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742B1 - 원형 관체 연결구 - Google Patents

원형 관체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742B1
KR102147742B1 KR1020200031021A KR20200031021A KR102147742B1 KR 102147742 B1 KR102147742 B1 KR 102147742B1 KR 1020200031021 A KR1020200031021 A KR 1020200031021A KR 20200031021 A KR20200031021 A KR 20200031021A KR 102147742 B1 KR102147742 B1 KR 102147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eccentric shaft
eccentric
shaft
circula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현
Original Assignee
신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현 filed Critical 신영현
Priority to KR1020200031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7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 F16L37/24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in which the rotation takes place between the eccentric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1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using cams, levers, eccentrics, or togg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2Releasable fastening devices locking by ro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1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06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homogeneous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 호스와 같은 원형 관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원형 관체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별도의 압착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외부 편심축과 일체화된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 간의 회전각을 조정하고, 이를 통해 외부 편심축과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 간의 편심에 따라 원형 관체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여 간단한 조립만으로도 견고한 결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원형 관체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형 관체 연결구{DEVICE FOR CONNECTING CIRCULAR PIPE}
본 발명은 고압 호스와 같은 원형 관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원형 관체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별도의 압착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외부 편심축과, 일체화된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 간의 회전각도를 조정하고, 이를 통해 외부 편심축과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 간의 편심에 따라 원형 관체의 조임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간단한 조립만으로도 견고한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는 원형 관체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 호스는 호스 내에 흐르는 유체(액체/기체)의 높은 압력을 견디면서 유체를 원하는 장소까지 원활하게 이송하기 위한 통로로 사용되는 호스의 일종으로서, 자동차, 건설 기계류, 액압 기계류 및 페인트 분사기 등의 산업분야에서 고압의 유체를 원하는 장소로 이송하기 위해 높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제조된다.
이러한 고압 호스는 호스와 호스의 연결, 혹은 호스와 관로의 연결, 혹은 호스와 노즐의 연결을 위해 고압 호스용 연결구가 사용된다. 고압 호스용 연결구는 호스와 연결되는 대상체를 보다 편리하게 상호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들 간의 연결부위가 빠지거나 연결부위에서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높은 결속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고압 호스용 연결구는 통상적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호스가 게재되는 호스 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호스 삽입부의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된 니플본체와, 상기 니플본체의 호스 삽입부에 상기 호스가 게재된 상태에서 호스를 호스 삽입부에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슬리브 부재로 구성되어 고압 호스와 결속되게 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고압 호스용 연결구를 이용하여 호스를 대상체에 연결하는 경우에 니플본체의 호스 삽입부에 호스가 게재된 상태에서 슬리브 부재가 호스를 호스 삽입부에 강하게 압착시키지 못하면 결속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외력 발생시 호스가 니플본체로부터 외부방향으로 쉽게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종래에는 니플본체가 호스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압착장치 등을 사용하여 슬리브 부재를 축방향으로 압착하고 있다. 즉, 종래에는 별도의 슬리브 부재의 압착공정을 통해 호스가 호스 삽입부를 보다 강하게 압착하여 니플본체가 호스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압착장치는 통상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운 관계로 운반 및 보관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슬리브 부재를 압착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슬리브 부재를 갖고 압착장치가 보관된 장소로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434256 Y1, 2006. 12. 12. KR 20-0351663 Y1, 2004. 05. 18. KR 20-2012-0008422 U, 2012. 12. 10. KR 20-0336038 Y1, 2003. 12. 03.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별도의 압착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고압 호스(금속관 또는 원형 압출형태의 합성수지관)와 같은 원형 관체를 간단한 조립만으로도 견고하게 결속하여 강한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는 원형 관체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외부 편심축과, 일체화된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 간의 회전각을 조정하여 상기 외부 편심축과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 간의 편심에 따라 원형 관체의 조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원형 관체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중공이 상하로 관통된 관체로 이루어지되, 제1 원형 관체의 단부 내부로 삽입되는 제1 결합관부와, 제2 원형 관체의 단부 내부로 삽입되는 제2 결합관부와, 상기 제1 및 제2 결합관부를 상호 연결하고 일측부에는 제1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 결합홈과 외주면을 따라 장형 구조로 형성되고 제2 공구가 관통 삽입되는 공구 삽입공이 각각 형성된 연결관부를 포함하는 외부 편심축부; 상기 제1 원형 관체의 단부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 헤드부와, 상기 제1 헤드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기 제1 헤드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관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1 결합부와, 제1 결합부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상기 제1 결합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외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결합축부를 포함하는 제1 내부 편심축; 및 상기 제2 원형 관체의 단부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 헤드부와, 상기 제2 헤드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제2 헤드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결합관부의 내부로 삽입되고 일측부에는 상기 공구 삽입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제2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고 상기 결합축부가 결합되는 축홈이 형성된 결합홈부을 포함하는 제2 내부 편심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관체 연결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제1 공구를 상기 공구 결합홈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제2 공구를 상기 공구 삽입공을 통해 상기 제2 결합부의 결합공에 삽입시킨 후 상기 제2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공구 삽입공을 따라 상기 제2 내부 편심축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2 내부 편심축과 함께 상기 제1 내부 편심축이 상기 외부 편심축을 축으로 회전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외부 편심축과 상기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의 편심으로 인해 상기 제1 및 제2 헤드부가 상기 제1 및 제2 결합관부를 상기 제1 및 제2 원형 관체의 내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및 제2 결합관부는 상기 제1 및 제2 원형 관체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관부의 측부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외부 편심축의 중공 내에서 상하로 결합된 상기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호 고정하여 일체화시키는 무두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결합축부는 육각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홈부의 축홈은 상기 결합축부의 육각볼트에 대응하여 육각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 편심축의 제1 결합관부와 상기 제1 내부 편심축의 제1 헤드부 사이에서 상기 제1 내부 편심축의 제1 결합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내부 편심축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1 내부 편심축과 상기 제1 원형 관체 간의 결합력을 미세 조정하는 제1 편심링; 및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 편심축의 제2 결합관부와 상기 제2 내부 편심축의 제2 헤드부 사이에서 상기 제2 내부 편심축의 제2 결합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 내부 편심축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2 내부 편심축과 상기 제2 원형 관체 간의 결합력을 미세 조정하는 제2 편심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원형 관체는 금속관 또는 합성수지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은 각각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유체가 이송될 수 있도록 서로 연통된 관형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형 관체 연결구에 따르면, 외부 편심축과, 외부 편심축의 내부에서 일체화된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 간의 회전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외부 편심축과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 간의 편심차에 따라 원형 관체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여 간단한 조립만으로도 견고한 결속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관체 연결구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형 관체 연결구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형 관체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원형 관체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원형 관체 연결구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편심축에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관체 연결구의 조임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과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관체 연결구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형 관체 연결구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조립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관체 연결구(10)는 별도의 압착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고압 호스나, 금속관(파이프) 또는 원형 압출형태의 합성수지관 등과 같은 제1 및 제2 원형 관체(1, 1')를 상호 견고하게 결속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형 관체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원형 관체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의 (a)는 도 1에 도시된 원형 관체 연결구의 단면도이고, 도 5의 (b)는 도 2에 도시된 원형 관체 연결구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관체 연결구(10)는 외부 편심축(11)과, 제1 및 제2 원형 관체(1, 1')에 결합되고 외부 편심축(11)을 관통하여 상하로 고정되어 일체화된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12, 13)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 편심축에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이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a)와 (b)는 조립된 상태를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과 같이, 외부 편심축(11)은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12, 13)이 상하로 관통 결합되도록 중앙에 일측으로 편심된 중공(11a)이 형성된 관체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외부 편심축(11)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부로 돌출되어 제1 원형 관체(1)의 단부 내부로 삽입되는 제1 결합관부(111)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하부로 돌출되어 제2 원형 관체(1')의 단부 내부로 삽입되는 제2 결합관부(112)와, 제1 및 제2 결합관부(111, 112)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관부(113)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결합관부(111, 112)와 연결관부(113)는 원자재를 NC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관부(113)는 제1 및 제2 결합관부(111, 112)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도 1 및 도 2와 같이, 제1 및 제2 원형 관체(1, 1')가 상하로 결합될 때 제1 및 제2 원형 관체(1, 1')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고 노출된다.
연결관부(113)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제1 및 제2 원형 관체(1, 1')의 내경보다 크고, 외경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관부(113)는 제1 및 제2 원형 관체(1, 1')가 제1 및 제2 결합관부(111, 112)에 각각 상하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원형 관체(1, 1')에 의해 덮혀지지 않고 외부로 노출된다.
연결관부(113)의 일측 상부에는 제1 공구(2, 도 8참조)가 결합되는 공구 결합홈(113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하부에는 외부 편심축(11)의 내부에 설치된 제2 내부 편심축(13)의 결합공(132a)에 결합되는 제2 공구(2')가 삽입되고 연결관부(113)의 외주면을 따라 장형으로 이루어진 공구 삽입공(113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관부(113)에는 외부 편심축(11)의 중공(11a) 내에서 상하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12, 13)이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무두볼트(b)가 결합되는 체결공(113c)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무두볼트(b) 이외에도 다양한 체결부재를 통해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12, 13)은 서로 고정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제1 내부 편심축(12)은 제1 원형 관체(1)의 내주면에 대응하여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제1 원형 관체(1)의 단부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 헤드부(121)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제1 헤드부(121)보다 작은 직경으로 제1 헤드부(121)의 하부에 형성되어 외부 편심축(11)의 제1 결합관부(111)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1 결합부(122)와, 제1 결합부(122)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구조로 제1 결합부(122)의 하부에 형성되고 외측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결합축부(123)를 포함한다.
제1 내부 편심축(12)을 구성하는 제1 헤드부(121), 제1 결합부(122) 및 결합축부(123)는 일체로 형성된다. 일례로, 원자재를 NC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결합축부(123)는 제1 결합부(122)의 하부로 돌출된 육각볼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내부 편심축(13)은 제2 원형 관체(1')의 내주면에 대응하여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제2 원형 관체(1')의 단부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 헤드부(131)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제2 헤드부(131)보다 작은 직경으로 제2 헤드부(131)의 상부에 형성되어 외부 편심축(11)의 제2 결합관부(112)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 결합부(132)와, 제2 결합부(132)의 하부에 형성되고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결합축부(123)가 결합되는 축홈(133a)이 형성된 결합홈부(133)을 포함한다.
제2 결합부(132)의 일측부에는 외부 편심축(11)의 연결관부(113)에 형성된 공구 삽입공(113b)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결합공(132a)이 형성된다. 추후 결합공(132a)에는 제2 내부 편심축(13)을 회전시키기 위해 제2 공구(2')가 삽입 결합된다.
제2 내부 편심축(13)을 구성하는 제2 헤드부(131), 제2 결합부(132) 및 결합홈부(133)는 일체로 형성된다. 일례로, 원자재를 NC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결합홈부(133)의 축홈(133a)은 결합축부(123)에 대응하여 육각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관체 연결구(10)는 제1 내부 편심축(12)과 제1 원형 관체(1)의 결합력을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해 제1 내부 편심축(12)의 제1 결합부(122)에 결합되고 일측으로 편심된 제1 편심링(14)과, 제2 내부 편심축(13)과 제2 원형 관체(1')의 결합력을 미세하게 조정하기 위해 제2 내부 편심축(13)의 제2 결합부(132)에 결합되고 일측으로 편심된 제2 편심링(15)을 더 포함한다
제1 편심링(14)은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외부 편심축(11)의 제1 결합관부(111)와 제1 내부 편심축(12)의 제1 헤드부(121) 사이에서 제1 내부 편심축(12)의 제1 결합부(122)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제1 내부 편심축(12)의 회전각도에 따라 제1 내부 편심축(12)과 제1 원형 관체(1) 간의 결합력을 조정한다.
제2 편심링(15)은 제1 편심링(14)과 마찬가지로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 결합관부(112)와 제2 내부 편심축(13)의 제2 헤드부(131) 사이에서 제2 결합부(132)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제2 내부 편심축(13)의 회전각도에 따라 제2 내부 편심축(13)과 제2 원형 관체(1') 간의 결합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편심링(14, 15)의 외주면에는 요철면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관체 연결구의 조임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관체 연결구(10)는 서로 동일한 한 쌍의 공구(2, 2')를 사용하여 외부 편심축(11)을 중심으로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12, 13)을 일측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원형 관체(1, 1')를 결속한다.
즉, 제1 공구(2)를 공구 결합홈(113a)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제2 공구(2')를 공구 삽입공(113b)을 통해 제2 결합부(132)의 결합공(132a)에 삽입시킨 후 제2 공구(2')를 이용하여 공구 삽입공(113b)을 따라 제2 내부 편심축(13)을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제2 내부 편심축(13)과 일체로 연결된 제1 내부 편심축(12)이 외부 편심축(11)을 축으로 제2 내부 편심축(13)과 함께 회전하고, 이 과정에서 외부 편심축(11)과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12, 13)의 편심으로 인해 제1 및 제2 헤드부(121, 131)가 제1 및 제2 결합관부(111, 113)를 제1 및 제2 원형 관체(1, 1')의 내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 및 제2 결합관부(111, 113)는 제1 및 제2 원형 관체(1, 1')에 결속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원형 관체 연결구는 도 8과 같이, 금속관을 상호 연결하는 용도 이외에도, 기체 또는 액체 등과 같은 유체가 이송되는 원형 압출형태의 합성수지관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22, 23)은 유체가 이송될 수 있도록 서로 연통된 관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22, 23)은 각각 관체로 이루어져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유체가 이송될 수 있도록 서로 연통된다. 이를 위해, 제1 내부 편심측(22)은 제1 헤드부(221), 제1 결합부(222) 및 결합축부(223)가 중공을 갖는 관형으로 이루어지고, 제2 내부 편심축(23) 또한 제2 헤드부(231), 제2 결합부(232) 및 결합홈부(233)가 중공을 갖는 관형으로 이루어져 서로 연통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22, 23)에 연결되는 원형 관체가 합성수지관으로 이루어진 경우, 편심 회전시 원형 관체와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22, 23) 간에 틈새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틈새를 가압하여 내부로 이송되는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신축성을 갖는 탄성밴드를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22, 23)에 결합된 원형 관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하여 기압이나 수압 등을 유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1' : 원형 관체 2, 2' : 공구
10 : 원형 관체 연결구 11 : 외부 편심축
12, 22 : 제1 내부 편심축 13, 23 : 제2 내부 편심축
14 : 제1 편심링 15 : 제2 편심링
b : 무두볼트 111 : 제1 결합관부
112 : 연결관부 113 : 제2 결합관부
113a : 공구 결합홈 113b : 공구 삽입공
113c : 체결공 121, 221 : 제1 헤드부
122, 222 : 제1 결합부 123, 223 : 결합축부
131, 231 : 제2 헤드부 132, 232 : 제2 결합부
132a : 결합공 133, 233 : 결합홈부
133a : 축홈

Claims (7)

  1.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된 중공이 상하로 관통된 관체로 이루어지되, 제1 원형 관체의 단부 내부로 삽입되는 제1 결합관부와, 제2 원형 관체의 단부 내부로 삽입되는 제2 결합관부와, 상기 제1 및 제2 결합관부를 상호 연결하고 일측부에는 제1 공구가 결합되는 공구 결합홈과 외주면을 따라 장형 구조로 형성되고 제2 공구가 관통 삽입되는 공구 삽입공이 각각 형성된 연결관부를 포함하는 외부 편심축부;
    상기 제1 원형 관체의 단부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1 헤드부와, 상기 제1 헤드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상기 제1 헤드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결합관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1 결합부와, 제1 결합부의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상기 제1 결합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외면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진 결합축부를 포함하는 제1 내부 편심축; 및
    상기 제2 원형 관체의 단부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제2 헤드부와, 상기 제2 헤드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제2 헤드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결합관부의 내부로 삽입되고 일측부에는 상기 공구 삽입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제2 결합부와, 제2 결합부의 하부에 형성되고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심되고 상기 결합축부가 결합되는 축홈이 형성된 결합홈부을 포함하는 제2 내부 편심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관체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공구를 상기 공구 결합홈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제2 공구를 상기 공구 삽입공을 통해 상기 제2 결합부의 결합공에 삽입시킨 후 상기 제2 공구를 이용하여 상기 공구 삽입공을 따라 상기 제2 내부 편심축을 회전시키면, 상기 제2 내부 편심축과 함께 상기 제1 내부 편심축이 상기 외부 편심축을 축으로 회전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외부 편심축과 상기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의 편심으로 인해 상기 제1 및 제2 헤드부가 상기 제1 및 제2 결합관부를 상기 제1 및 제2 원형 관체의 내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및 제2 결합관부는 상기 제1 및 제2 원형 관체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관체 연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부의 측부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되어 상기 외부 편심축의 중공 내에서 상하로 결합된 상기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호 고정하여 일체화시키는 무두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관체 연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축부는 육각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홈부의 축홈은 상기 결합축부의 육각볼트에 대응하여 육각홈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관체 연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 편심축의 제1 결합관부와 상기 제1 내부 편심축의 제1 헤드부 사이에서 상기 제1 내부 편심축의 제1 결합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내부 편심축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1 내부 편심축과 상기 제1 원형 관체 간의 결합력을 미세 조정하는 제1 편심링; 및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심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 편심축의 제2 결합관부와 상기 제2 내부 편심축의 제2 헤드부 사이에서 상기 제2 내부 편심축의 제2 결합부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2 내부 편심축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2 내부 편심축과 상기 제2 원형 관체 간의 결합력을 미세 조정하는 제2 편심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관체 연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원형 관체는 금속관 또는 합성수지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관체 연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내부 편심축은 각각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유체가 이송될 수 있도록 서로 연통된 관형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관체 연결구.
KR1020200031021A 2020-03-12 2020-03-12 원형 관체 연결구 KR102147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021A KR102147742B1 (ko) 2020-03-12 2020-03-12 원형 관체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021A KR102147742B1 (ko) 2020-03-12 2020-03-12 원형 관체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742B1 true KR102147742B1 (ko) 2020-08-25

Family

ID=72292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021A KR102147742B1 (ko) 2020-03-12 2020-03-12 원형 관체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742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1581U (ko) * 1996-08-21 1998-05-25 박무정 구멍 편심용 연결소켓
KR200252755Y1 (ko) * 1999-01-16 2001-11-16 김종백 파이프 연결구
KR200336038Y1 (ko) 2003-09-15 2003-12-11 김종운 호스 연결구
KR200351663Y1 (ko) 2004-01-13 2004-06-01 (주)모토닉 기밀 보조재에 의한 고압용 수지호스 연결구조
KR200434256Y1 (ko) 2006-09-20 2006-12-18 황행철 고압호스 연결구
JP2009517607A (ja) * 2005-11-28 2009-04-30 ザ・ボーイング・カンパニー 偏心締結装置
KR20120008422U (ko) 2011-05-31 2012-12-10 김창호 기밀성을 갖는 호스연결구
KR20160119559A (ko) * 2015-04-06 2016-10-14 유태승 유압용 호스의 연결구
JP2019120376A (ja) * 2018-01-10 2019-07-22 株式会社Osk パイプジョイント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1581U (ko) * 1996-08-21 1998-05-25 박무정 구멍 편심용 연결소켓
KR200252755Y1 (ko) * 1999-01-16 2001-11-16 김종백 파이프 연결구
KR200336038Y1 (ko) 2003-09-15 2003-12-11 김종운 호스 연결구
KR200351663Y1 (ko) 2004-01-13 2004-06-01 (주)모토닉 기밀 보조재에 의한 고압용 수지호스 연결구조
JP2009517607A (ja) * 2005-11-28 2009-04-30 ザ・ボーイング・カンパニー 偏心締結装置
KR200434256Y1 (ko) 2006-09-20 2006-12-18 황행철 고압호스 연결구
KR20120008422U (ko) 2011-05-31 2012-12-10 김창호 기밀성을 갖는 호스연결구
KR20160119559A (ko) * 2015-04-06 2016-10-14 유태승 유압용 호스의 연결구
JP2019120376A (ja) * 2018-01-10 2019-07-22 株式会社Osk パイプジョイン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5129B2 (en) Quick connect system and method for fluid devices
CA2503231C (en) Enhanced durability hammer union
US6481762B1 (en) Pipe coupling
EP2643625B1 (en) Pipe element having shoulder, groove and bead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e thereof
AU640146B2 (en) Gasket for Leaktight Locked Joints
US4328983A (en) Positive seal steel coupl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US9388923B2 (en) Hose assembly with anti-rotational coupling and crimping section
JPH02278094A (ja) 片持リップ導管カップリング部材とその組立体
US6729659B2 (en) Flare fitting assembly with metal-to-metal line seal
JP2018514715A (ja) スエージ継手
KR101523176B1 (ko) 파이프 연결장치
KR20200011599A (ko) 스프링클러 어댑터 및 파이프 플러그
US4544186A (en) Unitary clamp action fitting
US11493156B2 (en) Hammerless and torqueless union connection
AU675584B2 (en) Pipe connector
KR102147742B1 (ko) 원형 관체 연결구
KR102147746B1 (ko) 원형 관체 연결구
US20040061333A1 (en) Conduit coupling
US20130214529A1 (en) Hybrid tube connector port
CN109326994A (zh) 用于潮湿位置的管路配件
US6860520B2 (en) Hose coupling assembly
JP2000310379A (ja) 継 手
GB2234306A (en) Pipe fittings
JPH05272673A (ja) スイベル型端部継手及びこれをホースの端部に固定するための固定方法
KR102113691B1 (ko) 고압 호스용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