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409Y1 -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 - Google Patents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409Y1
KR200390409Y1 KR20-2005-0012881U KR20050012881U KR200390409Y1 KR 200390409 Y1 KR200390409 Y1 KR 200390409Y1 KR 20050012881 U KR20050012881 U KR 20050012881U KR 200390409 Y1 KR200390409 Y1 KR 2003904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astening
holes
support
integr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숙
Original Assignee
김혜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숙 filed Critical 김혜숙
Priority to KR20-2005-0012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4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4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4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2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bayonet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eenhous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력에 대한 강도가 증대되고 규격화하여 생산할 수 있어 설치가 간단하며 제작 및 제조공정이 간편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의 프레임 시공시 프레임을 이루는 파이프 부분을 부위별로 나누어 규격화하여 제작하고, 상기 부위별로 나누어 제작된 마디 부분들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양측의 관을 확장하여 육각형으로 성형하여 끼움결합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Pipe apparatus for vinyl house}
본 고안은 외력에 대한 강도가 증대되고 규격화하여 생산할 수 있어 설치가 간단하며 제작 및 제조공정이 간편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의 파이프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의 프레임 시공시 프레임을 이루는 파이프 부분을 부위별로 나누어 규격화하여 제작하고, 상기 부위별로 나누어 제작된 마디 부분들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양측의 관을 확장하여 육각관으로 성형하여 끼움결합 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하나의 긴 금속파이프로 된 프레임 부재를 종과 횡 방향으로 엮어서 비닐하우스 프레임을 제작한 후, 그 위에 비닐장막 등을 덮고 와이어로프 등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결속하게 된다. 상기 비닐하우스용 프레임으로서 사용하는 파이프는 보통 규모가 큰 비닐하우스에 사용되며 비교적 규모가 작은 소형의 비닐하우스에는 대나무와 같은 목재도 프레임으로 사용하는데, 이러한 종래의 비닐하우스용 프레임으로서 기능하는 파이프는 파이프 결합을 위한 시공시에 결합되는 각 파이프 사이에 개재되어 각 파이프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결합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양측이 상기 각 파이프에 끼움결합될 수 있으며 종래에 비닐하우스의 프레임 부재로서 금속재의 원형 파이프가 주로 사용되었고 이러한 원형 파이프는 강성이 약하며 설치시 비틀림 현상이 있어 비닐장막의 무게 및 외력에 의하여 쉽게 휘어지거나 비틀려서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파이프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기타 결합수단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생산 원가의 상승 및 그로 인한 무게의 증가로 인하여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하지 못하는 등 설치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파이프 일측을 육각관으로 하여 설치시의 비틀림 현상, 강성 및 외력에 대한 강도를 향상시키고 제작이 간편하며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으며 파이프 일체를 부위별로 규격화하여 생산하도록 하여 설치가 용이한 비닐하우스용 파이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프레임을 이루는 각 파이프를 부위별로 생산하고 연결파이프의 양측에는 육각관 형상의 결합체결슬리브가 확장 성형되어 있으며, 지지파이프의 양측에는 결합체결슬리브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홀에 부합되게 삽입 체결될 수 있도록 육각관 형상의 삽입봉을 형성하여 지지파이프 양측의 삽입봉이 연결파이프 양측의 결합체결슬리브에 삽입되면서 파이프가 끼움결합되고, 또한 상기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결합체결슬리브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편이 삽입봉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멍에 삽입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게 하는데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구체적인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는 도 1 내지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파이프(1)와 지지파이프(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파이프(1)는 도 1, 도 2 및 도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4)과 상기 연결관(4)의 좌,우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결합체결슬리브(3a)(3b)로 되어 있다.
상기 연결관(4)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내부가 빈 관형상으로 단면이 원형이며, 연결관(4)의 중심부는 절곡되어 있어 결합체결슬리브(3a)(3b)에 끼움결합되는 지지파이프(2)를 소정의 각도로 방향을 바꾸어 준다.
상기 결합체결슬리브(3a)(3b)는 연결관(4)의 좌,우 양측의 중공된 관(管) 내부에 육각봉의 금형을 밀어넣어 육각관으로 확장한 짧은 체결관으로서, 외주면과 내주면이 육각으로 되어 있으며 내측이 중공되어 있되 상기 결합체결슬리브(3a)(3b)의 외경은 연결관(4)보다 더 크고 내경은 삽입되는 삽입봉(7a)(7b) 외경의 각 모서리에 부합되도록 조금 더 크게 형성되어 있어 지지파이프(2)의 삽입봉(7a)(7b)이 결합체결슬리브(3a)(3b)의 삽입홀(5a)(5b)로 끼움결합되고 상기 결합체결슬리브(3a)(3b)의 내주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편(6a)(6b)(6c)(6d)이 삽입봉(7a)(7b)에 천공되어 있는 체결구멍(9a)(9b)(9c)(9d)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삽입홀(5a)(5b)은 결합체결슬리브(3a)(3b)의 내측에 중공된 육각의 홀(hole)로 되어 있고 삽입봉(7a)(7b)이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삽입홀(5a)(5b)의 내경은 삽입봉(7a)(7b)의 부합되는 각각의 모서리 부분이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삽입봉(7a)(7b)의 대응되는 외측 직경보다 조금 더 크다.
상기 체결편(6a)(6b)(6c)(6d)은 결합체결슬리브(3a)(3b)의 일측과 삽입홀(5a)(5b)을 가로질러 마주보는 180˚위치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체결슬리브(3a)(3b) 내주면상에 위치하며 사각형의 구멍으로 천공된 체결구멍(9a)(9b)(9c)(9d)에 삽입될 수 있게 사각형으로 돌출되어 있고 삽입봉(7a)(7b)이 삽입홀(5a)(5b)에 끼움결합되는 경우 상기 체결편(6a)(6b)(6c)(6d)은 체결편(6a)(6b)(6c)(6d)과 부합되는 삽입봉(7a)(7b)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사각형의 구멍으로 천공된 체결구멍(9a)(9b)(9c)(9d)과 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체결편(6a)(6b)(6c)(6d)과 체결구멍(9a)(9b)(9c)(9d)의 체결에 의해 결합체결슬리브(3a)(3b)와 삽입봉(7a)(7b)은 더 큰 외력이 작용해도 연결부위에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아 비틀려 파손되는 문제점 없이 사용가능하게 된다.
상기 지지파이프(2)는 도 1, 도 3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관(8)과 상기 지지관(8)의 좌,우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삽입봉(7a)(7b)으로 되어 있다.
상기 지지관(8)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내부가 빈 관형상으로 단면이 원형으로 되어 있고 직선형을 이루며 상기 지지관(8)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봉(7a)(7b)에 의해 결합체결슬리브(3a)(3b)와 결합된다.
상기 삽입봉(7a)(7b)은 지지관(8)의 좌,우 양측의 중공된 관(管) 내부에 육각봉의 금형을 밀어넣어 육각관으로 확장한 짧은 체결관으로서, 외주면과 내주면이 육각으로 되어 있으며 내측이 중공되어 있되 상기 삽입봉(7a)(7b)의 외경은 일체로 되어 있는 지지관(8)의 외경보다 더 크고 동시에 삽입 체결되는 결합체결슬리브(3a)(3b)의 대응되는 내주면의 각 모서리의 내경보다 조금 더 작게 형성되어 있어 삽입봉(7a)(7b)이 결합체결슬리브(3a)(3b)의 삽입홀(5a)(5b) 내부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 도 5b와 같이 상기 지지파이프(2")의 일측에는 삽입봉(7a")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삽입홀(5a")이 있는 결합체결슬리브(3a")를 형성하되 지지파이프(2")의 삽입봉(7a")이 연결파이프(1)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체결슬리브(3a)(3b)의 삽입홀(5a)(5b)에 끼움결합될 수 있게 하며 상기 지지파이프(2")의 결합체결슬리브(3a")에는 다른 지지파이프(2)의 삽입봉(7a)(7b)이 끼움결합될 수 있게 하여 비닐하우스의 폭을 넓게 할 수 있다.
체결구멍(9a)(9b)(9c)(9d)은 삽입봉(7a)(7b)에 천공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삽입봉(7a)(7b)의 일측과 중공된 내측을 가로질러 마주보는 180˚위치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편(6a)(6b)(6c)(6d)이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삽입봉(7a)(7b)이 삽입홀(5a)(5b)에 끼움결합되는 경우 체결구멍(9a)(9b)(9c)(9d)과 부합되는 위치에 결합체결슬리브(3a)(3b)의 체결편(6a)(6b)(6c)(6d)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구멍(9a)(9b)(9c)(9d)과 체결편(6a)(6b)(6c)(6d)의 체결에 의해 상기 삽입봉(7a)(7b)과 결합체결슬리브(3a)(3b)는 더 큰 외력이 작용해도 연결부위에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아 비틀려 파손되는 문제점 없이 사용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상기 사각형으로 천공된 체결구멍(9a)(9b)(9c)(9d) 대신에 원형의 구멍으로 천공된 체결구멍(9a')(9b')(9c')(9d')을 형성하고, 사각형으로 된 체결편(6a)(6b)(6c)(6d) 대신에 상기 체결구멍(9a')(9b')(9c')(9d')과 부합되는 위치에 원형의 연결파이프체결구멍(10a')(10b')(10c')(10d')을 천공하되, 상기 연결파이프체결구멍(10a')(10b')(10c')(10d')이 체결구멍(9a')(9b')(9c')(9d')과 일직선 축상에 위치하도록 삽입봉(7a)(7b)을 결합체결슬리브(3a)(3b)의 삽입홀(5a)(5b)에 삽입하고 상기 원형으로 천공된 연결파이프체결구멍(10a')(10b')(10c')(10d')과 체결구멍(9a')(9b')(9c')(9d')을 관통하는 고정핀(11)으로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필요에 따라 체결구멍(9a)(9b)(9c)(9d)(9a")(9b")은 구멍으로 천공되어 있는 것으로 체결편(6a)(6b)(6c)(6d)(6a")(6b")과 체결될 때에는 상기 체결편(6a)(6b)(6c)(6d)(6a")(6b")의 돌출부와 부합되게 사각형의 구멍으로 천공하고 연결파이프체결구멍(10a')(10b')(10c')(10d')과 체결될 때에는 원형의 구멍으로 천공하여 상기 원형의 구멍을 관통하는 고정핀(11)으로 체결할 수 있으며, 또한 지지파이프(2")의 체결편(6a")(6b")을 원형의 구멍으로 천공하여 상기 원형의 구멍을 관통하는 고정핀(11)으로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는 비닐하우스를 만들기 위해 원하는 형상으로 각 파이프를 상호결합한다. 연결파이프(1)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체결슬리브(3a)(3b) 내부에 삽입봉(7a)(7b)을 삽입하여 체결하되 체결편(6a)(6b)(6c)(6d)과 체결구멍(9a)(9b)(9c)(9d)이 일직선 축상에 위치하게 각각의 모서리 부분을 맞춰 삽입홀(5a)(5b) 안쪽으로 삽입하여 끼움결합한다. 상기 끼움 결합되어 일직선 축상에 위치한 체결편(6a)(6b)(6c)(6d)과 체결구멍(9a)(9b)(9c)(9d)은 내측으로 돌출된 체결편(6a)(6b)(6c)(6d)이 체결구멍(9a)(9b)(9c)(9d)에 삽입 체결되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연결파이프(1)의 양측에 위치한 결합체결슬리브(3a)(3b)에 지지파이프(2)의 일측에 위치한 삽입봉(7a)을 각각 끼움결합하고 결합되지 않은 타측의 삽입봉(7b)에 새로운 결합체결슬리브(3a)를 각각 끼움결합하여 비닐하우스 파이프 장치를 형성한다. 이때 도 5b와 같이 비닐하우스의 폭을 넓게 할 경우 지지관(8")의 일단에는 삽입봉(7a")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결합체결슬리브(3a")가 구비되어 있는 지지파이프(2")를 사용하여 지지파이프(2)(2")를 반복결합함으로써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비닐하우스의 파이프장치를 형성한 후 상기 파이프장치와 횡으로 파이프를 연결하여 조리개 등의 파이프 결속 수단으로 다수개 파이프장치를 연결하여 비닐하우스를 완성한다. 상기 완성된 비닐하우스에는 파이프 장치 위에 비닐장막 등을 씌워서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각 파이프를 용이하게 결합시키고 비틀림에 견고하며 파이프간 결합을 통한 비닐하우스의 시공시 소요되는 시간 및 경비를 절감할 수 있고 강성 및 외력에 대한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파이프를 규격화하여 생산할 수 있어 설치가 간단하고 제작 및 제조공정이 간편한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의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파이프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지지파이프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파이프와 지지파이프의 분리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파이프와 지지파이프의 결합도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파이프와 지지파이프를 반복결합한 분리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고정핀에 의한 연결파이프와 지지파이프의 결합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비닐하우스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 연결파이프 2, 2', 2". 지지파이프
3a, 3b, 3a". 결합체결슬리브 4. 연결관
5a, 5b, 5a". 삽입홀 6a, 6b, 6c, 6d, 6a", 6b". 체결편
7a, 7b, 7a". 삽입봉 8, 8". 지지관
9a, 9b, 9c, 9d, 9a', 9b', 9c', 9d', 9a", 9b". 체결구멍
10a', 10b', 10c', 10d'. 연결파이프체결구멍
11. 고정핀

Claims (4)

  1.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체결장치에 있어서, 연결파이프(1)와 지지파이프(2)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연결파이프(1)는 연결관(4)과 그 좌, 우 양측에 일체로 결합체결슬리브(3a)(3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파이프(2)는 지지관(8)과 그 좌, 우 양측에 일체로 삽입봉(7a)(7b)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결합체결슬리브(3a)(3b)의 삽입홀(5a)(5b)에 삽입봉(7a)(7b)이 끼움결합 되어 "" 형상의 비닐하우스 프레임으로 조립 체결되며, 상기 연결관(4)은 내부가 빈 관형상으로 단면이 원형이고 중심부는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체결슬리브(3a)(3b)는 연결관(4)의 좌,우 양측에 육각관으로 확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육각으로 중공된 삽입홀(5a)(5b)이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편(6a)(6b)(6c)(6d)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관(8)은 내부가 빈 관형상으로 단면이 원형이며 직선형을 이루고, 상기 삽입봉(7a)(7b)은 지지관(8)의 좌우 양측에 육각관으로 확장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체결슬리브(3a)(3b)의 삽입홀(5a)(5b) 내부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되고 체결구멍(9a)(9b)(9c)(9d)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편(6a)(6b)(6c)(6d)이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체결편(6a)(6b)(6c)(6d)은 결합체결슬리브(3a)(3b)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체결구멍(9a)(9b)(9c)(9d)은 삽입봉(7a)(7b)의 양측에 천공되어 있으며 삽입봉(7a)(7b)이 결합체결슬리브(3a)(3b)의 삽입홀(5a)(5b)에 삽입될때 상기 체결편(6a)(6b)(6c)(6d)이 체결구멍(9a)(9b)(9c)(9d)에 체결되어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
  3.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체결장치에 있어서, 연결파이프(1')와 지지파이프(2')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연결파이프(1')는 연결관(4)과 그 좌, 우 양측에 일체로 결합체결슬리브(3a)(3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파이프(2')는 지지관(8)과 그 좌, 우 양측에 일체로 삽입봉(7a)(7b)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결합체결슬리브(3a)(3b)의 삽입홀(5a)(5b)에 삽입봉(7a)(7b)이 끼움결합 되어"" 형상의 비닐하우스 프레임으로 조립 체결되며, 상기 연결관(4)은 내부가 빈 관형상으로 단면이 원형이고 중심부는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체결슬리브(3a)(3b)는 연결관(4)의 좌,우 양측에 육각관으로 확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육각으로 중공된 삽입홀(5a)(5b)이 형성되어 있으며 원형으로 천공된 연결파이프체결구멍(10a')(10b')(10c')(10d')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관(8)은 내부가 빈 관형상으로 단면이 원형이며 직선형을 이루고, 상기 삽입봉(7a)(7b)은 지지관(8)의 좌우 양측에 육각관으로 확장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체결슬리브(3a)(3b)의 삽입홀(5a)(5b) 내부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되고 원형으로 천공된 체결구멍(9a')(9b')(9c')(9d')이 형성되어 있어 삽입봉(7a)(7b)이 결합체결슬리브(3a)(3b)의 삽입홀(5a)(5b)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파이프체결구멍(10a')(10b')(10c')(10d')과 체결구멍(9a')(9b')(9c')(9d')을 관통하는 고정핀(11)으로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
  4.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체결장치에 있어서, 연결파이프(1)와 지지파이프(2)(2")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연결파이프(1)는 연결관(4)과 그 좌, 우 양측에 일체로 결합체결슬리브(3a)(3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파이프(2)는 지지관(8)과 그 좌, 우 양측에 일체로 삽입봉(7a)(7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파이프(2")는 지지관(8")과 그 좌, 우 양측에 각각 결합체결슬리브(3a")와 삽입봉(7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지파이프(2")의 일측에 형성된 결합체결슬리브(3a")의 삽입홀(5a")에 다른 지지파이프(2)의 삽입봉(7a)(7b)이 끼움결합 되고 상기 지지파이프(2")의 타측에 형성된 삽입봉(7a")은 연결파이프(1)의 결합체결슬리브(3a)(3b)에 끼움결합 되어 "" 형상의 비닐하우스 프레임으로 조립 체결되며, 상기 연결관(4)은 내부가 빈 관형상으로 단면이 원형이고 중심부는 절곡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파이프(1)의 결합체결슬리브(3a)(3b)는 연결관(4)의 양측에 육각관으로 확장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육각으로 중공된 삽입홀(5a)(5b)이 형성되어 있으며 체결편(6a)(6b)(6c)(6d) 또는 연결파이프체결구멍(10a')(10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파이프(2")의 결합체결슬리브(3a")는 지지관(8")의 일측에 육각관으로 확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내부에 육각으로 중공된 삽입홀(5a")이 형성되어 있고 체결편(6a")(6b") 또는 원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관(8)(8")은 내부가 빈 관형상으로 단면이 원형이며 직선형을 이루고, 상기 삽입봉(7a)(7b)(7a")은 지지관(8)(8")의 양측에 육각관으로 확장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체결슬리브(3a)(3b)(3a")의 삽입홀(5a)(5b)(5a") 내부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되고 체결구멍(9a)(9b)(9c)(9d)(9a")(9b")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체결편(6a)(6b)(6c)(6d)(6a")(6b") 또는 고정핀(11)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
KR20-2005-0012881U 2005-05-09 2005-05-09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 KR2003904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881U KR200390409Y1 (ko) 2005-05-09 2005-05-09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881U KR200390409Y1 (ko) 2005-05-09 2005-05-09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409Y1 true KR200390409Y1 (ko) 2005-07-21

Family

ID=43691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881U KR200390409Y1 (ko) 2005-05-09 2005-05-09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40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715B1 (ko) * 2006-08-14 2008-04-07 김혜숙 비닐하우스 보강용 다단식 프레임구조물
KR20220082318A (ko) * 2020-12-10 2022-06-17 최미숙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KR20220126440A (ko) * 2021-03-09 2022-09-16 최미숙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715B1 (ko) * 2006-08-14 2008-04-07 김혜숙 비닐하우스 보강용 다단식 프레임구조물
KR20220082318A (ko) * 2020-12-10 2022-06-17 최미숙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KR102534234B1 (ko) * 2020-12-10 2023-05-17 최미숙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KR20220126440A (ko) * 2021-03-09 2022-09-16 최미숙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KR102570231B1 (ko) * 2021-03-09 2023-08-23 최미숙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6111B1 (en) Structural joint assembly and method therefor
WO1988005136A2 (en) Connecting apparatus
KR200390409Y1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장치
JPWO2008038410A1 (ja) 鉄筋の定着具
US8641312B2 (en) Rotating spigot for trusses
WO2010005505A3 (en) Coupling system
US6811347B1 (en) Lamp post insertional conjoinment structure
KR101374598B1 (ko) 철근 커플러
EP1956266A3 (en) Turnbuckl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RU2019110485A (ru) Устройство фиксации гибких кабелей
US20070126317A1 (en) Collapsible clothes closet
EP2236842A1 (en) Coupling device and method to assemble the same
KR100792556B1 (ko) 철근 이음기
US20140299721A1 (en) Hose Clamp Brace
KR101255848B1 (ko) 로봇 조립블럭용 모터블럭 조립체
JP5155614B2 (ja) トンネルセグメント連結構造
RU52530U1 (ru) Составной элемент колена
JP5009086B2 (ja) 管継手
KR20200025089A (ko) 연결용 커플러
JP3801422B2 (ja) パイプの結合部材
KR200250676Y1 (ko) 조립식 간이 구조물용 프레임 연결구
CN215253412U (zh) 网壳连接节点
EP1876322A1 (en) Coupling means for accessories used to operate roller blinds
KR970000776Y1 (ko) 다목적 옷걸이
KR20220126440A (ko) 비닐하우스용 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