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924Y1 - 체결수단 없이 고정이 가능한 격자프레임 - Google Patents

체결수단 없이 고정이 가능한 격자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924Y1
KR200212924Y1 KR2020000022451U KR20000022451U KR200212924Y1 KR 200212924 Y1 KR200212924 Y1 KR 200212924Y1 KR 2020000022451 U KR2020000022451 U KR 2020000022451U KR 20000022451 U KR20000022451 U KR 20000022451U KR 200212924 Y1 KR200212924 Y1 KR 2002129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lass
fixed
fixing
gr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4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권
Original Assignee
이용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권 filed Critical 이용권
Priority to KR20200000224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9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9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924Y1/ko

Links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격자유리를 장착하여 목재의 창호틀 또는 알루미늄, 합성수지재질의 창호틀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격자프레임(10)에 관한 것으로,
상기 격자프레임(10)의 상측에는 창호틀(1)에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고정부(11)와, 그 삽입고정부(11)의 하측에 형성되어 유리를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유리삽입홈(20)과, 상기 유리삽입홈(20)의 양측으로 세로틀(600)의 외측을 고정하도록 고정턱(30)이 형성된 상부틀(100)과; 상기 상부틀(100)의 대향하는 위치에 대칭으로 설치되고 유리삽입홈(20)과 고정턱(30)이 형성된 하부틀(200)과; 상기 상, 하부틀(100)(200)의 양단에 대향하도록 구비되어 외측으로는 삽입고정부(11)를 구비하고, 내측 중앙에 유리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구비된 유리삽입홈(20)과, 상기 유리삽입홈(20)의 양측으로 가로틀(500)을 끼워 넣을 수 있는 고정턱(30)이 형성된 좌,우측부틀(300)(400)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격자유리 또는 격자유리와 통유리를 동시에 장착이 가능하고, 체결수단 없이도 각 구성의 결합이 가능하여 간단한 시공으로 초보작업자도 시공이 가능하여 창호프레임을 저가로 공급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체결수단 없이 고정이 가능한 격자프레임{Fixing Whitout Conclusion Instrument of Lattice Frame}
본 고안은 목재 또는 알루미늄, 합성수지재 창호틀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격자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상, 하부틀과 좌, 우측부틀에 유리가 삽입되는 유리장착홈을 구비하고, 그 유리장착홈의 양측에 돌출로 형성된 고정턱에 의해 각 가로틀, 세로틀을 별도의 체결수단, 즉, 종래의 나사 또는 지지봉에 의해 체결하지 않고도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여 시공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킨 체결수단 없이 고정이 가능한 격자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는 창호 프레임의 결합방법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등록번호 20 - 0146934로 '복층격자 창호의 문짝결합구조'가 개시된 바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대향하여 수직으로 세워지고 제 1중공(2a)의 양측 끝단부에 일정각도 경사진 제 1경사면(2b)이 형성되고, 내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제 1끼움공(2c)이 형성된 복수의 제 1격자프레임(2)과, 상기 제 1격자프레임(2)의 제 1경사면(2b)에 제 2경사면(3a)이 상, 하부측에 접촉되고 내부의 제 2중공(3b)으로 관통되는 제 2끼움공(3c)이 형성된 제 2격자프레임(3)과, 상기 제 1격자프레임(2)의 제 1중공(2a)및 제 2격자프레임(3)의 제 2중공(3b)에 압입되어 끼워지도록 걸림턱부(4a)가 형성된 굴곡브라켓(4)과, 상기 제 1, 2 격자프레임(2)(3)이 제 1, 2끼움공(2c)(3b)에 끼움돌기(5a)가 끼워져 고정되고, 외주면에 걸림턱부(5b)가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브라켓(5)과, 상기 고정브라켓(5)의 걸림턱부(5b)에 압입되는 수평중공(6a)이 형성된 다수개의 수평격자봉(6)과, 상기 수평격자봉(6)의 타단이 양측에서 각각 끼워지는 측면홈(7a)이 양측으로 형성되고, 양측 끝단부의 수직중공(7b)이 제 2격자프레임(3)의 제 2끼움공(3b)에 끼워진 고정브라켓(5)에 결합된 수직격자봉(7)과, 상기 수직격자봉(7)의 측면홈(7a)에 끼워지고 양측의 수평 격자봉(6)의 수평중공(6a)에 압입되어 양자를 고정하는 수평브라켓(8)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의 경우 각 고정브라켓의 압입 후, 그 고정상태가 견고하지 못하여 시공 후 전체적으로 실리콘이 도포되는 양이 많아져 외관도 깔끔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각 결합구인 고정브라켓에 의한 고정상태가 안정적이지 못하여 작은 충격에도 전체적인 격자프레임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격자프레임의 양측으로 판유리를 대고 창호틀에 삽입하고 실리콘을 도포한 후 시공이 완료되는 관계로 어느 일측의 유리가 파손될 경우 안전사고에 대한 피해는 매우 크며 유리를 다시 시공하기 위해서는 전문 시공업자만이 보수가 가능하여 그에 따른 시공비가 비싼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식 격자창호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별도의 체결수단이 필요없이도 그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부로 보이는 곳이 아닌 내측의 공간에 실리콘을 도포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실리콘의 양이 많지 않아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각 창호틀의 내부에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개폐시의 충격을 완화시켜 유리의 파손을 방지하고, 그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초보작업자도 용이하게 시공이 가능하도록 단순한 단면을 구비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창호틀을 깨끗하고 미려하게 시공하되 사용자들에게는 저가에 창호틀을 공급하여 신뢰감을 갖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격자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프레임을 이용한 조립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3의 가)는 도 2 'A' - 'A'선의 단면도이고, 나)는 도 2 'B' - 'B'선의 단면도로써, 본 고안 격자프레임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 격자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격자프레임의 상, 하부틀과 좌, 우측부틀에 덧판을 덧대어 시행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덧판에 의해 가로틀의 상, 하측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써, 좌, 우측부틀에 형성된 유리삽입홈에 고정수단의 장착방법에 대해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가로틀을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수단에 대해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각 프레임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창호틀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창호틀 10;격자프레임
11; 삽입 고정부 10a, 11b;제 1,2돌출턱
12;격자유리 13;통유리
20;유리 삽입홈 21;탄성수단 고정홈
22;탄성수단 23;고정블럭
30; 고정턱 30a; 평면부
100;상부틀 200;하부틀
300;좌측부틀 400;우측부틀
500;가로틀 600;세로틀
본 고안은 격자유리를 장착하여 목재의 창호틀 또는 알루미늄, 합성수지재질의 창호틀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격자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상기 격자프레임의 상측에는 창호틀에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고정부와, 그 삽입고정부의 하측에 형성되어 유리를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유리삽입홈과, 상기 유리삽입홈의 양측으로 세로틀의 외측을 고정하도록 고정턱이 형성된 상부틀과; 상기 상부틀의 대향하는 위치에 대칭으로 설치되고 유리삽입홈과 고정턱이 형성된 하부틀과; 상기 상, 하부틀의 양단에 대향하도록 구비되어 외측으로는 삽입고정부를 구비하고, 내측 중앙에 유리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구비된 유리삽입홈과, 상기 유리삽입홈의 양측으로 가로틀을 끼워 넣을 수 있는 고정턱이 형성된 좌,우측부틀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한 예시도를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프레임을 이용한 조립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및 단면도이고, 도 3의 가)는 도 2 'A' - 'A'선의 단면도이고, 나)는 도 2 'B' - 'B'선의 단면도로써, 본 고안 격자프레임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 격자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격자프레임의 상, 하부틀과 좌, 우측부틀에 덧판을 덧대어 시행한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덧판에 의해 가로틀의 상, 하측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써, 좌, 우측부틀에 형성된 유리삽입홈에 고정수단의 장착방법에 대해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가로틀을 고정하도록 하는 고정수단에 대해 도시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각 프레임을 이용하여 여러가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 창호틀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에 의한, 본 고안의 격자프레임(10)은 상, 하부틀(100)(200)과 좌, 우측부틀(300)(400)으로 대별된다.
그러나, 상기 상, 하, 좌, 우로 각 위치를 나눈것은 편의상 각 구성이 구비된 위치에 의해서 명칭이 달라진 것일뿐 각 구성의 형태, 즉, 단면은 동일하다.
일측에 상세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격자프레임(10)은 합성수지 또는 목재, 알루미늄등의 재질로 된 창호틀(1)에 공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에서는 알루미늄 틀을 기준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에 의하면, 본 고안의 격자 프레임(10)은 창호틀과 결합하도록 하는 상측에 돌출된 형태로 삽입고정부(1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일측에 형성된 제 1돌출턱(11a)은 전체적인 형상이 'ㄱ'자로 형성되고, 타측에 형성된 제 2돌출턱(11b)은 일자의 형태로 선단에는 통상의 피봇(Pivot)단면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 형성된 창호틀(1) 플랜지(Flange)에 'ㄱ'자로 형성된 제 1돌출턱(11a)을 끼워넣고, 타측의 제 2돌출턱(11b)을 상기 창호틀(1)의 타측에 형성된 플랜지에 가볍게 때려박는 형식이다.
상기 제 1, 2돌출턱(11a)(11b)은 상술한 알루미늄재의 창호틀에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고, 목재틀의 경우도 상기 제 1, 2돌출턱(11a)(1b)이 형성된 폭보다는 다소 좁게 형성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가볍게 때려박은 격자프레임(10)의 고정을 견고하게 하도록 하는 것인데, 상술한 바와 같이 때려박기가 용이한 것은 각 창호틀의 접촉부에 형성된 피봇돌기의 라운드로 형성된 단면에 의해 가능한 것이다.
도시한 단면도를 통한 격자프레임(1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술한 삽입고정부(11)의 타측 평면에 요홈으로 유리삽입홈(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리삽입홈(20)은 내부로 단턱을 형성하여 하부로 넓게 형성된 탄성수단 고정홈(21)(이하, '고정홈'으로 칭한다.)에 탄성수단(22)이 구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홈(21)의 내부에는 통상의 모 헤어 또는 고무패킹(Rubber Packing)등의 완충력을 구비한 탄성수단(22)을 삽입하여 상기 창호틀(1)의 개폐시 충격을 완화하여 격자유리(12)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22)의 상부에 실리콘을 도포하여 격자유리(12)가 안정적으로 장착되도록 하는 것인데, 본 고안에 적용된 실리콘(Sealicon)은 통상적인 실리콘과는 다른 부틸(Butyl)계의 실리콘을 사용하여 경화(硬化) 속도가 빠르고 창호틀(1)과 격자유리(12)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통상의 체결수단을 대신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리삽입홈(20)의 양측으로는 고정턱(30)이 돌출로 형성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후술할 가로틀, 세로틀(500)(600)의 전, 후측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
도 2에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은 볼트 또는 지지봉등의 체결수단이 필요없이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 본 고안 격자프레임(10)의 조립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상, 하부틀(100)(200)과 좌측부틀(300)이 결합된 창호틀(1)에 본 고안의 탄성수단(22)이 구비된 격자프레임(10)을 상술한 바와 같이 가볍게 때려 박아 문틀(1)에 고정하고, 상기 탄성수단(22)이 구비된 유리삽입홈(20)에 상술한 부틸실리콘을 도포한 후, 최하측의 격자유리(12)를 하부틀(200)과 좌측부틀(300)에 형성된 유리삽입홈(20)에 삽입한다.
또한, 상기 격자유리(12)의 상부에 가로틀(500)을 상기 좌측부틀(300)의 전면으로 형성된 고정턱(30)에 삽입하여 일차적인 고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술한 방법과 같이 차곡차곡 격자유리(12)와 가로틀(500)을 조립하고, 상기 격자유리(12)의 타측 방향으로 세로틀(600)을 상, 하부틀(100)(200)의 내측으로 형성된 고정턱(30)에 끼워 넣음으로써, 일측의 격자유리(12)의 조립은 완료된다.
한편, 타측의 격자유리(12)도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하부로부터 차곡차곡 조립하고, 타측에 구비되는 우측부틀(400)이 때려 박음으로 결합된 문틀(1)의 우측틀을 결합하여 도시한 바와 같은 실시예의 문틀(1)의 조립은 완료되게 된다.
도 3의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틀(500)에 형성된 유리삽입홈(20)의 내부에는 별도의 탄성수단(22)을 구비할 고정홈(21)이 없는 것을 도시하였는데, 그 이유로는 유리삽입홈(20)의 내부에 적정량의 부틸실리콘이 미리 도포되어지고, 그 유리삽입홈(20)에 끼워지는 격자유리(12)의 경사면 일측의 공간으로 충만되며 유리삽입홈(20)의 내부를 채우도록 하는 것이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가로, 세로틀(500)(600)의 내부에도 고정홈(21)을 형성하여 상기 상, 하부틀(100)(200)처럼 탄성수단(22)을 구비하여도 되는데, 그것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서 달라지는 것이다.
또한, 격자유리(12)가 끼워짐으로 인해서 밖으로 밀려나온 실리콘은 즉시 닦아냄으로써, 도포면이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고, 그 상부에 장착되는 격자유리(12)와 가로틀(500)의 시공은 동일함으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술한 방법은 상, 하부틀(100)(200)과 좌측부틀(300)이 먼저 작업이 된 상태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그 방법 이외에도 좌, 우측부틀(300)(400)과 상부틀(100) 또는 좌, 우측부틀(300)(400)과 하부틀(200)등 'ㄷ'자 형상으로 문틀(1)을 구성하면, 상술한 방법과 동일한 작업조건을 갖추게 되는 것으로써, 초보시공자도 용이하게 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것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상술한 격자프레임(10)의 일측에 도시한 바와 같은, 'ㄱ'자형의 평면부(30a)를 구비하여 격자유리(12)의 조립이 완료된 후, 상기 평면부에 통유리(13)를 장착하고 상기 통유리(13)의 외측으로는 실리콘으로 마감하도록 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격자유리(12)의 조립이 완료된 격자프레임(10)의 일측에 평면부(30a)를 형성하여 홑유리용과 거실과 현관 사이 또는 실내의 방음이 필요한 위치에 설치되는 중문용 격자프레임등의 용도로도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상기의 실시예의 경우도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 하부틀(100)(200)에 통유리(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통유리 고정홈(미도시)을 형성하여 통상의 유리 장착방법과 같이 상부에 구비된 고정홈에 유리의 상부를 끼워넣고, 하부를 하부틀(200)에 형성된 고정홈(미도시)에 내려 놓음으로써 통유리(13)의 장착이 완료되는 방법도 있다.
도 5의 가), 나)와 도 6에 도시한 바에 의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보다 깔끔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즉, 상, 하부틀(100)(200)과 좌, 우측부틀(300)(400)의 내측으로 형성된 유리삽입홈(20)에 제 1, 2덧판(110)(111)을 슬라이딩으로 끼워넣음으로써 상기 고정턱(30)의 단차를 없애도록 하여 깔끔한 시공을 하고, 가로틀(500)의 상, 하부와 세로틀(600)의 양측을 구속함으로써, 유동이 생기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 1덧판(110)을 측면으로부터 끼워 넣음으로써, 그 일측에 세로틀(600)을 삽입하여 상기 세로틀(600)의 양측을 구속하게 된다.
또한, 제 2덧판(111)을 상기 좌, 우측부틀(300)(400)에 끼워 넣고, 상기 제 2덧판(111)의 상부에 가로틀(500)의 일단을 상술한 고정턱(30)에 끼워 넣고 타단은 도시한 바와 같이 세로틀(600)에 형성된 고정턱(30)에 고정하여, 전, 후측으로는 상기 고정턱(30)에 의해 구속되고, 상, 하부는 상기 제 2덧판(111)이 받쳐줌으로써 그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의 나)에 도시한 바에 의하면, 2가지 종류의 덧판을 도시한 것으로 일측에 구비된 제 2덧판(111)은 덧판이 구비된 상태에서도 격자유리(12)의 삽입이 가능한 것이고, 타측에 구비된 제 1덧판(110)은 상, 하부틀(100)(200)과 좌, 우측부틀(300)(400)에도 공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특히, 제 2덧판(111)은 내측으로 형성된 면이 평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격자프레임(10)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격자 유리(12)의 조립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즉, 각 구성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격자유리(12)를 상측에 구비된 소정의 틀에 형성된 유리삽입홈(20)에 삽입하고, 하측은 하측에 구비된 소정의 틀에 형성된 유리삽입홈(20)에 내려놓음으로써, 격자유리(12)의 장착은 완료된다.
상기 격자유리(12)의 측면이 구비되도록 하는 제 2덧판(111)은 투명의 실리콘을 마감하여 격자유리(12)의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2덧판(110)(111)의 배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10a)(111a)에 의해 본 고안의 격자프레임(10)으로 부터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그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각 상, 하, 좌, 우측부틀(100)(200)(300)(400)의 내측으로 형성된 고정턱(30)의 단턱을 없도록 하여 그 외관이 미려한 격자프레임(10)을 구성하되, 유리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데에는 전혀 영향이 없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도 5의 나)의 타측에 도시한 제 1덧판(110)을 장착하였을 경우의 격자유리(12)를 조립하는 방법은 도 2와 도 3을 통해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에 의하면, 상기 가로틀(500)을 고정하도록 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상기 좌, 우측부틀(300)(400)의 내측으로 형성된 유리삽입홈(20)의 소정위치에 고정블럭(23)을 장착함으로써, 도 5에서 상술한 가로틀(500)의 고정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고정방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 유리삽입홈(20)보다는 폭이 다소 넓게 형성되고, 경사가 형성된 고정블럭(23)의 일측을 가볍게 때려 박아 고정이 가능한 것으로, 그 경사가 형성된 선단의 폭은 유리삽입홈(20)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고, 경사가 형성된 후단은 넓게 형성됨으로써 때려박기가 용이하고, 일단 고정된 상태에서는 잘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고, 내측으로 돌출되게 되는 타측은 가로틀(5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술한 제 1, 2덧판(110)(111)의 역할을 대신하며 상기 가로틀(500)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시한 바에 의하면, 단순히 가볍게 때려 박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그것은 당 업계의 제조기술로써 얼마든지 용이하게 나사로 체결하거나 상기 고정블럭(23)의 선단에 통상의 접착수단을 도포하여 접착하는 방법등 얼마든지 용이하게 변경하여 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더불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 이외에 다양한 형태의 격자프레임(10)을 구비한 창호틀(1)의 구성이 가능하여 실내 인테리어의 수준을 한 차원 상승시킨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의 기재 범위내에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조립식 격자창호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별도의 체결수단이 필요없이도 그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로 보이는 곳이 아닌 내측의 공간에 실리콘을 도포함으로써, 견고한 결합을 이룸과 동시에 외부로 노출되는 실리콘의 양이 많지 않아 그 외관이 미려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각 창호틀의 내부에 완충수단을 구비하여 개폐시의 충격을 완화시켜 유리의 파손을 방지하고, 그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을 예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초보작업자도 용이하게 시공이 가능하도록 단순한 단면을 구비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외관이 아름다운 창호틀을 저가에 공급하여 사용자들에 신뢰감을 준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격자유리를 장착하여 목재의 창호틀 또는 알루미늄, 합성수지재질의 창호틀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격자프레임(10)에 있어서,
    상기 격자프레임(10)의 상측에는 창호틀(1)에 돌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고정부(11)와, 그 삽입고정부(11)의 하측에 형성되어 유리를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유리삽입홈(20)과, 상기 유리삽입홈(20)의 양측으로 세로틀(600)의 외측을 고정하도록 고정턱(30)이 형성된 상부틀(100)과;
    상기 상부틀(100)의 대향하는 위치에 대칭으로 설치되고 유리삽입홈(20)과 고정턱(30)이 형성된 하부틀(200)과;
    상기 상, 하부틀(100)(200)의 양단에 대향하도록 구비되어 외측으로는 삽입고정부(11)를 구비하고, 내측 중앙에 유리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구비된 유리삽입홈(20)과, 상기 유리삽입홈(20)의 양측으로 가로틀(500)을 끼워 넣을 수 있는 고정턱(30)이 형성된 좌,우측부틀(300)(4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수단 없이 고정이 가능한 격자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틀(100)(200)과 좌, 우측부틀(300)(4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로틀(600)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수단 없이 고정이 가능한 격자프레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상, 하부틀(100)(200)및 좌, 우측부틀(300)(4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로틀(600)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수단 없이 고정이 가능한 격자프레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상,하부틀(100)(200)및 좌, 우측부틀(300)(400)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가로틀(500)과 세로틀(600)을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수단 없이 고정이 가능한 격자프레임.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틀(100)(200)과 좌, 우측부틀(300)(400)의 결합된 일측으로 평면부(30a)를 형성하여 통유리(13)의 장착이 가능하여 이중격자창호의 구성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수단 없이 고정이 가능한 격자프레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틀, 세로틀(500)(600)의 각 양측에 구비되어 상, 하부틀(100(200)과 좌, 우측부틀(300)(400)의 내측으로 형성된 고정턱(30)의 단차를 없도록 하여 깔끔한 시공이 되도록 제 1, 2덧판(110)(111)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수단 없이 고정이 가능한 격자프레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틀(500)의 각 양측내부에 구비되어 상, 하로의 유동이 없도록 유리삽입홈(20)에 구비되는 고정블럭(23)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수단 없이 고정이 가능한 격자프레임.
KR2020000022451U 2000-08-07 2000-08-07 체결수단 없이 고정이 가능한 격자프레임 KR2002129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451U KR200212924Y1 (ko) 2000-08-07 2000-08-07 체결수단 없이 고정이 가능한 격자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451U KR200212924Y1 (ko) 2000-08-07 2000-08-07 체결수단 없이 고정이 가능한 격자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2924Y1 true KR200212924Y1 (ko) 2001-02-15

Family

ID=73086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451U KR200212924Y1 (ko) 2000-08-07 2000-08-07 체결수단 없이 고정이 가능한 격자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924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182B1 (ko) * 2006-06-23 2008-1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복합 개폐식 창호
KR100899126B1 (ko) * 2008-09-29 2009-05-25 그린도어주식회사 안전유리부착 목재방화도어
KR100995415B1 (ko) * 2008-04-16 2010-11-18 권인희 문에 사용되는 장식판 고정 프레임
KR101401591B1 (ko) * 2013-03-26 2014-06-02 김선자 멀티 창호프레임의 조립구조
KR101704770B1 (ko) * 2016-05-19 2017-02-08 최미희 조립형 유리창
KR200488785Y1 (ko) * 2017-04-13 2019-03-19 안중식 유리도어의 중간프레임 고정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182B1 (ko) * 2006-06-23 2008-1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복합 개폐식 창호
KR100995415B1 (ko) * 2008-04-16 2010-11-18 권인희 문에 사용되는 장식판 고정 프레임
KR100899126B1 (ko) * 2008-09-29 2009-05-25 그린도어주식회사 안전유리부착 목재방화도어
KR101401591B1 (ko) * 2013-03-26 2014-06-02 김선자 멀티 창호프레임의 조립구조
KR101704770B1 (ko) * 2016-05-19 2017-02-08 최미희 조립형 유리창
KR200488785Y1 (ko) * 2017-04-13 2019-03-19 안중식 유리도어의 중간프레임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2924Y1 (ko) 체결수단 없이 고정이 가능한 격자프레임
JP3030611B2 (ja) フラッシュドア
JP3179727B2 (ja) 複合サッシ
JP3281437B2 (ja) 外装コーナー材の取付構造
JP3865480B2 (ja) 組立式保管庫
KR200213091Y1 (ko) 격자유리 다중 장착용 프레임
KR930006460Y1 (ko) 창문의 목재비드 조립장치
JPS6224711Y2 (ko)
KR101936047B1 (ko) 문틀의 문선 조립구조
KR200495612Y1 (ko) 조립식 창틀 및 창호 시스템
KR100728721B1 (ko) 조립식 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100728742B1 (ko) 조립식 문틀 및 그 시공방법
JPS6320789Y2 (ko)
KR100376778B1 (ko) 격자식 이중 창호프레임의 체결구조
JP3416814B2 (ja) 段窓サッシ
KR200300471Y1 (ko) 창호틀 조립체
KR200257947Y1 (ko) 창호용 후레임
KR102174414B1 (ko) 커버를 구비한 창틀완충부재
JPS628320Y2 (ko)
EP0649490B1 (en) Rectangular frame for doors and windows
JPS6332303Y2 (ko)
JPH0540214Y2 (ko)
JPH10295508A (ja) 板材取付け用額縁
JPH0235984Y2 (ko)
JPH011686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