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927Y1 - 도어용 경첩 - Google Patents

도어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927Y1
KR200249927Y1 KR2020010020696U KR20010020696U KR200249927Y1 KR 200249927 Y1 KR200249927 Y1 KR 200249927Y1 KR 2020010020696 U KR2020010020696 U KR 2020010020696U KR 20010020696 U KR20010020696 U KR 20010020696U KR 200249927 Y1 KR200249927 Y1 KR 200249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door frame
connecting shaft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6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
Original Assignee
이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 filed Critical 이준
Priority to KR20200100206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9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927Y1/ko

Link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든 건물의 출입구의 도어와, 또는 장농 등의 기타 가구 도어를 지지하기 위한 문틀로부터 상기 도어를 자유롭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한 경첩을 좌우 구분 없이 함으로서, 신속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시공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문틀의 뒤틀림 등으로 인해 도어가 처지거나 올라갈 경우 문을 들어올리거나 내림으로서 문의 수평을 맞추도록 한 도어용 경첩(1)으로, 상기 일측에 제1연결부(110)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 1몸체(100)와, 상기 제1연결부(110)에 삽입되어 고정핀(310)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연결축(300)과, 상기 연결축(300)을 지점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연결부(210)가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 2몸체(200)와, 상기 제1몸체(100) 또는 제2몸체(200) 중 어느 한쪽이 문 또는 문틀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이 상기 연결축(300)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문틀의 뒤틀림 등으로 인해 문이 처지거나 올라갈 경우 상기 유동가능한 경첩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400)을 구비한 도어용 경첩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210)에 삽입된 연결축(300) 양단에 베어링(600)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600)에 맞닿도록 설치되어 장식용마개(50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된 육각렌치(510)에 의해 상기 제2연결부(210)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부(211)를 따라 승강되어 높이 조절되는 조절부(4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도어용 경첩{DOOR HINGE}
본 고안은 모든 여닫이 도어에 사용되는 경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택 외에 여닫이식 도어가 사용되는 가구 등에 사용되는 경첩을 좌우 구분없이 설치할 수가 있으며, 상기 경첩에 높이조절수단을 설치하여 시공후 도어가 처지거나 뒤틀리는 경우 상기 높이조절수단을 이용하여 문의 수평을 손쉽게 맞추도록 한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를 문틀에 시공시 도어가 아래로 처지거나 위로 올라 갈 경우나 혹은 상기 도어가 문틀에 잘맞지 않을 때 시공업자는 상기 도어를 문틀로부터 다시 분리한 후, 도어의 상,하 부분을 깍아서 시공하거나 문틀의 경첩자리를 상,하로 조절하여 시공해야 했으며, 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도어가 자중에 의해 처지거나 혹은 문틀의 뒤틀림 등에 의해 올라갈 경우 역시 도어를 분리한 후 처진 부위만큼 깍아 내어 제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경첩의 경우 문의 여닫는 상태에 따라 각각 좌측경첩과 우측경첩으로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시공자는 문의 위치에 따라 상기 좌측경첩 및 우측경첩을 주위해서 시공해야 하기 때문에 여간 일이 번거로운 일이 아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 제184227호 '도어용 경첩'를 등록받았다.
즉, 그의 구성을 도1을 첨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좌우 구분없이 사용되는 경첩(1)으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몸체(100)의 일측에 원통형상의 제1연결부(110)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1몸체(100)에 문 또는 문틀에 나사못 등에 의해 고정되기 위한 다수개의 구멍(101)이 형성된다.
또한, 제2몸체(200)의 일단에 상기 제1몸체(100)의 제1연결부(110)를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상하부에 제2연결부(210)가 각각 형성되고, 제2몸체(200)에 문 또는 문틀에 나사못 등에 고정되기 위한 구멍(201)이 다수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연결부(210) 사이에 제1몸체(100)에 형성된 제1연결부(1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100) 또는 제2몸체(200)가 원활하게 회전운동되도록 상기 제2연결부(210) 상부로부터 원기둥형상의 연결축(300)이 끼워져, 상기 제2연결부(210) 및 제1연결부(110)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연결축(300)은 제1연결부(110)에 고정핀(310)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몸체(100) 또는 제2몸체(200) 중 어느 한쪽이 문 또는 문틀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이 상기 연결축(300)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문틀의 뒤틀림 등으로 인해 도어가 처지거나 올라갈 경우 상기 유동가능한 경첩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400)이 설치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400)은 도 3에도시된 바와같이 제1연결부(110)에고정핀(310)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 연결축(300)과, 상기 제2연결부(210)에 각각 형성되는 암나사부(211)와, 상기 암나사부(211)에 나사맞춤되며 작업공구(도라이버 혹은 육각랜치)에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조절부(410)로 구성되며 상기 조절부(410)의 이동거리()에 따라 유동가능한 경첩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조절부(410)는 외주면에 수나사부(411)가 형성되고, 일면에 유각랜치홈(412) 혹은 일자 및 십자홈이 형성되며, 타면은 상기 연결축(300)과의 마찰을 최소화 하기 위해 야간 둥글게 혹은 경사면을 갖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조절부(410)가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거나 이물질 등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연결부(210)의 양단에 각각 장식용마개(500)가 나사맞춤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도어용 경첩은 암나사부(211)에 나사맞춤된 조절부(410)를 별도의 작업공구 즉, 도라이버 혹은 육각랜치 등을 사용하여 경첩의 높낮이를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식용마개의 일단에 육각렌치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 육각렌치가 삽입되어 회전되는 회전량 만큼 승강되는 조절부(410)에 육각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공구없이 쉽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에 제1연결부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 1몸체와, 상기 제1연결부에 삽입되어 고정핀에 의해 일체로고정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을 지점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연결부가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 2몸체와, 상기 제1몸체 또는 제2몸체 중 어느 한쪽이 문 또는 문틀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이 상기 연결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문틀의 뒤틀림 등으로 인해 도어가 처지거나 올라갈 경우 상기 유동가능한 경첩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용 경첩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에 삽입된 연결축 양단에 베어링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에 맞닿도록 설치되어 장식용마개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된 육각렌치에 의해 상기 제2연결부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부를 따라 승강되어 높이 조절되는 조절부가 구비됨에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이 부여된다.
도 1은 종래 경첩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
도 2는 종래 경첩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
도 3은 종래 경첩이 문과 문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
도 4은 본 고안 경첩의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
도 5는 본 고안 경첩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
도 6은 본 고안 경첩이 문과 문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첩 100 : 제1몸체
110 : 제1연결부 200 : 제2몸체
210 : 제2연결부 212 : 핀구멍
211 : 암나사부 300 : 연결축
310 : 고정핀 400 : 높이조절수단
410 : 조절부 411 : 수나사부
412 : 육각구멍 500 : 장식용마개
510 : 육각렌치 520 : 핀
600 : 베어링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 및 특징, 그리고 구조상의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고안의 상세하고 바람직한 실시 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형상 및 명칭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은 좌우 구분없이 사용되는 경첩(1)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몸체(100)의 일측에 원통형상의 제1연결부(110)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1몸체(100)에 문 또는 문틀에 나사못 등에 의해 고정되기 위한 다수개의 구멍(101)이 형성된다.
또한, 제2몸체(200)의 일단에 상기 제1몸체(100)의 제1연결부(110)를 사이에끼워질 수 있도록 상하부에 제2연결부(210)가 각각 형성되고, 제2몸체(200)에 문 또는 문틀에 나사못 등에 고정되기 위한 구멍(201)이 다수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연결부(210) 사이에 제1몸체(100)에 형성된 제1연결부(11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100) 또는 제2몸체(200)가 원활하게 회전운동되도록 상기 제2연결부(210) 상부로부터 원기둥형상의 연결축(300)이 끼워져, 상기 제2연결부(210) 및 제1연결부(110)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연결축(300)은 제1연결부(110)에 고정핀(310)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몸체(100) 또는 제2몸체(200) 중 어느 한쪽이 문 또는 문틀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이 상기 연결축(300)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문틀의 뒤틀림 등으로 인해 도어가 처지거나 올라갈 경우 상기 유동가능한 경첩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400)이 설치된다.
높이조절수단(400)은 도 4에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2연결부(210)에 삽입된 연결축(110)의 양단에 설치되는 각각의 베어링(600)과, 상기 베어링(600)에 맞닿도록 설치되어 장식용마개(500)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된 육각렌치(510)와, 상기 육각렌치(510)에 의해 상기 제2연결부(210)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부(211)를 따라 승강되어 높이 조절되는 조절부(41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조절부(410) 내에는 육각렌체(510)와 동일한 형상의 육각구멍(412)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상기 장식용마개(500)의 육각렌치(510)와 동일한 형상의 육각구멍(412)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제2연결부(210)의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부(211)와 나사맞춤되기 위한 수나사부(411)가 형성된다.
한편, 제2연결부(210)의 일단에 핀구멍(212)이 관통 형성되고, 이 핀구멍(212)을 통하여 핀(520)에 의해 고정되는 장식용마개(500)는 도 5의 요부확대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부에 링홈(50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경첩(1)은 제1몸체(100)와 제2몸체(200)의 제1 및 제2연결부(110)(210)를 서로 교차되게 끼워맞춤시킨 후, 상기 제1 연결부(110)와 제2연결부(210) 사이에 연결축(300)을 끼운 후, 고정핀(310)으로 고정한다.
다음 고정핀(310)이 설치된 제2연결부(210)에 베어링(600)을 각각 넣는다.
다음 조절부(410)의 육각구멍(412)에 장식용마개(500)의 육각렌치(510)의 일단을 삽입하여 상기 제2연결부(210)와 나사맞춤하여 체결한다.
다음, 상기와 같이 조립된 경첩(1)을 문 또는 문틀에 고정한다.
이때, 시공자는 제1몸체(100) 또는 제2몸체(200)의 구분없이 문 또는 문틀에 고정함으로서, 시공시간을 줄일 수가 있다.
다음, 상기 경첩(1)을 문 또는 문틀에 고정한 후 도6에 도시된 바와같이 문이 아래쪽 또는 윗쪽으로 처질 경우 장식용마개(500)를 원하는 쪽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조절부(410)는 제2연결부(210)의 암나사부(211)를 따라 상하(ℓ)로 이동됨으로써, 문의 수평을 맞출 수가 있다.
이때, 장식용마개(500)는 핀(520)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에서는 자유회전되지만, 하부 즉, 육각렌치부(510)의 계속적인 회동에 의해 조절부(410)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주택 및 건물의 출입구 또는 각 방, 사무실 등의 도어와, 또는 장농 등의 기타 가구 도어를 지지하기 위한 문틀로부터 상기 도어를 자유롭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한 경첩을 좌우 구분 없이 설치할 수가 있음으로서, 신속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시공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문틀의 뒤틀림 등으로 인해 도어가 처지거나 올라갈 경우 경첩에 설치된 높이조절수단을 이용하여 문을 들어올리거나 내림으로서 문의 수평을 맞추도록 하여 시공을 빠르고 정확하게 할 수가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일측에 제1연결부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 1몸체와;
    상기 제1연결부에 삽입되어 고정핀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연결축과;
    상기 연결축을 지점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연결부가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 2몸체와;
    상기 제1몸체 또는 제2몸체 중 어느 한쪽이 문 또는 문틀에 고정되고 다른 한쪽이 상기 연결축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문틀의 뒤틀림 등으로 인해 도어가 처지거나 올라갈 경우 상기 유동가능한 경첩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한 도어용 경첩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에 삽입된 연결축 양단에 베어링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에 맞닿도록 설치되어 장식용마개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된 육각렌치에 의해 높이 조절되는 조절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KR2020010020696U 2001-07-09 2001-07-09 도어용 경첩 KR200249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696U KR200249927Y1 (ko) 2001-07-09 2001-07-09 도어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696U KR200249927Y1 (ko) 2001-07-09 2001-07-09 도어용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927Y1 true KR200249927Y1 (ko) 2001-11-17

Family

ID=73104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696U KR200249927Y1 (ko) 2001-07-09 2001-07-09 도어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92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036B1 (ko) 2006-07-06 2007-07-19 (주)에이치엔씨 회전축 방향의 내구성이 향상된 힌지장치
KR101312585B1 (ko) 2006-09-29 2013-09-30 슐테 에른스트 도어 힌지
KR20190102457A (ko) * 2018-02-26 2019-09-04 (주)명가 한식 창호용 경첩
KR102543453B1 (ko) 2023-01-09 2023-06-16 (주) 한길 문과 문틀 사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첩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036B1 (ko) 2006-07-06 2007-07-19 (주)에이치엔씨 회전축 방향의 내구성이 향상된 힌지장치
KR101312585B1 (ko) 2006-09-29 2013-09-30 슐테 에른스트 도어 힌지
KR20190102457A (ko) * 2018-02-26 2019-09-04 (주)명가 한식 창호용 경첩
KR102160333B1 (ko) * 2018-02-26 2020-09-25 (주)명가 한식 창호용 경첩
KR102543453B1 (ko) 2023-01-09 2023-06-16 (주) 한길 문과 문틀 사이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4363B1 (en) Adjustable hinge
EP1061222A1 (en) Hinge for an openable door or window frame
KR200249927Y1 (ko) 도어용 경첩
JP4215128B2 (ja) ガラス製扉用の蝶番機構
KR200184227Y1 (ko) 도어용 경첩
KR200275801Y1 (ko) 도어용 경첩
KR102398865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경첩구조
KR100402318B1 (ko) 여닫이문의 문틀용 피보트
EP1452679A2 (en) Hinge for mobile elements or furniture wings with mechanism to adjust height
JP4749883B2 (ja) 建具枠材の取付構造
KR20200117117A (ko) 비철거식 개보수용 창호의 높낮이 조절장치
CN206608003U (zh) 一种用于淋浴房上的边框连接结构
CN220909485U (zh) 一种可调节采光角度的幕墙门窗
CN220231605U (zh) 一种工程监理用地砖空鼓检测器
CN219672475U (zh) 一种具有调节结构的幕墙窗
CN219569872U (zh) 一种卫浴用更为稳固的合页件
CN211851364U (zh) 一种与窗框窗扇连接的可调节摩擦铰链
JP6859280B2 (ja) 下枠用ブラケットおよび建具
CN209924776U (zh) 一种窗纱一体化防护窗
JPH0310315Y2 (ko)
JPH0321419Y2 (ko)
CN2923941Y (zh) 门扉铰链结构
JPH0440373Y2 (ko)
KR200433645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회전축을 갖는 방화문용 피보트 힌지
JPS622262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