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0333B1 - 한식 창호용 경첩 - Google Patents

한식 창호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0333B1
KR102160333B1 KR1020180022869A KR20180022869A KR102160333B1 KR 102160333 B1 KR102160333 B1 KR 102160333B1 KR 1020180022869 A KR1020180022869 A KR 1020180022869A KR 20180022869 A KR20180022869 A KR 20180022869A KR 102160333 B1 KR102160333 B1 KR 102160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window
rotating
eccentric sleev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2457A (ko
Inventor
구주혜
Original Assignee
(주)명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가 filed Critical (주)명가
Priority to KR1020180022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0333B1/ko
Publication of KR20190102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05D7/0018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 E05D7/0045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in a radial direction
    • E05D7/0054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in a radial direction by means of eccentric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E05D5/14Construction of sockets or slee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009Adjustable hinges
    • E05D7/0018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 E05D7/0045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in a radial direction
    • E05D2007/0072Adjustable hinges at the hinge axis in a radial direction with sliding slee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48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첩을 구성하는 두 개의 슬리브 중에서 어느 하나를 편심 슬리브로 구성하여 창호 짝이 이 편심 슬리브의 편심 정도만큼 편심하여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므로, 창호의 무게로 처지거나 뒤틀리거나 휘더라도 창호 짝을 창호 틀에서 떼어내지 않고도 쉽고 편리하게 교정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두 개의 슬리브를 각각 본체에 스플라인과 홈 형태로 고정하므로, 편심 되게 회전하는 편심 슬리브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창호의 뒤틀림이나 휨에 대한 교정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슬리브를 본체에 고정하여 마감하는 마감 부재를 갓 형태로 넓게 제작하므로, 빗물이나 이물이 본체의 회전 부분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쉽고 편리하게 유지 보수하면서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식 창호용 경첩{HINGE FOR KOREAN STYLED WINDOWS AND DOORS}
본 발명은 한식 창호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편심 슬리브를 이용하여 창호의 뒤틀림 등이 생기더라도 편심 슬리브에 고정하는 경첩 본체의 회전 위치를 조절하여 직접 경첩을 분리하거나 장착 위치를 조절하지 않고 회전 위치를 쉽고 편리하게 조절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한식 창호는 얇은 실대를 여러 모양으로 엮어서 짜고 여기에 창호를 발라서 마감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한식 창호에 이중 유리를 적용하는 등 다양하게 변형하여 제작한다.
한편, 이처럼 여러 가지 형태로 한식 창호를 제작하기는 하나, 한식 창호의 기본 뼈대 즉, 창호 짝과 창호 틀은 목재를 이용하여 제작하므로, 한식 창호를 사용함에 따라 목재의 변형이 생기고, 또한 이중 유리 적용과 목재 사용으로 무게가 많이 나가는 문짝에 대한 처짐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아래의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와 같이 창호의 뒤틀림이나 휨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754931호
부재 간의 결속력이 높아 문짝의 뒤틀림 또는 휨을 방지하며 내구성을 향상시켜 견고한 경첩과 보강관의 결합구조 한식 창호에 관한 것으로, 목재가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의 무거운 다중 유리를 구비할 수 있기 때문에 결로를 방지하며 보온기능을 높아 에너지가 절감된다. 경첩과 보강관의 결합구조 한식 창호는 세장형의 목재로 이루어져 내측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목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문틀보강관이 구비된 셋 이상의 문틀, 문틀이 형성하는 개구부에 설치되는 문짝의 외곽을 이루는 것으로 세장형의 목재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문짝보강관이 구비된 셋 이상의 문짝틀, 셋 이상의 문짝틀이 형성한 평면에 설치되는 유리, 유리의 일면에 구비되어 전통적인 문양을 형성하는 살대 및 문틀에 장착되는 문틀브라켓과 문짝틀에 장착되는 문짝브라켓을 구비하고, 문짝의 회전축으로서 작용하는 경첩을 포함하며, 문틀브라켓과 문틀보강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나사와 문짝브라켓과 문짝보강관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나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89478호
패시브 한식 창호에 관한 것으로, 한옥의 미감을 유지하면서도 문짝의 뒤틀림 또는 휨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높아 견고하기 때문에 다중유리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결로를 방지하며, 보온기능을 높아 에너지가 절감되고, 방음효과가 뛰어나다. 제1실시예는 문짝의 외곽을 이루는 것으로 세장형의 목재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보강관재가 내장된 셋 이상의 문짝프레임. 보강관재에 삽입 가능한 횡단면을 가지며, 중간에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일측은 문짝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슬라이딩 삽입되고, 타측은 어느 하나의 문짝프레임과 맞닿는 쪽에 구비되는 다른 하나의 문짝프레임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두 개의 문짝프레임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보강커넥터, 셋 이상의 문짝프레임이 형성한 평면에 설치되는 유리 및 유리의 일면에 구비되어 전통적인 문양을 형성하는 살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지만, 기존 방식으로 창호의 뒤틀림이나 휨을 방지하는 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기존 방식으로 어느 정도 뒤틀림이나 휨을 방지할 수 있으나, 창호 짝과 창호 틀은 오랜 사용으로 목재에는 미세한 뒤틀림이나 휨이 생긴다. 이러한 미세한 뒤틀림이나 휨은 창호 틀과 창호 짝 사이에 틈새를 만들어 바람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이 실내로 유입될 우려가 있다.
(2) 또한, 이러한 미세한 틈새는 바람이 통과하면서 소음을 발생하여 쾌적한 실내 환경을 해칠 뿐만 아니라 열효율을 떨어뜨리는 한 가지 요인으로 작용한다.
(3) 특히, 미세한 틈새는 기존의 한식 창호에서는 조절하기가 거의 불가능하고, 이에 미세한 틈새가 있을 때는 그대로 사용하거나 창호 자체를 교환해야 한다.
(4) 이에, 소음과 이물 유입의 우려가 있는 창호를 그대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거나, 다시 비용을 들여서 창호를 교체해야 하므로 유지 보수에 번거로움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754931호 (등록일 : 2017.06.30)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89478호 (공개일 : 2017.08.04)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경첩을 구성하는 두 개의 본체 중에서 어느 하나에 회전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지지하는 두 개의 슬리브 중에서 어느 하나의 슬리브를 편심 슬리브로 구성하므로, 창호 짝을 지지하는 본체가 이 편심 슬리브의 편심 정도만큼 편심하여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여, 창호의 무게로 처지거나 뒤틀리거나 휘더라도 이 편심 정도를 이용하여 창호 짝을 창호 틀에서 떼어내지 않고도 쉽고 편리하게 교정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한식 창호용 경첩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처럼 경첩의 회전 중심이 되는 두 개의 슬리브를 각각 본체에 스플라인과 홈 형태로 고정하므로, 편심 되게 회전하는 편심 슬리브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창호의 뒤틀림이나 휨에 대한 교정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 한식 창호용 경첩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처럼 슬리브를 본체에 고정하여 마감하는 마감 부재를 갓 형태로 넓게 제작하므로, 빗물이나 이물이 본체의 회전 부분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쉽고 편리하게 유지 보수하면서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게 한 한식 창호용 경첩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한식 창호용 경첩은, 창호 짝 프레임에 밀착하여 고정하는 밀착 부분(110)과 상기 밀착 부분(110)의 한쪽에 돌출하여 회전 지지하는 회전 부분(120)을 형성한 제1 본체(100); 상기 회전 부분(120)의 한쪽에 끼우는 슬리브(200); 상기 슬리브(200)의 한쪽에 빠지지 않게 끼워지고, 다른 한쪽이 회전 부분(120)의 한쪽 밖으로 돌출하게 설치한 축(300); 상기 회전 부분(120)의 다른 한쪽에서 억지로 끼워져서 제1 본체(100)와 슬리브(200)가 회전하지 않게 고정하는 제1마감 부재(400); 상기 회전 부분(120) 밖으로 돌출한 축(300)에 끼우는 편심 슬리브(500); 창호 틀 프레임에 밀착하여 고정하는 밀착 부분(610)과 상기 밀착 부분(610)의 한쪽에 돌출하여 상술한 회전 부분(120)과 나란하게 형성하여 편심 슬리브(500)가 끼워지게 하여 지지하도록 회전 부분(620)을 형성한 제2 본체(600); 및 상기 회전 부분(620)에서 편심 슬리브(500)가 끼워지지 않은 쪽에 억지로 끼워져서 편심 슬리브(500)가 회전하지 않게 고정하는 제2마감 부재(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밀착 부분(110, 610)에는, 각각, 창호 짝 프레임이나 창호 틀 프레임에 밀착하는 밀착 면에 임시로 고정할 수 있게 적어도 2개의 고정 돌기(111)를 돌출 성형하고;, 상기 밀착 면이나 그 가장자리에 창호 짝 프레임이나 창호 틀 프레임에 제1 및 제2 본체(100, 600)가 더는 움직이지 않고 정해진 위치에 놓이도록 안내하는 가이드(113)를 돌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편심 슬리브(500)는 한쪽 가장자리에 회전 부분(620)에 걸쳐지도록 플랜지(510)를 돌출 성형하고, 상기 플랜지(510)에는 외주에 미리 정한 간격으로 여러 개의 조절 돌기(511)를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마감 부재(400, 700)는, 각 회전 부분(120, 620)과 밀착하는 면에 스플라인(410)을 돌출 성형하여 각 회전 부분(120, 620)에 형성한 보스(121)에 끼워지게 하고, 상기 스플라인(410)은 중앙에 정다각형 형상으로 고정 돌기(420)를 돌출하게 형성하여 슬리브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끼워지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 및 제2마감 부재(400, 700)는, 각 회전 부분(120, 620)과 밀착하는 면에 공구 홈(430)을 형성하여 마감 부재를 분리할 때 공구를 끼워서 쉽게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 및 제2마감 부재(400, 700)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 부분(120, 620)의 평면 단면보다 넓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식 창호용 경첩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편심 슬리브를 돌려서 본체를 고정하는 위치에 따라 자중으로 처진 창호를 밀거나 당겨서 바로 세울 수 있고, 특히 경첩에서 창호를 분리하여 경첩의 장착 위치를 조절해서 다시 창호를 달아야 하는 기존 경첩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창호용 경첩은 창호 틀에서 창호 짝을 분리하지 않고서도 경첩을 통해 창호의 위치를 바로 잡을 수 있다.
(2) 특히, 편심을 이용하여 미세 틈새를 조절하므로, 조절 돌기로 편심 슬리브를 돌리는 정도에 따라 원하는 정도의 미세 틈새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조절 돌기를 돌리는 방향을 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돌기의 크기가 다르므로 어느 방향으로 얼마나 돌렸는지 작업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3) 한식 창호에 고정한 경첩 본체를 분리하거나 다시 장착하지 않고 편심 슬리브만으로 미세 틈새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틈새 조절 작업이 쉬울 뿐만 아니라 누구든지 쉽게 틈새 조절을 할 수 있어 편리하다.
(4) 게다가, 이처럼 한식 창호에서 경첩 본체를 분리하지 않으므로, 미세 틈새 조정할 때 생길 수 있는 한식 창호나 경첩의 파손을 없앨 수 있다.
(5) 본체에 형성한 가이드로 본체를 창호 프레임에 장착할 때 정해진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게 안내하므로, 경첩을 잘못 장착하거나 정해진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정해진 위치에 반듯하고 편리하게 조립 장착할 수 있다.
(6) 본체에 형성한 고정 돌기로 미리 창호 프레임에 박아서 가결합 한 상태에서 경첩을 고정하므로, 이 고정 돌기가 경첩을 고정하기 전에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경첩을 고정할 수 있게 하는 한편, 경첩을 고정한 뒤에는 창호에 견고하게 박혀서 창호가 쳐지는 것을 한 번 더 잡아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식 창호용 경첩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려고 분해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일부를 자른 정면도이고, (b)는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리브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심 슬리브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단면도이고, (b)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편심 슬리브로 미세 틈새를 조정하기 전(a)과 조정한 후(b)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정면도이고, (b)는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감 부재를 회전 부분에 끼워서 슬리브와 함께 고정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한식 창호용 경첩은,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제1 및 제2 본체(100, 600), 슬리브(200), 축(300), 제1 및 제2마감 부재(400, 700), 그리고 편심 슬리브(50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편심 슬리브(500)가 축(300)에 회전할 수 있게 끼운 상태에서 편심 슬리브(500)를 돌려서 회전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창호 짝을 분리하지 않고 미세 틈새를 쉽고 편리하게 조절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제2 본체(600)에 회전하지 않게 마감 부재(700)를 이용하여 스플라인(410)과 고정 돌기(420)를 이용하여 본체(600)와 편심 슬리브(500)를 고정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마감 부재(400, 700)는 각각 제1 및 제2 본체(100, 600)에 스플라인 방식으로 결합하면서 그 끝을 슬리브에 끼워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슬리브(200)와 편심 슬리브(500)를 각각 회전하게 하여 미세 틈새를 조절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마감 부재(400, 700) 중 적어도 하나는, 갓 형태로 본체에 형성한 밀착 부분보다 넓게 구성하므로, 빗물이나 이물이 위에서 떨어지더라도 밀착 부분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본체(100)와 제2 본체(600)는, [도 1] 및 [도 5]와 같이, 같은 구성이나 장착하는 방향만 다를 뿐 그 구성에서는 같다. 따라서, 여기서는 제1 본체(100) 하나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제1 본체(100)는, [도 1]·[도 2] 및 [도 5]와 같이, 창호 짝 프레임이나 창호 틀 프레임에 밀착하게 장착하여 고정하기 위한 밀착 부분(110), 그리고 축(300)을 끼워서 창호를 여닫을 때 회전 지지하기 위한 회전 부분(12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밀착 부분(110)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창호 짝 프레임이나 창호 틀 프레임에 마주하는 면에 적어도 두 개의 고정 돌기(111)를 돌출 성형한다. 고정 돌기(111)는 제1 본체(100)를 통상 목재로 이루어진 창호 짝 프레임이나 창호 틀 프레임에 임시로 결합할 수 있게 하여 제1 본체(100)를 장착할 때 창호 짝의 처짐과 움직임 그리고 뒤틀림이 생기지 않게 하여 정해진 위치에 장착할 수 있게 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112"는 제1 본체(100)에 스크루나 나사 등을 체결할 수 있도록 턱지게 관통 형성하거나 경사지게 관통 형성한 체결 구멍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밀착 부분(110)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가이드(113)를 돌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가이드(113)는 밀착 부분(110)을 창호 짝 프레임이나 창호 틀 프레임 위에 올려놓았을 때 이 밀착 부분(110)이 미리 정해진 위치에 걸쳐지게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첩의 장착 위치를 쉽게 알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에, 이러한 가이드(113)는 고정 돌기(111)를 돌출 성형하는 밀착 면이나 밀착 부분(110)의 가장자리에 형성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2개의 가이드(113)를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상기 회전 부분(120)은, [도 1]·[도 2] 및 [도 5]와 같이, 상술한 회전 부분(120)의 한쪽에 돌출하게 형성한다. 이때, 회전 부분(120)은 제1 및 제2 본체(100, 600)가 서로 축(300)으로 연결하여 회전할 수 있게 구성하는 부분으로 실린더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길이도 제1 본체(100)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할 수도 있으나, 전체 길이의 절반이나 절반보다 조금 짧은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회전 부분(120)은, [도 1]·[도 2] 및 [도 5]와 같이, 한쪽 면에 후술할 슬리브(200)(제2 본체(600)의 경우 편심 슬리브(500))를 끼울 수 있도록 장착 구멍(122)을 관통 형성한다. 이때, 후술할 제2 본체(600)의 회전 부분과 마주하지 않는 한쪽(바람직하게는 후술할 축(300)이 회전 부분(120) 밖으로 돌출하지 않는 쪽)에는 이 장착 구멍(122)의 내주에 보스(121)를 형성함으로써, 후술할 제1마감 부재(400)가 억지로 끼워져서 회전하지 않게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
슬리브(200)는, [도 1]·[도 3] 및 [도 5]와 같이,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술한 장착 구멍(122)에 끼워진다. 이때, 상기 슬리브(200)는 한쪽에 길이 방향으로 후술할 축(300)을 끼울 수 있게 구성하고, 다른 한쪽에 후술할 제1마감 부재(400)가 끼워져서 슬리브(200)와 제1 본체(100)가 함께 고정될 수 있도록 홈 부분(210)을 형성한다.
이때, 슬리브(200)는, [도 3]과 같이, 슬리브(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중심에 형성한 중심선(O)을 기준으로 축(300)을 끼울 수 있게 제작한다. 또한, 축(300)을 끼우는 입구 부분에는 플랜지(220)를 돌출 성형하여 회전 부분(120)에 걸쳐지게 구성함으로써, 후술할 편심 슬리브(500)와 밀착력을 높이고, 또한 이들 슬리브(200)와 편심 슬리브(500) 사이에 놓이도록 축(300)에 와셔를 장착할 때 이 와셔를 플랜지(220)가 감싸게 하여 와셔를 보호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특히, 상기 슬리브(200)에는, [도 3]과 같이, 축(300)이 끼워지는 구간과 상술한 홈 부분(210)을 구획할 수 있도록 격벽(230)을 구분하여 축(300)의 한쪽이 슬리브(200)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게 하고, 또한 이 격벽(230)에는 축(300)이 끼워지는 구간과 홈 부분(210) 사이에 관통 구멍(231)을 관통 형성하므로, 슬리브(200) 안으로 물이나 이물 등이 들어오더라도 이 관통 구멍(231)과 홈(210)을 통해 슬리브(200) 밖으로 배출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러한 물과 이물 등의 배출은 후술할 편심 슬리브(500)에서는, 반대로 홈 부분을 통해 들어와서 축(300)이 끼워지는 구간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축(300)은, [도 1]·[도 3]·[도 4] 및 [도 5]와 같이, 한쪽을 상술한 슬리브(200)에 끼우고 다른 한쪽이 슬리브(200) 밖으로 돌출하게 장착한다. 이때, 슬리브(200) 밖으로 돌출한 부분에는 후술할 편심 슬리브(500)를 끼워서 회전 지지한다.
이때, 축(300)은, [도 5]와 같이, 서로 나란하게 배치한 슬리브(200)와 편심 슬리브(500)에 양단이 각각 슬리브(200)와 편심 슬리브(500)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는 길이로 제작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축(300)에는 제1 및 제2 본체(100, 600)를 회전 지지하게 하는 슬리브(200)와 편심 슬리브(500) 사이에 놓이도록 슬리브(200)와 편심 슬리브(500)의 잦은 회전으로 발생하는 마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와셔를 갖춤으로써, 제1 및 제2 본체(100, 600)가 회전할 때 안정적으로 회전 지지할 수 있게 하면서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마감 부재(400, 700)는, [도 1]과 같이 구성이 같으므로, 여기서는 제1마감 부재(400)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2마감 부재(700)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마감 부재(400)는, [도 1]·[도 6] 및 [도 7]과 같이, 상술한 회전 부분(120)의 한쪽을 마감하는 부재이다. 이때, 제1마감 부재(400)는 회전 부분(120)에 장착한 슬리브(200)에 삽입한 축(200)과 회전 부분(120)의 구멍이 함께 만나는 위치에 장착한다.
특히, 상기 제1마감 부재(400)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회전 부분(120)과 마주하는 면에 억지로 끼워지게 하여 슬리브(20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회전 부분(120)에 고정한다. 여기서, 제2마감 부재(700)의 경우 편심 슬리브(50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회전 부분(120)에 고정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마감 부재(400)는, [도1]·[도 6] 및 [도 7]과 같이, 회전 부분(120)과 마주하는 면에 상술한 보스(121)에 끼워질 수 있도록 스플라인(410)을 돌출 성형한다. 그리고, 이 스플라인(410)에는 중앙에 정다각형 형상으로 고정 돌기(420)를 돌출 성형하여 슬리브(210)의 홈 부분(210)에 끼울 수 있게 구성한다.
이에, [도 7]과 같이, 상기 회전 부분(120)에 슬리브(200)를 끼우고 이 슬리브(200)에 축(300)을 끼운 상태에서 제1마감 부재(400)를 회전 부분(120)의 끝에서 끼우면, 제1마감 부재(400)는 스플라인(410)이 보스(121)에 맞물리면서 제1 본체(100)에 고정되고, 동시에 고정 돌기(420)가 홈 부분(210)에 끼워지게 하여 제1 본체(100)와 슬리브(200) 그리고 제1마감 부재(400)가 동시에 고정되어서 움직일 수 없게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마감 부재(400)와 달리 제2 마감 부재(700)는, [도 1] 및 [도 6]과 같이, 회전 부분(620)과 마주하는 면에 공구 홈(43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구 홈(430)은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 끝을 회전 부분(620)과 공구 홈(430) 사이에 끼워서 젖힘에 따라 회전 부분(620)에 장착한 제2마감 부재(700)를 쉽고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2마감 부재(700)는, [도 7]과 같이, 갓 형태로 형성하되, 회전 부분(620)보다 넓은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경첩이 외부에 노출되더라도 빗물이나 이물 등이 제2마감 부재(700) 위에 떨어지더라도 갓 형상을 타고 흐르게 하여 회전 부분(620) 안에 빗물이나 이물 등이 들어오는 것을 막아주기 위함이다.
편심 슬리브(500)는, [도 1]·[도 4] 및 [도 5]와 같이, 상술한 슬리브(200)와 같은 형태로 제작한 것이나, 축(300)을 끼우는 장착 구멍의 위치를 편심하게 형성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상기 편심 슬리브(500)는,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술한 슬리브(200)에서 그 중심을 지나는 중심선(O)에서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진 위치에 오도록 편심 중심선(O')을 기준으로 편심하여 회전하게 제작한 것이다. 이에, 축(300)을 기준으로 편심 슬리브(500)를 제2 본체(600)에 고정하는 위치에 따라 간격(a)을 더 넓거나 좁은 간격(b)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편심 슬리브(500)는 제2 본체(600)에 형성한 회전 부분(620)에 고정하여 사용하므로, [도 5(a)]와 같이 후술할 제2마감 부재(700)를 분리하여 제2 본체(600)에서 편심 슬리브(500)가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한 다음, [도 5(b)]와 같이 이 편심 슬리브(500)를 돌려서 제2마감 부재(700)로 다시 제2 본체(600)에 고정함으로써, 각도 조절을 통해 창호 짝 프레임이 틀어지거나 처지는 것을 잡아줄 수 있게 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편심 슬리브(500)는, [도 1] 및 [도 4]와 같이, 상술한 슬리브(200)와 마주하는 면에 플랜지(51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랜지(510)는 상술한 슬리브(200)와의 사이에 와셔를 장착할 때 자리면으로 사용하고, 또한 편심 슬리브(500)를 손으로 쉽게 돌리면서 틈새를 쉽게 조절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플랜지(510)에는, [도 1] 및 [도 4]와 같이, 외주에 미리 정한 간격으로 여러 개의 조절 돌기(511)를 돌출 성형한다. 조절 돌기(511)는 편심 슬리브(500)를 회전시킬 때 미끄러지지 않고 쉽게 돌릴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조절 돌기(511)는 같은 간격을 두고 여러 개를 형성하고, 어느 한쪽으로 갈수록 그 크기를 작게 하거나 크게 형성하여 작업자가 어느 방향으로 어느만큼 돌렸는지 쉽게 알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본체(600)는 상술한 제1 본체(100)와 같은 구성이므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2마감 부재(700)는 상술한 제1마감 부재(400)와 같은 구성으로, 고정하는 대상이 제1마감 부재(400)는 슬리브(200)이고 제2마감 부재(700)는 편심 슬리브(500)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여기서는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5(a)]와 같이, 하나의 축(300)에 슬리브(200)와 편심 슬리브(500)가 끼워져서 각각 제1 및 제2 본체(100, 600)를 회전 지지한다. 슬리브(200)와 편심 슬리브(500)는 각각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및 제2마감 부재(400, 700)로 제1 및 제2 본체(100, 600)에 각각 고정한다.
한편, 틈새 조절을 위해서는, 우선 편심 슬리브(500)를 고정한 제2마감 부재(700)를 회전 부분(620)에서 분리한 다음, [도 5(b)]와 같이 편심 슬리브(500)를 돌려서 조절하려는 틈새만큼 벌어지거나 닫히도록 조절한다. 이어, 제2마감 부재(700)로 편심 슬리브(500)를 제2 본체(600)에 고정함에 따라 틈새 조절이 끝나게 된다.
이에, 제2 본체(600)에 고정하는 편심 슬리브(500)의 고정 위치에 따라 틈새 조절이 쉽게 이루어진다.
100 : 제1 본체
110 : 밀착 부분
120 : 회전 부분
121 : 보스
122 : 장착 구멍
200 : 슬리브
210 : 홈 부분
220 : 플랜지
300 : 축
400 : 제1마감 부재
410 : 스플라인
420 : 고정 돌기
500 : 편심 슬리브
600 : 제2 본체
700 : 제2마감 부재

Claims (7)

  1. 창호 짝 프레임에 밀착하여 고정하는 밀착 부분(110)과 상기 밀착 부분(110)의 한쪽에 돌출하여 회전 지지하는 회전 부분(120)을 형성한 제1 본체(100); 상기 회전 부분(120)의 한쪽에 끼우는 슬리브(200); 상기 슬리브(200)의 한쪽에 빠지지 않게 끼워지고, 다른 한쪽이 회전 부분(120)의 한쪽 밖으로 돌출하게 설치한 축(300); 상기 회전 부분(120)의 다른 한쪽에서 억지로 끼워져서 제1 본체(100)와 슬리브(200)가 회전하지 않게 고정하는 제1마감 부재(400); 상기 회전 부분(120) 밖으로 돌출한 축(300)에 끼우는 편심 슬리브(500); 창호 틀 프레임에 밀착하여 고정하는 밀착 부분(610)과 상기 밀착 부분(610)의 한쪽에 돌출하여 상술한 회전 부분(120)과 나란하게 형성하여 편심 슬리브(500)가 끼워지게 하여 지지하도록 회전 부분(620)을 형성한 제2 본체(600); 및 상기 회전 부분(620)에서 편심 슬리브(500)가 끼워지지 않은 쪽에 억지로 끼워져서 편심 슬리브(500)가 회전하지 않게 고정하는 제2마감 부재(700);를 포함하되,
    상기 편심 슬리브(500)는 한쪽 가장자리에 회전 부분(620)에 걸쳐지도록 플랜지(510)를 돌출 성형하고, 상기 플랜지(510)에는 외주에 미리 정한 간격으로 여러 개의 조절 돌기(511)를 돌출 성형하며,
    제1 및 제2마감 부재(400, 700)는, 각 회전 부분(120, 620)과 밀착하는 면에 스플라인(410)을 돌출 성형하여 각 회전 부분(120, 620)에 형성한 보스(121)에 끼워지게 하고, 상기 스플라인(410)은 중앙에 정다각형 형상으로 고정 돌기(420)를 돌출하게 형성하여 슬리브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끼워지게 형성하며, 각 회전 부분(120, 620)과 밀착하는 면에 공구 홈(430)을 형성하여 마감 부재를 분리할 때 공구를 끼워서 쉽게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하되, 상기 제1 및 제2마감 부재(400, 700) 중 적어도 하나는, 회전 부분(120, 620)의 평면 단면보다 넓게 형성하고,
    상기 밀착 부분(110, 610)에는, 각각 창호 짝 프레임이나 창호 틀 프레임에 밀착하는 밀착 면에 임시로 고정할 수 있게 적어도 2개의 고정 돌기(111)를 돌출 성형하고, 상기 밀착 면이나 그 가장자리에 창호 짝 프레임이나 창호 틀 프레임에 제1 및 제2 본체(100, 600)가 더는 움직이지 않고 정해진 위치에 놓이도록 안내하는 가이드(113)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축(300)에는, 상기 슬리브(200)와 편심 슬리브(500) 사이에 위치하도록 와셔를 삽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식 창호용 경첩.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22869A 2018-02-26 2018-02-26 한식 창호용 경첩 KR102160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869A KR102160333B1 (ko) 2018-02-26 2018-02-26 한식 창호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2869A KR102160333B1 (ko) 2018-02-26 2018-02-26 한식 창호용 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457A KR20190102457A (ko) 2019-09-04
KR102160333B1 true KR102160333B1 (ko) 2020-09-25

Family

ID=67950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869A KR102160333B1 (ko) 2018-02-26 2018-02-26 한식 창호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03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93794B (zh) * 2020-12-14 2022-12-13 上海安宇峰实业有限公司 汽车车门铰链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4852A (ja) * 1998-05-11 2000-02-02 Eiwa Kogyo Kk 蝶 番
JP2001012132A (ja) * 1999-06-16 2001-01-16 Savio Spa 開閉ドア又は窓枠用蝶番
KR200249927Y1 (ko) * 2001-07-09 2001-11-17 이준 도어용 경첩
CN205805275U (zh) * 2016-07-06 2016-12-14 广东名门锁业有限公司 一种自动关门的门铰链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5886U (ja) * 1993-05-24 1994-12-13 有限会社ベスト青梅 蝶 番
KR20080086952A (ko) * 2007-03-24 2008-09-29 강성태 절곡구조를 갖는 도어용 경첩
KR20170089478A (ko) 2016-01-27 2017-08-04 주식회사 그린한옥공간 패시브 한식창호
KR101754931B1 (ko) 2016-11-22 2017-07-06 주식회사 그린한옥공간 경첩과 보강관의 결합구조 한식창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4852A (ja) * 1998-05-11 2000-02-02 Eiwa Kogyo Kk 蝶 番
JP2001012132A (ja) * 1999-06-16 2001-01-16 Savio Spa 開閉ドア又は窓枠用蝶番
KR200249927Y1 (ko) * 2001-07-09 2001-11-17 이준 도어용 경첩
CN205805275U (zh) * 2016-07-06 2016-12-14 广东名门锁业有限公司 一种自动关门的门铰链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457A (ko)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60124A1 (en) Windows and doors assembly structure having a joint portion of 45 degrees
KR102160333B1 (ko) 한식 창호용 경첩
CN111425091B (zh) 建筑物门和门铰链
JP5325813B2 (ja) 開口部装置
PL231737B1 (pl) Układ zawiasowy, a zwłaszcza układ zawiasu ukrytego
WO2009093205A2 (en) Standard post for making reversible door and window frames, frame assembly using such post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KR101489255B1 (ko) 설치가 용이한 문틀
EP2198097A1 (en) Fixing device
EP2589740B1 (en) Device for clamping a glazing in a window or door frame
KR100881291B1 (ko) 장착이 용이한 도어록 구조
KR101121121B1 (ko) 창호의 가로프레임 구조
US20050284023A1 (en) Window shutter system with operable louvers
KR200212924Y1 (ko) 체결수단 없이 고정이 가능한 격자프레임
ITFI990178A1 (it) Cerniera per finestre del tipo apribili ad anta e a ribalta
KR100919677B1 (ko) Pvc창호용 창유리세척 와이퍼 어셈블리 및 이를 장착한pvc창틀
AU2019200973A1 (en) A System
US9565976B2 (en) Curved shower rod attachment
KR102616428B1 (ko) 창호 틀과 개구부 가장자리 사이를 마감하는 마감재
JP6554290B2 (ja) 開閉装置用の開閉体及び該開閉体を用いた開閉装置
KR100623085B1 (ko) 유리도어 힌지바아
KR101266844B1 (ko) 완전 개방이 가능한 이중 연동 도어 구조를 갖는 시스템 창호
JP7403694B2 (ja) 改装建具及び改装建具の施工方法
KR200385557Y1 (ko) 강화유리문용 안전커버
KR102473881B1 (ko) 복합 도어
KR200430511Y1 (ko) 조립식 문틀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