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226Y1 - 원터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원터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226Y1
KR200466226Y1 KR2020120010014U KR20120010014U KR200466226Y1 KR 200466226 Y1 KR200466226 Y1 KR 200466226Y1 KR 2020120010014 U KR2020120010014 U KR 2020120010014U KR 20120010014 U KR20120010014 U KR 20120010014U KR 200466226 Y1 KR200466226 Y1 KR 2004662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channel
fixing part
insertion fixing
conduit inse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0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준
Original Assignee
이재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준 filed Critical 이재준
Priority to KR20201200100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2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2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2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elongated supports, e.g. to support a curved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37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nd consisting of a flexible b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a special member for attachment to profiled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터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전선관(T)이 삽입되면서 고정되도록 일부분이 상기 전선관(T)의 외형에 대응되게 곡면 형상을 갖는 전선관 삽입고정부(110); 상기 전선관 삽입고정부(110)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채널(channel, 160)의 내측에서 상기 채널(160)에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161)에 각각 끼워져 걸림 고정되는 한 쌍의 후크걸림부(120); 및 상기 전선관 삽입고정부(110)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채널(160) 내에서 회전되면서 로킹 또는 로킹 해제되는 로킹모듈(13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원터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Clamp for fixing wire tube by one touch}
본 고안은 원터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터치 방식으로 전선관을 고정할 수 있어 전선관의 고정 작업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원터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전선관 또는 케이블(이하, "전선관"이라 함)을 배선할 경우, 전선관이 서로 얽히지 않게 잘 고정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전선관을 건물의 벽이나 천정에 직접 고정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지만, 전선관이 건물의 벽이나 천정에 직접 고정되면 외관상 보기 좋지 않고, 또한 합선 등으로 인하여 전선에 스파크가 발생되는 경우 스파크가 건물의 벽이나 천정에 그대로 전달되므로 화재의 우려가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선관을 건물의 벽이나 천정에 간접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가 제안되었다.
도 1은 종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종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의 사용예를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는 건물의 벽이나 천정 등에 결합되는 별도의 채널(channel, 10)에 결합됨으로써, 전선관(T)이 건물의 벽이나 천정에 직접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마련된다.
즉, 종래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는 중심부가 전선관(T)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단이 채널(10)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편(20)과, 한 쌍의 고정편(20) 하단을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볼트(32) 및 체결너트(34)를 구비한다.
채널(10)은 하부에 개구부(12)가 형성되고, 개구부(12)의 끝단에는 채널(10)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턱(14)이 형성되며, 고정편(20)은 일단이 개구부(12)를 지나 채널(1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고정편(20)의 일단에는 걸림턱(14)에 걸릴 수 있는 형상의 후크(22)가 형성되는 바, 고정편(20)은 후크(22)가 파손될 만큼의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한 채널(1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2처럼 후크(22)가 걸림턱(14)에 걸려 고정되도록 고정편(20)의 일단을 채널(10)의 내측으로 인입시키고, 한 쌍의 고정편(20) 사이에 전선관(T)을 위치시킨 후, 도 3처럼 체결볼트(32) 및 체결너트(34)를 이용하여 한 쌍의 고정편(20) 하단을 상호 밀착 고정시킨다.
이때, 한 쌍의 고정편(20)은 하단이 상호 밀착되므로 상단은 상호 멀어지도록 벌어지게 되며, 전선관(T)은 채널(10)의 저면에 밀착됨으로써 고정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의 경우, 부품들이 낱개로 분리된 후에 합쳐지면서 전선관(T)을 고정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부품들을 잃어버릴 우려가 높으며, 작업자가 세밀하게 조정하면서 양 손으로 작업해야 하기 때문에 전선관(T)의 고정 작업 역시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등의 많은 작업 로스(loss)를 발생시키고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감안한 새로운 구조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7-010180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9-0089477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6-002374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8-0005267호
본 고안의 목적은 원터치 방식으로 전선관을 고정할 수 있어 전선관의 고정 작업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원터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전선관(T)이 삽입되면서 고정되도록 일부분이 상기 전선관(T)의 외형에 대응되게 곡면 형상을 갖는 전선관 삽입고정부(110); 상기 전선관 삽입고정부(110)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채널(channel, 160)의 내측에서 상기 채널(160)에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161)에 각각 끼워져 걸림 고정되는 한 쌍의 후크걸림부(120); 및 상기 전선관 삽입고정부(110)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채널(160) 내에서 회전되면서 로킹 또는 로킹 해제되는 로킹모듈(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100)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로킹모듈(130)은, 상기 채널(160) 내의 양측 내벽에 마찰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양단부에 경사부(141)가 형성되는 회전형 고정바아(140); 및 상기 전선관 삽입고정부(110)의 타단부와 상기 회전형 고정바아(140)를 연결하되 상기 회전형 고정바아(14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50)가 결합되는 상기 전선관 삽입고정부(110)의 타단부에는 상기 회전형 고정바아(140)가 상기 채널(160)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절곡된 절곡판부(1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곡판부(111) 상에서 상기 회전부재(150)의 샤프트(152)는 상하로의 유격이 있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부재(150)의 헤드(151)에는 드라이버 홈(151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후크걸림부(120)가 형성되는 상기 전선관 삽입고정부(110)의 일단부는 아크(arc)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로킹모듈(130)은 상기 전선관 삽입고정부(110)의 타단부에 연결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전선관 삽입고정부(110)는 탄성이 있게 금속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로킹모듈(230)은, 상기 채널(160) 내에서 회전되는 회전형 고정바아(240); 및 상기 전선관 삽입고정부(110)의 타단부와 상기 회전형 고정바아(240)를 연결하되 상기 회전형 고정바아(24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형 고정바아(240)의 양단부에는 상기 채널(160) 내의 양측 내벽에 마찰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양단부에 경사부(24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형 고정바아(240)의 상부면에는 상기 회전형 고정바아(240)가 임의로 풀리는 것이 저지되도록 상기 회전부재(250)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채널(160)의 플랜지(161)가 끼워지는 홈부(24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원터치 방식으로 전선관을 고정할 수 있어 전선관의 고정 작업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종래와 달리 전선관 고정에 따른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와 달리 부품들이 하나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부품을 잃어버릴 우려가 없으며, 간편한 방법과 자세로서 전선관을 고정할 수 있어 전선관 고정 작업에 따른 로스(loss)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의 사용예를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 내지 도 9는 원터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의 로킹모듈이 채널 내에서 고정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0은 회전형 고정바아가 채널의 플랜지 영역에 걸리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개략 동작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에서 로킹모듈의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의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6 내지 도 9는 원터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의 로킹모듈이 채널 내에서 고정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며, 도 10은 회전형 고정바아가 채널의 플랜지 영역에 걸리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개략 동작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원터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100)는 도 4에서 도 5처럼 동작되면서 채널(channel, 160)에 전선관(T)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삽입고정부(110)와 로킹모듈(130)을 포함한다.
삽입고정부(110)는 도 4 및 도 5처럼 전선관(T)이 삽입되면서 고정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삽입고정부(110)는 그 대부분이 전선관(T)의 외형에 대응되게 곡면 형상을 갖는다.
물론, 전선관(T)의 직경은 얼마든지 다양할 수 있는데, 삽입고정부(110)는 그에 대응되는 곡률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전선관 삽입고정부(110)는 탄성이 있게 금속판으로 제작된다. 전선관 삽입고정부(110)가 얇은 금속판으로 제작되면 그 구조에 의해 탄성을 보유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전선관(T) 고정 시 전선관 삽입고정부(110)의 가압 또는 변형이 자유로워질 수 있다. 물로, 이러한 사항은 하나의 예에 불과하며,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전선관 삽입고정부(110)의 일단부에는 채널(160)의 내측에서 채널(160)에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161)에 각각 끼워져 걸림 고정되는 한 쌍의 후크걸림부(120)가 형성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서 적용되고 있는 채널(160)은 플랜지(161)가 영문자 C자 형상을 갖는 C 채널(160)이다.
이와 같은 C 채널(160)에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161)들에 하나씩 대응되게 끼워지면서 걸릴 수 있도록 전선관 삽입고정부(110)의 일단부에 한 쌍의 후크걸림부(120)가 형성되는데, 후크걸림부(120)의 형상 역시 플랜지(16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후크걸림부(120)가 형성되는 전선관 삽입고정부(110)의 일단부는 아크(arc)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전선관 삽입고정부(110)의 일단부를 채널(160) 내에 배치하여 회전시켜 가면서 한 쌍의 후크걸림부(120)가 한 쌍의 플랜지(161)에 각각 끼워져 걸림 고정되도록 하는 데에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로킹모듈(130)은 전선관 삽입고정부(110)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도 4에서 도 5처럼 채널(160) 내에서 회전되면서 로킹되도록 하거나 반대로, 도 5에서 도 4처럼 채널(160) 내에서 회전되면서 로킹 해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로킹모듈(130)은 전선관 삽입고정부(110)와 분리되는 부품이 아니라 전선관 삽입고정부(110)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부품이다.
따라서 종전처럼 부품들의 망실 우려는 없으며, 특히 간단한 구조로서 작업이 편리하기 때문에 전선관(T)의 고정 작업에 따른 작업 로스(loss)를 종래보다 현격하게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로킹모듈(130)은 채널(160) 내의 양측 내벽에 마찰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양단부에 경사부(141)가 형성되는 회전형 고정바아(140)와, 전선관 삽입고정부(110)의 타단부와 회전형 고정바아(140)를 연결하되 회전형 고정바아(14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150)를 포함한다.
도 10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회전형 고정바아(140)는 막대형 구조물로서 그 양단부에 경사부(141)가 형성된다. 양측의 경사부(141)는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므로 회전형 고정바아(140)는 전반적으로 평행사변형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처럼 회전형 고정바아(140)가 양측에 경사부(141)가 형성되는 평행사변형 형상을 이루기 때문에, 도 10의 (a) 내지 (c)처럼 회전형 고정바아(140)를 채널(160) 내에 그 길이 방향으로 배치하고 채널(160) 내에서 회전형 고정바아(140)를 회전시켜 회전형 고정바아(140)의 양단부, 특히 모서리 영역이 플랜지(161)의 하부에서 채널(160)의 내벽에 고정되도록 하는 데에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회전부재(150)가 결합되는 상기 전선관 삽입고정부(110)의 타단부에는 상기 회전형 고정바아(140)가 상기 채널(160)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절곡된 절곡판부(111)가 형성된다.
이때, 절곡판부(111) 상에서 회전부재(150)의 샤프트(152)는 상하로의 유격이 있도록 배치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샤프트(152)는 직경이 좁은 부분인 유격부(152a)와 큰 부분인 결합부(152b)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격부(152a)의 길이가 절곡판부(111)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절곡판부(111) 상에서 회전부재(150)의 샤프트(152)는 상하로의 유격이 가능해진다.
이처럼 절곡판부(111) 상에서 회전부재(150)의 샤프트(152)는 상하로의 유격이 가능해져야만 후크걸림부(120)가 채널(160)에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161)에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삽입고정부(110) 내에 전선관(T)을 배치하고, 전선관 삽입고정부(110)의 타단부 측인 로킹모듈(130)의 회전부재(150)를 눌러 회전형 고정바아(140)가 회전되도록 할 때, 작업이 편리해질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회전형 고정바아(140)를 회전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을 수도 있다.
회전형 고정바아(14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부재(150)의 헤드(151)에는 드라이버 홈(151a)이 형성된다.
드라이버 홈(151a)에 드라이버를 배치하여 작업할 수도 있고, 동전 등을 배치하여 작업할 수도 있다. 따라서 드라이버 홈(151a)은 도시된 것처럼 일자 홈인 것이 유리하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십자 홈일 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십자형 드라이버를 사용하면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실시예의 원터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10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은, 도 4처럼 후크걸림부(120) 영역을 채널(160) 내에 삽입하여 후크걸림부(120)가 채널(160) 내에서 채널(160)에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161)에 걸리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삽입고정부(110) 내에 전선관(T)을 배치한다.
이때는 도 4 및 도 10의 (a)처럼 회전형 고정바아(140)가 채널(160)과 나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선관 삽입고정부(110)의 타단부 쪽인 로킹모듈(130)의 회전부재(150)의 헤드(151)를 가압하면서 도 10의 (a)처럼 회전형 고정바아(140)가 채널(160) 내에 그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에 도 10의 (b)와 (c)처럼 채널(160) 내에서 회전형 고정바아(14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회전되던 회전형 고정바아(140)의 양단부가 플랜지(161)의 하부에서 채널(160)의 내벽에 고정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전선관(T)의 고정 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르면, 원터치 방식으로 전선관(T)을 고정할 수 있어 전선관(T)의 고정 작업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종전과 달리 부품들이 하나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부품의 망실 우려가 없으며, 간편한 방법과 자세로서 전선관(T)을 고정할 수 있어 전선관(T) 고정 작업에 따른 로스(loss)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에서 로킹모듈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의 로킹모듈(230) 역시, 채널(160) 내에서 회전되는 회전형 고정바아(240)와, 전선관 삽입고정부(110)의 타단부와 회전형 고정바아(240)를 연결하되 회전형 고정바아(24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250)를 포함한다.
회전형 고정바아(240)의 양단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채널(160) 내의 양측 내벽에 마찰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양단부에 경사부(24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회전형 고정바아(240)의 상부면에는 회전형 고정바아(240)가 임의로 풀리는 것이 저지되도록 회전부재(250)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한 쌍의 홈부(242)가 형성된다.
즉 전선관(T) 고정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한 쌍의 홈부(242)에 채널(160)의 플랜지(161)가 끼워지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풀지 않는 한 회전형 고정바아(240)가 임으로 풀리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르더라도 원터치 방식으로 전선관(T)을 고정할 수 있어 전선관(T)의 고정 작업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종전과 달리 부품들이 하나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부품의 망실 우려가 없으며, 간편한 방법과 자세로서 전선관(T)을 고정할 수 있어 전선관(T) 고정 작업에 따른 로스(loss)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T : 전선관
110 : 전선관 삽입고정부 111 : 절곡판부
120 : 후크걸림부 130 : 로킹모듈
140 : 회전형 고정바아 141 : 경사부
150 : 회전부재 151 : 헤드
152 : 샤프트 151a : 드라이버 홈
160 : 채널 161 : 플랜지

Claims (4)

  1. 전선관이 삽입되면서 고정되도록 일부분이 상기 전선관의 외형에 대응되게 곡면 형상을 갖는 전선관 삽입고정부;
    상기 전선관 삽입고정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채널(channel)의 내측에서 상기 채널에 형성되는 한 쌍의 플랜지에 각각 끼워져 걸림 고정되는 한 쌍의 후크걸림부; 및
    상기 전선관 삽입고정부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채널 내에서 회전되면서 로킹 또는 로킹 해제되는 로킹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로킹모듈은,
    상기 채널 내의 양측 내벽에 마찰되면서 회전 가능하도록 양단부에 경사부가 형성되는 회전형 고정바아; 및
    상기 전선관 삽입고정부의 타단부와 상기 회전형 고정바아를 연결하되 상기 회전형 고정바아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가 결합되는 상기 전선관 삽입고정부의 타단부에는 상기 회전형 고정바아가 상기 채널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절곡된 절곡판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곡판부 상에서 상기 회전부재의 샤프트는 상하로의 유격이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헤드에는 드라이버 홈이 형성되며,
    상기 후크걸림부가 형성되는 상기 전선관 삽입고정부의 일단부는 아크(arc) 형상을 가지며,
    상기 로킹모듈은 상기 전선관 삽입고정부의 타단부에 연결되게 마련되며,
    상기 전선관 삽입고정부는 탄성이 있게 금속판으로 제작되고,
    상기 회전형 고정바아의 상부면에는 상기 회전형 고정바아가 임의로 풀리는 것이 저지되도록 상기 회전부재를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되게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채널의 플랜지가 끼워지는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헤드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헤드보다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절곡판부를 관통하여 배치되되 그 수직 길이가 상기 절곡판부의 두께보다 더 길게 형성된 유격부 및 상기 유격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유격부보다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절곡판부의 하부에 배치된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20010014U 2012-11-02 2012-11-02 원터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KR2004662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014U KR200466226Y1 (ko) 2012-11-02 2012-11-02 원터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014U KR200466226Y1 (ko) 2012-11-02 2012-11-02 원터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6226Y1 true KR200466226Y1 (ko) 2013-04-05

Family

ID=51386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014U KR200466226Y1 (ko) 2012-11-02 2012-11-02 원터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2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752B1 (ko) * 2021-03-09 2021-09-01 주식회사 갑인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건축물 전기의 배선 연결과 이음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3883A (ja) 1997-12-26 1999-07-21 Sakuma Seisakusho:Kk 配管保持装置
JP2003222269A (ja) * 2002-01-31 2003-08-08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配管用クランプ
KR200411822Y1 (ko) 2005-12-29 2006-03-17 박동호 배관 클램프
KR200431085Y1 (ko) * 2006-09-04 2006-11-14 한찬엄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3883A (ja) 1997-12-26 1999-07-21 Sakuma Seisakusho:Kk 配管保持装置
JP2003222269A (ja) * 2002-01-31 2003-08-08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配管用クランプ
KR200411822Y1 (ko) 2005-12-29 2006-03-17 박동호 배관 클램프
KR200431085Y1 (ko) * 2006-09-04 2006-11-14 한찬엄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752B1 (ko) * 2021-03-09 2021-09-01 주식회사 갑인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건축물 전기의 배선 연결과 이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60012A1 (en) Sprinkler mounting device
KR200431085Y1 (ko)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JP4945019B2 (ja) 配線・配管材固定具
KR100947365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슬라이드 조립구조
KR200466226Y1 (ko) 원터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KR20120131882A (ko) 결합 및 분해가 용이한 샤클
EP2505741A1 (en) Joint for installation of scaffolding tubes, and scaffold comprising said joint
JP2018076912A (ja) プロファイル用コネクタ
KR101516126B1 (ko) 덕트의 외경크기에 상관없이 견고하게 체결되는 덕트용 고정밴드
KR100817307B1 (ko) 케이블 트레이 제조장치
KR20160089261A (ko) 파이프 결합용 고정구
JP3176565U (ja) シンブル
JP2016003466A (ja) 金具
KR102032868B1 (ko) 파이프 클램프
KR200472303Y1 (ko) 커넥터용 레버
JP2011259547A (ja) 可撓電線管先導用具
JP2009278853A (ja) ステップボルト支持装置
JP2009011119A (ja) 吊りボルト用ケーブル支持具
JP6719223B2 (ja) 交差連結具
KR100939383B1 (ko) 전선관 고정 클램프
JP6700103B2 (ja) ケーブル固定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気機器
KR100917794B1 (ko) 압착공구
KR101376281B1 (ko) 조립식 파티션 체결장치
KR102485883B1 (ko) 전산볼트에 파이프를 고정하는 나사없는 클램프
JP3114880U (ja) 管支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