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365B1 - 케이블 트레이의 슬라이드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의 슬라이드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365B1
KR100947365B1 KR1020070136176A KR20070136176A KR100947365B1 KR 100947365 B1 KR100947365 B1 KR 100947365B1 KR 1020070136176 A KR1020070136176 A KR 1020070136176A KR 20070136176 A KR20070136176 A KR 20070136176A KR 100947365 B1 KR100947365 B1 KR 100947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able tray
gap
fitt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8517A (ko
Inventor
김용희
Original Assignee
김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희 filed Critical 김용희
Priority to KR1020070136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7365B1/ko
Publication of KR20090068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8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의 슬라이드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블 트레이의 슬라이드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블 트레이에 케이블 지지용 행거로 사용되는 지지대를 설치할 때, 지지대의 끼움공에 케이블 트레이의 두께 정도에 해당하는 간격부를 형성하는 간격형성부재를 압입하여 조립하고, 상기 간격형성부재가 조립된 지지대를 케이블 트레이에 형성된 지지대 설치부의 머리부끼움공에 삽입한 후, 가이드공의 이탈방지턱을 넘어서 슬라이드 이동시켜 외측머리부와 내측머리부 또는 외측머리부와 지지대의 걸림턱면에 의해 지지대가 케이블 트레이에서 이탈 방지된 상태로 조립되므로 케이블 트레이의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하여 생산원가를 저감하도록 하는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다.
그리고, 간격형성부재의 끼움부 외측으로 돌출된 압착돌기를 이용하여 지지대의 끼움공에 압착하여 삽입하므로 끼움공의 내경보다 약간 더 큰 외경을 갖는 압착돌기가 지지대의 끼움공 내벽면에 압착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간격형성부재가 지지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조립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Figure R1020070136176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지지대설치부, 간격형성부재, 간격부, 가이드공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의 슬라이드 조립구조 { Structure For Assembling Sliding Type Of Cable Tray }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블 트레이에 케이블 지지용 행거로 사용되는 지지대를 설치할 때, 지지대의 끼움공에 케이블 트레이의 두께 정도에 해당하는 간격부를 형성하는 간격형성부재를 압입하여 조립하고, 상기 간격형성부재가 조립된 지지대를 케이블 트레이에 형성된 지지대 설치부의 머리부끼움공에 삽입한 후, 가이드공의 이탈방지턱을 넘어서 슬라이드 이동시켜 외측머리부와 내측머리부 또는 외측머리부와 지지대의 걸림턱면에 의해 지지대가 케이블 트레이에서 이탈 방지된 상태로 조립되므로 케이블 트레이의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하여 생산원가를 저감하도록 하는 케이블 트레이의 슬라이드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선박 및 해양 구조물 등에는 전원 공급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천정 및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 배치되며, 이렇게 배치되는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기 위해서 케이블트레이를 사용하여 정리정돈상태로 지지 고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각종 케이블을 지지 고정하여 주는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는 전반적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좌,우측에 각각 위치되는 한쌍의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되는 행거(막대형, 판형)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를 적용하여 각종 케이블을 용이하게 내지는 정리된 상태로 배선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측면 프레임과 행거가 전반적으로 분해조립이 불가능하도록 용접에 의해 고정식 구조로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외형적인 부피가 크고 그로 인하여 적재, 보관 및 운송이 효율적이지 못하여, 즉 많은 적재 및 보관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운송이 불편하다는 점과, 용접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불필요한 인력의 낭비와 생산원가상승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용접에 의한 결합구조를 갖는 기존의 케이블 트레이는 사용에 의해 일부분만 파손되었더라도 분리/조립이 불가하여 전체를 폐기처리하여 하는 관계로 인하여 일부 부품 내지는 전체적으로 재사용이 불가능하여 경제적으로도 큰 손실이 따르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점은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케이블 트레이에 케이블 지지용 행거로 사용되는 지지대를 설치할 때, 지지대의 끼움공에 케이블 트레이의 두께 정도에 해당하는 간격부를 형성하는 간격형성부재를 압입하여 조립하고, 상기 간격형성부재가 조립된 지지대를 케이블 트레이에 형성된 지지대 설치부의 머리부끼움공에 삽입한 후, 가이드공의 이탈방지턱을 넘어서 슬라이드 이동시켜 외측머리부와 내측머리부 또는 외측머리부와 지지대의 걸림턱면에 의해 지지대가 케이블 트레이에서 이탈 방지된 상태로 조립되므로 케이블 트레이의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하여 생산원가를 저감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슬라이드 조립구조는, 케이블 트레이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측면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지지대 설치부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 사이에 설치되고, 양단에 끼움공을 형성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끼움공으로 끼워져 조립되고, 상기 지지대 설치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시 이탈이 방지되는 간격형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형성부재는 상기 지지대 설치부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는 간격부와; 상기 지지대의 끼움공에 끼워지도록 상기 간격부 일단에 형성된 끼움부와; 상기 간격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 설치부에서 좌,우 이동을 방지하는 외측머리부와; 상기 간격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 설치부에서 좌,우 이동을 방지하는 내측머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 설치부는, 상기 간격형성부재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머리끼움공과; 상기 머리끼움공에 인접하여 머리끼움공의 직경 간격 보다 작은 간격으로 양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간격형성부재의 간격부가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가이드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 설치부의 가이드공에, 상기 간격형성부재의 간격부가 머리끼움공에 삽입되고 가이드공으로 슬라이드될 때, 억지 끼움으로 조립되고 머리끼움공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턱은, 상기 가이드공의 내벽면에 상,하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간격부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곡률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턱은, 상기 간격부가 진입된 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턱지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는,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봉으로 형성되고, 측면부의 직경이 상기 간격형성부재의 간격부 직경에 비하여 더 크게 형성되어 지지대의 좌,우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는, U자형상의 판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의 끝단부분에 상기 지지대의 끼움공에 진입이 용이하도록 경사진입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끼움부가, 상기 지지대의 끼움공에 압착되도록 상기 끼움공의 내경보다 약간 더 큰 외경을 갖는 압착돌기를 상기 끼움부의 외주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격형성부재의 간격부 단면부분은, 길이가 긴 부분과 길이가 짧은 부분이 형성되어져서 상기 지지대를 케이블 트레이의 끼움공에 삽입하고, 길이가 짧은 부분이 가이드공의 이탈방지턱으로 삽입된 후, 지지대를 회전하여 길이가 긴 부분이 가이드공의 이탈방지턱에 걸려져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간격부의 양측단에 걸림턱 역할을 하는 내측머리부와 외측머리부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대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블 트레이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측면으로 관통되고, 적어도 일측으로 뚫려진 가이드공이 형성된 지지대 설치부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측으로 끼워지고 상기 지지대가 상기 지지대설치부의 가이드공의 내측에 형성되어 지지대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는 내측설치부재와; 상기 내측설치부재에 끼워지고 상기 지지대 설치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공에서 간격부가 이탈 방지되게 조립되고, 상기 간격부 외측으로 외측머리부를 형성하여 지지대의 좌,우이동을 방지하는 간격형성부재로 이루어진 케이블 트레이 슬라이드 조립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설치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끼움공에 끼워지는 끼움돌부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돌부의 외주면에는 끼움공에 압착되는 압착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끼움돌부의 일단에는 상기 지지대가 가이드공의 측면에 걸려지도록 내측머리부를 형성하여 상기 간격형성부재의 끼움부가 삽입공에 끼워져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의 슬라이드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블 트레이에 케이블 지지용 행거로 사용되는 지지대를 설치할 때, 지지대의 끼움공에 케이블 트레이의 두께 정도에 해당하는 간격부를 형성하는 간격형성부재를 압입하여 조립하고, 상기 간격형성부재가 조립된 지지대를 케이블 트레이에 형성된 지지대 설치부의 머리부끼움공에 삽입한 후, 가이드공의 이탈방지턱을 넘어서 슬라이드 이동시켜 외측머리부 및 내측머리부 또는 외측머리부 및 지지대의 걸림턱면에 의해 지지대가 케이블 트레이에서 이탈 방지된 상태로 조립되므로 케이블 트레이의 조립성 및 작업성을 향상하여 생산원가를 저감하도록 하는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다.
그리고, 간격형성부재의 끼움부 외측으로 돌출된 압착돌기를 이용하여 지지대의 끼움공에 압착하여 삽입하므로 끼움공의 내경보다 약간 더 큰 외경을 갖는 압착돌기가 지지대의 끼움공 내벽면에 압착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간격형성부재가 지지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조립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지지대에 내측설치부재를 설치한 후, 간격형성부재를 내측설치부재에 조립하므로 상기 내측설치부재의 내측머리부와 간격설치부재의 외측머리부를 이 용하여 케이블 트레이에 좌,우이동이 방지된 상태로 조립하도록 하는 장점을 지닌 발명이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도면에 대하여 살펴 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조립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조립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형성부재가 분리 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형성부재 조립 상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형성부재가 케이블 트레이에 조립된 상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공의 확대 상태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가 케이블 트레이에 삽입된 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가 케이블 트레이에 삽입된 후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가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된 상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형성부재에 외측머리부 및 내측머리부가 일체로 형성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형성부재가 걸림 방식으로 형성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형성부재가 걸림 방식으로 형성되는 조립 상태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격형성부재 및 내측설치부재가 분리된 상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격형성부재 및 내측설치부재가 조립된 상태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20)(20a)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20)(20a)에 측면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지지대 설치부(20)(20a)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20)(20a)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30)(30a)와; 상기 지지대(30)(30a)의 양측으로 끼워지고 상기 지지대 설치부(20)(20a)에 삽입되어 간격부(48)(48a)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 이탈이 방지되도록 조립되는 간격형성부재(40)(40a)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6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 설치부(20)(20a)는, 상기 간격형성부재(40)(40a)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머리끼움공(22)(22a)과; 상기 머리끼움공(22)(22a)에 인접하여 머리끼움공(22)(22a)의 직경 간격 보다 작은 간격으로 양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간격형성부재(40)(40a)의 간격부(48)(48a)가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가이드공(24)(24a)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 설치부(20)의 가이드공(24)에, 상기 간격형성부재(40)의 간격부(48)가 머리끼움공(22)에 삽입되고 가이드공(24)으 로 슬라이드될 때, 억지 끼움으로 조립되고 머리끼움공(22)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턱(2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턱(26)은, 상기 가이드공(24)의 내벽면에 상,하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간격부(48)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곡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턱(26)은, 상기 간격부(48)가 진입된 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턱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30)는,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봉으로 형성되고, 측면부의 직경이 상기 간격형성부재(40)의 간격부(48)의 직경에 비하여 더 크게 형성되어 지지대(30)의 좌,우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면(34)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격형성부재(40)는, 상기 지지대(30)의 끼움공(32)에 끼워지도록 상기 간격부(48) 일단에 형성된 끼움부(42)와; 상기 간격부(48)의 타단에 상기 지지대설치부(20)의 가이드공(24)에서 좌,우 이동을 방지하는 외측머리부(50)를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격형성부재(40)는, 상기 지지대(30)의 끼움공(32)에 끼워지도록 상기 간격부(48) 일단에 형성된 끼움부(42)와; 상기 간격부(48)의 타단에 상기 지지대설치부(20)의 가이드공(24)에서 좌,우 이동을 방지하는 외측머리부(50)와; 상기 간격부(48)의 내측 타단에 상기 지지대설치부(20)의 가이드공(24)에서 좌,우 이동을 방지하는 내측머리부(47)를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머리부(50)와 내측머리부(47)는, 절삭가공 또는 금형가공으로 일정 깊이 함몰된 간격부(48)를 형성하면서 일체로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42)의 끝단부분에 상기 지지대(30)의 끼움공(32)에 진입이 용이하도록 경사진입면(44)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42)가, 상기 지지대(30)의 끼움공(32)에 압착되도록 상기 끼움공(32)의 내경보다 약간 더 큰 외경을 갖는 압착돌기(46)를 상기 끼움부(42)의 외주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격형성부재(40a)의 간격부(48a) 단면부분은, 길이가 긴 부분과 길이가 짧은 부분이 형성되어져서 상기 지지대(30a)를 케이블 트레이(20a)의 끼움공(22a)에 삽입하고, 길이가 짧은 부분이 가이드공(24a)의 이탈방지턱(26a)으로 삽입된 후, 지지대(30a)를 회전하여 길이가 긴 부분이 가이드공(24a)의 이탈방지턱(26a)에 걸려져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간격부(48a)의 양측단에 걸림턱 역할을 하는 내측머리부(47a)와 외측머리부(50a)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지지대(30a)의 좌,우이동을 방지하고, 상기 외측머리부(50a)는, 원형으로 형성되어져서 상기 원형형상의 끼움공(22a)에 삽입되며, 상기 내측머리부 (50a)는, 끼움공(22a)보다 크게 형성되어져서 진입이 방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30a)는, 개략적으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져서 최종적으로 회전에 의하여 설치된 후, 상기 지지대(30a)의 편평하고 넓적한 부분이 수평으로 놓여지도록 하여 상측에 케이블(70)이 안치되도록 한다.
상기 간격부(48a)의 단면은 직사각형상 또는 마름모꼴 형상 등으로 길이가 긴 부분과 짧은 부분이 구비되어지면 어떠한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대(30)와 상기 간격형성부재(42) 사이에 상기 지지대(30)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의 지지대설치부(20)의 가이드공(24)에서 좌, 우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내측설치부재(60)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측설치부재(80)는, 상기 지지대(30)의 끼움공(32)에 끼워지는 끼움돌부(64)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돌부(64)의 외주면에는 끼움공(32)에 압착되는 압착돌기(66)를 형성하며, 상기 끼움돌부(64)의 일단에는 상기 지지대(30)가 가이드공(24)의 측면에 걸려지도록 내측머리부(68)를 형성하여 상기 간격형성부재(40)의 끼움부(42)가 삽입공(62)에 끼워져서 조립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설치부재(60)의 내측머리부(68)의 직경과 상기 간격형성부재(40)의 외측머리부(50)의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착돌기(66)의 외경이 상기 끼움공(32)의 내경 보다 크게 형성하여 압착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끼움부(42)의 외경이 상기 삽입공(62)의 내경이 보다 크게 형성하여 압착 고정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두 실시예에서 기술된 상기 압착돌기(46)(66)는 상기 끼움공(32) 및 삽입공(62)으로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진입부분의 돌출부분이 낮고 점차적으로 돌출부분이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 보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지지대(30)에 간격형성부재(40)를 조립하는 상태를 살펴 보면, 지지대(30)의 끼움공(32)에 간격형성부재(40)의 끼움부(42)를 삽입하면, 압착돌기(46)가 상기 끼움공(32)의 내경면에 압착되어지면서, 간격부(48)의 측면부분이 걸림턱면(34)에 걸려지면서 견고하게 조립되어진다.
이때, 상기 압착돌기(46)의 외경은, 상기 끼움공(32)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지므로 압착돌기(46)가 끼움공(32)에 진입시, 압착돌기(46)의 외측면이 약간 눌러지면서 강제적으로 끼움 결합되어 간격형성부재(40)가 지지대(3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42)의 끝단부에 형성된 경사진입면(44)은, 끼움부(42)가 끼움공(32)에서 약간 벗어나더라도 중심을 잡고서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간격형성부재(40)가 지지대(30)에 조립되면, 지지대(30)의 걸림턱면(34)과 간격형성부재(40)의 외측머리부(50) 사이에 간격부(48) 만큼의 요철형상의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부분에 케이블 트레이(10)의 가이드공(24)에 위치하여 걸림턱면(34)과 외측머리부(50)가 케이블 트레이(10)의 양측면부에 접촉되므로 상기 지지대(30)가 좌,우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에 지지대 설치부(20)를 형성할 때, 금형가공 또는 프레스가공 등을 이용하여 원형형상의 머리끼움공(22)을 형성하고, 머리끼 움공(22)의 양측에 가이드공(24)을 형성하여 비행접시형상의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공(24)에는 간격형성부재(40)의 간격부(48)가 진입이 굴곡져서 용이하고, 조립 후에는 이탈이 방지되도록 턱이져 있는 이탈방지턱(2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그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케이블 트레이(10)를 공사 현장에 설치하고자 한다면, 미도시된 앙카볼트를 이용하여 케이블 트레이(10)를 미리 설치위치에 고정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30)를 잡고서 케이블 트레이(10)의 머리끼움공(22)에 간격형성부재(40)의 외측머리부(50)를 삽입하여 끼우도록 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30)를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공(24)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작업자가 지지대(30)를 수평으로 이동하면, 간격형성부재(40)의 간격부(48)가 가이드공(24)을 통하여 이동하게 되고, 이탈방지턱(26)의 굴곡부분을 따라 이동하고 끝단부분에서 약간 저항력을 받다가 세게 밀면 금속재질 자체적으로 약간 탄성 압축되어 지다가 끝단부분 넘어서면서 조립이 이루어 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턱(26)을 간격부(48)가 넘어서면, 이탈방지턱(26)의 내측면이 턱이져 있어 간격부(48)가 쉽게 빠져나오지 못하므로 상기 지지대(30)가 케이블 트레이(10)에 견고하게 조립 되어진다.
그리고,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30)는, 상기 간격형성부재(40)의 외측머리부(50)와 지지대(30)의 걸림턱면(34)에 의하여 좌, 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30)는,상기 간격형성부재(40)의 외측머리부(50)와 내측머리부(47)에 의하여 좌, 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의 지지대설치부(20a)의 끼움공(22a)에 상기 지지대(30a)의 간격형성부재(40a) 외측머리부(50a)를 삽입하여 간격부(48a)를 배치하고, 단면형상에서 길이가 긴 부분과 길이가 짧은 부분이 형성된 간격부(48a)에서, 길이가 짧은 부분이 수평상태로 가이드공(24a)의 이탈방지턱(26a)으로 수평이동하여 삽입되도록 한 후, 지지대(30a)를 90°정도 회전하여 길이가 긴 부분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져서 가이드공(24a)의 이탈방지턱(26a)에 걸려져서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조립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설치부(20a)의 끼움공(22a)에 상기 지지대(30a)의 간격형성부재(40a) 외측머리부(50a)를 삽입할 때, 내측머리부(47a)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의 측면에 접촉되면서, 진입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외측머리부(50a)와 내측머리부(47a)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의 벽면에 걸려지는 상태로 있으므로 지지대(30a)가 좌, 우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지닌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30a)를 90°정도 회전하여 길이가 긴 부분이 수직방향 으로 세워져서 가이드공(24a)의 이탈방지턱(26a)이 방지 되면서, 대략적으로 U자형상의 지지대(30a)의 넓적한 부분이 수평으로 놓여지면서 케이블(70)이 안정적으로 설치되어진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의 높이가 150mm이하이면 지지대설치부(20)가 1단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의 높이가 150mm이상 이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 설치부(20)가 2단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케이블 트레이(10)에 조립된 지지대(30)가 케이블(70)을 2단으로 설치하여 케이블(70)의 설치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조립상태는, 상기 지지대(30)와 상기 간격형성부재(40) 사이에 내측설치부재(60)가 더 설치되어진 것인데, 상기 내측설치부재(60)의 내측머리부(68)가 일 실시예서의 지지대(30)의 걸림턱면(34)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내측머리부(68)의 직경이 외측머리부(50)의 직경과 같도록 형성하여 지지대(30)가 케이블 트레이(10)의 가이드공(24)에 설치된 후, 좌,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조금 더 정확하게 차단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내측설치부재(60)의 경사진 부분을 따라서 진입하여 압착돌기(66)가 지지대(30)의 끼움공(32)의 내측면에 압착고정되어 조립되고, 내측설치부재(60)의 삽입공(62)에 간격형성부재(40)의 끼움부(42)의 압착돌기(46)가 끼워지면서 조립되어진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의 조립과정과 기타 상태는 일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조립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조립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격형성부재가 분리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형성부재 조립 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형성부재가 케이블 트레이에 조립된 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공의 확대 상태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가 케이블 트레이에 삽입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가 케이블 트레이에 삽입된 후 슬 라이드 이동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가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된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형성부재에 외측머리부 및 내측머리부가 일체로 형성된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형성부재가 걸림 방식으로 형성되는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격형성부재가 걸림 방식으로 형성되는 조립 상태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격형성부재 및 내측설치부재가 분리된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격형성부재 및 내측설치부재가 조립된 상태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케이블 트레이 20 : 지지대설치부
22 : 머리부끼움공 24 : 가이드공
26 : 이탈방지턱 30 : 지지대
32 : 끼움공 40 : 간격형성부재
42 : 끼움부 44 : 경사진입면
46 : 압착돌기 48 : 간격부
50 : 외측머리부 60 : 내측설치부
62 : 삽입공 64 : 끼움돌부
66 : 압착돌기 68 : 내측머리부

Claims (14)

  1. 케이블 트레이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측면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지지대 설치부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 사이에 설치되고, 양단에 끼움공을 형성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끼움공으로 끼워져 조립되고, 상기 지지대 설치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시 이탈이 방지되는 간격형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형성부재는 상기 지지대 설치부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는 간격부와;
    상기 지지대의 끼움공에 끼워지도록 상기 간격부 일단에 형성된 끼움부와;
    상기 간격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 설치부에서 좌,우 이동을 방지하는 외측머리부와;
    상기 간격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 설치부에서 좌,우 이동을 방지하는 내측머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의 슬라이드 조립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설치부는,
    상기 간격형성부재가 끼워지도록 형성된 머리끼움공과;
    상기 머리끼움공에 인접하여 머리끼움공의 직경 간격 보다 작은 간격으로 양측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간격형성부재의 간격부가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가이드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슬라이드 조립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 설치부의 가이드공에, 상기 간격형성부재의 간격부가 머리끼움 공에 삽입되고 가이드공으로 슬라이드될 때, 억지 끼움으로 조립되고 머리끼움공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이탈방지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슬라이드 조립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턱은, 상기 가이드공의 내벽면에 상,하로 마주보게 형성되고, 상기 간격부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곡률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슬라이드 조립구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턱은, 상기 간격부가 진입된 후 이탈이 방지되도록 턱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슬라이드 조립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봉으로 형성되고, 측면부의 직경이 상기 간격형성부재의 간격부 직경에 비하여 더 크게 형성되어 지지대의 좌,우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슬라이드 조립구 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U자형상의 판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슬라이드 조립구조.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의 끝단부분에 상기 지지대의 끼움공에 진입이 용이하도록 경사진입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슬라이드 조립구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가, 상기 지지대의 끼움공에 압착되도록 상기 끼움공의 내경보다 약간 더 큰 외경을 갖는 압착돌기를 상기 끼움부의 외주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슬라이드 조립구조.
  12.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형성부재의 간격부 단면부분은, 길이가 긴 부분과 길이가 짧은 부분이 형성되어져서 상기 지지대를 케이블 트레이의 끼움공에 삽입하고, 길이가 짧 은 부분이 가이드공의 이탈방지턱으로 삽입된 후, 지지대를 회전하여 길이가 긴 부분이 가이드공의 이탈방지턱에 걸려져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간격부의 양측단에 걸림턱 역할을 하는 내측머리부와 외측머리부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지지대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의 슬라이드 조립구조.
  13. 케이블 트레이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측면으로 관통되고, 적어도 일측으로 뚫려진 가이드공이 형성된 지지대 설치부와;
    상기 케이블 트레이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측으로 끼워지고 상기 지지대가 상기 지지대설치부의 가이드공의 내측에 형성되어 지지대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는 내측설치부재와;
    상기 내측설치부재에 끼워지고 상기 지지대 설치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공에서 간격부가 이탈 방지되게 조립되고, 상기 간격부 외측으로 외측머리부를 형성하여 지지대의 좌,우이동을 방지하는 간격형성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슬라이드 조립구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설치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끼움공에 끼워지는 끼움돌부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돌부의 외주면에는 끼움공에 압착되는 압착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끼움돌부의 일단에는 상기 지지대가 가이드공의 측면에 걸려지도록 내측머리부를 형성하여 상기 간격형성부재의 끼움부가 삽입공에 끼워져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슬라이드 조립구조.
KR1020070136176A 2007-12-24 2007-12-24 케이블 트레이의 슬라이드 조립구조 KR100947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176A KR100947365B1 (ko) 2007-12-24 2007-12-24 케이블 트레이의 슬라이드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176A KR100947365B1 (ko) 2007-12-24 2007-12-24 케이블 트레이의 슬라이드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517A KR20090068517A (ko) 2009-06-29
KR100947365B1 true KR100947365B1 (ko) 2010-03-15

Family

ID=40995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176A KR100947365B1 (ko) 2007-12-24 2007-12-24 케이블 트레이의 슬라이드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73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02584B1 (fr) * 2013-02-28 2015-03-20 Cts Cable Tray Systems Sas Systeme d'assemblage d'un echelon sur un longeron
US9575274B2 (en) 2014-02-25 2017-02-21 Commscope Technologies Llc Fiber management structure having a splice tray with modular elements
KR20160001442U (ko) * 2014-10-24 2016-05-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
KR102083191B1 (ko) * 2019-09-11 2020-03-02 (주)한길엔지니어링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2504183B1 (ko) 2022-08-29 2023-02-28 (주)대건일렉트릭 전기공사의 트레이 시스템
KR102526297B1 (ko) 2022-10-04 2023-04-28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공동주택용 배전선 지지대
KR102522657B1 (ko) 2022-10-04 2023-04-18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실내배전반용 고정프레임
KR102522656B1 (ko) 2022-10-04 2023-04-18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인입전선 가이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1896U (ko) * 1974-08-07 1976-02-18
JPH03243110A (ja) * 1990-02-19 1991-10-30 Takenaka Komuten Co Ltd ケーブルラック
JPH08275327A (ja) * 1995-03-31 1996-10-18 Toshiba Corp ラダー型ケーブルトレー
KR200436286Y1 (ko) 2007-04-10 2007-07-20 이동언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1896U (ko) * 1974-08-07 1976-02-18
JPH03243110A (ja) * 1990-02-19 1991-10-30 Takenaka Komuten Co Ltd ケーブルラック
JPH08275327A (ja) * 1995-03-31 1996-10-18 Toshiba Corp ラダー型ケーブルトレー
KR200436286Y1 (ko) 2007-04-10 2007-07-20 이동언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517A (ko) 2009-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365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슬라이드 조립구조
KR101266585B1 (ko)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KR101349269B1 (ko) 원터치 방식의 케이블 트레이
KR101119556B1 (ko) 케이블 거치대
KR101234675B1 (ko) 천정재 설치용 클립
JP6454724B2 (ja) 組立式柵
KR101233699B1 (ko) 티바와 천장패널의 결합구조
KR100888209B1 (ko) 알루미늄폼 거푸집 지지용 지지바 고정장치
KR100511462B1 (ko) 콘크리트 거푸집의 연결장치
RU164220U1 (ru) Плинтус
KR102055659B1 (ko) 프로파일용 멀티블록
JP5833084B2 (ja) ストッパ付きピン碍子
JP4182525B2 (ja) 縦型メッシュラック、及び縦型メッシュラックに取付けられる支持具
KR20090033505A (ko) 케이블트레이
JP4478988B2 (ja) 吊りボルト用ケーブル支持具
KR101174255B1 (ko) 조임레버를 구비한 그레이팅 패널의 고정구
KR200466150Y1 (ko) 케이블 트레이
KR20210073136A (ko) 레이스 웨이 연결장치
JP5620148B2 (ja) 連結具
KR20110019848A (ko) 매입형 전기 배선박스의 결합구조
KR200466226Y1 (ko) 원터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CN113775168B (zh) 吊篮安装结构
KR20110094506A (ko)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용 횡봉 커넥터
RU164016U1 (ru) Плинтус
KR20180001113U (ko) 콘크리트 슬래브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의 고정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