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746B1 - 원형 관체 연결구 - Google Patents

원형 관체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746B1
KR102147746B1 KR1020200021797A KR20200021797A KR102147746B1 KR 102147746 B1 KR102147746 B1 KR 102147746B1 KR 1020200021797 A KR1020200021797 A KR 1020200021797A KR 20200021797 A KR20200021797 A KR 20200021797A KR 102147746 B1 KR102147746 B1 KR 102147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ircular tube
circular
central fixing
fixing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현
Original Assignee
신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현 filed Critical 신영현
Priority to KR1020200021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7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8Joints tightened by eccentrics or rotatable c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a rotary external sleeve or ring on one part
    • F16L37/10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a rotary external sleeve or ring on one part in which the coupling is coaxial with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a rotary external sleeve or ring on one part
    • F16L37/10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a rotary external sleeve or ring on one part the connection being maintained by the eccentricity of the two parts of the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 호스와 같은 원형 관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원형 관체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별도의 압착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중심 고정너트의 편심홀의 편차에 따라 제1 내지 제3 내부 조임링(슬라이드 부품들)의 회전각을 조정하여 열림 또는 닫힘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원형 관체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여 간단한 조립만으로도 견고한 결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원형 관체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형 관체 연결구{DEVICE FOR CONNECTING CIRCULAR PIPE}
본 발명은 고압 호스와 같은 원형 관체를 서로 연결하기 위한 원형 관체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별도의 압착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중심 고정너트의 편심홀의 편차에 따라 제1 내지 제3 내부 조임링(슬라이드 부품들)의 회전각을 조정하여 열림 또는 닫힘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원형 관체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여 간단한 조립만으로도 견고한 결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원형 관체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압 호스는 호스 내에 흐르는 유체(액체/기체)의 높은 압력을 견디면서 유체를 원하는 장소까지 원활하게 이송하기 위한 통로로 사용되는 호스의 일종으로서, 자동차, 건설 기계류, 액압 기계류 및 페인트 분사기 등의 산업분야에서 고압의 유체를 원하는 장소로 이송하기 위해 높은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제조된다.
이러한 고압 호스는 호스와 호스의 연결, 혹은 호스와 관로의 연결, 혹은 호스와 노즐의 연결을 위해 고압 호스용 연결구가 사용된다. 고압 호스용 연결구는 호스와 연결되는 대상체를 보다 편리하게 상호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들 간의 연결부위가 빠지거나 연결부위에서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높은 결착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고압 호스용 연결구는 통상적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호스가 게재되는 호스 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호스 삽입부의 외주면에 다수의 걸림턱이 형성된 니플본체와, 상기 니플본체의 호스 삽입부에 상기 호스가 게재된 상태에서 호스를 호스 삽입부에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슬리브 부재로 구성되어 고압 호스와 결착되게 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고압 호스용 연결구를 이용하여 호스를 대상체에 연결하는 경우에 니플본체의 호스 삽입부에 호스가 게재된 상태에서 슬리브 부재가 호스를 호스 삽입부에 강하게 압착시키지 못하면 결착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외력 발생시 호스가 니플본체로부터 외부방향으로 쉽게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종래에는 니플본체가 호스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압착장치 등을 사용하여 슬리브 부재를 축방향으로 압착하고 있다. 즉, 종래에는 별도의 슬리브 부재의 압착공정을 통해 호스가 호스 삽입부를 보다 강하게 압착하여 니플본체가 호스에서 외부방향으로 이탈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압착장치는 통상 부피가 크고 무게가 무거운 관계로 운반 및 보관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슬리브 부재를 압착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슬리브 부재를 갖고 압착장치가 보관된 장소로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434256 Y1, 2006. 12. 12. KR 20-0351663 Y1, 2004. 05. 18. KR 20-2012-0008422 U, 2012. 12. 10. KR 20-0336038 Y1, 2003. 12. 03.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들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별도의 압착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고압 호스(금속관 또는 원형 압출형태의 합성수지관)와 같은 원형 관체를 간단한 조립만으로도 견고하게 결착하여 강한 결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원형 관체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중심 고정너트의 편심홀에 따라 슬라이드 부품들의 회전각도를 조정하여 열림 또는 닫힘 구조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원형 관체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여 견고한 결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원형 관체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원형 관체를 연결하는 중심 고정봉과, 상기 중심 고정봉의 중앙부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중심 고정봉과의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원형 관체의 단부가 삽입되는 편심홀이 형성된 지지턱부를 포함하는 중심 고정너트; 상기 제1 원형 관체가 관통되도록 원형 링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 고정너트에 결합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회전시 연동하여 함께 회전하고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1 원형 관체의 하단부를 상기 중심 고정봉으로 가압하는 제1 내지 제3 내부 조임링을 포함하는 제1 결속유닛; 및 상기 제2 원형 관체가 관통되도록 원형 링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 고정너트에 결합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시 연동하여 함께 회전하고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2 원형 관체의 상단부를 상기 중심 고정봉으로 가압하는 제1 내지 제3 내부 조임링을 포함하는 제2 결속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관체 연결구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결속유닛은 상기 중심 고정너트를 경계로 상하로 서로 대칭하도록 상기 중심 고정너트에 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원형 관체를 각각 상기 중심 고정너트의 상하부에 각각 가압 고정하되, 상기 제1 및 제2 결속유닛은 결착방향과 풀림방향이 서로 반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제1 결속유닛의 제1 내지 제3 내부 조임링이 순차적으로 삽입 설치되어 있고, 내주면 중앙에는 상기 제1 결속유닛의 제1 및 제3 내부 조임링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각각 형성된 복수 개의 외측돌부가 각각 회전방향으로 걸림되는 복수 개의 내측돌부가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제2 결속유닛의 제1 내지 제3 내부 조임링이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적층되어 있고, 내주면 중앙에는 상기 제2 결속유닛의 제1 및 제3 내부 조임링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각각 형성된 복수 개의 외측돌부가 각각 회전방향으로 걸림되는 복수 개의 내측돌부가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내지 제3 내부 조임링은 각각 중공을 갖는 원형 링 구조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는 각각 복수 개의 외측돌부가 이격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돌부는 동일 내부 조임링 내에서 동일한 길이를 가지되, 상기 제1 내부 조임링에서 상기 제3 내부 조임링으로 갈수록 길이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심 고정봉은 외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턱부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내주면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제1 내지 제3 내부 조임링을 지지하는 지지턱과, 상기 지지턱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사이를 분리하는 분리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결속유닛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단부를 밀폐하는 제1 멈춤링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단부를 덮는 제1 마감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결속유닛은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단부를 밀폐하는 제2 멈춤링과, 상기 제2 하우징의 하단부를 덮는 제2 마감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원형 관체는 금속 파이프 또는 합성수지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형 관체 연결구에 따르면, 별도의 압착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중심 고정너트의 편심홀의 편차에 따라 제1 내지 제3 내부 조임링의 회전각을 조정하여 열림 또는 닫힘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원형 관체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여 간단한 조립만으로도 견고한 결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관체 연결구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형 관체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형 관체 연결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결속유닛의 구성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심 고정너트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심 고정너트에 형성된 편심홀의 편차에 따른 조임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과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관체 연결구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형 관체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관체 연결구(10)는 별도의 압착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고압 호스나 금속관 또는 원형 압출형태의 합성수지관 등과 같은 제1 및 제2 원형 관체(1, 1')를 상호 견고하게 결착하기 위한 것으로, 제1 결속유닛(11), 중심 고정너트(12) 및 제2 결속유닛(13)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결속유닛(11, 13)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서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중심 고정너트(12)를 경계로 상하로 서로 대칭하도록 결합되어 제1 및 제2 원형 관체(1, 1')를 각각 중심 고정너트(12)의 상하부에 결착시킨다.
제1 및 제2 결속유닛(11, 13)은 결착방향(조임방향)과 풀림방향이 서로 반대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도 2와 같이, 제1 결속유닛(11)은 결착방향이 반시계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제2 결속유닛(12)은 결착방향이 시계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과 같이, 제1 결속유닛(11)은 회전각도에 따라 제1 결속유닛(11)과 중심 고정너트(12) 사이로 인입된 제1 원형 관체(1)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제1 원형 관체(1)의 하단부를 중심 고정너트(12)에 결착한다. 제2 결속유닛(13)은 회전각도에 따라 제2 결속유닛(13)과 중심 고정너트(12) 사이로 인입된 제2 원형 관체(1')의 상단부를 가압하여 제2 원형 관체(1')의 상단부를 중심 고정너트(12)에 결착한다.
제1 결속유닛(11)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원형 링 구조로 이루어지고 중심 고정너트(12)에 결합된 제1 하우징(111)과, 제1 하우징(111)의 내부에 결합되어 제1 하우징(111)의 회전시 연동하여 함께 회전하고 회전각도에 따라 제1 원형 관체(1)의 하단부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제1 내지 제3 내부 조임링(112~114)과, 제1 하우징(111)의 하단부 내측에 설치되어 제1 하우징(111)의 하단부를 밀폐하는 제1 멈춤링(115)을 포함한다.
제2 결속유닛(13)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1 결속유닛(11)과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고 대칭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원형 링 구조로 이루어지고 중심 고정너트(12)의 상단부에 결합된 제2 하우징(131)과, 제2 하우징(131)의 내부에 결합되어 제2 하우징(131)의 회전시 연동하여 함께 회전하고 회전각도에 따라 제2 원형 관체(1')의 상단부를 내측으로 가압하는 제1 내지 제3 내부 조임링(132~134)과, 제2 하우징(131)의 하단부 내측에 설치되어 제2 하우징(131)의 하단부를 밀폐하는 제1 멈춤링(135)을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결속유닛의 구성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들로서, (a)는 제1 및 제2 하우징의 평면도, (b)~(d)는 제1 내지 제3 내부 조임링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1)은 내부에 순차적으로 제1 내지 제3 내부 조임링(112~114)이 삽입된다. 그리고, 그 내주면 중앙에는 제1 및 제3 내부 조임링(112~114)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각각 형성된 외측돌부(112a~114a)가 각각 회전방향으로 걸림되는 내측돌부(111a)가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측 내주면에는 제1 멈춤링(115)이 삽입되는 삽입홈(11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11)은 제1 원형 관체(11)을 조여 결착시키기 위해 제1 하우징(111)을 회전시킬 때 손가락이 제1 하우징(111)으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회전방향으로 직교하도록 복수 개의 요철홈(111c)이 외주면에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다.
내측돌부(111a)는 도 4와 같이, 제1 하우징(111)의 회전방향과 직교하도록 상하로 내주면에 형성된다. 즉, 제1 및 제3 내부 조임링(112~114)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된 외측돌부(112a~114a)에 대응하여 3개가 내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제1 내지 제3 내부 조임링(112~114)은 각각 중심 고정너트(12)의 중심에 형성된 중심 고정봉(121)에 끼워진 원형 관체(1)의 하단부가 관통되도록 중공을 갖는 원형 링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내부 조임링(112~114)의 외주면에는 각각 복수 개의 외측돌부(112a~114a)가 이격 형성된다.
도 4와 같이, 제1 내지 제3 내부 조임링(112~114)은 각각 일측부가 타측부에 비해 두껍게 형성된 편심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외주면에는 3개의 외측돌부(112a~114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내부 조임링(112~114) 내에서 외측돌부(112a~114a)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데 반해, 제1 내부 조임링(112)에서 제3 내부 조임링(114)으로 갈수록 외측돌부(112a~114a)의 길이가 증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제2 결속유닛(13)의 제2 하우징(131)은 제1 결속유닛(11)과 마찬가지로 내부에 제1 내지 제3 내부 조임링(132~134)이 삽입되고, 그 내주면에는 제1 및 제3 내부 조임링(132~134)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각각 형성된 외측돌부(132a~134a)가 각각 회전방향으로 걸림되는 내측돌부(131a)가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내주면에는 제2 멈춤링(135)이 삽입되는 삽입홈(13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3 내부 조임링(132~134)은 각각 일측부가 타측부에 비해 두껍게 형성된 편심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외주면에는 3개의 외측돌부(132a~134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내부 조임링(132~134) 내에서 외측돌부(132a~134a)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데 반해, 제1 내부 조임링(112)에서 제3 내부 조임링(134)으로 갈수록 외측돌부(132a~134a)의 길이가 증가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도 2와 같이, 제1 결속유닛(11)은 제1 하우징(111)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제1 하우징(111)의 상부를 밀폐하는 제2 마감커버(116)를 더 포함하고, 제2 결속유닛(13) 또한 제2 하우징(13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제2 마감커버(136)을 더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중심 고정너트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중심 고정너트(12)는 외주면에 나사홈(121a)이 형성되고 상단부가 제1 원형 관체(1)의 내부로 삽입되고 하단부는 제2 원형 관체(1')의 내부로 삽입되는 중심 고정봉(121)과, 중심 고정봉(121)의 중앙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중심 고정봉(121)과의 사이에 제1 및 제2 원형 관체(1, 1')의 단부가 삽입되는 편심홀(12a)이 형성된 지지턱부(122)를 포함한다.
중심 고정봉(121)은 원형 구조로 이루어진 지지턱부(122)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제1 및 제2 원형 관체(1, 1')의 단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이들(1, 1')을 서로 연결하며, 볼트 구조와 같이 그 외주면에는 나사홈(121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턱부(122)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1 및 제2 하우징(111, 131)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제1 및 제2 결속유닛(11, 13)의 제1 내지 제3 내부 조임링(112~114, 132~134)을 지지하는 지지턱(122a)과, 지지턱(122a)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형성되어 제1 및 제2 하우징(111, 131) 사이를 분리하는 분리턱(122a)을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중심 고정너트에 형성된 편심홀의 편차에 따른 조임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들로서, (a)는 개방된 상태, (b)는 닫힘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관체 연결구(10)는 제1 및 제2 하우징(111, 131)의 회전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슬라이드 부품, 즉 제1 내지 제3 내부 조임링(112~114, 132~134)을 일정 각도로 회전시켜 열림 또는 닫힘 구조를 형성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관체 연결구(10)는 중심 고정너트(12)에 형성된 편심홀(12a)의 편차(a, 도 5참조)에 따라 제1 내지 제2 내부 조임링(①, ②, ③)의 회전각도를 조정하여 제1 및 제2 원형 관체(1, 1')의 조임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형 관체 연결구(10)는 고압 호스나 금속관 또는 원형 압출형태의 합성수지관 등과 같은 원형 관체를 연결하는데 적용할 수 있으나, 이외에도, 손가락에 끼워지는 반지와 같은 링체에 적절히 적용하여 사용할 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1' : 원형 관체 10 : 연결구
11 : 제1 결속유닛 12 : 중심 고정너트
12a : 편심홀 13 : 제2 결속유닛
111 : 제1 하우징 111a, 131a : 내측돌부
111b, 131b : 삽입홈
112~114 : 제1 내지 제3 내부 조임링(슬라이드 부품들)
112a~114a, 132a~134a : 외측돌부 115 : 제1 멈춤링
116 : 제1 마감커버 121 : 중심 고정봉
122 : 지지턱부 122a : 지지턱
122b : 분리턱 131 : 제2 하우징
132~134 : 제1 내지 제3 내부 조임링(슬라이드 부품들)
135 : 제2 멈춤링 136 : 제2 마감커버

Claims (7)

  1. 제1 및 제2 원형 관체를 연결하는 중심 고정봉과, 상기 중심 고정봉의 중앙부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중심 고정봉과의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원형 관체의 단부가 삽입되는 편심홀이 형성된 지지턱부를 포함하는 중심 고정너트;
    상기 제1 원형 관체가 관통되도록 원형 링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 고정너트에 결합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회전시 연동하여 함께 회전하고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1 원형 관체의 하단부를 상기 중심 고정봉으로 가압하는 제1 내지 제3 내부 조임링을 포함하는 제1 결속유닛; 및
    상기 제2 원형 관체가 관통되도록 원형 링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심 고정너트에 결합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회전시 연동하여 함께 회전하고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제2 원형 관체의 상단부를 상기 중심 고정봉으로 가압하는 제1 내지 제3 내부 조임링을 포함하는 제2 결속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내부 조임링은 각각 중공을 갖는 원형 링 구조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는 각각 복수 개의 외측돌부가 이격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돌부는 동일 내부 조임링 내에서 동일한 길이를 가지되, 상기 제1 내부 조임링에서 상기 제3 내부 조임링으로 갈수록 길이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관체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결속유닛은 상기 중심 고정너트를 경계로 상하로 서로 대칭하도록 상기 중심 고정너트에 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원형 관체를 각각 상기 중심 고정너트의 상하부에 각각 가압 고정하되, 상기 제1 및 제2 결속유닛은 결착방향과 풀림방향이 서로 반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관체 연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제1 결속유닛의 제1 내지 제3 내부 조임링이 순차적으로 삽입 설치되어 있고, 내주면 중앙에는 상기 제1 결속유닛의 제1 및 제3 내부 조임링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각각 형성된 복수 개의 외측돌부가 각각 회전방향으로 걸림되는 복수 개의 내측돌부가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제2 결속유닛의 제1 내지 제3 내부 조임링이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적층되어 있고, 내주면 중앙에는 상기 제2 결속유닛의 제1 및 제3 내부 조임링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각각 형성된 복수 개의 외측돌부가 각각 회전방향으로 걸림되는 복수 개의 내측돌부가 내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관체 연결구.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고정봉은 외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턱부는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의 내주면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제1 내지 제3 내부 조임링을 지지하는 지지턱과, 상기 지지턱의 중앙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 사이를 분리하는 분리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관체 연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속유닛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단부를 밀폐하는 제1 멈춤링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단부를 덮는 제1 마감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결속유닛은 상기 제2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상단부를 밀폐하는 제2 멈춤링과, 상기 제2 하우징의 하단부를 덮는 제2 마감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관체 연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원형 관체는 금속 파이프 또는 합성수지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관체 연결구.
KR1020200021797A 2020-02-21 2020-02-21 원형 관체 연결구 KR102147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797A KR102147746B1 (ko) 2020-02-21 2020-02-21 원형 관체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797A KR102147746B1 (ko) 2020-02-21 2020-02-21 원형 관체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746B1 true KR102147746B1 (ko) 2020-08-25

Family

ID=72292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797A KR102147746B1 (ko) 2020-02-21 2020-02-21 원형 관체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7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273B1 (ko) * 2023-07-21 2023-10-12 유정호 유압배관 및 호스 컬러 마개 구조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1698A (ja) * 1988-08-09 1990-02-21 Kubota Ltd 波形管用管継手
KR200336038Y1 (ko) 2003-09-15 2003-12-11 김종운 호스 연결구
KR200351663Y1 (ko) 2004-01-13 2004-06-01 (주)모토닉 기밀 보조재에 의한 고압용 수지호스 연결구조
KR20050074383A (ko) * 2005-06-21 2005-07-18 곽영대 수지재 용수관의 밀봉 연결구조
KR200434256Y1 (ko) 2006-09-20 2006-12-18 황행철 고압호스 연결구
KR20120008422U (ko) 2011-05-31 2012-12-10 김창호 기밀성을 갖는 호스연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1698A (ja) * 1988-08-09 1990-02-21 Kubota Ltd 波形管用管継手
KR200336038Y1 (ko) 2003-09-15 2003-12-11 김종운 호스 연결구
KR200351663Y1 (ko) 2004-01-13 2004-06-01 (주)모토닉 기밀 보조재에 의한 고압용 수지호스 연결구조
KR20050074383A (ko) * 2005-06-21 2005-07-18 곽영대 수지재 용수관의 밀봉 연결구조
KR200434256Y1 (ko) 2006-09-20 2006-12-18 황행철 고압호스 연결구
KR20120008422U (ko) 2011-05-31 2012-12-10 김창호 기밀성을 갖는 호스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9273B1 (ko) * 2023-07-21 2023-10-12 유정호 유압배관 및 호스 컬러 마개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1836A (en) Pipe connecting apparatus
US6565129B2 (en) Quick connect system and method for fluid devices
EP3022478B1 (en) Fittings having arcuate stiffness ribs
US5222772A (en) Connector fittings and method of connecting same
US7490866B2 (en) Anchoring device for pipe coupling
EP0065369A2 (en) Coupling
CN109424807B (zh) 榫槽连接接合器
CN101048612A (zh) 具有用于增加周向闭合的改进密封槽的管道搭接接头
KR102147746B1 (ko) 원형 관체 연결구
US7832773B2 (en) Adjustable connector and method for its use
US4544186A (en) Unitary clamp action fitting
US6059321A (en) Grip coupling for joining conduit
US20210301953A1 (en) Hammerless and Torqueless union Connection
CA3053648C (en) Assembly of a flexible tube and a fitting body and a method thereof
US3356391A (en) Pipe or tube coupling device
CN1093237C (zh) 管接头
KR20070048688A (ko) 관체 연결용 조인트
KR102147742B1 (ko) 원형 관체 연결구
CN2257346Y (zh) 改良的管接头
CN219177158U (zh) 连接装置
KR102113691B1 (ko) 고압 호스용 연결구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US5542714A (en) Adapter for coupling a pair of pipe elements
CN216520084U (zh) 一种抗振型高压接头
CN216520083U (zh) 一种高压接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