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2115Y1 - 상·하 유동 경첩 - Google Patents

상·하 유동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2115Y1
KR200212115Y1 KR2019980004253U KR19980004253U KR200212115Y1 KR 200212115 Y1 KR200212115 Y1 KR 200212115Y1 KR 2019980004253 U KR2019980004253 U KR 2019980004253U KR 19980004253 U KR19980004253 U KR 19980004253U KR 200212115 Y1 KR200212115 Y1 KR 2002121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xing pin
hinge
connecting portion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42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8259U (ko
Inventor
이준
Original Assignee
이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 filed Critical 이준
Priority to KR20199800042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2115Y1/ko
Publication of KR199900382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25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21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2115Y1/ko

Links

Landscapes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택 및 건물의 출입구 또는 각 방, 사무실 도어와 또는 장롱 등의 기타가구 도어를 지지하기 위한 문들로부터 상기 도어를 자유롭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한 경첩에 관한 것으로, 상기 경첩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고정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경첩의 전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 및 도어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부와 연결부 사이에 끼워맞춤되기 위한 뒤틀림방지용 굽쇄를 설치함으로서, 도어의 설치를 매우 신속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시공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문틀의 뒤틀림 등으로 인해 도어가 처지거나 올라갈 경우 쉽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경첩(1)은 일측에 연결부(11)(21)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좌,우 몸체(10)(20)와, 상기 연결부(11)(21)가 서로 교차되도록 끼워맞춤되어 좌, 우 몸체(10)(20)를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며 하부에 수나사부(30)가 형성된 고정핀(31)과, 상기 연결부와 연결부 사이에 끼워진 고정핀(3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좌,우 몸체(10)(20)를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한 베어링(60)과, 상기 연결부와 베어링의 하단 또는 상단의 틈새(S)에 끼워져 도어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뒤틀림방지굽쇄(70)와, 시공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좌, 우측 연결부에 각각 연장형성되는 날개(11a)(21a)와, 상기 고정핀(30)의 머리부와 우측 연결부(21) 최상단에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50)과, 상기 고정핀(30)의 하부에 형성된 수나사부(31)와 나사맞춤되어 이 고정핀(30)을 조임으로서 탄성적으로 몸체를 일정한 압으로 누르기 위한 조절너트(41)로 된 높이조절수단(40)으로 구성된다.
[색인어]
좌, 우 몸체, 연결부, 고정핀, 날개, 뒤틀림방지용 굽쇄, 높낮이조절수단

Description

상, 하유동경첩{DOOR HING}
본 고안은 주택 및 건물의 출입구 또는 각 방, 사무실 도어와 또는 장롱 등의 기타가구 도어를 지지하기 위한 문들로부터 상기 도어를 자유롭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한 경첩에 관한 것으로, 상기 경첩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고정핀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경첩의 전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 및 도어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부와 연결부 사이에 끼워맞춤되기 위한 뒤틀림방지용 굽쇄를 설치함으로서, 도어의 설치를 매우 신속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시공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문틀의 뒤틀림 등으로 인해 도어가 처지거나 올라갈 경우 쉽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를 문틀에 시공시 도어가 아래로 처지거나 위로 올라 갈 경우나 혹은 상기 도어가 문틀에 잘 맞지 않을 때 시공업자는 상기 도어를 문틀로부터 다시 분리한 후, 도어의 상, 하 부분을 깍아서 시공하거나 문틀의 경첩자리를 상, 하로 조절하여 시공해야 했으며, 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도어가 자중에 의해 처지거나 혹은 문틀의 뒤틀림 등에 의해 올라갈 경우 도어를 분리한 후 처진 부위 만큼 깎아 내어 재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택 및 건물의 출입구 또는 각 방, 사무실 등의 도어와 또는 장롱 등의 기타 가구 도어를 지지하기 위한 문틀로부터 상기 도어를 자유롭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한 경첩의 연결부와 연결부의 틈새에 뒤틀림방지용 굽쇄를 끼움으로서, 도어의 뒤틀림을 바로잡음과 아울러 경첩 몸체의 연결부에 고정날개를 형성하여 편리하며 빠르고 정확한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경첩의 몸체 연결해주는 고정핀의 하부에 높이 조절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시공 전, 혹은 시공후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문틀의 뒤틀림 등으로 인해 도어가 처지거나 올라갈 경우 상기 도어의 높낮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한 도어용 경첩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의 개폐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경첩에 있어서, 일측에 연결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좌, 우 몸체와; 상기 연결부가 서로 교차되도록 끼워맞춤되어 좌, 우 몸체를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며 하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고정핀과; 상기 연결부와 연결부 사이에 끼워진 고정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좌, 우 몸체를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한 베어링과; 상기 연결부와 베어링의 하단 또는 상단의 틈새에 끼워져 도어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뒤틀림방지굽쇄와; 시공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에 연장형성되는 날개와; 상기 고정핀의 머리부와 연결부 최상단에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고정핀의 하부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나사맞춤되기 위한 암나사부를 갖는 조절너트로 구성된 높이조절수단과;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어의 개폐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경첩에 있어서, 일측에 연결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좌, 우 몸체와; 상기 좌측몸체의 최초의 연결부와 우측몸체의 최하단의 연결부가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 암나사부, 상기 좌, 우측몸체의 연결부에 끼워맞춤되어 이들을 회동가능하게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좌측몸체의 연결부에 나사맞춤되기 위해 상부에 수나사부를 갖는 고정핀과, 상기 우측몸체에 최하단 연결부에 나사맞춤되기 위해 외주면에 수나사부를 갖는 높이조절 너트로 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측몸체의 최초의 연결부와 우측몸체의 최하단의 연결부에 각각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좌, 우측몸체의 연결부에 삽입되어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의 양단에 설치되어 면마찰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구름볼과 상기 구름볼과 면접촉되며 상 기 좌측몸체의 최초의 연결부와 우측몸체의 최하단의 연결부에 각각 형성되는 암나사부에 나사맞춤되어 경첩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너트로 구성된다.
제1도는 고안 경첩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경첩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경칩이 절첩된 상태를 나타낸 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첩 10 : 좌측몸체
11, 21 : 연결부 11a, 21a : 날개
11b, 21b, 41a : 암나사부 20 : 우측몸체
30 : 고정핀 31 : 수나사부
40 : 높이조절수단 50 : 스프링
60 : 베어링 70 : 뒤틀림방지굽쇄
이하, 첨부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몸체(10)와 우측몸체(20)로 분리형성되며 일측면에 각각의 연결부(11)(21)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고정핀(3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데, 이때 좌측몸체(10) 또는 우측몸체(20)의 연결부(11)(21)가 상기 고정핀(30)에 용접수단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좌우몸체(10)(20)에 다수개의 설치구멍(12)(22)이 형성되어 도시하지 않은 문틀에 나사 또는 못 등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좌, 우로 분리된 경첩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고정핀(30)이 삽입되기 위한 각 연결부(11)(21)의 틈새(S)에는 베어링(60) 및 뒤틀림방지굽쇄(70)가 끼워맞춤되며, 상기 좌우연결부(11)(21)에는 시공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날개(11a)(21a)가 각각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30)하부에는 높이조절수단(40)이 설치된 것을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수단(40)은 상기 고정핀(30)의 머리부와 우측연결부(21)의 최상단에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50)과, 상기 고정핀(30)의 하부에 형성된 수나사부(31)와 나사맞춤되기 위한 암나사부(41a)를 갖는 조절너트(41)로 구성된다.
상기 좌측몸체(10)는 도시하지 않은 도어 측에 부착되어 경첩의 상, 하 유동시 유동되는 부분이다.
또한 우측몸체(20)는 문틀에 고정되며, 상, 하로 유동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수나사부(31)는 대략 10∼15mm정도 길이의 나사산을 가지며 이 수나사부(31)에 체결되기 위한 조절너트(41)의 암나사부(41a)는 대략 15∼20mm정도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수나사부(31) 및 암사나부(41a)의 길이와 깊이는 경첩몸체의 길이와 작용하는 힘의 강도에 따라 조정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프링(50)은 탄성력을 갖는 대략 1mm정도 두께의 철선을 한바퀴 반 정도 감은 상태로 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30)의 머리부와 우측 연결부(21)의 최상단(A) 또는 각 연결부(11)(21)의 틈새(S)에 베어링(60) 또는 뒤틀림방지굽쇄(70) 중 어느 하나 만을 설치할 수가 있다.
상기 뒤틀림방지굽쇄(70)는 대략 말굽형상 즉, U자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각의 몸체의 연결부(11)(21)에는 날개(11a)(21a)가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도어용 경첩은 먼저 좌, 우몸체(10)(20)의 연결부(11)(21)를 서로 교차되게 끼워맞춤시킨 후, 상기 연결부(11)와 연결부(21)의 틈새(S)에 베어링(60) 및 스프링(50)을 넣고 다음 연결부(21)에 고정핀(30)을 삽입하여 상기 경첩몸체(10)(20)를 일체로 형성한다.
다음, 상기 경첩의 좌, 우몸체(10)(20)의 연결부(11)(21) 틈새(S)에 뒤틀림방지굽쇄(70)를 삽입한다.
다음 상기와 같이 조립된 경첩은 먼저 도어에 좌측몸체(10)를 고정하고, 우측몸체(20)를 문틀에 고정한다.
다음 상기와 같이 도어가 문틀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시공자는 도어의 수평상태를 확인한다.
이때, 문틀이 뒤틀렸을 경우 뒤틀림방지굽쇄(70)를 빼거나 넣어서 수평 및 수직 조정한다.
또한, 도어의 높낮이의 조정은 경첩몸체를 연결하는 고정핀(30)의 하부에 형성된 수나사부(31)에 나사맞춤된 조절너트(41)를 조이거나 풀어서 높이를 조정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경첩의 경우는 정상 도어 즉, 우측경첩부착과 좌도어측 방식일때를 설하였으나. 이와 반대의 경우는 서로 반대로 하여 생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모든 여닫이 도어용 경첩의 연결부에 날개를 설치함과 아울러, 뒤틀림방지용 굽쇄 및 상기 경첩의 몸체를 연결해주는 고정핀에 높낮이 조절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신속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시공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문틀의 뒤틀림 등으로 인해 도어가 처지거나 올라갈 경우 쉽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도어의 개폐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경칩에 있어서,
    일측에 연결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된 좌, 우 몸체와;
    상기 연결부가 서로 교차되도록 끼워맞춤되어 좌, 우 몸체를 회동 가능하게 고정하며 하부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고정핀과;
    상기 연결부와 연결부 사이에 끼워진 고정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좌, 우 몸체를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한 베어링과;
    상기 연결부와 베어링의 하단 또는 상단의 틈새에 끼워져 도어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뒤틀림방지굽쇄와;
    시공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에 연장형성되는 날개와;
    상기 고정핀의 머리부와 연결부 최상단에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고정핀의 하부에 형성된 수나사부와 나사맞춤되기 위한 암나사부를 갖는 조절너트로 구성된 높이조절수단과;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 하유동경첩.
KR2019980004253U 1998-03-23 1998-03-23 상·하 유동 경첩 KR2002121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253U KR200212115Y1 (ko) 1998-03-23 1998-03-23 상·하 유동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253U KR200212115Y1 (ko) 1998-03-23 1998-03-23 상·하 유동 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259U KR19990038259U (ko) 1999-10-25
KR200212115Y1 true KR200212115Y1 (ko) 2001-02-15

Family

ID=69711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4253U KR200212115Y1 (ko) 1998-03-23 1998-03-23 상·하 유동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21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259U (ko) 1999-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6182B2 (en) Apparatus for mounting curved rod
US8739367B2 (en) Hidden door hinge
CA2309153C (en) Covered pinned hinge
SK286114B6 (sk) Kryt, hlavne na automatické pohony dvier
RU2519999C2 (ru) Регулируемая петля
RU2217567C1 (ru)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узел с петлей для дверей, окон и т.п.
US20080052873A1 (en) Adjustable hinge
AU2023100032A4 (en) Hinge
CN111425091B (zh) 建筑物门和门铰链
KR200212115Y1 (ko) 상·하 유동 경첩
US20230323715A1 (en) Anti-ligature hinge
KR200288565Y1 (ko) 도어용 경첩
KR200275801Y1 (ko) 도어용 경첩
US20050198776A1 (en) Mounting arrangement for glass doors
KR100529532B1 (ko) 다용도실의 조립식 도어장치
US8413381B2 (en) Hinge
KR101077987B1 (ko) 힌지공의 위치 조정이 가능한 자동 닫힘 도어용 힌지고정구
KR20110087536A (ko) 유리문용 경첩
US5884364A (en) Furniture hinge
KR20080057566A (ko) 도어용 경첩
KR20200055225A (ko) 절곡고정편을 구비한 도어용 이지경첩
KR200185085Y1 (ko) 포스트형 옷걸이
KR200497829Y1 (ko) 시공편의성이 향상되고 도어 위치조절기능을 갖는 샤워부스 창호용 힌지유닛
US20020194703A1 (en) Adjustable hinge
KR200325016Y1 (ko) 도어 스톱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