부착되도록 제2금속로드가 착설되며,
    회전판에는 제1금속로드와 제2금속로드는 상호 대향하는 면에 착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창문틀 부속시설.
KR1020050125437A 2005-12-19 2005-12-19 건축물 창문틀 부속시설 KR100567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437A KR100567382B1 (ko) 2005-12-19 2005-12-19 건축물 창문틀 부속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437A KR100567382B1 (ko) 2005-12-19 2005-12-19 건축물 창문틀 부속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7382B1 true KR100567382B1 (ko) 2006-04-03

Family

ID=37180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437A KR100567382B1 (ko) 2005-12-19 2005-12-19 건축물 창문틀 부속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73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923Y1 (ko) * 2011-12-29 2015-04-16 이백현 창틀용 차양
KR200481314Y1 (ko) 2015-09-25 2016-09-09 옥근호 건축물 외부 결합용 위생 및 편의성 확보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559Y1 (ko) 2005-10-28 2006-01-11 권락환 고정샷시 장착용 물받이샷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559Y1 (ko) 2005-10-28 2006-01-11 권락환 고정샷시 장착용 물받이샷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923Y1 (ko) * 2011-12-29 2015-04-16 이백현 창틀용 차양
KR200481314Y1 (ko) 2015-09-25 2016-09-09 옥근호 건축물 외부 결합용 위생 및 편의성 확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0165B1 (ko) 유리난간대 및 이를 구비한 창호
JP5740298B2 (ja) 建具
KR101201585B1 (ko) 갤러리용 회전 창호구조
EP2205804B1 (en) A roof window
KR100567382B1 (ko) 건축물 창문틀 부속시설
JP5140535B2 (ja) 建具
WO2020228439A1 (zh) 一种单摆式联动百叶窗、联动百叶天窗屋顶及百叶片
KR200459970Y1 (ko) 건축물용 환기장치
JP7028470B2 (ja) 引き違い建具
JP4814850B2 (ja) ルーバー装置および建具
KR100973847B1 (ko) 블라인드 장치
KR101448398B1 (ko) 프로젝트창
KR102086664B1 (ko) 방진방충망이 설치되어진 루버창호
KR200418504Y1 (ko) 창틀의 배출구 장착용 배출구커버
EP3461965B1 (en) A roof window with a sash, a stationary frame and an intermediate frame
CN108625759B (zh) 更换型百叶窗
KR200405559Y1 (ko) 고정샷시 장착용 물받이샷시
KR20100006781U (ko) 미닫이 창호용 롤방충망 장치
KR20180029574A (ko) 평레일 창호
KR100648098B1 (ko) 건축구조물 창문틀 구조
JP4507688B2 (ja) ルーバー装置
KR20100004795U (ko) 미닫이 창문
JP2006336370A (ja) 建具
JP6425841B2 (ja) 開口部建材
KR101502471B1 (ko) 내충격성 플렉시블 소재를 이용한 칸막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