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205Y1 - 유리문용 경첩 - Google Patents

유리문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205Y1
KR200465205Y1 KR2020090014966U KR20090014966U KR200465205Y1 KR 200465205 Y1 KR200465205 Y1 KR 200465205Y1 KR 2020090014966 U KR2020090014966 U KR 2020090014966U KR 20090014966 U KR20090014966 U KR 20090014966U KR 200465205 Y1 KR200465205 Y1 KR 2004652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door
packing
hinge
operating table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9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162U (ko
Inventor
박기복
Original Assignee
박기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기복 filed Critical 박기복
Priority to KR20200900149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205Y1/ko
Publication of KR201100051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16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2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2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 E05D7/083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with a fixed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05D3/04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engaging three or more parts, e.g. sleeves, movable relatively to one another for connecting two or more wings to another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246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for attachment to glass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2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1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sh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욕실이나 욕실 내에 설치되는 샤워부스에 유리문을 고정하여 여닫이식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되는 유리문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 경첩의 구조개선을 통하여 유리문의 장착상태가 긴밀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재 주거환경이나 건물에 사용되는 유리문은 못이나 용접에 의하여 설치할 수 없으므로 별도의 유리문용 경첩이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경첩의 구조는 유리문의 양면을 패킹을 이용하여 가압하면서 고정함으로써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것의 문제가 유리문을 설치한 상태에서 장기간 사용할 경우 패킹이 유리문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하부로 쳐지면서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고, 유리문 자체가 비틀림이 발생하여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고, 특히 유리문이 대형으로 이루어질 수록 하중이 높아지므로 이러한 현상은 심화되어지며, 이러한 것의 유지보수가 어려울 뿐 아니라,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유리문을 고정하기위한 작동대가 가압판과 패킹에 의하여 밀착결합되어지면서 그 작동대와 가압판에 패킹이 걸림되어지도록 걸림살을 형성함으로써 패킹이 상,하 또는 측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여 유리문이 장착되어진 상태에서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도 유리문이 비틀리거나 패킹이 빠지지 않고 유리문의 장착상태를 최초 설치한 상태 그대로 유지하도록 한 것이다.
유리문, 경첩, 패킹빠짐 방지

Description

유리문용 경첩{Hinge for Glass door}
본 고안은 욕실이나 욕실 내에 설치되는 샤워부스에 유리문을 고정하여 여닫이식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되는 유리문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 경첩의 구조개선을 통하여 유리문의 장착상태가 긴밀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재 가정의 욕실이나 욕실 내에 설치되는 샤워부스는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유리문을 설치하는 경우가 점차 많아지고, 뿐만 아니라 건물의 출입문이나 사무실의 출입문 등, 여러 장소에 유리문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리문은 종래의 목재로 이루어진 문과 같이 못을 박아서 경첩을 고정하지 못하는 것이고, 또한 철문과 같이 용접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도 없는 것이다.
따라서 유리문의 양면을 패킹을 이용하여 가압한 상태로 고정되어지는 유리문용 경첩이 제시되었으나, 이러한 것의 문제가 유리문을 고정하는 힘이 약해서 설치후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유리문이 하단으로 쳐지게 되면서 유리문이 비틀어지게 되는 것이고 그 유리문의 모서리가 벽면이나 바닥면에 닿게 되면서 안전상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경첩의 내면에 돌설부를 형성하고 경첩에 결합되어지는 유리판을 그 돌설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절단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유리판이 패킹과 돌설부에 의하여 2중으로 고정되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것은 유리문이 장착된 상태에서 유리판이 경첩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할 뿐이고, 유리문의 무게에 따라 쳐지는 것은 방지할 수 없는 것이다.
그 이유는 유리문이 정위치에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상,하측이나 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돌설부의 형상이 복잡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도돌설부와 유리문의 절단되어진 부분이 동일한 크기로 절단되어져 절단부가 돌설부에 꽉 끼워지도록져야 하는데, 유리문의 특성상 돌설부의 형상대로 절단시키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특히 유리문에 사용되는 유리문은 강화유리를 사용하게 되므로 절단공정이 더욱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돌설부와 패킹의 2중고정구조에 의하여도 유리문의 쳐짐은 발생하는 것이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리문이 기울어져 미관상 좋지 않으며, 또한 유리문이 쳐질 경우 유리문을 고정하는 패킹이 함께 빠져나오게 되면서 사용자가 안전상에 심한 불안감을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안전상에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실제로 대부분의 유리문이 이러한 이유로 보수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 경우에 유리문의 쳐짐이 발생하면서 절단부와 돌설부 간의 마찰이 발생하게 되고 그 마찰부분이 깨지거나 손상되는 것이고, 이때에는 유리문 전체를 교체하거나 경첩을 교체하여야 하는 등의 손실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경첩의 구조를 개선하여 유리문에 밀착되어지는 패킹의 가압력을 높이면서도 패킹의 흘러내림을 방지토록 하여 유리문과 경첩이 긴밀히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장기간 사용시에도 사후보수작업이 필요없이 안전하게 사용가능하고 미관을 해치지 않는 유리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경첩구조가 유리문이 장착되는 작동대와 벽면에 고정되는 지지대로 이루어져 힌지작동하면서 유리문이 개폐되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작동대는 돌설부가 형성되어 유리문이 돌설부에 안착되어진 상태에서 가압판의 결합에 의하여 유리문의 양면을 밀착고정하도록 하고, 상기 작동대와 가압판에는 작동대와 가압판의 테두리를 따라서 돌출테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걸림살을 형성하여 패킹으로 유리문이 가압고정된 상태에서 걸림살에 의하여 패킹의 흘러내림을 방지하고 유리문이 상,하 및 측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되면서 최초 설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유리문과 경첩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조립되어 유리문이 흘러내리지 않으므로 미관을 수려하게 유지하면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사후 보수작업에 따른 경비를 절감을 할 수 있으며, 패킹의 흘러내림 방지구조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저렴한 비용으로도 상품가치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 첨부도면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유리문(100)을 개폐시키기 위한 경첩구조가 지지대(10)와 작동대(20)로 이루어져 지지대(10)가 벽면에 장착되어진 상태에서 힌지돌부(13)가 형성되어 작동대(20)가 힌지돌부(13)에 장착되어 절첩되면서 유리문이 개폐되는 것으로, 상기 작동대(20)는 가압판(20a)을 이용하여 유리문(100)의 양면을 밀착고정하게 되는 것이고, 그 작동대(20)와 가압판(20a)의 내면에는 패킹(30)이 끼워져 유리문(100)이 밀착토록 된 상태에서 작동대(20)와 가압판(20a)에는 각각 결합공(24)이 형성되어 나사결합에 의하여 긴밀히 밀착되어진 상태로 조립된다.
또한, 상기 작동대(20)는 돌설부(21)를 형성하면서 유리문(100)에 절단부(110)를 형성하여 유리문(100)이 돌설부(21)에 의하여 상,하 또는 측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고, 이러한 돌설부(21)의 형상은 유리문(100)은 유리의 특성상 가공이 어렵기 때문에 유리문(100)의 빠짐을 방지하면서도 간단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작동대(20)와 가압판(20a)에는 걸림살(22)을 형성하여 패킹(30)이 안착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패킹(30)이 걸림살(22)에 의하여 위치이동이 제한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유리문(100)에 패킹(30)이 밀착되어진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유리문(100)을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도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쳐짐을 방지하게 되면서 유리문의 장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고, 패킹(30)의 일부가 경첩의 외부로 빠져 나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삭제
이때, 상기 걸림살(22)은 작동대(20)와 가압판(20a)의 테두리에 각각 돌출되어진 형상으로 돌출테(22a)를 형성하면 패킹(30)이 안착되어진 상태에서 테두리단(32a)이 돌출테(22a)에 걸림되어지며 패킹(30)이 상,하방향이나 측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패킹(30)이 밀착고정되어진 유리문(100)이 최초에 설치된 상태 그대로 장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살(2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대(20)와 가압판(20a)의 내면에 다수의 돌출띠(22b)가 테두리를 따라서 배열되어진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패킹(30)은 절개홈(32b)을 형성하면 절개홈(32b)이 돌출띠(22b)에 안착되어지면서 패킹(30)이 상,하방향이나 측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되어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걸림살(2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테(22a)와 돌출띠(22b)를 함께 형성하게되면 패킹(30)의 빠짐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걸림살(22)의 높이는 패킹(30)의 두께보다 높이 형성하면 가압대(20a)를 조립할 경우 유리문에 걸림살(22)이 닿게 되면서 긴밀하게 조립되지 못 하게 되므로 상기 걸림살(22)의 높이는 패킹(30)이 최대 압착되어진 한계두께보다 낮은 높이로 성형하여야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패킹(30)은 양면에 다수의 요철부(31)를 형성하면 유리문(100)과 작동대(20) 및 가압판(20a)의 내면에 더욱 긴밀히 결합되어지게 되는 것이고, 패킹(30)에 의하여 밀착되어진 상태에서 마찰력을 높여서 유리문(100)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대(10)는 벽면에 고정하는 지지대(10)의 구조를 작동대(20)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하면 유리문의 베이스를 일반 콘크리트 벽면이 아닌 유리벽(200)에 유리문(100)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도 6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0)에 가압판(10a)이 나사고정에 의하여 탈착되어지면서 그 내측으로 패킹(30)이 삽입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도 7과 같이 유리벽(200)에 경첩을 설치한 상태에서 유리문(100)을 장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10)와 가압판(10a)에도 각각 걸림살(12)을 형성하게 되면 작동대(20)의 결합구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킹(30)의 빠짐을 방지하면서 경첩(1)이 유리벽(200)에 긴밀히 고정되어질 수 있도록 되는 것으로, 이때 걸림살(12)의 형태를 지지대(10)와 가압판(10a)의 테두리를 따라서 돌출되어진 형상으로 돌출테(12a)를 형성하면 패킹(30)이 안착되어진 상태에서 테두리단(32a)이 돌출테(12a)에 걸림되어지며 패킹(30)이 상,하방향이나 측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패킹(30)이 밀착고정되어진 유리벽(200)이 최초에 설치된 상태 그대로 장착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일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a는 도 1에 도시된 경첩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유리문이 장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3a는 도3의 경첩에 유리문이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걸림살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경첩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a는 도 6의 분해 사시도
도 6b는 도 6의 장착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대 10a,20a: 가압판
11,21: 돌설부 12,22: 걸림살
13: 힌지돌부 14,24: 결합공
20: 작동대 22a: 돌출테
22b: 돌출띠
30: 패킹 31: 요철부
32a: 테두리단 32b: 절개홈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지지대(10)와 작동대(20)로 이루어져 지지대(10)가 벽면에 조립설치되어진 상태에서 유리문(100)이 장착된 작동대(20)가 힌지수단에 의하여 절첩가능토록 되어 유리문(100)이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유리문용 경첩(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는 힌지돌부(13)가 돌출형성되어 작동대(20)의 내입부(20a)에 끼움되어져 작동대(20)가 절첩가능토록 되고,
    상기 작동대(20)는 가압판(20a)의 나사고정에 의하여 유리문(100)의 양면을 밀착토록 되며,
    상기 작동대(20)와 가압판(20a)의 밀착면에는 패킹(30)이 끼움되어지며
    작동대(20)와 가압판(20a)의 내면에는 각각 걸림살(22)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살(22)은 작동대(20)와 가압판(20a)의 내면에 다수의 돌출띠(22b)가 테두리를 따라서 배열되어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킹(30)은 돌출띠(22b)와 대응되는 위치에 절개홈(32b)이 형성되어 돌출띠가 절개홈에 삽입되어지도록 패킹(30)이 안착되어져 패킹(30)의 상,하방향 및 측방향으로 빠짐이 방지토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용 경첩.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살(22)은 작동대(20)와 가압판(20a)의 테두리에 돌출되어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돌출테(22a)와 그 내측으로 테두리를 따라서 배열되어진 다수의 돌출띠(22b)가 형성되고, 상기 패킹(30)은 돌출띠(22b)와 대응되는 위치에 절개홈(32b)이 형성되어 돌출띠(22b)가 절개홈(32b)에 삽입되어지도록 되면서 패킹(30)의 테두리단(32a)이 돌출테(22a)에 걸림되어지며 패킹(30)의 상,하방향 및 측방향으로 빠짐이 방지토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용 경첩.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30)은 다수의 요철부(31)가 형성되어 유리판에 가압되어질 때 요철부(31)에 의하여 더욱 압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문용 경첩.
  6. 삭제
KR2020090014966U 2009-11-18 2009-11-18 유리문용 경첩 KR2004652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966U KR200465205Y1 (ko) 2009-11-18 2009-11-18 유리문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966U KR200465205Y1 (ko) 2009-11-18 2009-11-18 유리문용 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162U KR20110005162U (ko) 2011-05-25
KR200465205Y1 true KR200465205Y1 (ko) 2013-02-07

Family

ID=49294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966U KR200465205Y1 (ko) 2009-11-18 2009-11-18 유리문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20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205Y1 (ko) * 2009-11-18 2013-02-07 박기복 유리문용 경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374Y1 (ko) * 1997-06-27 2000-01-15 안중길 간이샤워실(shower booth)용 경첩
KR20110005162U (ko) * 2009-11-18 2011-05-25 박기복 유리문용 경첩
KR20110086429A (ko) * 2010-01-22 2011-07-28 박기복 유리문 개폐범위 단속가능한 경첩
KR20110087536A (ko) * 2010-01-26 2011-08-03 (주)미공간 유리문용 경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374Y1 (ko) * 1997-06-27 2000-01-15 안중길 간이샤워실(shower booth)용 경첩
KR20110005162U (ko) * 2009-11-18 2011-05-25 박기복 유리문용 경첩
KR20110086429A (ko) * 2010-01-22 2011-07-28 박기복 유리문 개폐범위 단속가능한 경첩
KR20110087536A (ko) * 2010-01-26 2011-08-03 (주)미공간 유리문용 경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162U (ko)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7310B1 (ko) 미닫이 창호의 다기능 슬라이딩 틈새 방지구
US7322552B1 (en) Curtain rod support
AU2005294615B2 (en) Track assembly for supporting fabrics
KR101900144B1 (ko) 슬라이딩 도어용 롤러 브라켓
CN103210167A (zh) 轨道隐蔽型门窗装置
CA2931720C (en) Connecting device and shower door assembly including the connecting device
KR100767069B1 (ko) 처짐방지장치가 구비된 루버형 도어
JP3203981U (ja) 落下防止用の平開式アルミニウム合金窓
KR200465205Y1 (ko) 유리문용 경첩
US8371359B2 (en) Track assembly for supporting fabrics
US20060168894A1 (en) Pre-fabricated sliding door assembly
KR20190003132U (ko) 매립형 방화문
KR20110047867A (ko) 이탈방지용 샷시문
KR101199509B1 (ko) 시스템 창호의 여닫이 구조
KR100907605B1 (ko) 도어용 안전경첩
KR200411572Y1 (ko) 문과 그 문이 설치되는 문틀
KR200456497Y1 (ko) 강화유리도어의 도어프레임
KR200410180Y1 (ko) 안전도어용 피벗힌지
KR20110002779U (ko) 방화문의 상하부 틈새막이 장치
KR101819537B1 (ko) 조립식 방범 창호
JP2016017303A (ja) 網戸の取付構造及びその網戸
KR200421506Y1 (ko) 도어의 틈새막이 장치
KR200357485Y1 (ko) 강화유리 출입문 안전커버
JP3416814B2 (ja) 段窓サッシ
CA3029743A1 (en) Pet door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