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755Y1 - 파이프 연결구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755Y1
KR200252755Y1 KR2019990000435U KR19990000435U KR200252755Y1 KR 200252755 Y1 KR200252755 Y1 KR 200252755Y1 KR 2019990000435 U KR2019990000435 U KR 2019990000435U KR 19990000435 U KR19990000435 U KR 19990000435U KR 200252755 Y1 KR200252755 Y1 KR 2002527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or
coupling groove
protrusion
predetermined dep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04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771U (ko
Inventor
김종백
Original Assignee
김종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백 filed Critical 김종백
Priority to KR20199900004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755Y1/ko
Publication of KR200000157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7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7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755Y1/ko

Links

Landscapes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 구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안테나 형태의 것, 끝단에 나선을 형성한 것이 있었는 데, 안테나 형태의 것은 일 측의 직경이 줄어들어 강도부족으로 휨이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고, 또 나선을 형성한 것은 그 가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연결이나 해체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는데 반해,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는 제 1파이프에 소정 깊이까지 삽입결합 가능하고 결합홈과 회전 방지턱과 걸림부를 갖는 제 1접속구 및 제2파이프에 소정 깊이까지 삽입결합 가능하고 결합 홈에 삽입되는 돌출부와 걸림부에 착탈가능케 걸리는 걸림구를 구비하는 제 2접속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든 부분에서 그 직경이 동일한 파이프를 사용하여 롤러 브러시 등의 손잡이를 구성할 수 있어 필요한 제품을 만들기가 용이하고, 일측의 파이프 직경이 작아지지 않아도 되므로 휘어짐이 발생하지 않아 페인팅 작업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주며 또,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거나 해체시 파이프 자체를 회전시키기 않아도 되므로 빠른 시간 내에 연결 또는 해체가 가능토록 해주는 장점도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구{A CONNECTING TOOS FOR PIPES}
본 고안은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벽 등에 페인트를 칠할 때 사용하는 롤러 브러시 등의 손잡이를 구성하는 파이프를 필요에 따라 연결하거나 이탈시켜 용이하게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사용되는 파이프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러 브러시 등 긴 손잡이를 갖는 도구는 그 보관이나 이동의 편리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페인트를 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잡이를 길게 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곳에 페인트를 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잡이를 짧게 하여야 힘도 적게 들고 작업 능률도 오른다. 이를 위해 다양한 형태로 손잡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들 중의 한 가지로 안테나 형태로 된 것으로, 그 직경이 다른 것을 여러 개 순서대로 연결하여 페인트 브러시 등의 손잡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으나, 이는 만들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일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줄어들어야 하므로 그 부분의 강도가 약해져 쉽게 일측으로 휘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그 외에 손잡이를 구성하는 각 파이프의 내측과 외측에 나선을 형성하여 이웃 파이프와 연결하거나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역시 파이프 연결시 파이프를 십 수차례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그 연결 또는 해체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도 많이 걸린다. 또 서로 연결되는 부분의 직경이 서로 달라야 하기 때문에 파이프의 가공 공정이 늘어난다. 뿐만 아니라 파이프로는 가벼우면서도 그 강도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는 알루미늄 등의 경금속을 주로 사용하여야 하는 데 그 두께가 얇은 관에 나선을 형성하기가 매우 까다롭고 그로 인해 강도도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웃하는 파이프간의 연결, 해체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파이프의 제작공정이 간단하며, 강도의 저하를 일으키지 않아 손잡이 등이 휘어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없도록 해주는 파이프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 연결구를 파이프에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그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접속구를 이용해 구성한 롤러 브러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파이프 12,22 : 핀
20 : 제2파이프 30 : 롤러 브러시
32 : 손잡이 100 : 파이프 연결구
110 : 제1접속구 112 : 결합홈
114 : 회전방지턱 116 : 걸림부
119, 129 : 삽입방지턱 120 : 제2접속구
121 : 철심 122 : 돌출부
123 : 관통공 124 : 볼
125 : 스프링 126 : 이탈방지부재
128 : 홈
본 고안의 목적은 제 1파이프와 제 2파이프 사이에 설치되어 두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제 1파이프에 소정 깊이까지 삽입결합 가능하고 결합홈과 회전방지턱과 걸림부를 갖는 제 1접속구 및 제 2파이프에 소정 깊이까지 삽입결합 가능하고 결합홈에 삽입되는 돌출부와 걸림부에 착탈가능케 걸리는 걸림구를 구비하는 제 2접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위 회전방지턱은 원형 결합홈의 일측에 내측으로 살을 덧붙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돌출부는 결합홈의 단면과 대응되는 단면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구는 돌출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그 일부가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볼과 볼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스프링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돌출부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 깊이의 홈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로는 파이프 형태의 철심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 구의 분리 사시 도이고, 도 2는 도 1 연결구를 파이프에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 도이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100)는 제1접속구(1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접속구(110)는 롤러 브러시 등의 손잡이를 구성하는 일측의 제 1파이프(10)에 삽입되어 핀(12)을 통해 제1파이프(10)에 고정되는 것으로, 그 내부로는 도 2와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정 깊이의 결합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홈(112)의 내면에는 일측 내측면에서 살을 덧붙여 형성한 회전방지턱(114)을 설치해두어야 한다. 물론, 결합홈(112)의 단면을 삼각형이나 사각형 기타 다각형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는 데, 그 경우에는 그 내측 평면부가 회전방지턱(114)이 된다. 이러한 제 1접속구(110)의 일측에는 외부와 결합홈(112) 사이를 관통하는 구멍 형태의 걸림부(1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부(116)는 뒤에서 설명되는 제 2접속구(120)가 일정 크기의 힘이 작용하기 전까지는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100)는 제2접속구(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2접속구(120)는 제2파이프(20)에 소정 깊이까지 삽입되어 핀(22)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제 1접속구(110)의 결합홈(112)에 삽입되는 돌출부(12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돌출부(122)는 그 단면모양이 결합홈(112)의 단면모양과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 돌출부(122)는 회전방지턱(114)의 살이 덧붙여진 만큼 일측을 깍아낸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돌출부(122)의 끝단 부근에는 돌출부(122)에 형성된 관통공(123)에 삽입되어 그 일부가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볼(124)과 볼(124)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125)과 스프링(125)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126)로 이루어져 있는 걸림구(127)가 설치되어 있다. 이탈방지부재(126)로는 나사부재가 적당하다. 이 걸림구(127)는 걸림부(116)와 작용하여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 시에만 제 1접속구(110)와 해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2접속구(120)의 돌출부(122) 외주면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긴 홈(128)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128)은 돌출부(122)가 결합홈(112)에 삽입될 때 돌출부(122)의 외주면 또는 결합홈(112)의 내주면에 어느 정도의 이물질이 있더라도 결합과정에서 이물질이 홈(128)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여 그에 방해를 받지 않고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돌출부(122)의 내부에는 파이프 형태의 철심(121)이 설치되어 있다(도4참조). 이 철심(121)은 연결부위의 강도를 보강하여 손잡이 등이 휘어짐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100)의 결합상태는 도 3과 도 4를 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그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접속구를 이용해 구성한 롤러 브러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접속구(120)의 돌출부(122)는 제 1접속구(110)의 결합홈(112)에 삽입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125)이 볼(124)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있고, 볼(124)은 그 일측이 외부로 돌출 되어 걸림부(116)에 걸려 있다. 이에 따라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제 1접속구(110)에서 제 2접속구(120)는 이탈되지 않는다. 물론, 두손으로 제 1접속구(110)와 제 2접속구(120)를 각각 잡고 반대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힘을 가하면 결합홈(112)의 내주면이 볼(124)을 내부로 밀어 넣으면서 제 1접속구(110)에서 제 2접속구(120)가 이탈되게 된다. 미설명부호 119와 129는 각각의 파이프 속으로 더 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삽입방지턱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100)를 이용해 각각의 파이프(10, 20)를 연결하여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손잡이(32)를 갖는 롤러 브러시(3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하는 경우 그 결합하는 파이프(10, 20)의 수만을 조정하므로 써 손잡이(32)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이프 연결구를 이용하는 경우 모든 부분에서 그 직경이 동일한 파이프를 사용하여 롤러 브러시 등의 손잡이를 구성할 수 있어 필요한 제품을 만들기가 용이하고, 일측의 파이프 직경이 작아지지 않아도 되므로 휘어짐이 발생하지 않아 페인팅 작업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거나 해체시 파이프 자체를 회전시키기 않아도 되므로 빠른 시간 내에 연결 또는 해체가 가능토록 해주는 장점도 있다.

Claims (2)

  1. 제 1파이프와 제 2파이프 사이에 설치되어 두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파이프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제 1파이프에 소정 깊이까지 삽입결합 가능하고 결합홈과 회전방지턱과 걸림부를 갖는 제 1접속구; 및
    상기 제 2파이프에 소정 깊이까지 삽입결합 가능하고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돌출부와 걸림부에 착탈가능케 걸리는 걸림구를 구비하는 제 2접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턱은 원형 결합홈의 일측에 내측으로 살을 덧붙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홈의 단면과 대응되는 단면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구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그 일부가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볼과 상기 볼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돌출부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 깊이의 홈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로는 철심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구.
KR2019990000435U 1999-01-16 1999-01-16 파이프 연결구 KR2002527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435U KR200252755Y1 (ko) 1999-01-16 1999-01-16 파이프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0435U KR200252755Y1 (ko) 1999-01-16 1999-01-16 파이프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771U KR20000015771U (ko) 2000-08-05
KR200252755Y1 true KR200252755Y1 (ko) 2001-11-16

Family

ID=54758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0435U KR200252755Y1 (ko) 1999-01-16 1999-01-16 파이프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7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742B1 (ko) * 2020-03-12 2020-08-25 신영현 원형 관체 연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905B1 (ko) * 2015-10-22 2017-02-13 (주)강산이앤씨 노후관로 보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742B1 (ko) * 2020-03-12 2020-08-25 신영현 원형 관체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771U (ko) 200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64093A1 (en) Flexible and extendable drill bit assembly
US7111336B1 (en) Reinforced design of bathroom wall mounted rack connector
US20110017029A1 (en) Hand Tool
JPH0229820B2 (ko)
US5230581A (en) Coupling apparatus for a T-shaped tube unit
KR100777763B1 (ko) 선회 가능한 너트를 구비한 너트 조립체
KR200252755Y1 (ko) 파이프 연결구
JP2010248731A (ja) パイプ連結機構
US4406560A (en) Pipe connector
US20070128933A1 (en) Screw feeder adapter for a power screwdriver
CN209880931U (zh) 一种准确快速推拉精密连接器
EP1191269A3 (de) Toleranzausgleichende lösbare und nicht lösbare Rohrverbindungen
EP2236842A1 (en) Coupling device and method to assemble the same
KR200390409Y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
JP4727153B2 (ja) セグメントの継手構造
JP3100731U (ja) 棒状部材の連結機構
KR200466226Y1 (ko) 원터치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JP2004058208A (ja) レンチ
CN215037030U (zh) 一种轴振动传感器拆装工具
CN211167307U (zh) 一种防松脱锁止装置与水上运动装置
JP2862831B2 (ja) ブロック曲線連結施工用の連結ボルト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ブロック曲線連結工法
CN217439480U (zh) 一种脚手架
CN213259291U (zh) 一种钉管快速更换结构
CN214658284U (zh) 一种钢筋快接套筒
JPH0874823A (ja) パイプジョイ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